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원 28수

(이십팔수에서 넘어옴)

수능을 28번 쳤다는 말이 아니다.

1 소개

동양(동북아시아 및 인근)에서 주나라시절에 정하고 이후 계속 사용한 별자리 체계. 북극성을 기준으로 천구의 북극과 적도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다른 방위는 동짓날 자정 무렵에 해당 별자리가 있는 방향으로 방위를 설정한 다음 각각을 사방신에 빗대 구역화하고, 각각 7개씩 총 28개의 수로 나누며 북극성을 비롯한 백도가 지나가지 않는 영역에 3개의 원을 설정한 형태이다. 다만 애석하게도 별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고대 중국의 중2병이 현실에 굴복하다

동지 기준이기 때문에, 남방7수라고 여름에 보이는 별자리가 아니고, 오히려 겨울에 남중[1]한다. 또한, 주나라 시절에 정해진 체계이기 때문에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북극성의 위치가 지금과 다르다. 또한, 중국이 아무리 커도 남반구까지 뻗진 않았기 때문에 남반구에서만 보이는 별들은 들어있지 않다.

애석하게도, 검색하면 나오는 사이트 대부분은 순수한 천문학보다 사이비 종교 관련이 많아서 설명이 이상한 경우가 많다. 위키피디아를 참고한 일부를 제외하면 부여된 의미같은 세부사항은 도서관에서 책 빌려보는게 아래보다 더 정확할 가능성이 크다. 중국어권에선 별자리는 현대 별자리를 사용하더라도 별 이름은 전통 별자리를 근거로 만들어진 이름을 사용하기 때문에[2] 별 이야기를 하고 싶으면 어느정도라도 이 체계를 알아야 한다.

형태는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참고하거나, 이를 좀 더 보기 쉽게 만든 이곳을 참고하기 바란다.

2 3원

북극을 비롯해 황도 및 백도가 지나가지 않는 영역을 3개로 나눈 것이다. 천상의 제국으로 빗댄 형태.

자미원
북극 부근. 높으신 분들옥황상제가 기거하는 거처 정도의 위치다. 아래 별자리 외에 현재의 용자리 정도를 포함하는 영역.

  • 북극오성 - 같은 별자리지만, 세차운동에 의해 북극성의 위치가 현재체계와 다르다.
전후 사정을 살펴보면, 오랫동안 중국에서는 북극성을 절대 움직이지 않는 부동성으로 생각했으나 4세기 동진의 천문학자 우희가 세차운동에 따라 북극성이 움직인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나 부동성의 관념이 강해 역법에 바로 적용되지 않고 논란이 거듭되다 당나라 무렵에 새 북극성을 잡고 그 주변의 별들을 모아 북극오성이라는 별자리로 정하였으며, 이를 그린 자료 중 가장 오래된 것은 8세기 만들어진 돈황 성도 갑본이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4~7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북극성을 3개의 별자리(북극삼성)로 나타냈으며, 진파리 4호분에서는 북극성 별자리를 중심으로 28수를 그리는 중궁-28수 천문도 양식이 중국보다 먼저 유행한다.(중국은 당말~오대 시기에 유행) 이는 한국 천문도의 특징으로 고려 시대 별자리 유물에서도 나타난다.[3]

태미원
자정의 봄밤에 남중하는 영역 중 북쪽 하늘에 가까운쪽. 장군이나 관료들이 위치하는 궁궐의 관청 정도라고 한다. 봄에 남중하는 영역으로 처녀자리, 큰곰자리(북두칠성 제외), 사자자리 일부를 포함.

천시원
자정의 여름밤에 남중하는 영역 중 북쪽 하늘에 가까운쪽. 한자부터가 하늘의 시장(및 도시)을 의미하니 시장바닥. 뱀주인자리 부근에 해당한다.

