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야샤/애니메이션

TV 애니메이션: 이누야샤(1기)
원작타카하시 루미코 高橋 留美子(たかはし るみこ)
기획스와 미치히코(요미우리 TV)
후지모리 다쿠미(쇼가쿠칸)
우에다 마스오
미야카와 야스오(선라이즈)
감독이케다 마사시(1화~44화)
아오키 야스나오(45화~167화)
시리즈 구성스미사와 카츠유키
캐릭터 디자인히시누마 요시히토
애니메이션 제작선라이즈
방송사22px-Flag_of_Japan.svg.png 요미우리TV · NNS
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애니원 · 챔프TV · 투니버스 · 애니박스
방영 기간22px-Flag_of_Japan.svg.png 2000년 10월 16일 ~ 2004년 9월 13일
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2002년 ~ 2006년
회수총 167회수
저작권 표기ⓒ 다카하시 루미코/쇼가쿠칸
요미우리 TV·선라이즈·AVEX
TV 애니메이션: 이누야샤 완결편(2기) 犬夜叉-完結編
원작타카하시 루미코 高橋 留美子(たかはし るみこ)
감독아오키 야스나오
시리즈 구성스미사와 카츠유키
캐릭터 디자인히시누마 요시히토
총작화 감독히시누마 요시히토
애니메이션 제작선라이즈
제작사요미우리TV
방송사아래 참조
방영일22px-Flag_of_Japan.svg.png 요미우리TV · NNS 외 다수
2009년 10월 3일~ 2010년 3월 30일
22px-Flag_of_the_Republic_of_China.svg.png 2009년 10월 10일
22px-Flag_of_Hong_Kong.svg.png 2009년 10월 10일
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애니원
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챔프TV
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애니박스 2010년 3월 8일
회수총 26화

1 소개

소년 선데이 CM. 재생 순서대로 각각 2000년 7월 CM과 1997년 4월 CM. 그리고 명탐정 코난

400px
이누야샤 공식 홈페이지
이누야샤 완결편 공식 홈페이지

TV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제작사는 선라이즈. 니혼 TV계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1] 총 167화(2000년 10월 16일~2004년 9월 13일, 1권부터 36권 분량까지)[2]+완결편 26화(2009년 4분기~2010년 1분기, 37권부터 56권 분량까지).[3] 셀 애니메이션과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과도기에 있던 작품으로 원래는 셀 방식으로 제작되다가 99화에 와서야 완전히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때문에 얼마 전 일을 회상하는 장면에서 갑자기 그림이 낡아보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그렇지 않아도 느리고 반복적인 작품을 애니판 오리지널 스토리까지 넣어가면서 진행은 더더욱 거북이걸음이 되었다.[4] 이번엔 정말 결말 낼 것처럼 해놓고선 167화에서 결말을 안 짓고 끝냄으로써 원성을 샀다. 당시 원작이 미완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어느 정도 어쩔 수 없는 문제였다.

그러다가 원작이 완결나면서 2009년 10월 애니메이션 완결편 방영 개시. 인기도 떨어졌겠다, 이번엔 확실히 끝장을 볼 모양이지만 덕택에 이번엔 너무 빠른 전개로 진행해서 완결편이 아니라 간결편[5]이라는 비야냥을 들었다(...).

정리하자면 1~36권의 내용을 무려 167화까지 만들어 놓고는 남은 20권은 단 26화 내로 담았다는 것. 만약 애니판이 처음부터 완결편의 템포였다면 이누야샤 애니는 4(=48~52화) 정도로 끝났을 것이다.[6] 덕분에 스토리의 진행이 장난 아니게 빠르다.

거의 싹~잘라버리고 통편집해서 만든 수준. 억지로 질질끌기도 문제가 있지만 이런 식으로 지나치게 빠른 진행도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애니 완결판 부분을 만화책으로 봤던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주요 명장면을 포함한 상당부분을 아예 빼버리거나 대충 넘겨버린 애니판은 시청할 이유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극장판 애니메이션도 4편 제작되었다. 또한 모든 OP/ED곡은 에이벡스 트랙스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들이 부른 것이 특징. [7]

2 국내 방영

2002년 말에 대원씨앤에이홀딩스㈜(현 대원미디어)가 수입하여 2002년 12월 23일부터 자사의 애니원에서, 1년 뒤 2004년 1월 1일부터는 투니버스를 통해 방영이 시작되었다.犬夜叉 INUYASHA[8] 담당 PD는 1기부터 6기까지는 김정규,[9] 완결편은 6기까지 조연출을 담당했던 김정령.

