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켄!!/캐릭터

이 항목은 진검소녀로도 들어올 수 있다.

1 도공(刀匠)

플레이어를 지칭하는 말. 진검소녀와 마음이 통하는 유일한 존재이다. 단어 자체는 '칼을 만드는 사람'이라는 뜻이며 공식 캐릭터북에도 '검을 만드는 장인'이라는 언급이 있다.
도검을 제련하고 진검소녀들을 단련시켜 츠쿠모로부터 마을을 지키는 전쟁에 참가하게 되었다. 사실상 진검소녀들의 지휘관 같은 존재.

외모, 성별 등의 공식 설정은 없다. 진검소녀 호감도 시스템이 있어, 운용하기에 따라 진검소녀들에게 사랑받을 수도 미움받을 수도 있다.

2 진검소녀(真剣少女)

도검을 지니는 것을 허락받아, 각자 고유한 한 자루의 도검과 연을 맺게 된 여고생. 츠쿠모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다. 베타 테스트 시절에는 '켄무스(剣娘)'라는 이름과 혼용되었지만 이후 켄무스라는 호칭은 없어졌다.

이 세계관의 도검은 타마하가네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츠쿠모에 대항하는 힘을 지닌 무기이다. 어느 신사에 봉납되어 있던 신검이 츠쿠모 퇴치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진 이후, 비전의 도검 제조법을 재현하여 만들어진 도검을 진검소녀에게 들려 츠쿠모와 싸우게 만든 것.
진검소녀는 각자의 사정으로 고유한 한 자루의 도검만을 다루며, 진검소녀는 도검을 내버릴 수 없다고 한다.
설정상 전부 여고생이지만 외견은 로리 계열부터 성숙한 타입까지 다양하다. 또한 일단은 제복을 모티브로 한 옷을 입고 있는데, 그 제복의 범위가 꽤 넓은 것인지 기모노에 가까운 옷을 걸친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사몬지[1] 3자매인 사요(단도), 미요시(우치가타나), 코유키(타치) 중 한 명을 선택하여 시작하게 된다. 누구를 선택하여도 문제가 없으나, 범위공격 오의가 있고 한 번에 커버할 수 있는 칸 수가 넓은 코유키가 추천되고 있다.

옆동네 도검 게임의 캐릭터들과는 달리 진검소녀는 도검과 동일시되지 않는다. 진검소녀는 도검을 소유하고 휘두르는 것을 허락받은 이들로, 게임 내 도랍에서도 '(해당 도검과) 연을 맺었다'고 묘사된다. 그런데도 이름은 각자가 지닌 도검과 비슷하다[2]는 것이 미스테리(…). 뭐 결국은 도검 모에화 게임이니까

2.1 진검소녀의 능력치와 운용

진검소녀의 능력치(스테이터스)는 다음과 같다.

  • 기력치: HP, 기력치가 0이 된 진검소녀는 패배 일러스트를 띄우고 전투에서 빠지게 되며, 기력이 다시 다 차오를 때까지 투입할 수 없다.
  • 공격력
  • 방어력
  • 빠르기(素早さ) 공격을 얼마나 빨리 연달아 할 수 있는가. 이 수치가 높을수록 같은 시간에 더 여러 번 적을 때릴 수 있으며 행동 순서에도 영향을 미친다.
  • 기(気)
  • 검(剣)
  • 휴(体)
  • 운(運)
  • 안(眼)
  • 족(足)
  • 단(胆)
  • 역(力)

진검소녀는 전방에 배치할 때와 후방지원 상태에서 오의를 쓸 때 열량을 소모한다. 소모 열량은 도검마다 다르며 등급이 높아질수록 소모 열량도 늘어난다. 보통 큰 도검군일수록 열량을 많이 쓴다.
진검소녀에게는 속성(属性)이 있으며 이것은 츠쿠모도 마친가지. 속성은 목, 화, 토, 금, 수의 오행이며, 상성이 좋은 속성과 나쁜 속성이 존재한다. 다만 진검소녀의 레벨이 높아지면 점차 속성에는 별 신경을 쓰지 않게 된다(…).

칸무스도검남사와는 달리 진검소녀는 기력이 0이 되어도 잠시 전투에서 빠질 뿐 파괴되지 않는다. 공식에서는 기력이 0이 되어 전투에서 퇴각하게 되면 해당 진검소녀의 호감도가 하락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호감도가 내려가지는 않는 버그(?)가 있다.

진검소녀들에게는 호감도 시스템이 존재하며, 처음에는 딱 50% 호감도가 차 있는 상태로 시작한다. 호감도 상/중/하에 따라 스탠딩 일러스트의 표정이 바뀌며, 호감도가 올라 있는 상태에서는 진검소녀에게 데레데레한 대사를 들을 수 있다.
자주 전투에 투입하여 승리하거나 봉납(강화)을 시켜줄수록 호감도가 조금씩 상승한다. 반대로 전투에서 지거나 키레아지가 저하된 상태에서도 마구 굴리는 등 험하게 다루면 호감도가 조금씩 감소한다. 주의할 점은 호감도가 0%가 된 상태에서 출진시키면 진검소녀가 일정 확률로 요도화(妖刀化)해 버린다. 이에 대해서는 하단의 요도소녀 단락을 참조.

시험베기 3단까지 성공한 진검소녀는 필살기에 해당하는 '오의(奥義)'를 익힌다. 공격형, 회복형, 보조형으로 나뉘며 진검소녀마다 그 능력은 다르다. 오의를 발동하면 오의 일러스트와 특수 모션이 뜬다. 단 일부 진검소녀의 경우 후방지원으로 돌리면 오의의 효과가 전부 혹은 일부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2.2 진검소녀의 등급

진검소녀는 나마쿠라(なまくら), 와자모노(業物), 양업물(良業物), 상업물(上業物), 최상대업물(最上大業物)의 5등급으로 나뉜다. 등급에 따라 배경이 달라진다. (각기 초록색,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무지개색이다.)
주의점은 같은 진검소녀라도 제작 시 투입한 열량에 따라 초기 등급이 다르다. (나마쿠라 등급의 사요도, 최상대업물 등급의 사요도 있다는 이야기. 다만 시스템상으로는 동일 종류로 취급되어 동시편성은 할 수 없다.)

시험베기를 거쳐 등급을 상승시킬 수 있다. 같은 진검소녀라도 등급이 높을수록 능력치가 상승하며, 등급이 높은 진검소녀는 그만큼 전투에 투입할 때 열량을 많이 소모한다.