3 28수

28수(二十八宿)의 수(宿)는 머무르며 묵는다는 의미로 천구상 달의 궤적인 백도상에 위치하는 순서를 동, 북, 서, 남 순으로 봄부터 계절순에 따라 4등분하고, 달이 같은 별자리로 되돌아와 1번 공전하는 1항성월 27.32일 기준[6]으로 매일 달이 황도를 지나면서 한 구역을 지나가도록 4개의 구역을 다시 7등분한 체계이다.

3.1 방위별 구역

방위별로 7개씩 나뉘며 각 구역의 7수는 모두 모여 드래곤볼전체가 해당 방위의 성수를 의미하는 별자리를 구성해 해당 방위의 사방신이 통솔한다. 동방에서는 청룡이 7수를 거느리며, 북방에서는 현무가 7수를 거느리며, 서방에서는 백호가 7수를 거느리며, 남방에서는 주작이 7수를 거느리는 식이다.

수는 또 작은 별자리로 쪼개지기 때문에 실제 별자리 수는 무지하게 많고 상징하는 의미도 하나의 수가 여러 의미를 가진다. 모양에서 의미가 새로 생기기도 하고, 하나의 수에 속한 여러 별자리를 뭉뚱그려 서로 모순되는 의미가 하나를 의미기도 하고...(이탤릭체 부분은 특히 불확실한 부분임)

3.1.1 동방청룡7수

이름대표 상징대표별의 현재 명칭대응되는 별자리
각수角宿용의 뿔스피카처녀자리, 머리털자리, 센타우루스자리
항수亢宿용의 목처녀자리 κ성처녀자리, 목동자리, 이리자리, 센타우루스자리, 천칭자리, 바다뱀자리
저수氐宿용의 가슴주벤엘게부니[7]천칭자리, 목동자리, 뱀자리, 처녀자리, 센타우루스자리, 이리자리, 바다뱀자리
방수房宿정치를 시행하는 궁궐전갈자리 π성전갈자리 일부
심수心宿왕의 자리전갈자리 σ성전갈자리 일부
미수尾宿왕의 가족전갈자리 μ성전갈자리 일부
기수箕宿후궁알나시[8]궁수자리 일부

3.1.2 북방현무7수

이름대표 상징대표별의 현재 명칭대응되는 별자리
두수斗宿남두육성. 하늘의 종묘궁수자리 φ성궁수자리 일부
우수牛宿소. 견우[9], 하늘의 관문으로서의 제물알게디[10] 혹은 다비흐[11]염소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여수女宿여성. 궁내부 하급관청소속 시녀알발리[12]물병자리, 돌고래자리, 백조자리
허수虛宿비어있음. 제사 및 곡사달수드 [13]물병자리, 조랑말자리
위수危宿위태로움. 건축(...)사달멜릭[14]물병자리, 페가수스자리, 세페우스자리
실수室宿집의 방. 궁궐 복도마르카브[15]페가수스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남쪽물고기자리
벽수壁宿벽, 담알게니브[16]페가수스자리, 물고기자리, 안드로메다자리

3.1.3 서방백호7수

이름대표 상징대표별의 현재 명칭대응되는 별자리
규수奎宿별 이름 규, 무기고안드로메다자리 η성안드로메다자리, 물고기자리, 고래자리, 삼각형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누수婁宿물 새는 것무리를 모으는 것, 목장, 감옥.안모이면 감방에 보내버리나셰라탄[17]양자리, 고래자리, 삼각형자리
위수胃宿백호 양자리 37양자리, 고래자리, 황소자리
묘수昴宿백호의 몸(별자리 이름 묘). 하늘의 눈과 귀.엘렉트라[18]황소자리 일부[19], 에리다누스자리, 페르세우스자리
필수畢宿백호의 몸, 우사아인[20]황소자리 일부, 마차부자리, 오리온자리, 에리다누스 자리
자수觜宿머리털, 군량창고메이사[21]오리온자리 일부
삼수參宿앞발, 효도, 충성, 형벌, 변방알니탁[22]오리온자리 일부

