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지역 | |||
북아프리카 | |||
사하라 이남▼ | |||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동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북아프리카의 국가 및 지역 | |||
?width=50 알제리 | ?width=50 튀니지 | ?width=50 리비아 | width=50 이집트 |
?width=50 모로코 | ?width=50 서사하라 | ?width=50 수단 |
이 그림에서 짙은 초록색이 UN에서 정의한 북아프리카 권역이다. 연두색은 넓은 의미의 북아프리카 지역.[1]
목차
1 개요
North Africa, Northern Africa.
아프리카 대륙의 북쪽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서쪽에 대서양, 동쪽에는 지중해와 홍해, 남쪽에는 사하라가 있고, 사하라의 건너편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가 있다.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남유럽과 이웃하고 있고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건너편으로는 유라시아와 연결된다. 이 지역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는 다르게 이슬람이 주류인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의 세계다. 아랍인은 아랍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인 만큼 모로코의 백인 아랍인, 수단의 흑인 아랍인이 공존하며 아랍어를 사용하지 않는 흑인도 공존하여 종족 갈등이 심한 편이다.
단 인종 갈등으로 흔히 알려진 다르푸르 분쟁은 사실 인종이 아닌 부족 갈등이다. 다르푸르의 아랍인이라 알려진 바가라 유목민은 다르푸르 원주민 마살라이트 푸르족과 같은 흑인이고 종교도 같은 이슬람을 믿는다. 겉모습에서 둘 사이의 차이는 없다. 마찬가지로 남수단과 수단의 분쟁지역인 아비에이 역시 아랍 마세리아인은 남수단 딩카족과 겉모습이 유사한 흑인이며 단지 언어가 아랍어라는 차이만이 존재할 뿐이다.
이 지역의 서쪽(아프리카 대륙 전체에서 북서쪽)은 마그레브라고 불리며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때론 리비아가 포함된다. 리비아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는 모두 프랑스 식민지였으며 때로는 리비아 대신 같은 프랑스 식민지였던 모리타니를 포함시킨다.
2 자연
북아프리카의 북부는 산악지대, 동남쪽은 스텝 구릉지대, 남쪽은 사하라 사막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산맥인 아틀라스 산맥은 서쪽에 있는 국가인 모로코 국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알제리의 북쪽을 따라 동쪽의 튀니지 서북부 또는 서부로 이어진다. 북아프리카의 동남쪽 끝은 기복이 적고 나지막한 리비아 고원 지대다. 북아프리카 남쪽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더운 사막이면서 남극에 이어 두번째로 큰 사막인 사하라가 버티고 있다. 북아프리카는 건조지역으로서 나일강을 제외하고는 큰 강이 없다. 아틀라스 산맥의 계곡에 흐르는 강들 주변과 나일 계곡 및 나일 삼각주, 그리고 지중해 연안이 농업 지대다. 이 곳에서 쌀이나 면화가 재배되고, 삼나무와 코르크 같은 삼림자원이 재배된다. 아울러 지중해 작물인 올리브, 무화과, 대추야자들도 재배된다. 나일 계곡은 특히나 비옥해서 이집트 인구의 대부분이 이 근처에 살고 있다. 이들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북아프리카 지역은 관개를 해주어야 제대로 식물이 자란다.
3 인종과 문화
이 지역의 언어는 아랍어이고 주민은 아랍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아랍인이다. 같은 북아프리카의 아랍인이라도 수단 아랍인과 모로코 아랍인,알제리 아랍인과 모리타니 아랍인은 다르다. 아랍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중동에 넣기도 한다. 실제로 모리타니, 수단의 경우 1993년 대전 엑스포 중동공동관에 코너가 마련된 전력이 있다.
북아프리카에서는 이슬람이 주된 종교며, 중동과 함께 아랍 세계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북부 해안지대인 모로코 등의 주민들은 겉모습으로 볼 때 스페인, 포르투갈 등 라틴계 유럽인이나 동유럽인과 튀르크인, 페르시아인의 혼혈인 터키인과 유사하다(단 서유럽 백인종과는 유전자도 다르고 겉모습도 살짝 다르다). 축구선수 지네딘 지단, 자멜 지단 등을 떠올리면 된다. 참고로 그들은 북아프리카의 주요 민족인 베르베르족 출신이다. 단 전술한 대로 수단 사람이나 모리타니 사람, 그리고 넓은 의미의 북아프리카에 속하는 지부티 사람들의 모습은 전형적인 흑인이며 사하라 사막 토착민인 투아레그족들도 흑인의 모습을 한 경우가 많다.
