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메모리 | |
휘발성 메모리 | |
RAM | DRAM · SRAM |
개발중 | T-RAM · Z-RAM |
비휘발성 메모리 | |
ROM | Mask ROM · PROM · EPROM · EEPROM |
NVRAM | 플래시 메모리 · 메모리 카드 · SSD · eMMC · UFS |
초기 NVRAM | nvSRAM · FeRAM · MRAM · PRAM |
기계적 | 자기테이프 · 자기필름판 · HDD · 광학 디스크 |
개발중 | 3D XPoint · CBRAM · SONOS · RPAM · Racetrack Memory · NRAM · Millipede Memory · FJG |
영상물 저장 매체 | ||||||||||||||||||||||||||||||||||||||||||||||||||||||||||||||||||||||||||||||||||||||||||||||||||
테이프형 | U-matic (1969) ‧ Betamax (1975) ‧VHS (1976) ‧ Video 2000 (1980) ‧ M (1982) ‧ 비디오 8 (1985) ‧DCT(1992) ‧ DV (1995) ‧ Ruvi (1998) ‧마이크로MV (2001) | |||||||||||||||||||||||||||||||||||||||||||||||||||||||||||||||||||||||||||||||||||||||||||||||||
디스크형 | 포노비전 (1927) ‧Ampex-HS (1967) ‧ LD (1978) ‧ CED (1981) ‧ VHD (1983) ‧ CD 비디오 (1987) ‧ VCD(1993) ‧DVD (1996) · CVD (1998) ·Blu-ray Disc (2003)· UMD (2004) · HD-DVD (2006) · HVD (2007) · CBHD (2008) |
1 개요
2000년 10월에 일본에서 프로토타입을 발표한 후 2003년 4월부터 시판되어 DVD의 뒤를 잇는 차세대 고용량 광 미디어.
약자는 CD, DVD의 뒤를 이어 "BD". 다만 '비디'라고 읽는 사람은 드물고 대부분 '블루레이(Blu-ray)'라고 부른다.
원래는 Blue-ray Disc라는 이름으로 등록하려 했으나, 보통 명사라는 이유로 거절 당해 e를 빼고 등록했다. 이 이름은 디스크 제작에 이용되는 청색 레이저에서 유래되었다. 다만 이용되는 405nm 레이저 색은 ■ 이런 색상으로 흔히 생각하는 파란색보다는 청자색에 가깝다.
단면 일층 디스크가 25GB, 단면 이층 디스크(듀얼 레이어)가 50GB의 용량으로, 경쟁 매체인 HD-DVD에 비해 용량이 약 67% 크기 때문에 대량의 부가 영상 및 고용량 데이터를 담기에 더 유리하다. 2010년 정의된 BD XL 규격에서는 3층 디스크가 100GB이고 4층 디스크는 128GB다.
한눈에 보는 CD, DVD, BD의 차이점, 크기는 전부 120mm이면서 왜 용량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있다. 직접 뒷면을 보면 블루레이는 마치 다마스쿠스 강마냥 잔물결이 보일 정도로 정보의 집적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CD와 달리 앞면 흠집보다 뒷면 흠집에 더 취약하다. 얼마나 취약하냐면, CD를 보관되는 데 흔히 쓰이는 부직포 재질의 케이스조차 BD에는 치명적일 정도.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하드코팅이 개발되어 지금은 흠집에 어느정도 강하다.
지역코드가 6개(+기타 몇 개)였던 DVD에 비해 단순해졌다. A/B/C 3개로 구성된다.[1]
2007년 기준으로는 아예 지역 코드가 없는 디스크가 66.7%에 달했다.