2.3 진검소녀의 회상

일부 진검소녀는 형록(도감)에서 회상을 볼 수 있다. 회상을 개방하는 데에는 거울 조각 아이템이 일정 수 이상 필요하며, 한 번 개방한 회상은 거울 조각 없이도 형록에서 언제든지 볼 수 있다.
회상은 파트 보이스(기존에 게임 내에서 나왔던 보이스를 편집해 끼워맞췄다)이며, 플레이어에 대한 언급 없이 진검소녀들 간의 이야기로 진행된다.
회상 하나를 개방하는 데 드는 거울 조각은 약 30~55개. 큰 도검으로 갈수록, 레어도가 높을수록 요구하는 거울 조각 수가 늘어난다.
2016년 3월 30일 기준 회상이 있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칸베 타이마 : 어머니의 온기(母のぬくもり) (조각 30개 필요)
  • 사다무네 코우즈 : 그 녀석과 할 수 있는 것(アイツと出来ること) (조각 40개 필요)
  • 이시다 마사무네 키리코 : 이길 수 없는 상대(勝てない相手) (조각 40개 필요)
  • 시시오 야토리 : 사자들의 대화(獅子たちの対話) (조각 50개 필요)
  • 호타루마루 아소 : 반딧불을 켜서(蛍火を点して) (조각 50개 필요)
  • 세노보리 다이야 : 고요한 호수의 숲의 그림자로부터(静かな湖畔の森の影から) (조각 50개 필요)
  • 도지기리 라이코 : 강한 자(強き者) (조각 60개 필요)
  • 히토후리 이치고 : 바래 버렸구나 덧없이 (写りにけりな いたづらに[3])
  • 사모지 미요시 : 당신의 눈동자에 내가 비친다(あなたの瞳に私が映る) (조각 35개 필요)
  • 아키쿠사 유키 : 어떻게든 날붙이는 쓸 수 있도록(なんとかと刃物は使いよう) (조각 45개 필요)
  • 키츠네가사키 킷카 : 풍기 혼란은 마음의 혼란(風紀の乱れは心の乱れ) (조각 45개 필요)
  • 류몬 노부요 : 망아(忘我)의 경지 (조각 45개 필요)

2.4 검종별 진검소녀 일람

옆동네 캐릭터들과는 등급이 유사하지만 차이점도 존재한다. 예시로 진검소녀의 검종에는 소태도나 직도가 있는 한편 창이나 나기나타가 없다. 엄밀히 말해서 창이나 나기나타는 '칼'은 아니니까
검종별로 소모 열량 및 능력치에 차이가 조금씩 있으며, 가장 크게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투 시 맵에서 차지하는 칸 수. 이하 가로x세로로 표기한다.

2.4.1 단도(短刀)

차지하는 칸 수는 1*1칸. 제일 능력치가 낮지만 차지하는 칸 수와 소모 열량이 적어 유동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것이 장점.

