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라이벌 시리즈

?width=150
문서가 있는 KBO 리그 라이벌전
파일:Attachment/doosan bears s.png vs 파일:Attachment/lotte giants s.png vs 파일:Attachment/lotte giants s.png vs 파일:Attachment/samsung lions s.png파일:Attachment/doosan bears s.png vs 파일:Attachment/samsung lions s.png
잠실 시리즈엘 꼴라시코클래식 시리즈싸대기 매치
vs 파일:Attachment/nexen heros s.png파일:Attachment/lotte giants s.png vs 파일:Attachment/nc dinos s.png파일:Attachment/sk wyverns s.png vs 파일:Attachment/KT Wiz s.png파일:Attachment/samsung lions s.png vs
엘 넥라시코낙동강 시리즈더블U매치재계 라이벌 시리즈
†재계 라이벌은 2007년 현대가 해체되면서 더이상 열리지 않게 되었다.
200px200px
삼성 라이온즈
Samsung Lions
현대 유니콘스
Hyundai Unicorns

1 소개

과거 KBO 리그에 존재햇던 더비 매치.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하기 전까지 가장 유명한 더비 매치였다. 근데 현대 유니콘스연고이전 때문에 팬이 별로 없었다. 안습

삼미-청보-태평양 시절에는 삼성 라이온즈와 별다른 접점이 없엇으나, 1996년 당시 재계 서열 1위 현대그룹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하면서 재계의 영원한 라이벌 삼성과 현대의 맞대결이 프로야구에서 실현되었다.[1]

2 역사

2.1 시리즈의 시작

당시 시대적 상황을 보자면 재계순위 1위의 현대와 2위의 삼성은 그룹간의 라이벌 의식이 존재했고[2] 사업뿐 아니라 스포츠를 통한 대리전을 활용하기도 했었다. 1970년대 현대전자 농구단의 아성에 도전한 삼성전자 농구단[3]을 시작으로 1994년에 한국탁구 최고의 팀이었던 삼성생명 탁구단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현대백화점 여자탁구단[4],1995년에는 프로축구 원년 팀인 울산 현대가 있던 축구판에 이운재, 박건하, 고종수, 이기형등 스타급 선수들을 앞세워 창단한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같은 해에 현대 자동차서비스 배구단이 있던 배구판에 김세진등 슈퍼스타들을 긁어 모아 출범한 삼성화재가 대표적인 사례였다.

당연히 삼성 라이온즈가 원년부터 참여했던 KBO 리그에도 현대그룹은 눈독을 들였으며[5][6] 1990년대부터 야구단 창단 추진을 시작했다. 현대의 움직임에 야구인들과 각 구단들의 반대가 이어졌고 결국 현대그룹은 KBO 리그와는 독자적인 리그를 만들 계획을 가지고 현대 피닉스를 창단했다. 그러나 별다른 성과를 보지 못했고 1995년 태평양 돌핀스를 450억원이라는 거금으로 인수하며 야구판에서 삼성 그룹과의 싸움이 시작되었다.

2.2 현질의 역사 치열했던 라이벌리

모기업들의 경쟁만큼이나 정말 치열했다. 경기뿐 아니라 사소한것 하나까지 상대팀보다 낫거나, 최소한 동등해야 했을 정도. 당시 양팀의 라이벌과 관련된 일화을 몇가지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 현대 유니콘스는 인수 첫해인 1996년 선수들에게 삼성과의 경기에서 이기면 당일에 보너스를 현금으로 모든 선수들에게 주겠다는 파격적인 제안을 걸었고 당연히 이를 알게된 삼성도 맞불 작전을 놓게 되었다.
  • 1996시즌 종료후 삼성의 강기웅은 현대로 가는 트레이드를 거부하며 은퇴 의사를 밝히기도 했는데 당시 언론에서는 "강기웅이 현대의 수준 낮은 선수들과 뛰는걸 거절했다"라는 루머들을 언급하며 불을 지피기도 했다.

이런 엄청난 돈지랄이 이어지자 리그의 전력 불균형에 대한 불만 섞인 목소리가 커졌고 야구계 안밖에서 두팀을 향한 쓴소리가 이어졌다.