따라서 지금까지 외국 DVD를 구입하면서 지역코드로 불편을 겪었던 대한민국의 소비자들은 블루레이에서는 더 이상 불편을 겪지 않게 되었다. 코드가 있다 하더라도 대한민국은 코드 A로, 미국, 일본과 같은 코드다. 올레! 일부러 유럽 버전을 구하지 않고서야 신경 쓸 일이 없다. 대신 아마존닷컴에게 지갑을 탈탈 털리고 있다 기존의 DVD, 비디오와 달리 한반도 전체가 한 지역코드로 되어 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도 Korea 전체가 A코드라고 나온다. 대한민국의 재벌 기업이 모두 블루레이에 참여한 것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VHS는 북한은 PAL방식, 대한민국은 NTSC방식이고 DVD 대한민국은 3번(동남아시아,홍콩,타이완)[2] 북한은 5번(아프리카,중앙아시아,남아시아,러시아)[3]에 지역코드가 배정되었다. 이런 배정에서도 분단이라니
참고로 2009년 기준으로 블루레이 디스크를 만드는 데 보통 3개월이 소비되는데, 이 기간에 복사 방지 처리, 제작권 판매권 등 각종 권한에 대한 위임, 저작권 각인 과정, 코드 부여, 화질 보정 및 용량 정리 등이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당연히 영어를 사용하며 일반 DVD판보다 블루레이판이 비싼 이유가 이 과정에 들어간 비용을 어느 정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블루레이 개발사들의 연합체인 블루레이 디스크 협회(BDA)에는 HD-DVD에 비해 많은 가전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주요 업체로는 소니, LG, 삼성전자, 샤프, 파나소닉, 파이오니어, 필립스, 애플, 인텔 등이 있다. 인텔 등 일부 업체는 HD-DVD에도 동시에 참여하고 있으며. 블루레이 독점을 선언한 영화사로는 소니, 월트 디즈니 컴퍼니, 20세기 폭스, 라이언스게이트, 후에 워너브라더스가 추가된다.
DVD 포럼의 공식 포맷은 아니다. 하지만 후술하듯 공식 포맷인 HD-DVD가 망했기 때문에 사실상 표준이라 할 수 있다.
2 vs. HD-DVD
블루레이와 HD-DVD의 규격에 물리적인 호환성은 없으나, 둘 다 이용 가능한 드라이브 및 플레이어는 소수 나와 있다. 한때 LG에서 두 매체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플레이어를 내놓아 가전 쇼에서 상까지 받았으나, 그리 좋지 못한 성능 덕분에 묻힌다.(…) 이후 삼성이 내놓으려고 하는데 '워너의 선언'으로 무산된다. 2세대까지 기기를 내놓은 LG는 재고를 무사히 처리했는지 모르겠다 제대로는 못했다고 카더라.
블루레이 영화 디스크는 4시간 이상 1080p HD 영상을 보관할 수 있으며, 무압축 PCM 사운드를 포함한 경우가 많아서 음질도 좋다, 그런데 요새는 돌비 트루-HD나 DTS-HD를 더 자주 쓴다.[4] 또한 H.264, VC-1 최신 코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DVD에 비해 훨씬 나은 화질과 음질을 즐길 수 있다.
