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의 안드로이드 학원/등장인물 일람

1 알아두기

캐릭터 설정은 일본어 원문 한국어 번역 이 두 주소에서.

  • 안드로이드 학원 - 구글 선생이 가르치고 있는 학교. 안드로이드 폰을 제조하는 회사들이 다니고 있는 학교이며, 대놓고 몇몇 학생을 편애하는 학교다.

학원에는 동아리가 존재하는데 가장 중요한 동아리들은 D부, a부, S부.
모두 일본의 삼대 통신사. D부는 NTT 도코모, a부는 au by KDDI, S부는 소프트뱅크. 즉 각 부에 속한 학생들(=회사)이 그 통신사에서 판매된단 뜻이다.

  •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 보통 아이스크림을 아이스크림 쿠키 사이에 끼워 넣은 간식으로도 유명하고 실제 만화에서도 일종의 학생들에게 주는 구글 선생의 상으로 나오지만…. 항목을 들어가 보면 알겠지만, 사실은 안드로이드 버전 중 하나. 2012년 1월 기준으로 가장 최신형으로, 젤리빈이 나올 예정이다. 그 이전엔 컵케익, 도넛, 프로요, 진저브레드도 나왔을 거다(항목 참조). 나중엔 킷캣, 롤리팝, 마시멜로가 나오겠지

이하 캐릭터들. 나열된 순은 홈페이지에서 소개된 순서. 캐릭터들의 이름이 12화까지는 전부 회사 이름을 거의 그대로 갖다 쓴 형태였는데, 여름 발매 예정 에피소드를 기점으로 회사 이름을 반영한 사람의 이름으로 전부 변경된다. 이미 캐릭터 프로필 페이지에서는 모두 변경이 완료된 상태며 동아리 이름도 풀네임에서 죄다 이니셜로 변경. 회사 이름 사용에 대한 상표권 분쟁을 피하기 위한 조치인 듯 하다. 차후 발매된 단행본에는 변경 전 에피소드까지 전부 변경되어 발매되었다. 한국인, 미국인, 캐나다인, 대만인 이름도 어째서 모두 일본식 이름인지는 따지지 말자 아 중국인만 제외[1]

캐릭터 의인화에 있어서 특징이라면 안드로이드 폰을 만드는 제조사와 그를 취급하는 통신사의 경우 여캐로, OS를 공급하는 구글타 OS 사용업체의 경우 남캐로 구분지어진다는 것. 이는 차후 인텔, 모질라 재단, 캐노니컬 등의 캐릭터가 혹시 등장하게 된다면 남캐로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뜻이기도 하다.[2] 그리고 모질라 재단은 잡지분 19화에서 얼굴에 용가리 가면을 뒤집어 쓴 남캐로 등장했다. 마견?! 이름은 모지지이라 선생. 그리고 2015년 12월에 다른 학원으로의 전근을 결정했다.[3]

2 등장인물 일람

2.1 실력자 집단의 해외파[4]

2.1.1 시나가와 소니아(品川ソニア)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AB(전 소니 에릭슨)
베아트리체
일본인 아버지전함녀 스웨덴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며 영국 출신.[5] 갈색 머리에 틀어 올린 머리 스타일, 영국적인 면모를 강조하듯 차 주전자와 찻잔을 들고 있다. 약간 귀족적인 모습인데 이는 소니의 '일본 대표 기업' 이라는 이미지를 표현한 듯. 눈을 자세히 보면 소니 에릭슨의 로고가 들어가 있다. 다만 소니 모바일로 바뀐 이후로는 눈동자가 평이해졌다.

3화를 보면 츤츤거리면서도 미라이에게 잘 대해 준다. 뭐 요즘 둘 다 안습하긴 하다. 구루구루 선생에게 편애받는 5인방 중 한 명이라 나오는데 현실 세계에서나 작품 내적으로나 상황이 어렵다. 가정 사정이 복잡해져서 일본인 아버지에게 돌아가야 할 지도 모른다고 하다가,[6] 결국 아버지에게 거둬져 하마터면 아베 소니같은 이름이 될 뻔 했지만 그나마 모바쨩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아버지에게 거둬진 이후[7] 영국 국적은 유지하고 있었지만, 이젠 일본 국적이 되었다.[8] 스웨덴에도 호적을 두고 있어서 스웨덴어도 구사 가능하다.[9]

13화 연재분을 보면 4.0 업데이트로 로라와 필적하는 거유가 된거 같다(...).

2.1.2 모토키 로라(元木ローラ)


모토로라 모빌리티 홀딩스 LLC
구루구루 선생에게 편애받는 5인방 중 한 명이자 구루구루 선생과 결혼[12]미국 출신 학생. 짧은 금발과 주근깨, 그리고 풀어헤친 가슴과 거유로 전형적인 미국 유학생 캐릭터를 연출하고 있다. 머리에는 모토로라의 M자 마크를 고양이귀 마냥 쓰고 있다.
얼마 전 구루구루 선생과 결혼하며 다른 학생들과의 경쟁에서도 앞서 나가게 된 듯 하지만 의외로 특별 대접은 받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13][14] 6화에서 고릴라 글래스를 모티브로 한 튼튼한 브라를 보여줬다가 체포당했다(...).