모티브가 된 도검은 아카기즈카 단도(赤木柄短刀). 속성은 목(木). 레어도는 별 1개.
키는 142cm. 언제나 울 것 같은 표정을 하고 있으며, 웃는 표정이 무섭다는 설정이다. 본인도 자신의 웃는 얼굴이 무섭다는 걸 알고 있기에 다른 사람 앞에서는 거의 웃지 않는다.
불행 속성의 진검소녀로 봉납 대사에서도 새똥을 맞는 등(…) 뭘 해도 안 되는 속성이며 이 때문에 성격도 네거티브하다. 다리도 여기저기 상처투성이다. 이는 아카기즈카 단도가 자신을 하사한 인물에게 복수하는 데 사용되고 이후에도 목재 장식 부분이 깎여나가는 등 칼로서의 팔자가 기구했던 데에서 유래했다. 그래도 플레이어랑 같이 있으면 좋은 일이 생길지도 모른다고 기대하고 있는 모양.
이름인 '하코'는 아카기즈카 단도가 봉납된 하코네 신사에서 유래했다.
오의는 이목천냥(裏目千両). 자신의 능력치를 랜덤하게 상승시킨다. 후방지원 시 효과 없음.
  • 아사쿠라 후지(朝倉ふじ) (CV: 新田可南)
모티브가 된 도검은 아사쿠라 토시로. 속성은 토(土). 레어도는 별 3개.
피부가 희고 마른 체형에 히키코모리 기질이 있는 단발머리 문학소녀. 늘 책을 들고 있으며 공식 캐릭터북의 코멘트에서도 플레이어에게 책을 좋아하냐고 물어본다.
2015년 7월에 발매된 공식 캐릭터북의 특전 시리얼 코드를 입력하여 입수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입수 방법은 2015년 10월 현재 없다.
오의는 '상아탑(象牙の塔).' 에리어 안의 아군이 받는 데미지를 반감시킨다.
  • 칸베 타이마(上部たいま) (CV: 渡辺華恵)
모티브가 된 도검은 칸베 타이마(上部当麻). 속성은 화(火). 레어도는 별 1개.
뜨개질을 하고 있는 상냥한 타입의 진검소녀. 심지어 머리장식에도 뜨개질에 쓰는 실타래가 두 개 꽂혀 있다. 이 뜨개질 설정은 칸베 타이마가 만들어진 타이마데라의 츄죠히메(中将姫) 설화에서 유래했다.[4]
성숙한 이미지이며 공식 설명상으로도 어머니적인 캐릭터로 언급된다. 자비심 깊고 맷집이 센 성격.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이는 칸베 타이마가 이세 신궁의 안내역의 소유였던 데에서 따왔다고 한다. 키는 157cm.
오의는 '연화왕생(蓮華往生).' 에리어 안의 적군에게 데미지를 입힌다. 타이마데라의 만다라에서 이미지를 가져온 오의.
모티브가 된 도검은 코우즈케 사다무네(上野貞宗).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1개.
키는 150cm. 양키 타입의 소녀로, 1인칭으로 '오레'를 사용한다. 늘 뭐가 불만인지 이를 갈고 있으며, 불량해 보이는 외관 때문에 자주 오해를 산다는 설정이다. 실제로도 대사가 좀 거친 편이다.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코우즈케'를 '카미(물어뜯는다는 뜻)즈케'로도 읽을 수 있는 데에서 이런 성격 설정이 나왔으며 코우즈케 사다무네의 소유자 중 한 명인 혼다 마사즈미의 이미지도 섞여 있다고 한다.
공식 4컷만화 극장에 따르면 락을 좋아하며 같은 사다무네인 모노요와 함께 한참 반항기(...). 입고 있는 붉은 패딩 같은 옷은 코우즈케 사다무네의 붉은 코시라에에서 유래했다.
오의는 '토라하사미(虎挟み, 짐승을 잡는 덫을 뜻하는 말).' 적 1체에게 큰 데미지를 준다.
  • 사모지 사요(左文字さよ) (CV: 高倉芹恵奈)
모티브가 된 도검은 사요 사몬지. 속성은 금(金). 레어도는 별 2개.
스타팅 진검소녀 중 한 명으로, 양갈래로 땋은 머리의 안경소녀. 사모지 자매 중에서는 비교적 눈에 띄지 않고 인상도 무뚝뚝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무척 가족을 아끼는 캐릭터. 자매인 코유키와 미요시가 자유분방하다 보니 자신이라도 똑바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모양. 3자매 중 장녀이다.[6]
다른 두 자매와 함께 부대에 편성하여 전투에 나가는 퀘스트(사명)가 있다.
키는 145cm로 자매들 중 제일 키가 작다. 왼손잡이 속성인데 이는 '사몬지(左文字)'에 왼쪽을 뜻하는 左가 들어간 데에서 유래했다.
오의는 '염마심판(閻魔裁き).' 에리어 안의 적이 준 대미지를 2배로 되돌려준다. 후방지원 시 효과 없음. 어릴 적 어머니를 죽인 자를 장성하여 찾아 사요 사몬지로 복수한 설화에서 유래한 오의명이다.
  • 신토우고 아이즈(新藤五あいず) (CV: 藤島亜美)
모티브가 된 도검은 아이즈 신토우고(会津新藤五).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3개.
팀워크를 소중히 하는 진검소녀. 다도와 목욕을 좋아해서 관련 도구를 늘 들고 다닌다. 심지어 오의 시에는 목욕용 장난감(?)인 노란색 오리(…)가 튀어나온다.
오의는 '화기풍로(和気風炉).' 에리어 안의 아군의 능력치를 1.25배 상승시킨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휴우가 마사무네(日向正宗).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3개.'
밝은 낙천가 기질의 진검소녀. 황금빛 부채를 들고 있으며 오의명에도 이 부채가 언급된다. 키는 149cm로 그렇게 큰 키는 아니지만 늘 등을 쭉 펴고 당당하게 다니기 때문에 인상이 강하게 남는다는 설정. 휴우가 마사무네가 단도 중에서도 작은 편인데 비해 도신의 무늬가 무척 웅대한 편인 것에서 유래한 설정이다. 전투에 임해서도 적극적인 성격.
이름인 '카치나'는 전 주인 중 하나인 '미즈노 카치나리(水野勝成)'[7]에서 유래하였다.
오의는 '황금선(黄金扇).' 에리어 안의 적 전체에게 데미지를 입힌다. 실장 직후에는 적 1체에게 적은 데미지를 입히는 참으로 미묘한 능력이었으나 5월 14일 패치로 전체공격이 되어 신세를 폈다. 발동 시 등 뒤에 태양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휴우가'를 태양으로 해석한 결과라고 스태프 코멘트에서 언급되었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아츠시 토시로(厚藤四郎).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4개.
분홍색 장발의 진검소녀. 머리에는 곰처럼 생긴 털모자(?)를 쓰고 있다. 내성적이고 눈에 잘 띄지 않는 성격이지만 싸울 때에는 강하게 밀어붙인다.
시키리(헤시키리 하세베)에 이은 두 번째 통통 속성의 진검소녀. 이는 아츠시 토시로가 단도 중에서도 날이 두꺼운 편인 데에서 유래하였다. 이 때문인지 단도 중에서는 유일하게 차지하는 칸이 와키자시와 같은 1*2칸이다.[8]
공식 트위터의 언급에 따르면 어깨에 달려 있는 문장(바펜, ワッペン)은 이치고나 후쿠라와 같은 디자인이다. (아츠시 토시로, 이치고히토후리, 나마즈오 토시로는 전부 같은 도공이 제작했다.)
슈테츠 대사에서 맨 처음 등장했던 캐릭터로, 이후 2015년 10월 23일 패치로 실장되었다.
이름인 '아츠미'는 '아츠시(厚)'를 여성의 이름으로 바꾼 것.
오의는 '쿠마데즈키(熊手突き, 곰손찌르기).' 적 1체에게 큰 데미지를 준다.

2.4.2 와키자시/협차(脇差)

차지하는 칸 수는 1*2칸.