2002년 방영 당시 대원의 애니 채널이 그 해 개국한 스카이라이프의 애니원 하나 뿐이었고 케이블 쪽엔 대교방송, 재능방송, 투니버스가 있었는데, 최대한 원작 이름 및 설정을 살리기엔 아직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그나마 위성 쪽에 있던 애니원은 이에 대한 심의가 관대한 편이라 자사인 애니원에서 선방영을 하고 2004년 4차 일본문화개방이 된 후 투니버스에 공급해 후방영을 하는 구도가 만들어졌다. 그런데 투니버스의 열렬한 푸쉬로 두 방송사의 이누야샤 방송 시간대가 겹치는 일[10]이 다반사였으며 심지어 2004년 말 투니버스가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시청자가 뽑은 2004년 최고의 애니메이션에 선정되고 그 밖에도 남우주연상(이누야샤), 여우주연상(유가영), 성우상(강수진), 최고 커플상(이누야샤&유가영), 최고 얼짱상(이누야샤), 가보고 싶은 애니메이션 속 장소(고대 일본 전국시대)(!!!)까지 무려 7개나 상을 싹쓸이해 타 방송사 작품인데도 실상 투니버스 작품으로 자리잡은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흠좀무 주객전도?

그리하여 대원방송은 2004년 7~8월 한창 4기 방영 광고를 때릴 때[11] 이누야샤의 강수진, 유가영의 정미숙을 통해 "(투니)버스에서도 절대 볼 수 없는", "이누야샤 4기는 애니원에서만 하는 거 알지?"란 멘트로 비교광고를 내보내 화제가 되었다. #, ## 물론 5개월이 지난 2004년 12월 투니버스에서도 4기 방영이 시작되었고 6기까지 방영했으며, 거기다 극장판 시리즈는 오히려 투니버스가 발빠른 행동력으로 낚아채가 선방영을 차지했다.(...) 이후 대원방송은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으로 복수한다.

이후 완결편은 2010년 3월부터 대원방송계열(애니원/챔프TV/애니박스)에서 방영되었다. 애니박스의 HD 방영에 맞추어 제작되었다.[12]

2.1 도를 넘어선 재방송

과거 애니메이션 채널들이 끝도 한도 없이 이누야샤를 재탕하여 전설이 되고야 말았다.그래도 일본 문화 개방에 앞장선 애니는 확실하다.

특히 챔프와 애니원이 그 정도가 심각하여 이누야샤에 관심 없는 사람조차 스토리를 좔좔 외우게 만들었다. 투니버스는 짱구, 아따맘마, 달빛천사 등의 여러 인기작이 있었기 때문에 그나마 이누야샤의 비중이 적당한 편이었지만 당시의 챔프와 애니원은 확실한 킬러 타이틀이 없던 상황이었으니..

물론 케이블 TV 특성상 프로그램 재방이나 재탕은 어느 채널에도 있는 것이지만 이 무한의 이누야샤가 레전드가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채널만이 아닌 투니버스, 챔프, 애니원 같은 국내의 거의 모든 케이블 만화 채널에서 동시에 방영했다는 점이다. 도라에몽도 챔프에서 무한 재탕하고 있지만 이누야샤의 경우는 이누야샤 보기 싫다고 챔프에서 투니 틀어도 이누야샤, 그렇다고 애니원 틀어도 이누야샤 같은 식으로 도저히 그야말로 피할 수 없는 무한의 이누야샤 시간대 가 형성된 점.[13] 이자나미!!

둘째, 새롭게 3기나 4기 등의 신 시즌이 수입되어도 곱게 그거부터 안 틀고 1~2를 다시 재탕하고 3기로 넘어가고 4기가 나오면 1~3기를 다시 재탕하고 4기로 넘어가고... 이와 같은 식으로 방영했다는 점에 원작 또한 본격 나라쿠 도망기가 되어가고 있어서 원작의 진행도 루즈한데 무한의 재탕까지 겹처 그 파괴력이 더해진 점.

셋째, 어느 채널 할 것 없이 가끔식 '이누야샤 데이'나 '이누야샤 복습데이'(...), '이누야샤 스페셜데이'(...) 같은 명칭으로 그야말로 하루종일 이누야샤를 틀어 버리는 만행을 저지른 적도 있는 점. 그것도 3채널이 동시에.

넷째, 그렇다고 끝나면 바로 또 처음부터 1기부터 다시 하는 만행을 자주 저지른 점 등등.