잡지 연재 14화에서는 쓰던 재봉틀과 실을 전부 포장해버리고 더 이상 재봉을 하지 않겠다고 결심한다.[15]

2.1.3 모모엔 시이나(桃園シイナ)


hTC 코퍼레이션(홍다 국제 전자 고분 유한공사)
구루구루 선생에게 편애받는 5인방 중 하나. 대만 출신의 유학생으로 안드로이드 학교에 가장 빨리 입학한 학생[17]으로 나온다. 모범생이며,[18] 매화 문양 머리핀을 꽂고 있고[19] 센스 UI가 반영된 형광색[20] 오버스커트를 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학원에서는 a부 코치와 팀을 이뤄 좀 더 일본인에게 통하는 활동에 힘낼 생각이다.

  • 개명 전 이름 : H.T.시
  • 매력 포인트 : 교복 위에 걸친 월페이퍼풍 오버 스커트
  • 소속 활동부 : D부, a부, S부, e동호회. 고등학교때는 D부S부에서는 유령부원 신세다.
  • 주력 브랜드명 : 원(ONE)

2.1.4 호시노 우나(星野ウナ)


삼성 일렉트로닉스(삼성전자)
구루구루 선생에게 편애받는 5인방 중 하나이자, D부의 에이스, 그리고 5인방 중에서도 독주를 시작한 눈에 띄는 한국 출신 모범생. 시이나에 이어 안드로이드 학원의 모범학생 표창을 두번이나 받았다.[21] 보라색 머리카락에 거유, 우주복으로 개조한 교복과 안드로이드 빔 광선총이 매력 포인트다. 아무래도 갤럭시 넥서스에 탑재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때문인 듯. 아니면 외계인 고문을 상징한다던가 눈이 별모양으로 반짝이는 건 "갤럭시" 라서. 참고로 '우나' 라는 이름은 갤럭시→은하→으나→우나 라서(...).

1화에서는 머리깎은 니아 텟페린단발에 우주인 헬멧을 쓰고 있는 둥 매력적인 외모는 아니었으나 2화에서[22] 울트라맨 같은 이름을 하고 갑자기 매력이 폭발, 1화에서는 어떻게든 따라가려고 했던 미라이를 절망시킨다. 너무 예뻐져서 도저히 따라갈 수 있을 거 같지 않다고. 사실 갤럭시 넥서스 이전에도 독보적이었지만

1~4화, 6~7화에 걸쳐서 계속 출연하고 비중도 높다. 작 중 설정으로도 뭐 현실을 반영하는 작품이니 그렇겠지만 가장 잘 나가는 학생. 다만 아담과 담장을 사이에 끼고 혈전을 벌이고 있으며 D부 코치가 아담을 눈독 들이고 있어 긴장하는 모양.

삼성쨩 월페이퍼가 나왔는데, 말도 안되는 폭유를 자랑하고 있다. 작가가 우나 팬인지 유독 우나에게 애정을 쏟고 있다. 근데 이 만화 주인공 아무리 봐도 미라이인 거 같은데[23]소년 만화에서 주인공보다 강한 최강자가 나오는것과 같은건가

잡지 연재 16화에서는대체 어디서 봤습니까 타이젠 출시와 관련해 D부 코치를 끌어들이며[24] 이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는거야? 나는 이 학원의 톱인 호시노 우나님이라구! 라고 패기넘치는 모습을 보였다. 오오 삼성 오오... 잡지 연재 22화에서는 갤럭시 S4 발매에 다른 학원생들이 훔쳐 보려 하지만 삼성은 애플외에는 안중에도 없다. 결론은 아시발꿈

x500px

1권이 발매된 단행본 표지에서는 모토키 로라, 시나가와 소니아와 함께 표지 모델(?)이 되었으며 아담을 총으로 겨누고 있다(...).

31화에서는 갤럭시 S4 Google Edition에 대해 나왔는데 부트로더 언락 사양이 마음대로 벗겨서 이런짓 저런짓 해도 좋다는 모습으로 묘사되면서 그야말로 색기가 대폭발(...)했다. 경사났네

  • 개명 전 이름 : 삼 성
  • 매력 포인트 : 우주복풍의 개조 교복과 "안드로이드 빔"이 나오는 광선총
  • 소속 활동부 : D부, a부. D부의 에이스지만 2012년 초 a부에도 가입했다.
  • 주력 브랜드명 : 갤럭시(GALAXY)

2.1.5 카네시로 에루(金城エル)


LG 일렉트로닉스(LG전자)
한국 출신 유학생. 긴 생머리에 쿨 누님 계열의 외모 등 삼성보다는 일본에서 생각하는 한국 미인의 이미지를 띄고 있다. 한복의 옷고름을 연상케하는 넥타이도 특징이라면 특징. 프라다를 가끔 들고 다니고 포뮬러 1을 좋아한다고.[25] 금빛이 반짝이는 힐은 전신인 금성(Goldstar)을 표현한다. 1인칭으로 와라와(わらわ)를 사용하며, 사극풍의 옛스런 말투를 사용하는 점도 특징이다.