경기또한 양팀이 치열했는데,

2.3 사라진 시리즈

해태 타이거즈 이후 막강한 왕조구축이 가능할 것이라는 많은 야구인들의 예상과 달리 현대는 2000년 모기업이 이른바 '왕자의 난'으로 계열 분리를 겪은 데다, 야구단에 전폭적 지원을 아끼지 않던 정몽헌 회장이 2003년 투신자살하면서 지원이 점차 줄어들었고 이 때문에 2004시즌에는 과거에는 상상도 못할 팀의, 기둥들을 FA로 삼성에 내주는 모습이 나타나며 재계 라이벌 이미지가 퇴색되었다. 당시 야구계와 야구팬들은 경악할 정도의 대 사건이었는데 돈이라면 밀리지 않았던 현대가 돈싸움에서 밀렸다는 걸 의미했기 때문.

◎ 맞대결에서 유독 강한 현대

'재계 라이벌'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기에는 어색해졌지만, 다른 배경을 빼고 맞대결의 경기내용만 놓고 보면, 두 팀은 여전히 라이벌이다. 아니 어떤 면에서는 삼성 입장에서는 현대와의 만남이 악연일 것이다.


2007년 기사 중.

그러나 현대는 유독 삼성만 만나면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역대 전적중 삼성이 유리한 고지를 점했던 때는 단 4번, 특히나 2004년 이후로 현대가 해체하기 전까지 한번도 상대전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지 못했다.

2007년,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면서 KBO 리그 역사의 한 축을 담당했던 재계 라이벌전은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3 트리비아

  • 프로야구 매니저에도 현대와 삼성 선수들로 덱을 꾸리면 재계 라이벌이라는 이름의 팀컬러를 장착할수 있다.
  • KIA 타이거즈의 경우에 현대자동차그룹의 일원이기 때문에 넓게 보면 재계 라이벌 시리즈의 흔적은 남았다고 볼수 있다. 게다가 삼성 vs 해태-KIA 역시 상당한 라이벌 관계이다. 심지어 LG 트윈스 역시 모기업의 자금력으로는 다른 기업들 저리가라 할 수 있는 데다 그 팀 역시도 한 때의 삼성처럼 현질을 엄청 한 적이 있어 2010년대 이후로는 삼성과 LG의 대결을 재계 라이벌 시리즈라 보는 시선도 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울산 현대의 재계 라이벌 매치는 1996년 K리그 정규리그 결승전이 가장 유명하다. 1차전 수원 삼성의 외국인 공격수 데니스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일궈 내자 수원에서 열린 2차전에서 양팀간의 격렬한 난투가 벌어지며 수원 삼성에서 3명, 울산 현대에서 2명이 퇴장 당하기도했다. 삼성쪽에서 "야! 짐싸라!"라며 선수단 철수라는 강경 대응까지 내놓을 정도로 험악한 분위기였던 이날 경기는 울산 현대가 3:1로 승리를 거두며 최종 우승을 울산 현대가 가져갔다.

  • KBL에서도 재계 라이벌을 찾을수 있다. 현대 계열사에서 떨어져 나온 전주 KCC 이지스[13]서울 삼성 썬더스간의 라이벌매치. 다만 KCC의 전신인 대전 현대 다이넷/걸리버스와 삼성 썬더스와의 라이벌매치보다는 흥행 열기가 떨어지는 편이다. 재계 라이벌 더비(농구) 참조. 현재 KBL에서 재계 라이벌은 보통 LG 세이커스와 삼성 썬더스를 가리킨다.