3.1.4 남방주작7수

이름대표 상징대표별의 현재 명칭대응되는 별자리
정 수 井宿정수리주작 머리쌍둥이자리 μ성쌍둥이자리, 작은개자리[23]
귀 수 鬼宿귀신알타흐[24]게자리 일부
유 수 柳宿버드나무, 주작 부리, 요리바다뱀자리 δ성바다뱀자리 일부
성 수 星宿목, 신하알파드[25]바다뱀자리, 사자자리
장 수 張宿모래주머니, 의식용 보물바다뱀자리 ν성바다뱀자리 일부
익 수 翼宿날개, 도덕, 음악알케스[26]컵자리, 바다뱀자리 일부
진 수 軫宿군용 수레기에나흐[27]까마귀자리

3.2 각 수별 7요와 신수

각 별은 7요(해,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에 각각 배정되는 동시에 상징하는 신수(神獸)가 있다. 각 수별 신수에 대해선 검색되는 정보마다 차이가 있는데, 예를 들어 벽수의 신수인 '貐'에 대한 해석이 알유, 원숭이, 수달 등으로 분명치 않다. 때문에 차후 수정바람.

7요(7정)
동방청룡7수각 - 교룡 교(蛟)항 - 용 용(龍)저 - 담비 학(貉)방 - 토끼 토(兎)심 - 여우 호(狐)미 - 호랑이 호(虎)기 - 표범 표(豹)
북방현무7수두 - 해치 해(獬)우 - 소 우(牛)여 - 박쥐 복(蝠)허 - 쥐 서(鼠)위 - 제비 연(燕)실 - 돼지 저(猪)벽 - 알유 유(貐)
서방백호7수규 - 이리 랑(狼)누 - 개 구(狗)위 - 꿩 치(雉)묘 - 닭 계(鷄)필 - 까마귀 오(烏)자 - 원숭이 후(猴)삼 - 유인원 원(猿)
남방주작7수정 - 들개 안(犴)귀 - 양 양(羊)유 - 노루 장(獐)성 - 말 마(馬)장 - 사슴 록(鹿)익 - 뱀 사(蛇)진 - 지렁이 인(蚓)

'별이름+7요+신수' 조합의 3글자로 부르기도 하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거의 쓰이지 않기 때문인지 한글 범위에선 검색되지 않는다.

동방청룡7수각목교항금용저토학방일토심월호미화호기수표
북방현무7수두목해우금우여토복허일서위월연실화저벽수유
서방백호7수규목랑누금구위토치묘일계필월오자화후삼수원
남방주작7수정목안귀금양유토장성일마장월록익화사진수인

이 중에서 정목안(또는 정목간, 정목한)이라는 부르는 별호는 수호지의 등장인물인 학사문의 별칭이며 또한 수호지에 등장하는 요나라의 장수들이 이십팔수들을 별호로 가졌다.