모티브가 된 도검은 닛카리 아오에.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2개.
맞지 않아 헐렁한 제복을 입고 다니는 작달막한 체구의 로리 소녀. 키도 126cm밖에 되지 않고 대사도 어린아이 같은 느낌이 강하다. 모티브가 된 닛카리 아오에가 본래는 2척 5촌 길이의 일본도였다가 재연마되어 1척 9촌 9푼으로 줄어든 것을 반영한 듯. 본인은 이 작은 키가 컴플렉스라, 자신보다 큰 상대에게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이름인 '니카'는 닛카리(にっかり)를 사람 이름처럼 변화시킨 결과.
오의는 '석등 베기(石塔切り).'[9] 적 1체에게 큰 데미지를 준다.
  • 사다무네 모노요(貞宗ものよ) (CV: 이치노세 루루)
모티브가 된 도검은 모노요시 사다무네.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3개.
아이와 귀여운 것을 좋아하며 붙임성 있는 성격을 지닌 진검소녀. "럭키"라는 단어를 곹잘 언급하는데, 이는 '모노요시 사다무네를 가지고 출진하면 반드시 승리한다고 이에야스가 말했던 것에서 기인한다.
키는 154cm. 나고야 출신[10]의 아가씨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으며 그룹 내에서도 눈에 띄게 되는 존재이다. 다만 사람에 따라서는 꽤나 깨방정 떠는 모습으로도 비칠 수 있다. 도검 설명을 하는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너구리 닮았으니 귀여운 사람이었을 것이다'라면서 이엣치(家っち)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오의는 '만복초래(万福招来).' 에리어 안의 아군 중 한 명의 능력치를 랜덤하게 상승시킨다.
형록에서 도검에 관한 설명을 할 때 자신의 검을 단도라고 부른다. 모노요시 사다무네가 박물관의 분류 기준으로는 와키자시지만 실제로는 단도에 더 가까운 길이이기 때문.
모티브가 된 도검은 키슈소(希首座).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3개.
오컬트를 좋아하며 전생의 인연을 자주 언급하는 진검소녀. 이 속성은 키슈소가 여러 불가사의한 일을 불러일으켰으다는 설화에서 유래한다. 옷도 고딕풍이다. 이름인 '노조미'는 키슈소의 앞 글자인 希를 다르게 읽은 것.
카센 무츠미와 일러스트레이터가 같은데, 키슈소와 카센 카네사다는 둘 다 호소카와 가의 소유였던 전력이 있다.
오의는 '인중유과(因中有果).' 적 1체에게 큰 데미지를 입힌다.
  • 나마즈오 후쿠라(鯰尾ふくら) (CV: 稲吉唯)
모티브가 된 도검은 나마즈오 토시로.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2개.
키는 145cm. 양갓집 출신이며 겁쟁이 속성의 로리 진검소녀. 밤에 화장실에 같이 가 달라고 말하는 등 무척 겁이 많고, '하와와'를 입에 달고 산다. '나마즈오'라는 이름 때문인지[11], 등에 지고 있는 호리병에서는 오의를 발동할 때 물로 만들어진 메기가 나온다.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후쿠라의 겁쟁이 속성은 메기 → 지진[12] → 떨린다 → 겁쟁이로 치환한 결과라고 한다.
히토후리 이치고를 '이치고쨩'이라고 부른다. 이치고히토후리와 나마즈오 토시로의 제작자가 같은 데에서 유래한 관계일지도.
이름의 유래는 나마즈오 토시로의 생김새가 '부드럽게 부풀어 있는 모양(=ふっくら, '훗쿠라'라고 읽는다)'인 데에서 유래.
오의는 '표주박 메기(瓢箪鯰).' 일정 시간 동안 적의 공격을 전부 무력화시킨다. 다만 효과가 발동하는 중에는 에리어 내의 아군도 오의, 휴식, 기합넣기(気合い)를 할 수 없다. (후방지원 진검소녀의 오의는 가능) 강한 적을 상대로 할 때 매우 유용한 오의.
모티브가 된 도검은 라이키리마루(雷切丸).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4개.
자칭 "빠릿빠릿(バリバリ) 무투계" 소녀. 낙뢰를 맞아 다리를 쓸 수 없어 휠체어를 타고 다닌다. 싸우는 데에는 별 지장이 없는 듯 잘만 싸운다. 소소한 설정이지만 발 사이즈는 22인치라고 한다. 키는 165cm.
다리를 쓸 수 없다는 설정은 라이키리마루의 전 주인인 타치바나 도세츠가 젊은 시절 벼락을 맞아 하반신 불수가 된 데에서 유래하였다.
라이키리(='번개를 베다')라는 이름답게 검을 휘두를 때 전기 모션이 발생하며, 타고 있는 휠체어에도 뇌신을 모티브로 한 장식이 있다.
이름인 '치도리'는 라이키리마루의 전 이름인 '치도리(千鳥)'에서 따 왔다. ('라이키리마루'는 도세츠가 벼락을 맞은 이후 '뇌신을 베었다'고 하여 붙여진 별칭.)
오의는 '자전일섬(紫電一閃).' 가로 직선상의 적에게 큰 대미지를 입힌다.

2.4.3 소태도(小太刀)

차지하는 칸 수는 1*3칸.

  • 토리카이 쿠니토(鳥養くにと) (CV: 稲吉唯)
모티브가 된 도검은 토리카이 쿠니토시(鳥養国俊)[13].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1개.
신장 153cm. 얌전한 성격이며 서예부원이라고 한다. 붓을 들고 다니며, 정신을 가다듬을 때에는 먹을 간다고. 이 서예가 속성은 토리카이 쿠니토시의 전 주인인 서예가 '토리카이 소우케이'에서 비롯되었다.
걸치고 있는 장식 대부분이 노란 새 모양인 것은 검의 이름이 '토리(새)카이'이기 때문에.
오의는 '묵흔임리(墨痕淋漓).' 적 1체에게 큰 대미지를 입힌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칸나기리 나가미츠(鉋切長光).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4개.
물색(청록색) 곱슬머리의 진검소녀. 자신의 불행 체질이 주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두려워해 동료들로부터도 한 걸음 거리를 두려 하고 있다. 이 속성은 칸나기리 나가미츠에 얽힌 저주 설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4]
오의는 '시시무라소기(肉叢削ぎ, 고깃덩이 깎기)'. 에리어 안의 적군과 아군 모두에게 큰 대미지를 주고 여기에 자기 자신에게도 대미지를 입힌다. 불행 속성이 십분 반영된 오의.

2.4.4 우치가타나/타도(打刀)