그야말로 레전드급이 아닐 수가 없다. 몇몇 사이트에선 심지어 '2기의 몇 화라면 이런 내용이네요'라는 식으로 외우는 사람도 넘쳐났으며[14] 당시 아이들은 이누야샤라면 그야말로 이를 갈기도 했다. 그러다가 시간이 흐르고 결국 이누야샤가 TV에서 방영되지 않게 됨으로써 재탕의 제왕 자리를 도라에몽에게 내준 상태였으나 마지막 애니판인 '이누야샤 완결편'이 나오면서 무한의 이누야샤가 반쯤은 다시 부활.[15] 2010년 11월 즈음엔 베스트 에피소드 방영이란 명목으로 다시 일부 케이블에서 재방을 때렸다.(...) 그래도 막상 요즘에 안해주니까 그립긴하다...

결론을 말하자면 짱구나 도라에몽이 아무리 무개념 도배로 욕을 먹고 있다지만 이 이누야샤에 비하면 정말 아무것도 아니다.[16]

지금은 방영권을 케이블 DV업계의 프로그램 공급자인 홈초이스(현 케이블TV VOD[17])에게 넘긴 것으로 확인된다. 1기부터 6기까지 모든 더빙 방영판이며 방송 로고가 포함되지 않은 모든 화수를 무료로 VOD로 서비스하고 있다. 단, 완결편은 현재 유료다.

2016년 6월 현재 olleh TV 등의 IPTV에서 1기부터 3기까지 VOD 다시보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18]

2.2 적은 로컬라이징

캐릭터들의 이름을 원작 그대로 살려냈다는 점이 상당한 이슈가 되었다. 당시 일본문화 개방으로 일본문화가 들어오는 때이긴 해도 완전히 개방된 것은 아니어서 국내로 일본 애니메이션이 들어올 때는 보통 적절한 로컬라이징화 해서 들어오기 마련이었는데 이누야샤 같은 경우는 여주인공 유가영, 금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원어 그대로 방송에 나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주인공 이누야샤 같은 경우도 국내 만화 정발판에서 "견야차"로 소개된 것에 비해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이누야샤 일본어 그대로 발음되었고, 이 외에도 셋쇼마루, 산고, 싯포,등 일본어 원어 발음 그대로 방송이 나갔다는 것 자체가 기적같은 일이다. 원어로 된 이름 발음이 익숙해서 그런 것일수도 있겠지만 이누야샤는 좀 심하다 싶을 정도로 원어 발음이 더 어울리는 편.

이게 얼마나 놀라운 것이냐 하면 세계 최고의 애니메이션 중 하나인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만 해도 고작 기모노 입은 민화가 등장하는 에피소드가 통째로 갈려나갔고[19], KBS로 방영된 세일러문 애니에서도 히노 레이(세일러 마스)가 무녀복을 입은 장면과 히카와 신사가 배경인 장면이 통째로 편집되었다.[20] 말 그대로 '약간의 왜색' 만 들어가 있다면 전체 줄거리가 어떻던 화 자체를 송두리째 날려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했던 상황이었는데[21] 갑자기 TV에서 일본 이름을 가진 캐릭터나 각종 일본 전통 문화에 기반한 의상 및 요괴 등이 나타나게 되었던 것이다.[22]

2.3 화려한 성우진

성우진은 당시 애니원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된 설문조사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그 덕분인지는 몰라도 당대 최고인 성우들 위주로 캐스팅되었다. 당장 이누야샤강수진,[23] 유가영정미숙[24], 산고우정신, 미륵구자형[25], 셋쇼마루김승준, 코우가엄상현, 금강은 서혜정, 묘가 영감은 김환진, 금사매는 성선녀, 나락홍시호[26], 자켄은 탁원제가 맡았다. 이것만 봐도 알지만, 성우들이 하나같이 거물이다. 게다가 단역에도 거물 성우가 많이 끼어들었다. 하지만 완결편은 주요 인물을 제외한 성우진이 대원 전속으로 바뀌었는데, 기존 성우진이 호화로웠던 덕분에 평가가 그다지였다. 엄상현에서 임경명으로 교체된 코우가홍시호에서 최낙윤으로 교체된 나라쿠 등이 그 예다.[27]

로컬라이징도 잘 된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완결편에서 자신의 이름 유래를 밝히는 회차에서 살짝 어려웠지만 그걸 제외하고는 잘 된 편. 각 방영 시기마다 번역가가 다르다. 1,2,3기때까지는 번역가가 윤경아(슬레이어즈 한국어판을 걸작으로 만든 사람)인데, 어느순간 6기 엔딩을 보면 번역가가 바뀌었다. 엔딩을 잘 보면 이윤미로 나온다. 그리고 완결편에서는 번역가가 송승은으로 바뀌었다.