4 역대 전적[15][16]

년도50px50px상대전적
1996년5승 13패13승 5패현대 유니콘스 우위
1997년7승 1무 10패10승 1무 7패
1998년4승 14패14승 4패
1999년10승 8패8승 10패삼성 라이온즈 우위
2000년7승 1무 11패11승 1무 7패현대 유니콘스 우위
2001년8승 11패11승 8패
2002년11승 1무 7패7승 1무 11패삼성 라이온즈 우위
2003년12승 7패7승 12패
2004년7승 2무 10패10승 2무 7패현대 유니콘스 우위
2005년8승 1무 9패9승 1무 8패
2006년8승 10패10승 8패
2007년7승 12패12승 7패
총 전적94승 6무 122패122승 6무 94패현대 유니콘스 우위

5 역대 위닝 시리즈

년도50px50px상대전적
1996년0번6번현대 유니콘스 우위
1997년2번3번
1998년0번6번
1999년4번2번삼성 라이온즈 우위
2000년2번3번현대 유니콘스 우위
2001년2번3번
2002년3번1번삼성 라이온즈 우위
2003년4번2번
2004년1번4번현대 유니콘스 우위
2005년3번2번삼성 라이온즈 우위
2006년3번2번
2007년1번4번현대 유니콘스 우위
총 전적25번38번현대 유니콘스 우위
  1. 그 전에는 삼성과 LG가 나름 재계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삼성과 현대의 자존심 대결에 비할 수 없었다.
  2. 삼성전자와 후발주자 현대전자간의 라이벌 의식, 현대가 먼저 선점한 중공업(현대중공업), 자동차(현대자동차)시장에 삼성이 삼성자동차, 삼성중공업을 설립하며 뛰어든 것도 대표적인 예.
  3. 일명 재계 라이벌 더비. 1980년대에는 현대를 대표하는 이충희와 삼성을 대표하는 김현준의 슛 대결로 유명하다.
  4. 2003년에 해체되었다.
  5. 현대그룹은 축구를 더 우선시 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야구를 싫어하지는 않았다. 프로야구가 없던 시절에는 한일은행 야구단과 제일은행 야구단을 합병해 현대건설 실업야구단을 만들 계획을 가지기도 했다. 제일은행쪽의 반발로 물거품이 되긴 했지만 야구와 관련된 시도는 이전부터 이어져 왔다.
  6. 다만 1982년 KBO 리그 출범 당시에는 현대그룹에게도 프로팀 창단 제안이 갔지만 올림픽 유치 건에 집중해야 한다는 정주영 회장의 의사로 인해 거부한 바 있다. 그 덕에 인천-경기-강원 지역을 연고지는 비어버릴뻔 했지만 야빠였던 삼미그룹 회장이 막판에 극적으로 참여해서 탄생하게 된것이 바로 삼미 슈퍼스타즈.
  7. 당시 OB 구단측에 현금을 주고 방출 해달라는 요구를 했다는 루머가 돌기도 했다. 김인식 당시 OB 감독도 구단 운영방침에 강한 불만을 표시하기도.
  8. 정확히는 쌍방울이 지명했던 마일영의 지명권을 5억을 주고 사왔다. 이 일 이후 신인 지명권 트레이드가 금지되었다.
  9. 사실 이날 경기의 MVP는 훗날 넥센 히어로즈의 감독이 되는 장정석이었지만 이 벤치 클리어링이 장정석의 결승 대타 만루홈런을 묻어버리면서(...) 장정석의 활약을 기억하는 이가 많지 않다. 안습
  10. 현대자동차그룹이 모기업.
  11. 현대중공업이 모기업.
  12. 현대 유니콘스가 주장한 실 연고지는 서울특별시 였지만, 잠실 입성이 무효화 되면서 "임시"로 수원에 눌러 앉은 케이스이기 때문에 정식 연고지는 아니다. 정식 연고지가 없는 구단이었기에 현대 유니콘스는 인천을 떠난 2000년 부터 KBO 신인 드래프트 1차 지명권이 박탈 되었으며, 현대도 수원을 연고지로 생각하지 않아서 수원시 일대 지역 마케팅에 소홀히 했다. 그 덕에 관중수는 바닥을 찍었고 K리그 관중 동원 최고의 팀인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관중수와 비교되면서 야구의 암흑기때 KBO 리그를 놀리는 주 소재로 사용된 1순위 팀이었다.
  13. 위에 설명했듯이 현대전자 농구단이 전신이다.
  14. 전신이 현대자동차서비스 배구단.
  15. 시범경기, 플레이오프 전적 제외.
  16. 현대가 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한 1996년부터. 그 이전은 라이벌 매치라는 의미가 부여된 적이 없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