Geisterbahnhof
Ghost station(Abandoned station[1]) (영어)
▲ 베를린 S반 지멘스 선의 지멘스슈타트 역. 곳곳의 그래피티들이 황폐함을 그나마 완화시켜 준다.[2] #
1 개요
분단, 폐선, 시설 노후화, 수요 감소, , 마을전철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영업을 중단한 철도역.
▲ 베를린 포츠담 광장 역이 유령역이던 시절에 촬영한 영상.
유령역이라는 말이 등장한 것은 베를린 장벽이 세워지고 동서독 분단이 고착화된 이후로, 당시 베를린 S반과 베를린 U반이 상대 지역에 있는 역에 정차하지 않으면서[3] 자연스럽게 이런 역들이 영업정지 후 폐쇄되었고 이 때 지하 구간에서 희미하게 불만 깜빡거리는 이런 역들을 독일어로 Geisterbahnhof라고 부르기 시작했는데, 이를 영어로 번역하면서 유령역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한때 베를린에 상당한 수의 유령역들이 있었지만 독일 통일 이후 영업을 재개하였고, 파리 메트로, 런던 지하철, 뉴욕 지하철, 시카고 전철에는 아직 상당수의 유령역들이 남아있다. 유명한 유령역들은 직접 들어가서 촬영한 영상들이 유튜브에 올라오기도 한다. 뉴욕처럼 교통 박물관에서 유령역 관광 코스를 운영한 경우도 있다.
물론 한국도 독일과 마찬가지로 분단으로 인해 경의선 장단역과 경원선 월정리역·철원역은 유령역이 되어 있다. 이중 장단역은 전쟁 때 완전히 날아가 역사란 게 없어져 도라산역이 기능을 대신 수행 중이며, 월정리역과 철원역은 2017년 까지 재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동해북부선 제진역은 기껏 돈들여 역사를 건설했지만 시험운행만 하다가 유령역이 된 케이스. 선로가 북한 측으로만 개통되어 있으니 현재로서는 무용지물이다.
지금은 영업을 하고 있지만, 한때 서울 지하철 5호선 마곡역도 완공 후 12년 3개월이라는 긴 세월동안 유령역이였고 서울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도 5년동안 유령역이다가 개통되었다. 이 경우는 개발이 진행중인 곳에 미리 역을 설치해 놓은 경우이긴 하지만...
2 현재 존재하고 있는 유령역
미개통 및 폐선/폐역으로 인해 영업을 종료하였으나 시설이 철거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
2.1 한국
2.1.1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지하 3층 승강장
성수지선 신설동역 밑에 존재한다. 군자차량기지의 1호선 차량의 입출고용으로만 쓰인다.
2.1.2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공항역 지하 3층 완행전용 승강장
9호선 선로용량 잠식이 많지 않아 현재 완행 - 급행을 한 승강장에 쓰면서 유령역화 되었다.
2.1.3 인천 지하철 1호선 동막역 승강장
2009년 송도국제도시 연장 이후 사용되지 않으며 스크린도어 설치와 역명판의 교체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동막역은 2면 3선식이나 사실상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한다. 1분 25초 부터
2.1.4 경춘선 舊 강촌역
경춘선 복선전철화로 기존 역사가 폐쇄되고 다른 역사로 이전됐다. 물론 페쇄된 역사는 남아 있다.
2.1.5 수도권 전철 4호선 한대앞역의 옛 수인선 승강장
1995년 까지 운행되었던 국내 유일의 협궤노선 맞다. 신 수인선 전철은 오이도역~한대앞역 안산선 구간을 4호선과 공유하기 때문에 승강장도 4호선과 공유할 예정.
2.1.6 경원선의 철원역, 월정리역
현재 민통선 내부에 있는 역들이다.
2.1.7 벽제역을 제외한 교외선의 역들
교외선은 2004년 여객 영업은 중단됐으나, 벽제역은 엄연히 화물과 TMO 영업은 계속하고 있는 노선이다.
2.1.8 수도권 전철 수인선 학익역
주변 미개발로 당분간 개통을 하지 않을 예정이다.
2.2 일본
2.2.1 케이세이 본선 박물관동물원역, 간에이지사카역
2.2.1.1 두 역은 왜 폐지됐는가?
먼저 간에이지사카역은 1933년에 영업을 개시한 이후, 태평양 전쟁 이후 1945년에 영업을 중단했다가, 1946년부터 영업을 재개했다. 그러나 가파른 곳에 위치했던 역의 안전성과 운행상의 위험성으로 인해 1947년부터 휴지됐고, 1953년에는 이 역이 완전히 폐역되었다. 이후 2016년 2월에 일본 마이니치 신문사 측에서 이 역사 내부를 취재했다.
그리고 박물관동물원역 또한 간에이지사카역과 똑같이 1933년에 영업을 개시했다. 그러나 플랫폼의 유효 길이가 짧아 4량 편성을 제외한 8량 편성은 모두 통과할 수밖에 없었으며[4], 케이세이우에노역과의 거리가 약 0.9km로 매우 가깝고, 개통 이후 한 번도 제대로 된 수리나 리모델링을 하지 않아 노후화가 심하게 진행이 된 상태였다. 게다가 자동 발매기가 설치되기는 커녕 그 흔한 플랩식 개찰구도 없어 작은 매표소에서 역무원이 혼자 매표 업무를 맡아 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1997년 휴지 직전에는 시간표 상에서 배차 간격이 1시간 이상 비는 때도 있었다.[5] 결국 박물관동물원역은 1997년에 휴지, 2004년에 폐역되었다. 현재 이 역들의 출입구[6]와 승강장은 아직까지도 남아있는 상태이다. 우에노 동물원 구 정문 측의 출구는 현재 창고로 사용되고 있다.두 역의 모습. 박물관동물원역의 승강장의 모습은 6분 27초 참고 휴지 직전의 박물관동물원역. 보면 알겠지만 영업 중인데도 폐허처럼 보인다.