거물급 성우진과, 그들이 보여주는 절륜한 연기, 그리고 자주 방영해서 그런지, 저연령층이 아닌 애니메이션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한국어판이 더 유명하다. 각종 커뮤니티와 사이트에서도 호평이 엄청나며, 원판을 본 사람들한테서도 호평을 들을 정도다.

3 극장판

201006-23-200235-1.jpg
621full-inuyasha-the-movie%3A-affections-touching-across-time-poster.jpg

  • 이누야샤 - 시대를 초월한 마음(犬夜叉 - 時代を越える想い)
얼굴이 하나같이 다 찡그린 표정이다 사혼의 구슬 조각을 찾아 여행하는 이누야샤 일행 앞에 대륙의 요괴 '메노우마루(瑪瑙丸)'인간형나방요괴 가 나타난다. 그는 사혼의 조각의 힘으로 되살아난 뒤 수하 요괴인 '루리(瑠璃)' 와 하리(玻璃)' 를 앞세워 이누야샤 일행을 압박하며 이누야샤의 철쇄아를 노린다. 메노우마루의 아버지는 과거 대륙의 거대한 요괴 군단을 이끌고 일본에 진격(원나라의 일본원정기로 추정)해온 요괴 '효오가(飛妖蛾)' 로서 메노우마루는 이누야샤의 아버지의 손에 자신의 아버지가 죽은 것을 원망하고 나타난 것이라 여겨지지만 진짜 목적은 따로 있는 듯. 그림체가 기존의 TV판과 차이가 난다.
와다 카오루OST를 작곡했다. 같은 작곡가가 만든 학교괴담의 대표적인 OST인 눈물 흘린 후에와 음이 거의 동일하다. 양쪽 작품을 대표하는 OST라는 것은 같다.

inuyashamovie2.jpg

  • 이누야샤 - 거울 속의 몽환성(犬夜叉 - 鏡の中の夢幻城)
드디어 숙적 나라쿠를 쓰러뜨린 이누야샤 일행. 그러나 그 직후부터 만월이 며칠이나 계속되고 자유의 몸이 된 나라쿠의 분신인 칸나카구라는 모종의 이유로 '5가지의 신물' 을 이용해 '천공의 공주' 라고 자칭하는 요괴 '카구야(神久夜)' 를 부활시킨다. 그녀는 과거 미로쿠의 할아버지에 의해 봉인된 요괴에서 천녀(天女)를 먹고 불로불사를 손에 넣은 존재였는데 그녀는 카고메가 다른 시간에서 온 존재라는 것을 눈치채고 자신의 목적을 위해 카고메를 맞거울의 몽환성으로 납치한다.
여담으로 오프닝 장면에서 인간 이누야샤는 덤.
첫 극장판에서 작화 차이가 난다고 하지만 극장판에 신경을 써서 원래 TV판과는 차이가 나고 이 극장판의 경우..

InuYasha3SwordsofanHonorableRuler-Cover-149676.jpg

  • 이누야샤 - 천하패도의 검(犬夜叉 - 天下覇道の剣)
이누야샤가 탄생한 날 그의 아버지 '투아왕(鬪牙王)' 은 아내 '이자요이(十六夜)' 를 구하기 위해 인간의 무사인 '세츠나의 타케마루(刹那 猛丸)' 와 싸웠으나 승부가 나지 않았다. 그 전투로 사용된 신비한 칼인 '총운아(叢雲牙)' 는 도공 '토토사이(刀々斎)' 의 손에 의한 '뼈 먹는 우물' 로 던져넣고 처리되었다. 그리고 현대에 이르러 히구라시 신사에서 발견된 그 칼은 철쇄아의 자각과 함께 이누야샤셋쇼마루의 형제를 싸움으로 이끌고 만다.

tumblr_nf06zxecny1tmz9oeo1_1280.jpg

  • 이누야샤 - 홍련의 봉래도(犬夜叉 - 紅蓮の蓬莱島)
동료들과 여행을 하던 도중 이누야샤는 우연히 만나서 돕게 된 반요 소녀로부터 아이들을 도와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사실 50년 전에 키쿄우와 함께 갔던 불로불사의 땅인 '봉래도' 에서 그 소녀와 만난 것이다. 그 소녀를 계기로 이누야샤 일행은 물론이고 셋쇼마루조차 과거의 인연으로 인해 봉래도를 실제로 다스리는 사투신(四鬪神)과의 싸움에 휘말린다.

4 일본판 OST

일본의 유명 기획사 에이벡스와의 타이업으로 인해 아무로 나미에, 하마사키 아유미, BoA, Do As Infinity, Every Little Thing 등 당대에 유명했던 소속 뮤지션들이 대거 참여한 게 특징이다. 쟈니스 소속 가수인 V6타키&츠바사도 있는데 레이블 계열의 소속사가 에이벡스이기 때문.