차지하는 칸 수는 2*1칸. 예외로 카센 무츠미는 와키자시와 같은 1*2칸, 하세베 시키리는 태도와 같은 2*2칸이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아이즈 마사무네.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4개.
리더십이 돋보이며 설령 꺾이더라도 몇 번이고 일어나는 성격의 진검소녀. 유니콘마냥 이마에 뿔 같은 것을 달고 있다. 호기심이 왕성하며 영웅담을 좋아한다. 키는 158cm.
이름인 '레오'는 전 주인인 가모 우지사토세례명에서 온 것이다.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캐릭터 모티브도 가모 우지사토에서 따온 것이 많다고 한다.
칸나나 아이즈와는 교류가 있는 듯한 언급이 있는데, 이는 칸나기리 나가미츠, 아이즈 마사무네, 아이즈 신토우고가 모두 한 때 가모 우지사토의 소유였던 데에서 유래되었다.
오의는 '돌관천(突貫穿).' 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입힌다.
  • 이케다 마사무네 나가요(池田正宗ながよ) (CV: 모리 하루)
모티브가 된 도검은 이케다 마사무네.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1개.
냉철한 지략가 타입의 진검소녀로, 비서로 적격이라는 공식 설정. 금전 및 손익계산에 특히 능하다고 하며, 대사를 들어보면 제법 깐깐한 면모를 보인다. 신장은 160cm. 도폭이 넓고 화려한 인상이라는 평가에서 이러한 캐릭터가 구상되었다고 한다.
나비를 모티브로 한 머리장식을 달고 있고, 오의도 나비 이펙트를 보여준다. 이는 이케다 가문의 가몬이 나비인 데에서 유래했다.
이름인 '나가요'는 전 주인인 '이케다 나가요시'에서 유래하였다.지략가 속성도 이케다 나가요시가 지략가로 유명했던 데에서 유래했다.
오의는 '의봉접아(擬鳳蝶蛾).' 일정 시간 동안 자신에게 오는 모든 데미지를 무효화시킨다. 후방지원 시 효과 없음.
모티브가 된 도검은 이시다 마사무네.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1개.
머리 회전이 빠르고 자신감이 강한 보쿠 소녀. 신장 145cm. 수재 타입이지만 주위와 별로 어울리지 못하고 있다. 설정상 을 매우 싫어한다고 한다. 이는 전 주인인 이시다 미츠나리가 참수를 앞두고 물을 청했을 때 대신 감을 받자 '(몸을 차게 하므로) 몸에 해롭다'며 거부했다는 일화에서 나온 설정. 입고 있는 블라우스의 오른쪽 가슴에는 이시다 미츠나리의 가몬이 그려져 있다.
이름인 '키리코'는 이시다 마사무네의 다른 이름인 '키리코미 마사무네'에서 유래했다. (도신에 깊게 베인 상처(= 切り込み, 키리코미)가 있다는 데에서 나온 별칭.) 키리코의 한쪽 다리에는 언제 생긴 건지 알 수 없는 상처가 있고 그 상처를 감추려 붕대를 메고 있는데 이것 또한 키리코미가 있다는 데에서 유래한 설정.
오의는 '카게카쿠시(影隠).' 일정 시간 동안 자신이 적에게 받는 데미지를 무효화시키고 공격력을 증가시킨다. 후방지원 시 효과 없음.
  • 이치몬지 나즈미(一文字なずみ) (CV: 猫体質)
모티브가 된 도검은 난센 이치몬지(南泉一文字).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3개.
고양이귀 속성의 변덕쟁이 소녀. 집중력이 강한 대신 금방 질린다고 한다. 키는 155cm.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기름이 든 병을 늘 갖고 다니지만, 어째서인지 금방 줄어들어 버린다고 한다.
네코마타를 모티브로 했는지 2개의 고양이 꼬리를 달고 있다. 이 속성은 난센 이치몬지가 고양이를 두 동강 내었다는 설화에서 나왔다. 패배 일러스트에서는 모자 아래에 진짜 고양이 귀도 있다.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고양이 캐릭터로 잡고 체셔 캣이나 슈뢰딩거의 고양이 등의 요소도 넣었다고 한다. 실제로 나즈미의 오의는 슈뢰딩거의 고양이에서 유래하였다.
이름인 '나즈미'는 '난센(南泉)'을 다르게 읽은 것.
오의는 '난센 참묘(南泉斬猫).' 50%의 확률로 적을 즉사시키거나 0의 대미지를 준다. 단 6~7면의 보스(체력이 10만대에 달하며 몇 번에 걸쳐 격퇴하게 되어 있다)에게는 즉사가 아니라 최대 25000의 대미지를 주는 것으로 표시된다. 하기사 이 정도 대미지면 일반 적은 즉사니 별반 다를 건 없다(…).
  • 오사후네 아타키(長船あたき) (CV: 新田可南)
모티브가 된 도검은 아타키기리(安宅切)[15].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4개.
가능하면 싸우는 것을 피하고 싶어하는 평화주의자. 손에도 '피스 군'이라는 이름의 비둘기를 올리고 있다. 평화주의자 설정은 아타키기리의 주인이었던 쿠로다 칸베에가 무장치고는 살상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데에서 유래하였다.
입고 있는 옷의 디자인은 시키리와 꼭 닮았다는 설정. 퀘스트(사명) 중에도 시키리와 아타키를 함께 편성하여 출진시키는 것이 있다. 이는 시키리의 모티브인 헤시키리 하세베가 쿠로다 가로 넘어간 이후 아타키기리의 외관을 본따 다듬어진 데에서 유래한다.
오의는 '군기립(群旗立).' 에리어 안의 적의 움직임을 일정 시간 동안 멈춘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아군이 막고 있건 어쨌건 간에 앞으로 전진해 버리는 이 게임의 전투 시스템상, 가능한 한 오랫동안 적을 공격해서 대미지를 많이 주어야 하는 보스전에서 유리한 오의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카센 카네사다.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1개.
신장 166cm. 용모단정하고 다도를 즐기는 속성과는 달리 새디스트 기질을 보유한 진검소녀. "평안하신가요(고키겡요)"라고 인사하는 양갓집 규수다운 말투와는 달리 플레이어에게 "괴롭히고 싶다"는 말을 서슴치 않는다(…). 카센 카네사다의 소유자였던 호소카와 타다오키가 풍류를 즐기는 면모와 36명의 가신의 목을 치는 등의 무서운 면모를 동시에 지녔던 데에서 유래했을지도.
얼굴, 정확히는 코 부분에 상처가 있는데 이 상처는 절대 지적하거나 건드려서는 안 된다고 한다. 호소카와 타다오키가 여동생의 습격으로 코 부분에 베인 상처를 입은 일화에서 나온 것.
우치가타나이지만 공격 범위는 와키자시와 같다.
이름인 '무츠미'는 카센 카네사다라는 이름의 유래인 36가선[16]에서 나왔다. (36 = 6*3 = 六三 = 무츠미)
오의는 '로쿠로쿠린(六六鱗).' 공격할 때마다 위력이 1.36배씩 상승한다. 총 6번 공격을 가할 때까지 대미지가 올라간다. 후방지원 시 효과 없음.
모티브가 된 도검은 '요시모토 사몬지(=소우자 사몬지)'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2개.
스타팅 진검소녀 중 한 명. 사몬지 자매 중에서도 유달리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성숙한 스타일에 자주 플레이어를 꼬시는 듯한 언동을 보이는 색기담당. 사모지 자매 중 차녀이며, 다른 자매들과 함께 편성하여 출진하는 퀘스트가 있다.
신장은 161cm. 갈색 피부 속정. 다른 사모지 자매들처럼 왼손잡이다.
이름인 '미요시'는 요시모토 사몬지의 다른 이름인 '미요시 사몬지'에서 유래했다.
오의는 '봉황익(鳳凰翼).' 에리어 안의 아군의 체력을 전부 회복시키는 매우 요긴한 오의다. 요시모토 사몬지가 화재(혼노지의 변, 메이레키 대화재)에 여러 번 휘말렸는데도 다시 살아나 현존하는 데에서 온 오의이다.
  • 하세베 시키리(長谷部しきり) (CV: 芹山結衣)
모티브가 된 도검은 헤시키리 하세베.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3개.
모에화 게임에서는 보기 드문 포동포동(…) 속성의 소유자. 그래도 얼굴은 귀엽다. 포동포동한 몸매답게 맛있는 것을 무척 좋아하지만 한편으로는 다이어트에 몹시 신경쓰고 있다. 이는 헤시키리 하세베의 도신이 다른 우치가타나에 비해 넓은 편인 데에서 유래했다. 이 때문에 통통한 체격의 여성을 타깃으로 한 일본의 패션잡지 <La Farfa>에서 모델로 등장하기도 했다.
신장 153cm. 자신의 의지를 잘 꺾지 않는 면이 있다.
우치가타나이면서도 공격 범위가 타치처럼 2*2다. 헤시키리 하세베도 우치가타나치고는 긴 편이라서 종종 타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입고 있는 제복은 오사후네 아타키와 세트. 아타키 항목에서도 언급했듯이, 헤시키리 하세베가 쿠로다 가로 넘어간 후 쿠로다 가의 명도인 아타키기리를 본따 외장이 다시 만들어진 것에서 나온 속성이다.