D부 에이스인 우나에게 경쟁심을 느끼고 부쩍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a부에도 새로 가입하며 부쩍 활동을 늘리고 있다.[26] 최근에는 일본인이 좋아하도록 이미지 변화를 시도 중이다[27] 그리고 죠죠러인 듯[28]. 다만 작중에서 5인방중에 가장 비중이 없다(...)

잡지 연재 20화에서 레퍼런스 기기 넥서스 4 발표와 관련해 나름 뿌듯하면서도 본가에서의 푸대접에는 내심 떨떠름한 태도를 보인다. 그리고 본가의 푸대접에 맞장구치는 우나...[29] 그러나 이제는 국내에서도 판이 바뀌었다. 삼성 단말기 출고가가 시망급이었고. 이제 국내에서는 LG의 G시리즈도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듯. 아직 삼성 만큼은 아니지만 LG도 많이 컸다.

2.1.6 에이수 스우(英須スゥ)


에이수스텍 컴퓨터 Inc.

대만 출신. 마이페이스이면서도 만만치 않은 성격의 소유자이다. 동아리 활동이 중요시되는 안드로이드 학원에서 아무 동아리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은 괴짜. 그러면서도 Nexus에 뽑힌, 마치 신데렐라와도 같은 경력을 갖고 있다.

잡지 연재 4화에서부터[30] 등장했다. 그동안 음성 지원 스마트폰을 일본 내에서 팔지 않아서 등장이 늦었다고 한다. 거의 대부분 통신사를 통해 단말기를 판매하는 일본에서 SIM락이 풀린 단말기를 공급하는 점을 괴짜라고 표현했다. 잡지 연재 17화에서는 소속 동아리 없는 귀가부인 것이 밝혀졌다[31].

차기작 비밀의 안드로이드 화극단에서는 주로 구루구루 총사의 비서 포지션으로 등장한다.

2.2 나머지 여학생들(...)

2.2.1 하야카와 미라이(早川未来)


샤프 코퍼레이션(샤프 주식회사)
5인방에게 라이벌 의식을 불태우고 그 자리를 뺏거나 들어가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일본 출신 모범생. 이런 역할에 어울리는 갈색 머리에 단발인 평범한 디자인을 하고 있다. 다만 회사 이름을 반영하듯이 눈매는 날카로운 게 특징. 성씨를 샤프 창업자에서 따왔다.
동아리 활동을 세 개를 다 하고[32] 어떤 과목에도 능숙하며[33] 구루구루 선생에게 주목 받는 학생들만 받는다는 아이스크림까지 받아 5인방의 견제를 받을 정도로 성장했나 싶었으나….

우나에게 폭망. 2화에서 너무 예뻐진 우나에게 절망해 술을 빨고 있는 장면이 나온다. 그래도 3화에서 일본어 폰트를 제공받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다시 노력하는 모습. 결국 노력에 힘입어 4.0급으로 승급했지만, 예전까지 가지고 다니던 지갑을 놓치거나, 자축연에 하이레그 수영복을 입고 나오는 등 망가지는 모습도 보인다(...)[34]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화에서 나오는 주인공? 4~5화를 제외하면 모두 비중있게 등장하고 있고, 1,2,3,7,8화는 아예 주연급으로 등장한다.

2016년 2월 말 기준, 대만의 팍스콘샤프전자를 인수한다는 계획이 발표되면서 미라이는 대만으로 귀화를 하게 되었다는 설정으로 될 것 같다.

그리고 5월 말 연재부터는 그녀도 커진거 같다. 경사 났네 경사 났어.

2.2.2 후지 토오루(不二 通)


후지츠 토시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리미티드
일본 출신의 아가씨. 후지츠 마크 모양으로 길게 묶은 머리가 포인트다. 성적이 좋아 누구에게도 호감가는 타입[36]이지만, 차분한 성격에 약간 멍한 구석도 있다. 여자답게 조심스럽고 보안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고,[37] 친하게 지내던 토시바와 콤비를 이루고 있다. 다만 슬슬 토시바의 몫까지 모두 맡으려는 중.[38] 남녀노소 어느 쪽에도 듣기 좋은 목소리를 유지하려 노력하며,[39] 마이크로소프트 학원 고등부(윈도우폰 과)에도 등록해 이중 재적 중이다.[40]

2.2.3 카시오 나오(樫尾ナオ)