주제가 모음집인 BEST of INUYASHA "백화요란"과 "청풍명월"이 출시돠었다. 둘 다 SM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국내에 정식발매되었다.

4.1 오프닝

사용 순서제목작사작곡아티스트사용 에피소드
01CHANGE THE WORLD마츠모토 리에와타나베 미키v61~34화[28]
02I amhitomi키타노 마사토hitomi35~64화
03終わりない夢(끝없는 꿈)아이카와 나나세시바사키 히로시아이카와 나나세65~95화
04Grip![29][30]모치다 카오리하라 카즈히로Every Little Thing96~127화
05One Day, One Dream오바타 히데유키요시카와 케이타키&츠바사128~153화
06Angelus-アンジェラス-BOUNCEBACKBULGE시마타니 히토미154~167화
07君がいない未来(네가 없는 미래)모리즈키 캬스, 반 토미코, 이노우에 카노오오니시 카츠미Do As Infinity완결편 전체

4.2 엔딩

사용 순서제목작사작곡아티스트사용 에피소드
01My will마츠무로 마이오오타니 야스오dream1~20화, 166~167화[31]
02深い森(깊은 숲)나가오 다이Do As Infinity21~41화
03Dearest하마사키 아유미하마사키 아유미, 나가오 다이하마사키 아유미42~60화
04Every Heart -ミンナノキモチ(모두의 마음)[32]-와타나베 나츠미BOUNCEBACKBoA61~85화
05真実の詩(진실의 노래)나가오 다이Do As Infinity86~108화
06イタズラなKISS(장난스런 KISS)[33]코다 미소노키타노 마사토day after tomorrow109~127화
07Come모리 유리코Kask, Mansson, Cunnah아무로 나미에128~146화
08Brand-New World[34]MIZUE오오야기 히로오v6149~165화
09With YouLeonn이가라시 미츠루AAA완결편 1~9화
10Diamond후지바야시 쇼코키쿠치 카즈히토alan완결편 10~17화
11遠い道の先で(머나먼 길 앞에서)타케카와 아이완결편 18~26화

5 한국판 OST

1기에서는 방대식,TULA,정여진 등의 유명 애니송 가수들이 참여했으나 2기(27화~)부터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이 OP/ED곡을 담당하였다. 일본 애니송계에서 흔히 발견되는 타이업의 사례가 그대로 한국에도 적용된 특이한 케이스인데, 이는 AVEX와 SM이 일종의 제휴 상태여서 가능한 일이었다. 2003년 계약 만료되기 전에 활동했던 신화, 당시 AVEX 소속으로 일본에서 활동 중이던 보아(한국판, 일본판을 유일하게 모두 불렀다), 천상지희의 다나[35], 밀크서현진[36], 소녀시대수영, 이삭n지연의 이삭 등이 참여했다. 7에선 다시 자사의 성우인 이재현이 참여하는 걸로 돌아갔다. 1기 오프닝은 셋쇼마루 역의 성우 김승준이 참여하기도 했다.

한국판 OST의 특징은 1기의 오프닝 엔딩곡을 한국에서 자체 제작하여 사용했다는 점이나.... 2기부터 엔딩에 번안곡을 사용하였고 3기부터는 엔딩곡이 사라지고 오프닝곡을 엔딩에까지 그대로 써먹었다.

5.1 오프닝

사용 순서제목작사 (역사)작곡아티스트
01새로운 세상[37]김주희알렉스김승준·방대식·TULA
02I Pray 4[38]Young H KimYoung H Kim, William Pyon신화
03I am[39]hitomi (YHE)키타노 마사토최수영
04Grip![40]모치다 카오리 (진현주)하라 카즈히로현진
05장난스런 키스코다 미소노 (진현주)키타노 마사토천상지희
06AngelusBOUNCEBACK (진현주)BULGE이삭
07네가 없는 미래모리즈키 캬스, 반 토미코, 이노우에 카노오오니시 카츠미이재현(대원방송 성우) / 김혜란

5.2 엔딩

사용 순서제목작사 (역사) 작곡아티스트
01You & I김주희알렉스김문선·정여진
02Every Heart와타나베 나츠미 (신지원)BOUNCEBACKBoA
03I amhitomi (YHE)키타노 마사토최수영
04Grip!모치다 카오리 (진현주)하라 카즈히로현진
05장난스런 키스코다 미소노 (진현주)키타노 마사토천상지희
06AngelusBOUNCEBACK (진현주)BULGE이삭
07Diamond후지바야시 쇼코키쿠치 카즈히토이재현 (대원방송 성우)

