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손

(왕세손에서 넘어옴)

皇太孫, the eldest grandson of the Emperor

1 소개

황제의 손자이자 황태자의 아들로서 제위를 계승할 사람에 대한 칭호로, 줄여서 태손(太孫)이라고도 한다. 황태자가 제위를 계승하지 못하고 사망하면 황제가 황태자의 아들 중에서 차기 제위 계승자를 지명하는 것인데, 간혹 황태자가 생존한 상태에서 황태손을 책봉하기도 한다.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아야만 가질 수 있는 칭호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황태손이나 마찬가지인, 즉 차차기 황제가 될 것이 확실한 황태자의 적장자인데도 황태손으로 책봉하지 않고 군왕(郡王)으로만 두는 경우도 있었다.

당헌종 이순이 바로 이 경우인데, 그가 어렸을 때 할아버지 당덕종과 놀다가 "너는 도대체 누구의 아들이기에 나의 품 안에 있는가?"라는 할아버지의 장난섞인 질문을 받자 "제삼천자입니다."라고 대답해 덕종이 크게 놀랐다는 일화가 있는데, 정원 4년(788년) 당덕종은 이순을 광릉군왕에 책봉했다. 황태손으로 책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당덕종 사후 아버지 당순종이 즉위하면서 황태자가 되었고, 부황이 곧 퇴위하자 이순은 황제로 즉위했다.

의 경우에는 왕세손(王世孫), 세손(世孫)이라 부른다. 비록 왕세자의 장남이라고 해도 왕세손이라 책봉되기 전까지는 원손(元孫)이라고 불렀다. 조선에서는 동궁으로 정립된 왕세손은 왕세자처럼 저하의 경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원래 왕세손에게는 합하각하가 일반적인 경칭이었다.

1.1 중국의 경우

중국에서는 서진 혜제의 아들이자, 가남풍의 흉계에 피살당한 민형태자 사마휼의 장남인 사마장이 사마륜에 의해 황태손으로 책봉된 것이 시작이었다. 황태손이 등장하는 경우는 두 가지로, 황태자가 사망해 황태손으로 책봉되거나, 황태자가 살아 있는 상태에서 황태자의 아들이 황태손으로 책봉한 사례가 있다.

1.2 한국의 경우

왕세손으로서 즉위한 경우로 고구려문자명왕, 신라소성왕이 있다. 각각 장수왕원성왕의 손자로, 태자 조다인겸이 일찍 죽어 손자로 건너뛰었다.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35권, 태종 18년 6월 3일 임오 1번째기사에 태종양녕대군을 폐세자하면서 양녕대군의 두 아들이 각각 5세, 3세이니 이들 중에 후사를 세우고자 한다며 "장자가 유고하면 그 동생을 세워 후사로 삼을 것이니, 왕세손이라 칭할는지, 왕태손이라 칭할는지 고제를 상고하여 의논해서 아뢰어라.(我欲以褆子代之, 長有故則立其弟以爲後, 稱爲王世孫乎? 王太孫乎? 稽古議聞。)"고 신하들에게 하명한 것에서 처음으로 왕세손의 칭호가 등장한다. 해당 기사 참고로 이 기사에서는 칭호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되었는지 결론이 적히지 않았다(…).

조선도 중국처럼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헌종의 경우처럼 왕세자가 사망해 왕세손으로 책봉되거나, 단종, 현종 등 왕세자가 살아 있는 상태에서 원손이 자라 왕세손으로 책봉한 사례가 있다. 정조의 경우는 사도세자가 살아 있는 상태에서 세손이 되었다가 세자가 죽어서 동궁으로써의 세손으로 바뀌었다.

의경세자의 아들 월산대군이나 소현세자의 아들 석철 같은 경우는 원손임에도 왕세손이 되지 못하고 세자의 동생 해양대군봉림대군이 세자가 되었다.

1.3 일본의 경우

일본에서는 현행 황실전범 제8조가 '황사되는 황자를 황태자라 한다. 황태자가 없는 때는 황사되는 황손을 황태손이라 한다.(皇嗣たる皇子を皇太子という。皇太子のないときは、皇嗣たる皇孫を皇太孫という。)'고 규정하고 있다. 황태손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이 황태자가 없는 때라고 명시되었기 때문에 쇼와 덴노 재위 중인 1960년 2월 23일에 태어난 나루히토는 아버지 아키히토 황태자가 살아 있었기 때문에 히로노미야(浩宮)라는 칭호만 받았다.

1.4 서양

황태손, 왕세손 칭호는 동양에만 존재하고 서양에는 없다. 이것들은 중국식 존호이기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왕세손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다른 왕족과 마찬가지로 작위는 수여하나 영국프린스 오브 웨일스스페인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와 같이 왕세손만이 받을 수 있는 특정한 작위가 있지는 않다. 한국에서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손이자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왕세자의 장남인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스를 '윌리엄 왕세손'이라고도 부른다.

2 역대 황태손

왕세손 포함.

2.1 한국

왕조시호이름조부재위기간비고
세손 책봉세자 책봉
/ 국왕 즉위
기간
조선-이홍위(李弘暐)세종문종1448.음4.31450.음7.20년 일단종으로 즉위
-이연(李棩)인조효종1649.음2.181949.음5.13년 일현종으로 즉위
의소세손(懿昭世孫)이정(李琔)영조장조1751.6.61752.4.17년 일즉위하지 못하고 사망
-이성(李祘)영조장조1759.음2.121776.음3.10년 일정조로 즉위
-이환(李烉)순조문조1830.음9.151834.12.18년 일헌종으로 즉위
회은황세손(懷隱皇世孫)이구(李玖)고종의민황태자---사시(私諡) 추증

2.2 중국

왕조시호이름조부재위기간비고
태손 책봉태자 책봉
/ 황제 즉위
기간
서진복양애왕(濮陽哀王)사마장(司馬臧)혜제민회태자3003011년즉위하지 못하고 사망
회충태손(懷沖太孫)사마상(司馬尙)혜제민회태자3013021년즉위하지 못하고 사망
남제-소소업(蕭昭業)세조세종493.1493.8.277개월전폐제로 즉위
의덕태자(懿徳太子)이중윤(李重潤)고종중종6826842년즉위하지 못하고 사망
-완안단(完顏亶)태종휘종113211353년희종으로 즉위
-완안경(完顏璟)세종현종11861189장종으로 즉위
충회태손(冲懷太孫)완안갱(完顏鏗)선종장헌태자1215.51215.12.297개월즉위하지 못하고 사망
-철목이(鐵穆耳)세조유종129312941년성종으로 즉위
-주윤문(朱允炆)태조흥종139213986년혜종으로 즉위
-주첨기(朱瞻基)성조인종1411142413년선종으로 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