NEC 카시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리미티드
일본 출신. 굉장히 여자다운 성격으로 꾸미기를 좋아하고,[42] 세련된 브랜드도 좋아한다.[43] 한편으로, 휴일에는 아웃도어 스포츠를 즐기거나 하는 의외의 면모도 보인다.[44] 슬림한 체형에 자신있지만, 건강미 넘치는 얼굴도 나름 어필하는 부분. 최근에는 다이어트에 성공해 한층 더 호리호리해진 듯 하다. MEDIAS 글자 목걸이와 왼손에 차고 있는 G-SHOCK이 포인트다. 그러나 NEC는 2013년 7월 31일 스마트폰 개발과 생산에서 철수한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하므로서 안드로이드 학원에서 첫번째로 제외될 캐릭터가 되었고 39화에서 작별식이 나왔다... 남의 일 같지 않은 마츠시타 하나는 펑펑 울다가 금방 뒤따라 갔다(...). 는 훼이크고 스마트폰 라인업은 철수했지만 태블릿 라인업은 철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덩치가 커져서(...) 학원으로 다시 복귀한다.

2.2.4 마츠시타 하나(松下 花)


파나소닉 코퍼레이션(파나소닉 주식회사)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나 현재는 요코하마에 살고 있지만, 오사카에 여전히 친척이 많으며 본인도 오사카벤을 구사하는 영락없는 오사카 아가씨. 성씨는 샤프처럼 창업주의 성씨에서 따왔다. 밝은 성격으로 집안일이 특기이며, 다소 빈유인 것이 특징(...)[47]. 머리에 안경을 올린 것 역시 포인트[48]. 여자아이답게 유행에 민감해서, 사진을 찍어 블로그에 투고하는 걸 즐기거나, 디즈니에 빠지거나[49], 레츠노트[50]를 들고 다니거나 한다. 유럽으로 유학갔다 돌아와 약간은 어른스러워지기도[51]. 2013년 8월 6일 로이터통신은 교도통신을 인용해 파나소닉이 NTT도코모에 올해 겨울용 새 스마트폰 모델 공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NTT도코모는 파나소닉이 스마트폰을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마케팅 채널이기에 사실상 개발 중단으로 보여 이 캐릭터도 사실상 식물인간 상태였다. 결국 2013년 8월 29일 니혼게이자이 기사로 파나소닉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를 보도했다.=[52] 스마트폰 라인업은 철수한 NEC 카시오가 태블릿은 철수 안 했기에 첫번째로 학원에서 빠질 캐릭터가 되었지만 그런 거 없고 2013년 12월 현재도 잘 출연하고 있다. 작가가 어지간히도 마음에 들어했던 모양이다(...). 파나소닉 스마트폰은 죽었어, 이제 없어! 하지만, 내 만화에 마츠시타 하나가 되어 계속 살아가!

2.2.5 웨이 화(唯 花)


화웨이 테크놀러지스 코퍼레이션 리미티드(화웨이 기술 유한공사)
중국 출신 유학생. 안드로이드 학원 학생이지만, 학교에 잘 오지는 않고 자유롭게 공부하고 있다.[55]. 갑자기 성적이 오르고 예뻐져서 많은 애들이 경악하고 있다[56] 실제로 1화에서 슬쩍 나온 모습과는 너무 다르게 모에해졌다. 화웨이 마크를 본딴 앞머리와, 자켓 안에 입은 미니치파오가 포인트. 그리고 협화어를 사용한다.조만간 우나를 따라잡을 듯 하다.

2.2.6 쿄 세이라(京セイラ)


쿄세라 코퍼레이션
일본 교토 출신. 보기 드물다는 교토벤 사용자다. 상냥한 성격으로 중학교 시절부터 할아버지 할머니를 돕느라 학교를 종종 쉬곤 했다[57]. 어른스러운 복장이 많지만, 실은 팝한 옷도 좋아해서 휴일에 때때로 입고 나가는 듯 하다[58]. 생존왕 베어그릴스께서 친히 광고모델로 출연하시는 교세라 토크와 하이드로 같은 방수 스마트폰도 존재를 하지만....

  • 매력 포인트 : 히메컷과 하이카라씨 풍의 리본[59]
  • 소속 활동부 : a부, S부, S부 소속 W동호회(윌컴)
  • 주력 브랜드명 : 디그노(DIGNO)[60], 허니 비(HONEY BEE)[61]

2.2.7 종 싱(柊 幸)


ZTE 코퍼레이션(종싱 통신 고분 유한공사)
중국 출신. 최근까지는 세련된 모습이 아니었지만 스페인 합숙[62]을 기점으로 말쑥해진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다. 놀래키면 고향 사투리가 튀어나오는 듯(...). 수업이나 동아리 참석은 아직 많지 않지만, 일본인에게 통할 만한 컬러풀한 옷 정도는 제대로 갖추고 있다.