참고로 나폴레옹이 살아있을 때만 해도 유럽인들에게 아프리카는 아랍이나 똑같은 곳으로 인식되었다. 나폴레옹도 유럽같지 않은 유럽이라며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비웃으며 "피레네 산맥 밑에 두 나라는 아프리카 녀석들이다. 유럽으로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라는 말을 한 적도 있다.
북아프리카의 각 나라마다 공식 언어가 다르지만, 대개의 국가가 아랍어를 공식 언어로 쓰든가 아니면 최소한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아랍어를 채택하고 있다. 다만 독립한지 얼마 안된 남수단은 예외.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민족은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이다. 북아프리카의 서쪽은 아주 오래전부터 베르베르인들이 살았으리라 추정되고, 동쪽은 이집트인들이 살고 있었는데, 이슬람 정복 전쟁의 영향으로 인해 아랍인들이 늘었다. 종교 면에서도 북아프리카의 모든 국가들은 이슬람이 대세다. 예전에는 유대인들도 북아프리카에 많이 살고 있었지만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함에 따라 프랑스나 이스라엘로 이주해 나갔다. 이스라엘 건국 이전에는 60~70만 명의 유태인이 북아프리카에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만 오천명이 채 안되는 유태인만이 모로코와 튀니지에 남아있다.
마그레브와 사하라의 주민들은 베르베르어와 아랍어의 다양한 방언들을 사용한다. 베르베르인은 그리스, 이집트, 로마 등의 다른 문화에 영향을 받아왔다. 따라서 마그레브와 사하라의 문화는 토착민인 베르베르인의 문화에 아랍 및 이웃 아시아/유럽의 요소가 가미된 것이다. 사하라 지역의 경우, 오아시스의 정착민과 베두인 혹은 투아레그족 같은 유목민과의 차이점이 뚜렷하다. 그러나 마그레브의 경우는 민족간 구분이 모호해서, 마그레브의 주요 민족인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의 구분이 덜한 편이다. 아랍어를 사용하는 북서부 아프리카인은 출신 민족에 상관없이 아랍 역사와 문화에 동질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베르베르인이 아랍화되어서다. 그러나 많은 수의 베르베르인들은 고유의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문화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종종 스스로를 '자유인'이라는 의미의 "이마지겐(Imazighen)"이라 칭한다.
전형적인 베르베르 유목민. 출처: 위키피디어 |
4 역사
북아프리카와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은 역사나 문화면에서 뚜렷하게 구분되는데, 사하라가 거대한 장벽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사하라로 인해 북아프리카는 아프리카 남쪽으로부터 단절되어 왔고, 오히려 지중해 너머의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 등의 해양 세력이 있는 국가들의 영향을 받아왔다. 따라서 북아프리카의 문화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보다 서남아시아와 유럽과 관계가 깊다.
4.1 고대
북아프리카 지역은 역사책에 종종 등장하는 유서깊은 지역이다.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 북아프리카 서부의 주요 국가로는 카르타고와 누미디아가 있다. 페니키아는 북아프리카의 많은 곳에 식민지를 건설했는데, 이 중 현대 튀니지에 위치해 있던 식민지가 발전하여 된 도시가 카르타고다. 페니키아인이 세운 도시이지만 점차 로마에 의해 정복당해서, 기원전 146년에 카르타고의 북아프리카 영토가 로마의 아프리카 속주가 되었다. 카르타고 서쪽에는 누미디아가 있었는데, 로마와의 갈등이 심해지다가 결국 전쟁 끝에 역시 로마의 속주로 전락했다.
북아프리카는 오랜 기간 동안 로마 제국의 일부로 남았는데, 5세기 초반에 이르러 게르만의 일족인 반달족이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가 누미디아를 점령해버렸다. 이러한 북아프리카의 상실은 서로마 제국 몰락의 정점으로 여겨진다. 북아프리카는 중요한 곡물 산지였고 이로 인해 외부 민족의 침략에도 불구하고 로마의 번영이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북아프리카를 수복하는 것은 서로마 제국의 중요한 목표가 되었지만 끝내 성공하지 못했고, 468년 로마의 마지막 공격도 실패로 돌아간다. 이는 서로마 제국 몰락에 종지부를 찍는 징후였고, 서로마 제국은 476년에 멸망했다.
