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

(손호술에서 넘어옴)

1 國鳥

나라를 대표하는 새.

일반적으로 국민과의 친근성ㆍ고유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는데, 1782년 미국 의회에서 흰머리수리를 국조로 정한 것이 처음이다.

1960년에 개최된 국제 조류 보호회의의 결의로 세계 각국의 국조를 정하였는데, 우리나라는 까치, 영국은 울새, 일본은 꿩으로 결정되었다. 이 때문에 한국의 국조가 까치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으나 현재 대한민국 정부에서 지정한 국가 상징물 중에 국조는 없다. ICBP(국제조류보호회의)는 국제기구이지, 정부 기관이 아니다. 그래서인지 다른나라의 국조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대답이 있다. 흠좀무

아래 '각국의 국조' 항목에 대해서도 완전히 믿지는 말 것.

1.1 각국의 국조

종이 대략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도 있으니 수정 바람.

나라 이름 순서로 표시하였다.

1782년 미국 의회에서 결정. 최초의 공식적인 국조.

1.2 한국의 국조

결론적으로 말하면 없고, 국조를 정해야 할 필요도 이유도 없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1960년에 개최된 국제조류보호회의의 결의로 각국의 국조를 정하였다. 이 때 한국은 국제조류보호회의 한국 본부와 관계 학계의 후원을 얻어 ‘나라새 뽑기’ 운동을 벌였는데 그 결과 전국적인 공개 응모에서 총 2만 2780표 중 9373표로 다수 표를 차지한 까치가 뽑혔다. 32년 뒤인 1996년 정부 여론조사 결과도 까치와 비둘기가 부동의 1, 2위를 차지했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 전국 16개 시·도의 새 상징물 중 역시 까치가 4곳으로 가장 많고 이어 비둘기가 3곳이다.

그러나 이 또한 위에서 설명했듯이 공식적으로 까치라고 정해졌다고 하기는 어렵다.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그래도 국제 회의에서 한 번 채택되고 나름 친숙한 새인만큼 유리하다고는 할 수 있다. 그러나 본래 까치가 서울의 상징새로 그나마 자주 쓰였으나 서울시가 마스코트를 해치로 정하고 이를 전폭적으로 지원함에 따라 입지가 좁아지면 좁아졌지, 향상되었다고 보기는 힘든 상황이다. 게다가 까치가 이제는 대표적인 해조(害鳥) 1순위로 떠올랐다. 2007년 야생동물이 유발한 피해 614억원 중 까치가 유발한 피해가 70%선인 427억원이다. 2위인 멧돼지(65억원)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다. 농작물 피해는 물론 전봇대에 둥지를 틀면서 누전 사고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결국 지난 한 해에만 '까치와의 전쟁'으로 유해동물 중 가장 많은 41만여 마리가 퇴치됐다.

비둘기도 비상 본능을 잃은 채 피둥피둥 살만 쪄 '닭둘기'라는 오명을 얻으며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다. 도심 구석구석을 몰려다니면서 닥치는 대로 음식물을 쪼아먹고 그 배설물로 인해 도심의 골칫거리가 된 지 오래다. 그 피해가 늘자 퇴치 전문업체까지 성업 중이다.

심지어 2008년에는 학송회(鶴松會)를 중심으로국조(國鳥)학 선정 범국민 운동을 개최하여 박재순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같은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을 지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학송회가 '건국 60년 국조 선정 범국민 추진 본부'를 구성해 18대 국회의원 299명을 상대로 국조 선정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1%인 67명이 학을 꼽았고, 고대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새 봉황이 5명, 까치와 비둘기가 각각 3명, 삼족오환빠 2명 순이었다.

그러나 중국에서 자국의 국조를 정하는 과정에서 학의 학술명이 'Grus Japonensis'라는 점에서 퇴짜를 맞은 만큼 우리나라 역시 두루미를 국조로 정하는 건 불가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국조의 후보로 까치, 비둘기, 두루미는 이미 부적격 사유가 생겼고, 결국 남은 후보로는 참매가 있다. 우리나라도 과거부터 매 사냥의 역사가 있고 중국에도 진상하였을 정도로 우리나라 참매를 상급품 취급받았다. 또 민간에서는 매를 영물(靈物)로 취급해서 집 울타리 안으로 매를 불러들여 똥을 뉘여서 삼재(三災)를 막기도 했고, 매의 초월적인 힘을 그린 부적을 가슴에 품고 다니며 재앙을 예방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현재 북한의 국조도 참매이므로 남북통일 이후에는 참매가 될 확률은 그렇다 쳐도 정한다면 되어야 할 당위성은 크다. 일단 상술했듯 다른 후보들의 결격사유[1]가 크고 통일한국의 국가 단결 및 정통성을 위해서라도 비록 북한의 상징이었다해도 참매가 김씨 조선꼬붕이나 종북주의자는 아니므로 어느정도 받아줄 필요는 존재하기 때문이다.

2 國祖

2.1 나라를 세운 조상, 혹은 조상신

2.2 묘호

2.2.1 고려의 국조 손보육

?width=50
고려의 추존 국왕
국조 손보육의조 작제건세조 왕륭대종 왕욱안종 왕욱문원대왕 왕정정간왕 왕기조선국양헌왕 왕도
묘호국조(國祖)
시호원덕대왕(元德大王)
손(損)
보육(寶育)
배우자덕주(德周)
아버지강충(康忠)
생몰기간? ~ ?

919년 태조 왕건이 국조 원덕대왕으로 추존하였다. 초기 이름은 호술(乎述)이었고, 후에 보육(寶育)으로 고쳤다. 작제건 설화에 따르면 배우자 덕주와의 사이에서 당숙종과 혼인하게 되는 딸 정화왕후를 낳았다.

2.2.2 호 왕조의 국조 호뀌리

추가바람
  1. 북한의 국조라 안된다는 것쯤이야 북한이 남한에 흡수통일 되면 쉽게 해결될 문제다.
  2. 이는 논란도 없지 않다.
  3. 트로이 전쟁의 헬레네와는 다른 인물. 그리스 사람들이 스스로를 부르기를 헬레네스(헬렌의 자손)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