2.2.8 판다 소라(帆田 空)


팬택 코퍼레이션(팬택 계열)
한국 출신. 학교에 자주 출석하지는 않고, 동아리는 a부에만 참여한다. 밤이 되면 지붕에 별자리를 바라 보는 것을 좋아하는 소녀. 출연한 부분에서 기합 넣는 소리가 VEGAAAAAAA(...). 특징으로는 손대지 않아도 주변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초능력.[63]그리고 팬택은 망했어요
잡지 연재 33화에서 우나가 만든 6인치대 태블릿 모임에 끼어있는데 자신은 사실 5.9인치라고 하자 오차 범위니까 괜찮다며 끼어있게 되었다. 어느날 갑자기 결석 비율이 높아지더니 사실 건강이 매우 좋지 않았고 치료, 수술비가 모자라 사망 직전까지 이르렀으나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개명을 했다고.

  • 매력 포인트 : 별자리 모양의 담요[64]
  • 소속 활동부 : a부
  • 주력 브랜드명 : 베가(VEGA)

2.3 학원 외부인들

2.3.1 아담 쿠퍼티노(アダム・クパティーノ)


애플 Inc.
안드로이드 학원 이웃 학교에 다니는 미국 출신 학생. 어차피 혼자 다니는 학교일 텐데 개인 과외가 더 어울리지 않나 이 작품의 둘뿐인 남학생이며 남주인공? 은발 머리, 검은 니트에 흰색 바지를 입고 다닌다.스티브 잡스 발표할때 사람을 휘어잡는다는 설정만 있다면 완벽하다! 청바지 빼고 2011년 10월에 부친상을 치뤘다는 설정. 안드로이드 학원 부지 경계에 있는 사과나무에 잘 오르며(...), 안드로이드 학원 내부를 강 건너 불구경하듯 지켜보고 있다. 안드로이드 학원 학생들은 아담의 외모나 재능을 동경하면서도 제멋대로인 성격은 불쾌하게 생각하는 편. 우나에게는 가끔씩 사과를 던지며 시비를 건다. 특별편 1화를 보건대 근두운아이클라우드를 타고 다니는 듯. 아이폰 5 공개 이후로 머리의 꼭지(...)가 길어졌다.

안드로이드 학교에 다니지도 않고 세 개의 부에 들어가지도 않은 이유는 당연히 안드로이드가 아니니까(...)

성인 쿠퍼티노(Cupertino)는 애플 본사가 위치한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쿠퍼티노 시에서 따 왔으며, 이름인 아담(Adam)은 애플(Apple)과 마찬가지로 A로 시작하는 남자이름인 동시에 성경에 등장하는 선악과를 따먹은 최초의 남자의 이름이기도 하다.

파일:Attachment/adam sister.png
여담으로 여동생으로는 아이팟 터치가 있다.

2.3.2 쿠로키 리무(黒木リム)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안드로이드 학원에서 조금 떨어진 쿠로이치고(블랙베리) 학원에 다니는 캐나다 출신 유학생. 차분한 성격과 사회인다운 말솜씨를 지녔으며, 쓸데없는 지식인이다. 약간 오타쿠스러운 성격으로 매니악한 잡지식에 능하며, 때때로 D부에 도우미로 찾아오지만 독자적인 성격때문에 친구가 얼마 없다. 일본 내 동년배들에게는 별로 인기가 없지만 해외 사회인들에게는 인기가 많다고.[65] 얼핏 보면 상대하기 힘들 것 같지만 막상 얘기해보면 좋은 녀석으로 한번 친해지만 우정이 두텁다. 고등학생인데도 포르쉐를 몰고 다닌다.[66] 현실에서 '리서치 인 모션'(림)이 사명을 블랙베리로 바꾸면서 이 친구도 소니 모바일처럼 개명해야할 처지. 쿠로키는 그렇다 쳐도 리무는 이제 아니잖아.

  • 개명 전 이름 : RIM
  • 매력 포인트 : 로고를 형상화한 블레이저 단추
  • 소속 활동부 : D부(학교 외부에서 참가)
  • 주력 브랜드명 : 블랙베리(BlackBerry)

2.3.3 호쿠오우 노키아(北皇のきあ)


노키아 코퍼레이션
잡지 연재 18화에 첫 등장한 핀란드 출신의 남장여자 캐릭터. 전 버전에서 예상되었던 안경 남캐[67] 혹은 대머리[68] 돌아이[69] 등의 악의 넘치는(...) 예상을 뚫고 꽤나 미형으로 나왔다. 다만 잡지 연재 19화에 나온 OS 세력다툼 내용에서는 그냥 쩌리 좀 존재감이 없는 듯한 연출...중학교 시절에는 일본에 있었지만 현재는 해외 마이크로소프트 학원 고등부 윈도우폰 과에서 활동하고 있다.[70] 잡지 연재 42화에서 MS 선생과 결혼 발표했다. 아담 쿠퍼티노나 쿠로키 리무의 경우나 외모 설정으로 처음에는 남캐로 보였으나 알고보니 남장여자 설정으로 여캐.