오의는 '오오가사네(大重).' 에리어 안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준다.
  • 하치몬지 쵸우기(八文字ちょうぎ) (CV: 田端皆美)
모티브가 된 도검은 하치몬지 쵸우기(八文字長義).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2개.
밝고 파워풀한 성격의 소녀. 웃음소리를 88888로 표기하는 등 독특한 말버릇의 소유자.
오의는 '하치와리 발파(鉢割発破).' 적 1체에게 큰 대미지를 가한다.
  • 히시즈쿠리 하무로(菱作はむろ) (CV: 小林愛菜)
모티브가 된 도검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우치가타나로 알려진 히시즈쿠리 우치가타나(菱作打刀).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3개.
철덕으로, 입고 있는 옷도 역장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오오타치인 다이야를 '멋지다'고 언급한다. 다이야의 이름 때문일지도.[17]
오의는 '탄환열차(弾丸列車).' 가로 직선상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입힌다.
  • 와케베 시즈(分部しづ) (CV: 新井歩)
모티브가 된 도검은 와케베 시즈(分部志津).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3개.
치유계 + 거유 속성[18]의 소녀. 느긋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치유계 속성은 '와케베'를 和気部로도 쓸 수 있는 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검이었던 것 때문에 너구리(이에야스는 너구리로 자주 비유된다)를 이미지로 캐릭터가 만들어졌다. 오의를 발동할 때에도 너구리가 나타나며, 거유 속성도 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19]
오의는 '화복기복(禍福倚伏).' 자신의 공격력을 6배 증가시키는 대신 방어력을 0.16배로 감소시킨다. 치유계 이미지와는 달리 공격에 치중한 오의.
모티브가 된 도검은 나미오요기 카네미츠(波遊ぎ兼光).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4개.
'오요기'(헤엄치다, 물 속에서 나아가다라는 뜻이 있다)라는 이름답게 파란 머리에 파란 옷을 입은 진검소녀. 키판(...)처럼 보이는 물건도 옆에 들고 있고 입고 있는 옷도 자세히 보면 수영복 위에 교복을 덧입은 것이다.
별 일도 아닌데 멋대로 얼굴이 빨개지거나 심장이 뛰는 일이 잦은 모양.[20] 그래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 뿐이지 사실 무척 노력하는 타입이라는 설정이다.
오의는 '파도만리(波濤万里)' 횡직선상의 적에게 중간 정도의 대미지를 준다.
  • 츠가루 마사무네 죠우 (津軽正宗じょう) (CV: 아키아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츠가루 마사무네(津軽正宗).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4개.
아방한 인상이지만 양갓집 출신의 아가씨 속성을 보유한 진검소녀.
이름인 '죠우'는 본래 주인인 '죠우 마사시게(城昌茂)[21]에서 유래.
오의는 '텐구 숨기기(天狗隠し).' 적 1체에게 중간 정도의 대미지를 주는 공격을 2회 반복하고 자신에게 오는 대미지를 일정 시간 무효화시킨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도다누키 마사쿠니(同田貫正国).[22]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3개.
올곧고 고집스러운 성격에 굽히는 것을 무척이나 싫어하는 진검소녀. 이 속성은 도다누키 마사쿠니가 다른 일본도에 비해 도신이 유독 곧은 데에서 유래하였다. 덧붙여 입수 대사를 보면 쓸데없이 치장하는 것을 싫어하며 내용물(中身)로 승부하는 파라고 소개한다.[23]
넥타이에는 남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経)이라고 적혀있으며, 칼집에 달려있는 마스코트 캐릭터는 '다루퐁(だるぽん)'이라는 이름의 너구리(일본어로 '타누키(…)')라고 한다.
디자인 자체는 <진검소녀와 일본도展>에서 선행공개되어 있었으며 2015년 11월 27일 패치로 실장되었다.
오의는 '정면 투구베기(真っ向兜割り)'. 적 1체에게 큰 대미지를 준다. 튼튼하기로 유명한 어느 장인의 투구를 도다누키로 두 동강을 내었다는 투구 부수기 일화에서 유래한 오의.
모티브가 된 도검은 나카츠카사 마사무네(中務正宗).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2개.
임무에 충실하고 성실한 성격의 진검소녀. 사슴뿔 모양의 머리띠를 하고 몸에는 큰 염주를 두르고 있는데, 이는 나카츠카사 마사무네의 주인이었던 혼다 타다카츠의 전형적인 이미지[24]에서 차용한 것. 이름인 '타다카' 역시 전 주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평상시에도 약간 딱딱한 말투를 쓰지만, 요도화하면 완전히 로봇 같은 말투로 변한다. 모 약빤게임의 혼담이라 카더라
오의는 '불낙채(不落砦)'. 적 1체에게 작은 대미지를 주고 자신에게 오는 대미지를 반감시킨다. (대미지 반감 효과는 후방지원 시에는 사라진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무라쿠모고우(村雲江). 속성은 목. 레어도는.별 3개.
말수가 적고 혼자 다니는 것을 좋아한다는 티를 팍팍 내고 다니는 진검소녀. 말도 전반적으로 짧은 편이다.
킷카(키츠네가사키), 아츠미(아츠시 토시로)와 함께 슈테츠 대사에서 잠시 모습을 보였으며 이후 2015년 11월 6일 패치로 실장되었다.
오의는 '백운병풍(白雲屏風).' 에리어 내 아군 전체가 받는 대미지를 반감시킨다
  • 나키기츠네 쿠니요(鳴狐くによ) (CV: 池畑希美)
모티브가 된 도검은 나키기츠네.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3개.
최면술을 쓰는 진검소녀. 손에도 최면을 걸 때 쓰는 펜듈럼을 들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본인은 수면 중의 불찰(不覚)을 두려워해 늘 잠기운에 저항하고 있다. 그 반동으로 다크서클이 진하게 내려있다. 최면술도 잠기운에 저항하기 위해 쓰는 것이라는데, 문제는 주변 사람들까지 때때로 이에 말려들어 버린다는 것. 형록(도감)에서조차 이를 민폐라고 표현하고 있다. 설정상 도검 나키기츠네를 쓰게 된 것도 트랜스 상태에서라고(…). 여우가죽이라 생각되는 모자를 쓰고있다. 다른 장르에 나오는 오토모가 싫어합니다.
키가 작게 그려졌는데, 이는 나키기츠네의 길이가 와키자시 정도인 데에서 유래했다.[25]
이름인 '쿠니요'는 나키기츠네를 만든 도공인 아와타구치 쿠니요시에서 왔다.
오의는 '콘콘켄(昏々剣).' 에리어 내 적군 전체의 방어력을 반감시킨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무라마사.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5개.
가까이 하기 어려운 분위기를 풍기는 진검소녀. 무라마사의 요도 전설[26]을 본인도 신경쓰고 있는지 '자신 같은 것에게 관여하고 있으면 분위기가 나빠지지 않느냐'는 대사를 한다.
용궁동에서 플랑베르주가 찾는 대상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이후 2016년 1월 29일에 실장되었다.
다른 진검소녀들과는 달리 특정 한 자루의 검이 아니라 무라마사 도파의 검 전반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제작 시에 보통은 요도소녀를 제작할 때 필요한 타마하가네 식을 필요로 한다.
이름인 '센코'는 도공 무라마사의 별칭인 '센고 무라마사(千子村正)'를 변형시킨 결과.
오의는 '켄논켄(剣呑剣).' 에리어 내 적군 전체에게 큰 대미지를 준다.
  • 사미다레 고우(五月雨ごう) (CV: 佐藤春菜)
모티브가 된 도검은 사미다레고우(五月雨江).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3개.
성실하고 집중력 강한 천연 속성의 진검소녀. 늘 우산을 들고 다니는데 이는 '사미다레'(오월비)라는 이름에서 온 속성이다. 2016년 2월 5일에 실장된 이후 2월 12일까지 저택 및 마을 에리어에 비가 내리는 이펙트가 적용되는데, 비를 부르는 여자(雨女) 속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오의는 '아메츠부테(雨礫).' 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중간 정도의 대미지를 준다.

