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회,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구/대한민국
목차
1 소개
서울특별시 강서구의 가양1동, 가양2동, 공항동, 등촌3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을 포함하는 선거구.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으로 이전 선거구에 속했던 염창동, 등촌1동, 가양3동이 강서구 병으로 이동했다.
2 이전 선거구
강서구에는 이전 선거구가 갑 선거구와 을 선거구 이렇게 두 구역으로만 나뉘어 있었으며, 마곡지구의 개발로 인구가 늘어나자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으로 병 선거구가 신설이 되었다. 그러나 강서구의 구획이 이상하다는 반응이 많다. 등촌동과 화곡동, 그리고 가양동을 각각 두 선거구에 걸치게 놓은 건 생활권을 무시한 처사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을 선거구의 경우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높았던 지역만 남겨졌다며 "김성태멘더링"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실제로 아래 관할구역 목록을 보면 방화3동을 제외하면 김성태가 앞섰던 지역만이 강서구 을로 남은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우연의 일치인지 김성태의원 선거사무소가 이 선거구의 중심부 근방에 있다. 그리고 선거구 획정 이전부터 이곳에 출마 예정이었던 더불어민주당의 진성준 의원의 선거사무소는 오히려 병 지역구에 더 가까워지는 바람에 선거구를 옮기려고도 하였지만 포기하고 그대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한정애 후보 입장에서는새옹지마라고 할 수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
※ 20대 총선 이전에는 획정 이전의 강서구 을 기준으로만 합니다.
3.1 2016년 선거구 획정 이전
관할구역 : 강서구(가양1동, 가양2동, 가양3동, 공항동, 등촌1동, 등촌3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 염창동)
3.1.1 18대 총선
18대 총선 개표결과 - 2008년 4월 9일 |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비고 |
1 | 노현송 | 통합민주당 | 35,918 | 37.40% | 2 | 낙선 |
2 | 김성태 | 한나라당 | 45,284 | 47.15% | 1 | 당선 |
3 | 김백중 | 자유선진당 | 4,717 | 4.91% | 4 | 낙선 |
6 | 신규대 | 평화통일가정당 | 1,100 | 1.14% | 5 | 낙선 |
7 | 김성호 | 무소속 | 9,018 | 9.39% | 3 | 낙선 |
선거인수 | 211,554 | 무효표 | 775 | |||
투표수 | 96,037 | 투표율 | 45.40% |
3.1.2 19대 총선
19대 총선 개표결과 - 2012년 4월 11일 |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비고 |
1 | 김성태 | 새누리당 | 61,967 | 50.35% | 1 | 당선 |
2 | 김효석 | 민주통합당 | 61,098 | 49.64% | 2 | 낙선 |
선거인수 | 216,397 | 투표수 | 124,236 | |||
무효표수 | 1,171 | 투표율 | 57.41% |
19대 총선당시 격전지중에서 가장 치열한 격전지로 꼽혔으며, 김성태 후보가 재선에 성공을 하게 된다.
김성태 우세 : 가양1동, 가양2동, 방화1동, 방화2동, 공항동
김효석 우세 : 가양3동, 등촌1동, 등촌3동, 방화3동, 염창동
3.2 2016년 선거구 획정 이후
관할구역 : 강서구(가양1동, 가양2동, 공항동, 등촌3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
3.2.1 20대 총선
20대 총선 개표결과 - 2016년 4월 13일 |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비고 |
1 | 김성태 | 새누리당 | 45,861 | 45.92% | 1 | 당선 |
2 | 진성준 | 더불어민주당 | 38,504 | 38.56% | 2 | 낙선 |
3 | 김용성 | 국민의당 | 14,688 | 14.70% | 3 | 낙선 |
5 | 김인자 | 무소속 | 799 | 0.80% | 4 | 낙선 |
선거인수 | 163,533 | 투표수 | 100,923 | |||
무효표수 | 1,071 | 투표율 | 61.7% |
이번 선거는 대표들의 최측근들의 싸움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3선을 도전하는 새누리당의 김성태 후보는 김무성 대표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인물이며, 이에 맞서는 더불어민주당의 진성준 후보 역시 문재인 전 대표의 최측근이자 18대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 후보의 대변인과 제6회 지방선거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의 대변인으로 활동하였던 일명 "문재인의 호위 무사"라고 불리는 인물이다.
선거구 획정 당시 비교적 야권 성향이 강했던 지역이 강서구 병으로 떨어져나가면서 여권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고, 여론조사에서는 김성태 후보가 진성준 후보에 오차 범위 이상으로 앞서 새누리당의 우세가 점쳐졌다. 그리고 선거 결과 김성태 의원이 진성준 의원을 약 7.3%차로 제치고 3선에 성공하였다. 비강남권 새누리당 후보중에서는 거센 심판론의 결집과 국민의당 보수표 이탈 와중에서도가장 선전한 득표율이다. 진성준 후보는 여론조사에 비해서는 선전했지만, 여당에 유리해진 지역구와 재선으로 다져진 김성태 후보의 지역기반을 넘지 못했다.
- ↑ 강남3구를 제외하면 서울지역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유일하게 45%이상 득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