5.3 번안곡의 다양성 문제

앞 문단에서도 서술되어있다시피 1기는 자체 오프닝 엔딩을 제작하였으나 약발이 다했는지(...) 그 이후 에피소드부터는 일본판에서 사용된 곡을 번안해서 사용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3,4,5,6기의 오프닝과 엔딩을 아예 통합시켜버린 것이다. 이는 고질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이기도 한데, 문제의 본질은 번안을 무난하고 괜찮게 했음에도 불구하고[41], 다양하지 않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일본판에서 나름 호평을 받았던 I want to change the World(V6, 6기 스페셜에서 사용/특히 6기 스페셜화[42]에서 15년 뒤 가영이 태어나고 난 뒤 생일날 우물에 빠지는 모습을 다시 보여주면서 1기 오프닝곡이었던 Chage the World가 깔려서 감동과 잔잔한 여운을 주는 반면에 우리나라 방영 시에는 (물론 가사 번안이 안 되어 있었다는 건 참고해야겠지만)이 파트가 통째로 편집되어서[43] 부자연스러운 흐름을 보여주었다.)가 사용되지 못하고 방송 장면 당시 짤려나갔고, 같은 가수의 엔딩곡으로 사용된 Brand New world도 사용되지 못했다. 즉, 이 문단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번안곡의 가사는 괜찮지만 너무 다양성이 없다는 데에 있다
위에서 상술했던 Change the World에 그런 문제가 있다면 6기 마지막화에서는 다른 문제가 생겼다. 이건 Change the World와는 다른데, 일본 내 방영 시에도 애니메이션이 원작 만화의 진도를 다 따라잡아 잠시 종방했어야 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종방하면서 1기 엔딩곡이었던 My Will을 집어넣었는데, 인물들의 삽화를 집어넣으며 아련함을 주는 엔딩기법을 사용한 반면, 한국판에서는 그러지 못했다. 물론 애초에 1기같은 경우는 오프닝곡과 엔딩곡을 한국에서 자체 제작해서 사용해서 안 넣었을 수도 있을 수도 있지만, 꼭 오프닝곡 엔딩곡을 떠나서 삽입곡으로나마 넣었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 문제는 완결편으로 오면 더 심각해진다. 그나마 완결편에서는 오프닝과 엔딩 구분을 명확히 했지만.....

그러나 문제는 다음에 있었다.

오프닝은 일본판에서 Do As Infinity의 君がいない未来(네가 없는 미래)가 쭈욱 사용되어서 문제가 없었지만, 엔딩을 일본판에서는 작중 분위기에 맞춰서 3개로 적절히 나눠서 사용했던 데에 비해[44] 한국판에서는 Alan의 Diamond 가사를 섞어서 번안한 곡을 완결편 전체에 사용해서 다양성의 문제를 크게 떨어트리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물론 노래를 부른 이재현 대원방송 전속 성우도 나쁘지 않고, 가사 번안 능력도 나쁘진 않았지만... 다양성이 부재했다는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 대목이다.
다양성과 함께 문단 내에서도 지적되었다시피 오프닝 화면 뒤 이어지는 애니메이션 본편 스토리가 이어지지 않는 문제도 존재했다.

6 시대를 초월한 마음

유명한 이누야샤의 OST 이다.와다 카오루가 작곡했다.작곡가가 동일해서 눈물 흘린 후에와 비슷한 음이 난다.
이쪽이 음이 더 높고 빠르다.[45]왠지 곡명을 시공을 초월한 마음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누야샤 문서의 568판, 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6.1 가사 버전

시대를 초월한 마음에 가사를 붙여서 몇몇 유튜버들이 가사를 붙여서 올리는 듯 하다.
호불호가 갈리긴 하지만 대부분은 좋다는 평이다.

차가운 계절이 시간을 스쳐요

가슴에 가슴에 맺혀
잔인한 바람이 손끝을 맴돌죠
못 지킨 못 다한 약속
한마디 말에 이별을 떠안고
언제일지 기약 없는 재회
끝없는 시간 우리의 거리는
아프게 아프게 닿네
그대여 부디 눈물을 멈춰요
영원한 이별은 없으니(기다려요)
시간을 지나서 시대를 넘어서
그대를 지켜줄 테니
조금만 기다려줘요