2.2.2 케이큐 본선 히라누마역
태평양 전쟁때 역사가 박살난 이후로 플랫폼만 덜렁남아 있음. 다만 플랫폼이 망가질 경우 상부 전차선 구조물도 영향을 받는 구조라 주기적으로 관리되는 모양.
2.2.3 세이부 철도 아히나역
1967년 자갈 채취 금지 이후 목적을 잃고 현재까지 방치되어 있으나, 문서상으로는 아직 남아있는 역이다. 현재는 이곳에 차량기지를 새로 짓기 위한 작업이 진행중이었으나 결국 세이부 철도 공식발표에 따라 완전히 폐선된다고 발표했다. 아사히 신문 세이부 철도 측의 공식 입장은 "미나미이리소차량기지의 증강으로 인해 차량기지를 신설 할 필요가 없다"지만, 실제로는 선로의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복구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데다[7] 가 일부 주민의 차량기지 건설 반대 때문에 그냥 포기한 듯. 공식적으로 2016년 11월에 폐선 처리될 예정이며, 이미 획득한 용지 약 20헥타르에 대한 비용 126억엔을 손실처리했다. 폐선 부지와 차량기지 용지의 활용에 대해서는 카와고에시와 협의중이라고 한다.
2.2.4 도쿄 메트로 만세이바시역
1931년 신바시역이 개통하고 나서 바로 나가리… 참고로, 현재는 환풍 시설로 사용하고 있다. 지하 역사의 일부가 남아 있다는 것은 덤.
2.2.5 토카다이 신교통의 토카다이 선 전역
지난 2006년에 폐지된 노선으로 콘크리트 부분인 역과 선로는 그대로 남아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2.3 아메리카
2.3.1 신시내티 지하철의 남아 있는 모든 역
무려 100년 가까이 공사가 재개되지 않고 있는 미성선이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2.3.2 뉴욕 지하철 A, C선의 Court Street 역
교통 박물관으로 개조되었다.
2.3.3 토론토 지하철 Bay역의 Lower Bay 승강장
1966년에 YUS와 BD의(현재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 두 노선을 통합 시키고 열차들을 행선지별로만 나누려 했던 실험의 산물. 이 실험 와중 Bay라는 역은 행선지 별로 역이 윗층과 아래층 둘로 나눠졌지만 이 시도가 불과 6개월 후 취소되자 이 역은 다시 단독 노선만 다니게 되어 (현재 토론토 지하철 2호선의 Bay 역) 아래층의 승강장은 그냥 그대로 버려졌다. 현재 이 승강장과 선로는 열차 회송이나 영화촬영 용도로만 쓰이고 있는데, 토론토판 신설동역 지하 3층 유령 승강장이라고 보면 될듯. 하지만 몇 년에 한 번씩 이벤트 성으로 일반인들에게 이 승강장을 보여준다고는 한다.
2.4 유럽
2.4.1 스톡홀름 지하철 심링예 역
항목 참조.
3 과거 유령역 이었던 역
3.1 한국
- 서울 지하철 5호선 마곡역 - 마곡지구 개발을 대비해 건설, 2008년 6월 20일 개통.
- 서울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 - 마곡지구 개발을 대비해 건설, 2014년 5월 24일 개통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증산역 - 양산신도시 개발을 대비해 건설, 2015년 9월 24일 개통.
- ↑ 버려진 역. 구글에서 이 단어로 검색해도 엄청난(...) 예시가 나온다.
- ↑ S반 지멘스 선은 이 지역에 있던 지멘스 본사 및 공장의 출퇴근용 철도로, 1929년에 개통되었다. 그러다 지멘스 본사가 뮌헨으로 이전하자 쓸모가 없어졌고, 결국 1980년에 폐선 되었다. 폐선된 이후에도 철거되지 않고 대부분의 시설이 그대로 남아 있다.
- ↑ 다만 딱 한 군데 예외가 서베를린-동베를린-서베를린 식으로 남북을 가로지르는 U반 6호선과 S반 노선들의 열차가 운행하던 동베를린의 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 역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 ↑ 심지어 그 4량 편성조차도 선두 차량의 끝 부분은 홈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였다.
기관사 지못미 - ↑ 그런데 이렇게 한 이유가 더 가관인데, 혼자 근무하는 역무원의 휴식 때문 이란다(...). 보안상의 이유로 인해 무인화 시킬 수도 없었다고...
- ↑ 입구는 칸막이로 막혀 당연히 들어갈 수 없다.
- ↑ 침목, 레일 등이 심하게 부식된 것은 물론, 건널목 위에 아스팔트가 깔려있고 선로 부지내에 주민들이 꽃을 심고 농사를 짓는 등 그동안 세이부 철도에서 방치한 탓에 관리 상태가 막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