원래 블루레이의 특성 상 디스크 겉 표면이 DVD보다도 극단적으로 얇아진 탓에 충격에 지나치게 약했고, 이 때문에 처음에는 디스크 케이스를 덧씌워서 디스크를 보호하는 방법을 사용했다.(UMD의 그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후 블루레이 디스크에는 하드코팅을 쓰는 방법을 개발해 기존의 CD, DVD에 비해서 오히려 긁힘에 강해졌다. 하드코팅 개발사 중 하나인 TDK에서는 디스크 샘플을 보내면서 철수세미를 같이 보냈다 한다.(…) 어떤 동영상에서는 블루레이를 못으로 긁고 재생하는 모습을 보인다. 물론 자기 물건을 소중히 하는 착한 사람은 하지 않는 게 좋다. 이로 인해 초기 버전에 있었던 디스크 케이스가 제거되었다. 실제로 험하게 다루어도 긁힘이 거의 없다. 다만 겉 표면이 손상되기 어려운데 반해 표면 자체의 두께는 여전히 얇기 때문에 만약 손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기존 CD, DVD처럼 갈아서 복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초기에는 HD-DVD에 비해 제품이 비교적 늦게 나왔으며 PIP 등의 기능이 없는 채로 출시되어[5] 불리하였으나, 서서히 세력을 확장하여 전체적으로 2/3 정도의 시장을 차지하였다. 사실 이는 예견된 일이었는데, 블루레이 독점을 선언한 영화사만 해도 세 곳이나 되고(소니, 디즈니, 20세기 폭스), 거기에다가 두 곳은 공동지원이었다.(워너, 파라마운트). 사실상 HD DVD를 독점하는 영화사는 단 하나뿐이다.(유니버셜)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면, 출시사들의 수에도 불구하고 2007년에 블루레이 타이틀 수와 HD-DVD 타이틀 출시 수는 별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시장 형성이 별로 되지 않은 이유도 있겠지만, 유니버셜이 3개의 출시사를 엿먹일 정도로 폭주했다. 흠좀무 2007년 말 파라마운트의 블루레이 진영 탈퇴로 다시 혼전에 빠지는 듯 하였으나,[6] 2008년 1월 워너브라더스가 5월부터 블루레이만 판매할 것이라 발표하여 분위기는 완전히 블루레이 쪽으로 기울어졌다.[7]
그 후 2008년 2월 16일에는 일본 언론에서 HD-DVD 진영의 리더 격이었던 도시바의 사업 철수를 발표하였고, 일단 도시바는 이를 부인하였으나 발표 자료에서 앞으로의 상황을 봐서 결정한다는 말로 철수를 암시하였다. 이후 2월 19일 마침내 도시바에서 HD-DVD 사업의 중지를 공식 발표함으로써, 사실상 차세대 포맷 전쟁의 승자는 블루레이가 되었다.
3 사용처
영화뿐만 아니라 플레이스테이션 3의 게임 디스크에도 이용된다. 따라서 PS3은 블루레이 플레이어로서도 운용 가능. 초기에 암울했던 PS3이었으나 블루레이 플레이어로서는 상대적으로 값싸다는 평가를 들어왔기 때문에, 블루레이 디스크를 지원하지 않는 엑스박스 360이 공포의 빨간불(Red Ring of Death)로 불리던 시절엔 그야말로 역습의 소니였다. 현재는 많은 블루레이 플레이어가 발매돼서 예전처럼 칭송 받지는 못하고 있지만 아직도 절대 성능으로나 가격대 성능비로나 좋은 편에 속한다. 특히 게임을 즐기는 사람에게는 더욱. 초창기에 제대로 된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100만원 가까운 가격을 자랑하였고 나중에 나온 보급형 기기들도 플레이스테이션 3와 비슷한 가격이었다. 게다가 압도적인 CPU 성능 차이 때문에 속도 면에서는 고급형도 따라오지 못할 정도.[9] 게다가 업그레이드의 용이성까지 갖춘 PS3는 관련 커뮤니티에서도 추천 1순위의 플레이어였다.
Wii U에는 블루레이 재생기능이 없다.
2016년 시점에서도 중고 블루레이 플레이어가 10만원대 전후인데 PS3 슬림형 모델이나 하위 호환을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초기형[10] 모델은 10만원대 중후반, 하위 호환이 제거된 40GB짜리 모델[11]은 10만원 초반 정도면 구매가 가능하니 게임까지 생각하면 여전히 극강의 가성비다.