2.4.5 타치/태도(太刀)

차지하는 칸 수는 2*2칸.

  • 아키쿠사 유키(秋草ゆき) (CV : 山勢 亜希子)
모티브가 된 도검은 '아키쿠사몬 흑칠태도(秋草文黒漆太刀).'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1개.
신장 167cm. 가는 체격이며 쿨하고 담백한 인상의 소유자. 그러나 관심이 있는 것에는 매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이는 호감도를 높였을 때 보여주는 데레데레한 표정에서도 드러난다.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여심과 가을하늘(女心と秋の空)'을 모티브로 한 성격이라고 한다.
이름인 '유키'는 제작자인 '분고노 쿠니유키히라'에서 나왔다.
오의는 '추월야(秋月夜)[27].' 에리어 안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입힌다.
  • 이치몬지 니치코(一文字にちこ) (CV: 藤田夕希)
모티브가 된 도검은 닛코우 이치몬지(日光一文字).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3개.
엄격한 가정에서 자랐지만 본인은 매우 자유분방한 모습을 보인다. 사실은 아이돌 지망생이라고.
이름인 '니치코'는 '닛코우'를 다르게 읽은 것.
오의는 '찬찬천도(燦々天道).' 에리어 안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주고 자신의 공격력을 상승시킨다. 후방지원 시에는 공격력 상승 효과는 없어진다.
  • 이치몬지 메즈루(一文字めづる) (CV: 片平 愛理)
모티브가 된 도검은 히메즈루 이치몬지(姫鶴一文字).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1개.
슬픈 분위기를 띤 히메컷 소녀. 다소 독점욕과 질투심이 강한 면모도 있다. 입수 시부터 플레이어에게 "주인님이 죽을 때에는 저도 함께에요"라고 말하는 등 적극적인 면모를 보인다. 1인칭은 히메(姫). 신장 161cm.
플레이어를 '오야카타사마(お館様)'라고 부르며 무척 애정을 드러낸다. 히메즈루 이치몬지가 주인이었던 우에스기 겐신을 여러 재액에서 지켜주었다는 설화에서 유래한 속성. 다만 신켄 공식 4컷만화 극장에서는 플레이어에게 연서를 한가득 쓰는 바람에 그 연서가 후구루마오우히[28]를 불러버리기도 했다.
오의는 '누바타마가라미(ぬばたま搦み).' 일정 시간 동안 에리어 안의 적의 움직임을 멈춘다. 보스전에서 매우 쓸만한 기술. 같은 효과의 오의를 지닌 아타키가 별 4개 레어도라 입수가 곤란한 데 비해 메즈루는 레어도가 낮아 입수가 쉽기에 매우 쓸만하다.
  • 오오덴타 미츠요(大典田みつよ) (CV: 福圓 美里)
모티브가 된 도검은 천하오검 중 한 자루인 오오텐타 미츠요.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5개. 이 게임에서 천하오검은 모두 최고 레어도인 별 5개를 자랑한다.
145cm의 단신 속성이지만 매우 화려한 복장 때문에 눈에 확 들어온다. 혈기왕성하고 다소 불량끼가 있는 성격인데 이는 오오텐타 미츠요의 전 주인인 마에다 토시이에에서 유래하였다.
장래희망은 변호사라고.
오의는 '토요이부키(豊息吹).' 아군 전체의 기력을 회복시킨다. 오오텐타 미츠요가 병을 낫게 했다는 설화에서 비롯된 오의.
  • 카게미츠 류우코(景光りゅうこ) (CV: 石岡 絵美)
모티브가 된 도검은 코류 카게미츠(小龍景光).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3개.
불량해 보이는 외관과는 달리 상냥한 성격을 지닌 진검소녀.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이러한 성격은 코류 카게미츠의 주인이었던 쿠스노키 마사시게에서 유래했다.
설정상 다른 소녀들의 성장을 뒤에서 지켜보는 언니 타입이라고 한다. 신장은 173cm. 이름인 '류우코'는 '코류こりゅう'의 글자 순서를 바꾼 것.
진검과는 별도로 목도를 들고 있는데, 희한한 것은 오의를 쓸 때를 제외하면 진검 놔두고 목도를 휘두른다(…). 일러스트레이터 코멘트에 따르면 류우코의 제복은 본인이 직접 바느질해 개조한 것.
오의는 '노조키류(のぞき龍).' 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가한다. 다른 이들을 뒤에서 지켜보는 타입이기 때문인지 후방지원 시에 오의의 위력이 더 강해진다. (전방에 세웠을 때에는 대미지(소)를 가하나 후방지원 시 대미지(중)을 가한다.)
  • 키츠네가사키 킷카(狐ケ崎きっか) (CV: 安達 めぐみ)
모티브가 된 도검은 키츠네가사키(狐ヶ崎).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2개.
진지한 성격의 안경소녀로, 늘 주위에 신경쓰고 있으며 수련을 게을리하지 않는 진지한 성격. 타인에게 엄격하다는 평가를 자주 들으며, 치장에는 영 소질이 없다고 한다. 이는 키츠네가사키 자체가 장식이 별로 없는 검인 데에서 나온 것. 신장 158cm.
이름인 '킷카'는 키츠네가사키의 주인인 가마쿠라 시대의 무사 '킷카와 토모카네(吉川友兼)'에서 유래했다.
오의는 '조상양단(俎上両断).' 적 1체에게 큰 대미지를 준다. 이름에 여우(=키츠네)가 들어간 것 때문인지 오의를 사용할 때에는 불꽃이 여우귀+여우 꼬리 모양으로 일어난다. 그런데 왜 물속성이지
  • 케누키 코지시(毛抜こじし) (CV: 이치노세 루루)
모티브가 된 도검은 '이카케지시시몬 케누키가타타치(沃懸地獅子文毛抜形太刀).' 이름 한번 길다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2개.
폭신폭신한 머릿결과 꼬리를 갖고 있으며 늘 '시시시' 하고 웃는 소녀. 모티브가 된 도검의 칼집에 사자가 그려져 있는 데에서 유래했다. 겁이 없으며 싸움을 좋아한다. 신장 145cm.
