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강 생물목록

곤충강(昆蟲綱, Insecta)은 절지동물문의 몸이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가슴에는 세 쌍의 다리와 두 쌍의 날개가 달린 동물이다.

1 불명

2 무시아강(Apterygota)

2.1 돌좀목(Archaeognatha)[1]

2.2 좀목(Thysanura)

3 유시아강(Pterygota)[2]

3.1 고시하강(Paleoptera)

3.1.1 †고망시상목(Palaeodictyopteroidea)[3]

  • 고망시목 (Palaeodictyoptera)
  • †Megasecoptera
  • †Diaphanopterodea
  • †Permothemistida

3.1.2 하루살이상목(Ephemeropteroidea)

3.1.2.1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3.1.3 잠자리상목(Odonatoptera)

3.1.3.1 †지배잠자리목(Archodonata)

3.1.3.2메가네우라목(Meganisoptera)[4]

  • †메가네우라
  • †메가네우롭시스

3.1.3.3 잠자리목(Odonata)

3.2 신시하강(Neoptera)

3.2.1 외시류 (Exopterygota)

3.2.1.1 메뚜기계열(Polyneoptera)

3.2.1.2 노린재계열(Paraneoptera)[8]

3.2.2 내시류(Endopterygota, Holometabola)

3.2.2.1 부채벌레목(Strepsiptera)

3.2.2.2 벌목(Hymenoptera)

3.2.2.3 풀잠자리목(Neuroptera)

3.2.2.4 약대벌레목(Raphidioptera)

3.2.2.5 뱀잠자리목(Megaloptera)

3.2.2.6 딱정벌레목(Coleoptera)

3.2.2.7 밑들이목(Mecoptera)

3.2.2.8 벼룩목(Siphonaptera)

3.2.2.9 †원시파리목(Protodiptera)

3.2.2.10 파리목(Diptera)

3.2.2.11 날도래목(Trichoptera)

3.2.2.12 나비목(Lepidoptera)(나방/나비)

  1. 단관절구아강(Monocondylia)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2. 무시아강과 합쳐 쌍관절구아강으로 보기도 한다.
  3. 멸종된 고시하강 분류군으로, 분류군명의 뜻은 오래된 그물 날개라는 뜻이며 옛망시목으로도 부른다. 이들은 신기하게도 앞가슴 양 옆으로 작은 날개막이 달려있다. 심지어 다른 고시하강처럼 날개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행글라이더같은 활강비행을 했다. 약충은 다른 고시하강과는 달리 육상생활을 했으며 성충 약충 모두 식식성이었다고(노린재와 같은 구기를 지녔다). 신시하강의 곤충들이 나타나면서 경쟁에서 밀리기 시작했으며 페름기 대멸종 때 완전히 멸종했다. 학명에 Dictyoptera가 들어가지만 현대의 망시목과는 관련이 없다. 망시목은 신시하강이다.
  4. 원시잠자리목으로도 불린다. 잠자리목으로 묶이기도 한다.
  5. 멸종한 원시 신시하강 곤충. 옛메뚜기목 또는 옛바퀴목이라고도 한다. 학명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 메뚜기목의 조상이다. 하지만 생김새는 아주 다르다.
  6. 트라이아스기에만 출현했던 곤충으로, 신시하강의 곤충 중에서 가장 커다란 크기를 자랑했다. 메뚜기목, 대벌레목과 근연이다.
  7. Dictyoptera를 상목으로, 바퀴목/사마귀목/흰개미목을 독립된 목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며 통합해 딕티오프레타를 목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8. 준신시류(準新翅類)라고도 한다.
  9. 멸종한 원시내시류 곤충. 석탄기 중반부터 트라이아스기까지 생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