4 DVD를 능가할 수 있는가?
2008년 삼성전자의 영국 가전사업 디렉터인 앤디 그리피스는 2008년이 블루레이 포맷의 원년[13]이며 수명은 5년 남았다고 선언한 바 있다. 2013년이면 새로운 포맷이 필요할 거라는 말인데, 그에 대한 근거로 OLED TV를 들었다.(관련기사)
그의 말인 즉슨 HD TV가 대중화되면서 그 해상도와 화질 덕분에 기존의 DVD로는 용량을 감당할 수 없어 새로운 포맷이 요구됐었고, 그 결과 HD-DVD와 블루레이가 등장을 했었던 것에 비춰 볼 때 저장 포맷의 변화는 디스플레이의 발전과 연관이 있기에 OLED TV라는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와 화질을 담기 위해서는 또 다시 새로운 포맷이 필요할 것이라는 것이다. Full HD의 다음은 UHD이다. 해상도가 무려 3840x2160(4K UHD 기준), 7680x4320(8K UHD 기준).(…) 일본에서 2014년 세계 최초로 4K 방송을 실시할 예정이고링크, 대한민국도 4K 방송에 관심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이 예측은 틀린 말이 되었다. 2013년에는 4K OLED TV와 4K LCD TV조차 제 자리를 잡지 못하고 2015년에 들어서야 주력으로 잡았으며, 국내 지상파 UHD 방송은 2017년부터 시작되어 2020년에 전국으로 확대하고 2027년에 완료될 예정으로 잡힌만큼, 전 세계의 방송국들은 이제서야 디지털(2K) 방송 전환이 마무리되어 가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이래 놓고 완전 4K에 최적화된 HDMI 버전 2.0이 나왔다는 게 함정 즉, 2013년은 블루레이가 담고 있는 Full HD 포맷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원년으로 보면 되기 때문에 아직도 블루레이의 앞날은 창창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DVD로 나왔던 영화들을 블루레이로 다 전환해서 팔 때까지는 영화사들이 블루레이 다음 포맷으로 쉽게 넘어가지 않을 것이다 일단 대한민국도 2013년이 되어서야 TV를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고 전면 HD화했는데
그런데 어차피 AD, 아카이벌 디스크와 HVD, 홀로그래피 디스크가 있어서 차세대 포맷에 대해 걱정을 안 해도 될 것 같다. 참고로, AD의 용량은 500GB~1TB, HVD는 무려 6TB(!)이다. 대역폭만 충분하다면 무손실 압축 비디오가 가능할지도 모를 정도로 어마어마한 용량이라는 것. 게임 설치가 필요없…은 로딩 때문에 안 될거야 아마 다만 당장으로썬 AD는 대용량이면서 장기 보관이 필요한 기업용에 적합한 매체로 겨우 취급하고 있지만 일반 가정용은 진출하지도 않았으며, HVD는 어느 시장이든 아직 상용화하지도 못 한 상태라 AD이든 HVD이든 둘다 가정용까지 일반화되기에는 한참 멀었다.
디스크에 쓸 수 있는 BD-R(1회 기록)이나 BD-RE(여러 번 기록)[14] 규격도 있다. 그러나 PC 환경의 변화로 인해 광학 매체를 쓸 이유가 많이 사라지면서 대중화되지 못했다. 매체 간 데이터 이동은 USB 메모리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등장으로 거의 밀려났고, 백업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대용량 외장 하드디스크 및 NAS의 가격이 대폭 하락하면서 힘을 못 쓰고 있다. 하지만 BD-R 미디어가 많이 팔리는 일본의 경우는 50GB BD-R 미디어가 200엔 수준으로 TB당 가격으로 보면 약 1테라에 5만원 이하.[15] 물론 사용 편의성+재기록성+속도+장기 보관 능력[16]에서는 떨어지지만. 그리고 블루레이 ODD 가격이 아직 10만원대다. 내장형과 외장형은 최소 1만원 남짓 가격차이가 난다. 2000년대 중반 들어 EIDE/SATA 인터페이스의 DVD-멀티 라이터 값이 급격히 떨어진 데 비해 블루레이 ODD 값은 좀처럼 10만원대에서 떨어질 줄 모른다. BD 미디어 값도 떨어지고 있는데 BD ODD는 요지부동이니.....