2.3.4 VERTU(정식 캐릭터명 미정)

파일:Attachment/VERTU.png
베르투
(공식 프로필 미발표 상태)
핀란드-스웨덴영국 국적 공주님 캐릭터[72]. 노키아의 여동생이며 안드로이드 학원 유럽 캠퍼스에 입학했다는 것[73]을 화제삼은 노키아소니아의 대화 내용으로 잡지 연재 18화에 첫 등장한다. 그리고 VERTU의 옷 가격에 지리는 종 싱[74] 굉장히 도도하고 날카로운 인상을 보이지만 아직 직접 대사가 나오지는 않았으니...중학교 시절에 일본에 들른 적이 있다[75].

  • 매력 포인트 : VERTU 로고를 형상화 한 머리핀(비녀).
  • 소속 활동부 : 그런 거 없다 (안드로이드 학원 유럽 캠퍼스 등록중)[76]
  • 주력 브랜드명 : 베르투(VERTU)

2.4 그 외 인물/단체

2.4.1 구루구루 선생(グルグル先生)

20120601yamag_GULUGULU_cs1e1_x268.jpg
구글 Inc.
미국 출신 안드로이드학원 교사. 안경으로 보이는 고글(Goggle)은, 눈에 보이는 것들의 가치를 감정할 수 있다던가, 실은 HMD라든가 식으로 말이 분분하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로라와 사실 결혼한 사이인데 결혼 비용이 125억이 들었다는 루머도 돌고 있다.[77] 이혼 위자료는 29억일거다링크

2.4.2 D부 코치

20130528yamag_AndroidGakuen_05_cs1e1_x348.jpg
NTT 도코모 Inc.
(공식 프로필 미발표 상태)
귀여운 츤데레 타입. 아담을 영입하려 애썼지만 결국 실패한 전적이 있다. 최근은 구루구루 선생의 교내 방침에 질려하다 우나의 꼬드김으로 학교 외부 활동에도 눈길을 돌린 듯.[78]

2.4.3 a부 코치

20130528yamag_AndroidGakuen_06_cs1e1_x348.jpg
au by KDDI/KDDI 코퍼레이션
(공식 프로필 미발표 상태)
화통한 누님 타입. 잡지 연재 19화에서는 우나와 손잡은 D부 코치에 대응해 종 싱과 행동을 같이 한다.[79]

2.4.4 S부 코치

20130528yamag_AndroidGakuen_07_cs1e1_x308.jpg
소프트뱅크 모바일 코퍼레이션[80]
(공식 프로필 미발표 상태)
상냥하지만 은근히 음흉한 하라구로 거유 누님. 나긋나긋한 태도에 살짝살짝 나오는 썩소와 통수가 일품이다(...)

2.4.5 W동호회 코치

20130528yamag_AndroidGakuen_08_cs1e1_x365.jpg
윌컴 Inc.
(공식 프로필 미발표 상태)

2.4.6 E동호회 코치

20130528yamag_AndroidGakuen_09_cs1e1_x342.jpg
이모바일 리미티드
(공식 프로필 미발표 상태)