4.2 중세
서로마 제국의 멸망 후에도 유럽과 북아프리카 간의 통상로는 유지되었고, 원주민인 베르베르인들은 일부는 기독교, 일부는 유대교, 일부는 토속신앙을 믿는 구성이었다. 500년대 중반 로마의 유스티니아누스 대제가 벌인 고토회복 전쟁을 통해 북아프리카는 다시금 로마(동로마)의 손에 들어오게 된다. 7세기 헤라클리우스 황제 시대에는 북아프리카로 천도를 고려했을 정도로 알짜배기 땅이었다.
640년에 북아프리카에서도 무슬림의 "이슬람 정복"이 시작된다. 동로마는 이슬람의 침략을 막아내기는 했지만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대부분의 영토를 빼앗겨, 670년에는 대부분의 북아프리카가 무슬림들의 지배하에 들어가고, 이후 북아프리카의 번성했던 문명은 내전과 베두인족의 침략으로 인해 쇠퇴한다.
튀니지의 우크바 모스크. 670년 아랍에 의해 건설된 모스크로서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모스크다. 출처: 위키피디어
4.3 근현대
중세 이후에는 모로코를 제외한 전 지역이 오스만 제국의 세력권에 들어갔다가, 19세기 이후에는 유럽의 지배하에 놓여서 프랑스와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의 식민지가 되었다. 이 때문에 아직도 북아프리카의 동부(이집트, 수단, 남수단)에서는 영국, 서부(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모리타니, 페잔)에서는 프랑스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1940~1943년의 2차 세계대전 중에 이 지역은 북아프리카 전투의 무대가 되었다. 1950년대와 60년대에는 북아프리카의 모든 나라가 독립을 이루었다.
5 경제
북아프리카는 전반적으로 공업 발달이 낙후된 편이며, 농산물 가공과 건축재료와 금속제품 생산이 주 산업이다. 이집트는 문화 유산 덕택에 관광산업이 발달했다. 낙후된 산업으로 인해 경제적으로도 뒤쳐진 지역이지만, 알제리와 튀니지, 그리고 리비아는 산유국(석유생산국)이다. 특히 리비아에 나는 원유는 황의 함량이 낮은 고품질 원유다. 그 덕에 리비아는 2010년 기준으로 1인당 GDP $13,800를 기록하는 등 북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가장 잘사는 나라였다. 하지만 지금 현재 리비아는 내전으로 인해 시설, 건물이 파괴되었고 후유증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어 그 이전의 경제를 되살리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그 뒤를 이어 튀니지가 1인당 GDP $9,500로 2위, 알제리가 1인당 $7,400로서 3위다. 나머지 국가들은 석유가 안 나는 바람에 시망. 이집트 $6,200 ~ 남수단 $1,546(2011 추정)의 소득수준을 보인다. 단, 남수단에는 유전이 많아 앞으로 어찌될지 모르는 상황. 수단으로부터 독립한지 얼마 안되다 보니(2011년 7월) 수단과의 정산(?)이 아직 안 끝난 듯. 물론 수단도 서 다르푸르 주 및 남코르도판을 중심으로 유전지대가 많이 남아있는데 남수단의 그것에 가려져 사람들이 잘 모를 뿐이다.
2010-2011 아랍권 민주화 운동이 이 지역에도 번져서, 리비아 내전과 튀니지와 이집트, 리비아의 정권 교체의 원인이 되었다. 알제리와 모로코에서도 대규모의 시위가 있었다.
서아시아에서 많이 구사하는 침대축구를 북아프리카는 잘 구사하지 않는듯 하다. 물론 침대축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 페어플레이를 뜻하는 건 아니라서, 모로코 팀은 더티 플레이어로 악명이 높다.
6 북아프리카 국가 목록
좁게는 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만을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유엔의 정의로는 남수단, 모로코, 리비아, 서사하라(분쟁 중), 수단, 알제리, 이집트, 튀니지의 8개국이 북아프리카에 포함된다. 이 중 알제리, 모로코, 서사하라, 튀니지, 리비아는 서아프리카의 모리타니와 묶어서 마그레브라고 부른다. 그리고 과거 북아프리카에 있던 스페인 영토 중의 일부가 아직도 스페인령으로 남아있고, 이는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라 불린다.
6.1 UN에서 정의한 북아프리카 국가
다음은 UN에서 정의한 북아프리카 권역이다.
♡표시는 마그레브 지역을 의미하고 ◇표시는 확장된 의미의 마그레브 지역을 의미한다.
- 남수단 : 실제로 북아프리카보다 동아프리카 또는 중앙아프리카에 더 가깝다.
- 리비아◇
- 모로코♡
- 서사하라♡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수에즈 운하 동쪽의 시나이 반도 지역은 서아시아로도 분류된다.
- 튀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