최근에는 블루레이의 DL 미디어보다 좀더 용량을 키운 블루레이 미디어인 BD XL이라는 새로운 규격이 나왔다. 블루레이 XL 미디어는 기본이 100GB이고, BD-R XL 미디어는 최대 128GB까지 저장할 수 있다. BD-RE처럼 다시 쓸 수 있는 BD-RE XL도 있는데, BD-RE XL 미디어는 100GB까지 나온다. 2014년 9월 시점에 한 장 가격이 10만원 가까이 한다고 서술되어 있던 BD-R XL 및 BD-RE XL 미디어지만, 2015년 10월 현재 일본에서는 1장에 1만 원 조금 안 되는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무섭다
대한민국에서는 삼성전자(TSST)와 LG전자(HLDS)에서 컴퓨터용 내/외장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생산하는데, 외장형의 경우 삼성 제품은 128GB BDXL 쓰기를 포기하고 저전력으로 설계하여 USB 1개만 꽂지만 LG 제품은 USB 2개(Y자형 케이블)를 꽂아서 쓴다. USB 플러그의 한쪽은 데이터, 다른 한 쪽은 전원용이라고 한다.[17] 사실 삼성전자에서도 전원 문제 때문에 LG전자의 제품처럼 USB 2개짜리 Y자형 케이블을 사용해도 된다고 명기하고 있으며, 별도로 구매하라고 명기되어 있다. LG전자만 내장식(SATA)과 외장형을 둘 다 생산하고, 삼성전자는 외장형 라이터만 생산한다. BD-RE XL 미디어는 둘 다 읽기/쓰기를 지원하지만 BD-R XL 미디어의 경우 LG전자의 것만 128GB짜리 BD-R XL 미디어의 읽기/쓰기를 모두 지원한다. 삼성전자의 것은 100GB BD-R XL 미디어까지 읽기/쓰기를 지원하고 128GB BD-R XL 미디어는 읽기만 가능하다. 대한민국 국내에서 팔고 있는 블루레이 외장식 드라이브는 USB 2.0으로 둘 다 나온다. LG전자의 제품 중에서는 USB 3.0 인터페이스가 달린 외장 블루레이 라이터도 있는데 USB 3.0 케이블 1개와 별도의 전원 어댑터로 구성되어 있다. Y자형 USB 2개짜리 케이블 대신 별도의 전원 케이블이 나오는 게 특징이지만, 해당 모델은 대한민국에 판매하지 않고 있다.
2015년 들어 HLDS가 자본 잠식 상태인 데다가 ODD의 인기가 갈수록 시들해져서 신 모델이 나오는가 했지만, HLDS에서 2015년 10월에 신형 외장식 블루레이 라이터를 출시했다. 인터페이스는 USB 2.0을 유지하고 있다. 여전히 USB 2개를 꽂는 방식이지만, 이미 나오고 있는 외장 DVD 멀티 라이터 모델과 비슷한 모양의 슬림형으로 나왔다. 그리고 2016년 초가 되서야 4K UHD 규격을 완벽 지원하는 블루레이 플레이어와 디스크가 출시되었다.
5 UHD 블루레이
4K 해상도의 UHD TV와 방송이 점차 보급되자 이런 4K 동영상을 담을 수 있는 신규격의 블루레이 포맷이 필요해져서 블루레이 디스크 협회는 2014년 4K UHD (3840x2160 해상도) / 60 FPS의 비디오를 지원하는 Ultra HD Blu-ray 규격을 발표하였다. 기술적으로는 H.264/AVC 보다 2배가량 압축효율이 높은 H.265 HEVC 코딩을 사용하고 더 넓은 색채공간과 10비트 HDR 명암을 지원한다. 용량은 50 GB, 66 GB, 100GB, 비트레이트는 82~128 Mbit/s. 지역코드는 없어졌다.
그래서 UHD 블루레이 플레이어는 시중에 나와있고 UHD BD 플레이어의 보급은 아직 매우 부진하다. 아직은 UHD 방송이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도 개시되지 않아 UHD TV 의 보급이 아직 초창기이고 따라서 UHD 프로그램이나 소스가 적어서 UHD BD 영화 타이틀도 적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보통의 시청조건으로는 FHD BD 와 UHD BD 의 화질 차이를 구별해내기 매우 어려워 굳이 교체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
6 기타
- DVD와는 달리 블루레이 영화는 PC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음팟플레이어라든가)에서 볼 수 없다. 아예 방법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렇게 해서 본다고 해도 타이틀 메뉴 같은 부분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제대로 보기 힘들다. 굳이 PC에서 블루레이 영화를 보고 싶다면 파워DVD나 토탈미디어 시어터 같은 상용프로그램을 구입해야 한다. 100달러 가까운 가격이지만 어쨌든 화질이나 기능 면에서는 블루레이 플레이어에 뒤지지 않는다. 보통 블루레이 드라이브를 구입할 때 번들로 끼워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구매 시 확인해 보자.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405nm(Ryu☆mix)의 곡 이름은 블루레이가 쓰는 파장(405nm)에서 비롯되었다.