  1. 프로필 페이지에서 화웨이ZTE캐릭터의 이름을 일본식과 중국식으로 병기하다 중국식으로 확정지었다.
  2. 노키아, 삼성전자는 이미 여캐니 논외겠지만. 2016년, 호시노 우나는 인텔을 버리고서 지금도 열심히 독학중이다.
  3. 모질라 재단2015년 12월 8일부로 Firefox OS 스마트폰용 버전의 개발을 중단하고 기존 기기들도 모두 단종시킨 뒤 스마트폰 제조사들과의 기존 파트너십도 모두 정리함으로서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완전한 철수를 결정했다. 이는 2016년부터는 스마트폰스마트 TV 시장 대응 규모를 대폭 축소시키고 사물인터넷 시장에 올인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라고 한다.
  4. 기존 소니아, 로라, 시이나, 우나, 에루를 5인방이라고 불렀었지만 스우가 추가되면서 바뀌었다. 원문은 実力者ぞろいの海外組.
  5. 소니 에릭슨의 본사는 영국 런던에 있었다. 소니 모바일로 바뀐 지금은 도쿄에 있다.
  6. 소니와 에릭슨이 반반씩 합작해서 세운 회사인데 에릭슨 지분 50%를 그냥 소니가 사서 떠안기로 했다. 이유는 안습한 실적.
  7. 소니는 2011년 10월 26일 소니는 소니 에릭슨을 100% 자회사화하기로 발표했다.
  8. 당시 소니의 자회사가 되었지만 소니 에릭슨 시절과 똑같이 본사는 런던에 유지했었다.
  9. 스웨덴 룬드 시에 연구개발센터가 있다
  10.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 피처폰이 대세이던 시기. 이하 중학교 시절은 모두 이 시기를 의미한다.
  11. 도코모에 내놓은 Xperia SO-01B는 안드로이드 기종 보급에 큰 역할을 맡았다.
  12. 모토로라 모빌리티(휴대전화 사업부)를 구글이 인수한 것을 비유.
  13. 구글은 2011년 8월 15일 모토로라를 인수했으며, 안드로이드 4.0 발표 설명회에서는 모토로라를 특별대우하지 않겠다는 것과, 모토로라에서 레퍼런스 기기를 출시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도 언급했다. 다만 2013년 연내 발표를 목표로 구글과 공동으로 X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중이라...이 부분은 아직 만화에 반영되지 않았다.
  14. 그리고 2014년 1월 29일에는 제대로 파혼토사구팽되어서 Lenovo에 팔렸다. 지못미.... 그럼 중국계 선생과 재혼하는 건가?
  15. 2012년 말 모토로라는 자체 공장을 전부 없애고 제조를 싱가포르의 플렉트로닉스 사에 위임한다.
  16. 피처폰은 소프트뱅크에도 제공하다 철수했고, au에서 모토로라 XOOM을 발표했다.
  17. hTC가 최초의 안드로이드 기기인 G1을 출시했다.
  18. 구글의 레퍼런스 기기 넥서스 원을 발매했다.
  19. 대만제라는 것을 강조한 디자인. 대만의 국화는 매화다.
  20. hTC 기본 바탕화면
  21. 레퍼런스 기기 넥서스 S갤럭시 넥서스를 연속으로 발매했다.
  22. 갤럭시 넥서스 출시를 기점으로.
  23. 이걸 보면 확실히 우나는 배경인데... (가운데는 같은 작가가 연재하는 다른 만화의 주인공)
  24. 타이젠연합 구성원 중에 NTT 도코모가 있다.
  25. LG전자는 F1의 글로벌 파트너 중 하나다.
  26. 2011년 겨울-2012년 봄 모델로 도코모에서는 옵티머스 LTE, au에서는 옵티머스 X를 발표했다.
  27. 2012년 여름 모델로 발표한 옵티머스 뷰에서는 일본 특화 기능을 대폭 채용하고 방수기능도 탑재했다.
  28. 2012년 NTT 도코모에서 옵티머스 뷰 죠죠 한정판을 내놓았다
  29. 자사 제품을 띄우기 위해 레퍼런스 기기는 거의 묻어버리다시피 할 만큼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국내 제조사들의 태도를 꼬집은 대목이다. 갤럭시 넥서스넥서스 4 문서 참조.
  30. 젤리빈 및 넥서스 7 관련 내용.
  31. 스마트폰과 도킹해 타블렛 기능도 쓸 수 있는 패드폰 관련 내용으로, 패드폰2는 별도 계약 통신사가 없다.
  32. 샤프는 3개의 통신사에 모두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33. 로우엔드든 하이엔드든 어느 쪽에도 충분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34. (갤럭시 넥서스를 제외하면)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를 세계 최초로 기본장착한 아쿠오스 폰 104SH를 발매하지만, 일본 국내 특화 기능을 거의 제외해 편의성이 다소 떨어지고, 너무 개발속도와 기체성능에만 치중한 모습을 보이게 된다.
  35. 중학교 때부터 부 활동을 세개 모두 겸임해 활약중. 중학교 S부는 샤프가 꽉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36. 하이엔드에서 단순한 기종, 여성취향까지 모두 발매중이다.
  37. 최초로 지문인식기능을 탑재.
  38. 토시바의 휴대전화사업부문을 후지츠에서 인수해 후지츠 토시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를 따로 만들었고, 2012년 상반기에 이를 완전히 후지츠의 자회사로 흡수하려는 계획이다. 후지츠토시바 명의로는 REGZA Phone을 도코모와 au에 제공했지만 궁극적으로는 후지츠 브랜드로 통일한다는 방침으로 신규 브랜드 애로우를 새로 발표했다.