  1. 자세히 말하자면 요미우리 TV 방송에서 니혼 TV계로.
  2. 167화는 선라이즈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중 가장 많은 화수였으나 이후 개구리 중사 케로로가 357화로 기록을 깼다.
  3. 2000년~2004년 방영판은 골든 타임에 방영되었던 애니메이션이었지만 완결편은 심야 애니메이션이었다.
  4. 단, 오리지널 스토리의 평판은 꽤 좋다. 나루토와는 다르다! 나루토와는!
  5. 완결(完結 : かんけつ)과 간결(簡潔 : かんけつ)의 발음이 똑같아서 나온 말.
  6. 원래는 완결편을 4쿨로 제작하려고 했으나 높으신 분들 때문에 2쿨로 만들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즉 어른의 사정에 의한 것.
  7. 정확히 말하자면 에이벡스소속은 아니지만 음반만 에이벡스 트랙스 레이블에서 발매하는 아티스트들도 포함. 대표적으로 쟈니즈 소속의 v6가 있다. 또 한 가만히 생각해보면 국내 OP/ED곡의 상당수도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가 불렀다. 신화, 보아, 이삭N지연, 소녀시대 수영 등...
  8. 실제로 이누야샤가 방영할 시 제목이 영문으로 나온 경우는 Y자가 유난히 크다. 여기에선 그냥 굵게 표현했지만.
  9. 거의 김정규 PD의 연출작중 가장 평이 좋은 편. 대체 이 PD의 손에서 어떻게 초월 더빙이 되었는지가 초미의 관심사...
  10. 한 예로 4기가 방영된 시점 투니버스는 월~금 저녁 6시 50분~7시 20분, 애니원은 저녁 7~8시 → 저녁 6시(...).
  11. 당연히 투니버스는 3기까지밖에 안 한 상태.
  12. 그러나 유튜브에서 이누야샤 완결편 영상을 보면 화질이 매우 나쁘다. 혹여나 다시 정주행하실 위키러가 있다면 이 각주 내용 참고 바람.
  13. 투니버스는 2기, 챔프는 3기, 애니원은 1기 같은 식으로...
  14. 당시 일부 티비플 유저들중에선 에피소드 구름 위치도 알아볼 정도(...)라며 꼬앗다.
  15. 2010년 1월 반쯤 챔프에서 완결편 방영 전 베스트라는 명목으로 다시 재탕 시작했다.
  16. 짱구와 도라에몽은 일단 각 채널이 판권을 지고있기에 한 채널에만 방영하기에 이누야사처럼 여러 채널에서 재방할일이 없다.
  17. 실제 사명이 저렇다(...)
  18. 올레 TV의 경우 6기까지는 무료고 완결편은 유료.
  19. SBS에서 무인편을 방영할 때 지우 일행이 기모노를 입었다는 이유로 짤려나간 20화, 시무라이 갑옷 같은 옷을 입고 있었다는 이유로 결방된 4화, 만화가가 기모노를 입고 있었던 통편집당한 26화, 인물이 닌자 복장을 했다는 이유로 편집된 32화, 트레이너가 일본식 무사 복장을 했다는 이유로 짤린 74화, 지우 일행의 상대가 일본식 복장을 했다는 이유로 짤려버린 78화, 일본식 건축물이 나와 짤린 130,131화, 인주시티 자체가 건물들이 일본 건물들이 많아서 아예 에피소드 전전체가 방영을 하지 않은 182~184화 등 인기 절정의 애니가 이렇게 편집되는 와중에 히구라시 신사의 모습이 방영되거나, 기모노를 입은 카라의 모습이 등장하지를 않나,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터에 사무라이 복장들이 그대로 여과 없이 방영되는 것 자체가 쇼크였고 당대에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다.(물론 포켓몬스터 같은 경우는 첫 방송을 했던 방송사가 SBS였다는 것은 기억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물론 4차 일본 문화 개방 이전이지만 이 당시 포켓몬스터미국이나 구미 지역에 수출되던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
  20. 세일러문 1기에서 히노 레이와 류이치가 썸을 타는 설정이 있는데, 류이치는 레이에 반해 신사에서 머무르고 있는 상황인지라 국내 방영분에서는 통편집. 그러다 스키 리조트에 류이치도 함께 가서 싸움에 휘말리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한국 시청자들은 "갑자기 튀어나온 저 남자는 누구지?"라는 반응이었다