- ↑ 아마존닷컴에서는 A/1, B/2, C/3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 ↑ 한국과 타이완,필리핀은 NTSC방식이고 나머지는 PAL방식.
- ↑ 이쪽은 전부 PAL방식이다.
- ↑ 둘 다 무손실 압축 포맷. 보통 립을 뜰 때는 FLAC으로 변환하는 경우가 많다.
- ↑ 프로파일 문제 - 최초 버전은 1.0인데 여기는 PIP에 필요한 두 번째 영상 동시 디코딩 기능이 필수가 아니었다. 본격적으로 필수가 된 것은 프로파일 1.1. 참고로 일부 타이틀은 일반 영상과 PIP 영상을 박아 넣은 코멘터리 영상을 따로 넣는 방식을 쓰기도 했다.
- ↑ 파라마운트는 그해 최고의 킬러 컨텐츠로 기대되었던 트랜스포머의 가정용 시장 판매를 앞두고 있었기에 임펙트가 컸다. 덕분에 HD-DVD 측에서 수억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했다는 루머가 돌았었다.
- ↑ 사실 이는 친 HD-DVD파이자 전 워너의 부사장인 '스티브 니커슨'이 퇴임함으로서 어느 정도 예상되는 일이었다.
- ↑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DVD에서도 DVD-Audio가 존재하듯이 BD도 BD-Audio 규격이 존재한다. 공식 명칭은 2013년에 발표한 HFPA(High Fidelity Pure Audio)이고, DVD-Audio 및 SACD의 후속 규격이다.
- ↑ 대신 초기형 PS3의 경우 전력 소모와 소음 역시 압도적이었다….
- ↑ 물론 완벽 하위 호환이 가능한 초창기 모델의 중고 가격은 이후 개선판 모델들보다 훨씬 더 비싸다.
- ↑ PS3 슬림형 이전에 출시된 저가형 모델이다.
- ↑ 정확하게는 블루레이 규격을 응용한 XDCAM.
- ↑ 블루레이 디스크의 첫 시판은 DVD가 한참 잘 나갈 때인 2003년 3월부터였다. 경쟁 포맷이었던 HD-DVD를 밀어낸 2008년이 첫 시판 이후 5년 째였으며, 국내 한정으로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어 디지털 HD 방송이 보편화된 2013년이 10년 째였던 셈이다.
- ↑ 블루레이는 RW 대신 RE라고 표기한다.
- ↑ 2014년 7월 국내 가격 기준으로 BD-R 미디어는 멜로디社 제품이 25GB BD-R 싱글 레이어 10장(250GB) 9,000원 50GB 듀얼 레이어(BD-R DL) 10장(500GB) 35,000원, 하드디스크는 시게이트 1TB가 70,000원이다. 단순히 1TB까지의 용량만 놓고 보면 그럭저럭 하드디스크보다 저렴하다. 하지만 이것도 3TB까지 올라가면 하드디스크의 GB당 단가가 더 내려가기 때문에 하드가 더 저렴해지기도 한다.
- ↑ 컴퓨터에 달아 두지 않은 채 습도 적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곳에 밀봉, 보관해 두면 10년 넘게도 버티는 게 하드디스크지만 광메체는 공장에서 찍어서 나오는 물건이 아니면 10년은 장담할 수 없다. 다만 30cm 높이에서 떨어드린다면 살아남는 것은 BD 미디어다.
- ↑ 매뉴얼에는 USB 하나만 꽂아서 써도 관계없다고 언급하지만, 최대한의 성능을 이끌어 내려면 2개 다 꽂아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USB 2.0 인터페이스여도 노트북에다가 USB 허브를 달아서 쓰려면 USB 3.0 유전원 허브가 필요하며, 허브에다가 전기를 꽂아서 써야 잘 인식한다. 무전원 모드로 돌릴 경우 CD는 괜찮지만 DVD부터는 미디어 인식부터 좀 빡센 편이다.
- ↑ 삼성제품인경우 화면비율과 해상도 설정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