3.3 창작물에서

  • 서유기에서 의인화된 별의 담당 신들로 등장. 화과산 토벌전에서 처음 등장하였는데 이때는 단체로 손오공에게 관광탔다. 이렇게 보면 상당히 안습한 실력이지만 그래도 개중에는 손오공 일행을 요긴하게 돕는 멤버들이 있다.[28] 황미대왕과 싸울 때는 모든 별자리를 원군으로 불러와 이름이 하나하나 언급되긴 한다. 작중에서 묘일계의 어머니로 나오는 비람파 보살이 암탉의 화신으로 추정되는 것이라든지 정목한이 본모습인 들개로 변해 코뿔소를 공격한다고 나오는 것을 보면 각각의 별자리가 상징하는 동물들이 도를 닦아 영물이 되어서 별의 신이 되었다는 설정인 듯.
    • 묘일계 - 묘일성관이라고도 한다. 서량여국에서 전갈 요괴를 잡아죽였으며[29], 이후 다목괴라는 지네 요괴를 상대할 때 그의 어머니인 비람파 보살이 등장한다.
    • 규목랑 - 처음에는 보상국에서 황포괴의 모습으로 등장하여 손오공 부재중인 상황을 틈타 삼장법사 일행을 괴롭혔다가 돌아온 손오공에게 관광당하고 신분도 밝혀지면서 태상노군의 불목하니로 강등당한다. 나중에는 코뿔소 요괴들과 싸울 때 각목교, 정목간(작중에서는 정목한으로 나온다), 두목해[30]와 함께 도움을 준다.
    • 정목한 - 위에서 언급한 에피소드에서 유난히 활약하는 사목금성 멤버. "정목한 혼자 나가면 된다"[31]는 다른 멤버의 언급으로 추정하면 사목금성 중에서도 유독 코뿔소 퇴치에 유능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세 요괴 중 한마리를 물어뜯어 죽이는 활약을 보인다.
    • 항금룡 - 손오공이 황미대왕의 금바라에 갇혔을 때 뿔을 바라의 틈새에 밀어넣고 손오공이 다시 그 뿔에 구멍을 뚫고 잠입한 뒤 다시 뿔을 빼내는 방식으로 구출해낸다.
  • 봉신연의에서는 만선진 전투에서 몰살당한 금오의 선인들이 나중에 이십팔수로 봉신된다.
  1. 북반구이기 때문에 남쪽에 오는게 하늘 가운데에 가깝다.
  2. 가령 레굴루스는 중국어로 軒轅十四라고 한다. 성관(星官) 쉬안위안(헌원)의 14번째 별이란 뜻이다. 물론 그냥 뜻도 모르고 일대일대응으로 외워버려도 되겠지만 이 체계를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3. 참조자료: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김일권(현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학 전공 교수) 저, 고즈원.
  4. 해, 달, 북두칠성을 한데 묶어 부르는 말.
  5. 서양의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를 말한다. 고인돌 암각화나 고구려, 고려 고분벽화 등에서는 발견되나 중국 천문도에서는 하나의 별자리로 나타나지 않고 왕량성, 책성, 각도성의 세 별자리로 분리해서 나타내며, 중국식 별자리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조선시대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도 3개 별자리로 나누어서 표기하고 있다. 앞의 책 참조. 그런데 이 선후오성이라는 것은 삼원 이십팔수와 상관없는 현대 이름인 것 같은데? 중국어로 카시오페이아자리가 仙后座다.
  6. 지구의 공전때문에 약간 더 돌아야 지구에서 볼 때 달의 위상이 같아진다. 다만, 이 둘간의 차이는 지동설을 알아야 알 수 있는 사실이다. 달의 위상이 같아지는, 달력에서 사용하는 값에 더 가까운 삭망월은 29.5일.
  7. 천칭자리 α성
  8. 궁수자리 γ성
  9. 더 밝은데도 직녀가 대표가 아니다
  10. 염소자리 α성
  11. 염소자리 β성
  12. 물병자리 ε성
  13. 물병자리 β성
  14. 물병자리 α성
  15. 페가수스자리 α성
  16. 페가수스자리 γ성
  17. 양자리 β성
  18. 황소자리 Tau성, 플레이아데스 성단 소속
  19.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포함한다
  20. 황소자리 ε성. 아인 외에 이름이 여러개.
  21. 오리온자리 λ성
  22. 오리온자리 ζ성
  23. 시리우스, 카노푸스 포함
  24. 게자리 β성
  25. 바다뱀자리 α성
  26. 컵자리 α성
  27. 까마귀자리 γ성
  28. 싸움 실력은 딸리지만 상성이란게 있어서 가끔씩은 손오공도 어쩌지 못하는 요괴를 퇴치한다.
  29. 닭이라서 벌레의 천적.
  30. 넷을 합쳐서 이른바 사목금성이라고도 한다.
  31. 산에서는 호랑이, 바다에서는 코뿔소를 잡아먹으며 산다고 한다. 흡좀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