  39. 남녀노소 누가 들어도 알기 쉬운 음성안내기능을 지향하는 중.
  40. 이쪽 이야기도 굳이 다루려면 우나, 시이나가 참가하게 된다. 거기에 노키아 신캐릭터까지 해서 세명이 오히려 메인이 되고 정작 토오루는 쩌리가 되는 상황...?! 그나마 웨이 화가 또 토오루보다도 비중이 더 높아지게 된다 토오루 지못미.
  41. 한자를 전부 붙여 읽으면 그대로 후지츠. 회사 이름 사용에 대한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 성씨는 음만 같은 다른 한자로 대체하고 이름은 훈독으로 했다.
  42. 여성에게 맞춰 추천 어플이나 기능, 사용법 등을 제공하는 사이트 미디어스 여자부를 운용하고 있고, 여성 지향의 기종도 신경써서 발매 중이다.
  43. 스마트폰 진출 초기에 디자인 가전 회사 아마다나와 협력해 미디어스 WP N-06C를 발표했다.
  44. 미칠듯한 내구성을 자랑하는 지젼지즈원 시리즈 발매
  45. 3대 통신사(NTT 도코모, au, 소프트뱅크) 대상으로 발매...지만 사실상 NTT 도코모 주력
  46. 카시오에서 일본 au,미국 버라이즌,한국 LG U+ 대상으로 발매.
  47. 파나소닉은 오사카에 본사가 있고, 가전제품에서 강세를 보이며 핸드폰은 슬림한 디자인으로 주로 발매하고 있다.
  48. 창업주인 마츠시타 고노스케가 쓰던 안경과 같은 디자인이다.
  49. NTT 도코모로 디즈니 모바일 기기를 내놓았다.
  50. 파나소닉의 노트북 브랜드.
  51. 유럽에 출시했던 엘루가 시리즈를 일본으로 역수입했다.
  52. 정작 일본 시장은 철수한 셈이지만 인도를 비롯한 해외 시장은 여전히 잘만 내놓고 있다.
  53. NTT 도코모 와 인도를 비롯한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발매.
  54. 소프트뱅크,NTT 도코모 공동 발매. 단 이쪽은 2012년 이후 신 기종의 발매가 없어 파나소닉에서 해당 브랜드 폐기 후 엘루가로 일원화하거나 혹은 소프트뱅크에서 파나소닉이 철수하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
  55. 핸드폰보다는 주로 모바일 라우터나 디지털 포토 프레임 등의 주변 장비에 더 주력하고 있었다.
  56. 저가 제품을 발매하다 브랜드 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하이엔드 기종 어센드 시리즈를 발표했다.
  57. 피처폰 시기에는 심플한 "간단 휴대폰" 시리즈를 주로 발매했다.
  58. 스마트폰은 디그노(DIGNO) 시리즈와 굉장히 튀는 디자인과 컬러의 허니 비 시리즈를 발매한다. 디그노 시리즈라고 해서 마냥 차분하고 무난한 컬러만 있는 것도 아니지만.
  59. 1975년에서 1977년 사이에 연재된 만화 "하이카라씨가 지나간다"의 주인공 "하이카라씨"(하나무라 베니오)가 머리 뒤에 묶던 커다란 리본. 타이쇼 시대에 유행하던 고풍스러운 리본이다.
  60. a부 및 윌컴 대상으로 발매.
  61. 소프트뱅크 대상으로 발매. 윌컴에도 허니 비기종 자체는 있지만 전부 피처폰이다.
  62. 2012년 2월 27일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MWC 2012.
  63. 일본에서 발매된 베가 PTL21의 모션 인식기능에서 따온 듯. 한국에서는 베가 LTE 시리즈부터 모션 인식이 탑재되었지만 일본에서는 베가 PLT21부터 탑재되었다.
  64. 시리우스, 베가 같은 별자리에서 유래한 모델명 에서 착안 한듯하다.
  65. 블랙베리는 직장인이나 전문 직종의 사람들이 많이 쓰는 휴대폰이다.
  66. 포르쉐와의 합작으로 포르쉐에서 디자인한 P'9981 smartphone from BlackBerry를 출시했다.
  67. 모티브는 당연히 이분.
  68. 스티브 발머 아니면 스티브 시노프스키
  69. 빌 게이츠도 젊은시절 한가닥 하는 돌+아이였고, 스티브 발머는 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70. 일본에서 심비안을 탑재한 피처폰을 다수 발매했지만 이제는 그런 거 없고 윈도폰을 탑재한 루미아 시리즈가 주력...북미와 유럽에서 잘나가는 중이다.
  71. 노키아는 루미아 시리즈를 아직 일본에 정식으로 발매하고 있지 않다. 익스펜시스 등을 통한 자급제 개통이 고작.
  72. 노키아의 자회사로 세워진 럭셔리 모바일 브랜드로 현재는 스웨덴 회사 EQT에 매각된 상태. 본사는 영국에 있다.
  73. ICS를 탑재한 VERTU Ti를 유럽에서 발매했다. 가격은 최저가 모델이 7900유로(1167만원)에 최고가 모델은 16500유로(2439만원)!!
  74. ZTE는 저가형 모델 양산으로 먹고 살아온 대표적 저가 브랜드인데 가격이 상대가 될 리가...
  75. 피처폰 VERTU 키치죠 시리즈를 일본에서 발매한 적이 있다.
  76. VERTU Ti는 유럽에 발매된 상태다.
  77. 구글이 모토로라 모바일을 인수하면서 들인 비용.
  78. 삼성전자인텔이 공동개발하는 OS 타이젠NTT 도코모도 참여한다.
  79. KDDI와 ZTE는 Firefox OS 참여업체다.
  80. 이게 카더라에 의하면 SK텔레콤이라는 카더라가 존재했었다. 뭐 SK텔레콤 일본 데이터요금제 제휴 회사가 소프트뱅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