  21. 발매일이 오래 된 만화들을 생각해 보면 등장인물들이 전부 로컬라이징화 되어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일본 만화 한정). 슬램덩크크레용 신짱, 드래곤볼 등. 물론 일본 문화 한정으로 단속이 심했다. 중국 문화의 경우 친 북한파 중국이 공산당이었고 소련 붕괴가 얼마 지나지 않았던 1993년도 시점에서 판관 포청천이 수입되어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적도 있었으며, (이 예를 든건 문제가 있는데 포청천은 중국이 아닌 대만 드라마이다.) 자유 지역이라지만 홍콩 영화 역시 수입되어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트렌드를 형성할 정도(물론 무협영화의 경우 중국 문화가 엄청나게 녹아들어 있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우리나라가 국시를 '반공'으로 하고 있던 상황임을 감안하면 일본 문화 단속을 얼마나 심하게 했는지 감이 올 것이다.
  22. 오히려 로컬라이징을 안 한 것이 더 이득이었을수도 있다. 이누야샤 같은 경우는 한자로 음차하면 견야차가 되고, 산고는 산호, 셋쇼마루는 살생환이 되니...
  23. 참고로 강수진은 이누야샤의 전작인 란마 1/2에서 사오토메 란마를 연기했다. 이게 강수진에게는 첫 주인공 배역이다.
  24. 다만 가영 역에는 최덕희도 물망에 올랐으나, 최덕희는 이민을 갔다.
  25. 완결편에서는 하마타면 나오지 못할 뻔했다고 완결편 녹음현장 블로그에서 언급한 바가 있다.
  26. 실제로 완결편에서 성우가 최낙윤으로 바뀌었을 때, 돌아와달라는 소리까지 들었다. 그리고 최낙윤은 모리카와 토시유키랑 비슷한 연기와 목소리를 보여줬다는 재평가도 나온다. 사실 홍시호가 모리카와 토시유키보다 훨씬 사악하고, 교활한 연기를 보여줘서 그렇다.
  27. 다만 나라쿠 성우가 뒤바뀌었을 때, 홍시호는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홍시호 항목 참조. 또한 최낙윤이 하필이면 초월 더빙이란 평을 받은 홍시호와 비교돼서 그렇지, 이쪽도 모리카와 토시유키만큼 잘 연기했다.
  28. 이누야샤와 금강의 과거를 그린 이누야샤 스페셜판 엔딩으로 재사용된 바가 있다
  29. 아래 문단에 서술된 한국판의 OST 문제가 여기서 드러난다. 한국판은 본격적으로 칠인대 에피소드가 시작될 무렵.. 이 오프닝이 끝나고 바로 5기 오프닝으로 넘어간 덕에 오프닝 화면 뒤 이어지는 애니메이션 스토리 내용이 어울리지 않았다.
  30. 한국판만 본 사람은 여기서 삽입된 효과음을 많이 지적하는데 일본판에선 모든 오프닝에 효과음이 들어가 있다. 다만 한국에서 사용한 효과음은 원본과는 다르다.
  31. 국내 방영시 제목은 '두 사람의 인연! 사혼의 구슬 조각을 써라!'편이었으나..... 국내 방영에서는 이 엔딩이 짤려서 나오지 않았다.
  32. 이누야샤 OST중 최초로 한,중,일 버전 모두 다 같은 가수가 불렀다.
  33. 한국에선 5기 오프닝으로 사용됐는데 단체로 부르는 부분에서 한 옥타브가 낮아진다.
  34. 원피스의 그 Brand New World 아니다. 곡 제목만 같을 뿐.
  35. 다나가 부른 주제가에는 부른 사람이 나와있지 않고 그냥 천상지희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36. 드라마 식샤를 합시다 2또 오해영으로 유명한 그 배우 서현진 맞다. 이 사실이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놀라기도 했다.
  37. 포켓몬 주제가로 착각이 될 정도..원곡에 비해 이질감이 심하다
  38. 자체 제작이 아닌 신화 5집 앨범 수록곡을 사용하였다.
  39. 원곡의 2절 가사를 번안하여 만든 곡
  40. 잘 안 알려진 사실이지만 2절이 존재한다! #
  41. 각주로서 설명하자면 4기 같은 경우는 1절 일부와 마지막 가사를 번역해서 번안한 것이고, 5기는 장난스런 키스 2절을 번안한 것이며, 6기 같은 경우는 일본판 1절과 마지막 소절을 번안한 것이다.
  42. 이누야샤와 금강의 옛 모습을 좀더 자세하게 다룬 특별판으로 일본판으로 나갔고 우리나라에서는 6기 안에 있는 회차로 포함돼서 방영이 되었다.
  43. 왜색 때문에 편집한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왜색이라고 생각될 만큼 일본풍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
  44. 예를 들어, 완결편 1화~9화에서는 AAA의 With You를 사용하고, 10~17화에서 Alan의 Diamond를 사용하고, 마지막 18화부터 26화까지 遠い道の先で(머나먼 길 앞에서)를 사용해서 다양화도 꾀하고 작중 분위기 파악에도 한몫 하였다.
  45. 이때문에 유튜브 등지에서는 두곡의 댓글창에서는 서로 곡이 비슷해서 표절이 아니냐는 댓글과 작곡가가 동일하다고 설명하는 댓글이 달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