코지시의 제복은 케누키 라덴의 제복과 한 세트. 두 도검이 모두 카스가 신사에 봉납되어 있어 이렇게 디자인되었다고 한다.
오의명은 '사자분(獅子奔).' 가로 직선상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준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킨지라덴 케누키가타타치(金地螺鈿毛抜形太刀).'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2개.
이름이 '라덴(=나선)'이라 그런지 매우 커다란 드릴머리의 소유자. 일견 쌀쌀맞아 보이는 기본 표정과는 달리 의외로 단독행동을 꺼려하며 매우 겸손한 성격이다. 나서기 힘들어하는 성격은 모티브가 된 도검이 실제로는 이미 도신이 녹슬어 버려 칼집에서 뽑을 수 없게 된 점에서 유래했다. 신장 148cm.
공식 4컷만화 극장에 따르면 방향치 속성 보유자. 덕분에 같이 갔던 코우즈를 한껏 고생시켰다. 본인도 이 사실을 잘 알고 있어서, 단독행동을 시키면 극단적으로 여유가 없어진다.
오의명은 '나선관음(螺旋観音).' 공격을 가할 때마다 위력이 1.618배 증가한다. 총 4회 공격까지 상승한다. 후방지원 시 효과 없음. 오의를 쓸 때 고양이가 등장하는데 이는 모델이 된 검의 칼집에 참새를 쫓는 고양이가 그려져있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 사모지 코유키(左文字こゆき) (CV: 七星 舞)
모티브가 된 도검은 코우세츠 사몬지.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2개.
사모지 자매 중 막내. 밝고 떠들기 좋아하는 소녀로, 붙임성이 좋다. 한편으로는 외로움쟁이인 면도 있다고. 붙임성 좋은 성격은 코우세츠 사몬지의 주인인 이타베오카 코우세츠사이가 여러 진영 간의 화해 교섭에 힘쓴 데에서 나왔다.
신장 169cm. 설정상 하카타벤 사용자.
이름인 코유키는 '코우세츠'를 다르게 읽은 것.
오의명은 '포설붕(泡雪崩).' 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준다.
  • 시시오 야토리(獅子王やとり) (CV: 아베 코코로)
모티브가 된 도검은 시시오.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1개.
온화한 성격 그 자체인 진검소녀. 늘 졸린 듯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베개를 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잠꾸러기 속성. 심지어 오의도 일정 시간 동안 잠드는 모션이 있다. 험한 일을 거의 겪은 적 없는 '상자 속 아가씨(箱入り娘, 마냥 곱게 자란 아가씨를 일컫는 말).'
이름인 야토리는 누에를 뜻하는 한자인 鵺를 '夜鳥'로 파자하여 읽은 것.[29] 신장 164cm.
오의는 '네무리란시시(眠り乱獅子).' 일정 시간 동안 잠들어 유닛으로서 효과를 발휘하지 않게 되는 대신, 잠에서 깨면 능력이 대폭 상승한다. 능력의 상승폭이 엄청나고 지속시간도 길며 발동 후 휴식상태로 두면 지속시간이 줄지 않아서 요도소녀의 난입이 예상되는 곳에서 보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일정 시간 동안 아예 적에게 인식이 되지 않아 적을 막을 수 없는 만큼 다른 진검소녀와 함께 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천하오검 중 하나인 쥬즈마루 츠네츠구(数珠丸恒次).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5개.
언제나 자신이 옳다고 믿으며 신앙심 깊은 아가씨. 그런데 인상이 매우 어둡다(…). 안광이 없는 동태눈 속성에 스태프 코멘트에 따르면 얀데레를 초월한 새로운 경지의 캐릭터를 노렸다고(…). 신장 174cm.
오의는 '구원가람(久遠伽藍).' 적 전체에게 큰 대미지를 입히는 매우 강력한 기술. 대신 후방지원으로 쓸 수 없다.
  • 츠루마루 쿠니에(鶴丸くにえ) (CV: 新井 歩)
모티브가 된 도검은 츠루마루 쿠니나가. 속성은 토. 레어도는 별 4개.
머리카락이 학의 날개 모양으로 길게 늘어진 우아한 인상의 아가씨. '보시면 안 돼요...'가 입버릇으로 이것저것 숨기는 게 많은 모양. 그래도 성격은 치유계에 가깝다. 신장 168cm에 전체적으로 가는 몸매의 소유자.
머리카락 날개(?)의 한쪽에 맨 붕대나 '보시면 안 돼요'라는 대사 등은 일본 동화인 학의 은혜갚기에서 유래했다. 이름인 '쿠니에'는 '쿠니나가'를 다르게 읽은 것.
이치고와 함께 공식 캐릭터북의 표지를 장식했다.
오의는 '센바오리(千羽織り).' 에리어 내의 아군 전체의 기력을 회복시킨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천하오검 중 한 자루인 도지기리 야스츠나.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5개.
트윈테일 속성으로, 강함에 매우 집착하며 스스로를 '천하무쌍'이라 칭한다. 스탠딩 일러스트도 지휘관을 연상시키는 당당한 이미지. 츤데레 속성 보유. 키는 155cm.
이름인 '라이코'는 전 주인인 미나모토노 요리미츠의 이름을 다르게 읽은 것.
오의는 '신변귀독(神便鬼毒).'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큰 대미지를 가하고 아군 전체의 능력치를 올려주는, 그야말로 별 5개 레어도에 걸맞는 오의. 다만 쥬즈마루와 마찬가지로 후방지원으로는 쓸 수 없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이치고히토후리.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4개.
실눈 속성. 온갖 일에 매우 적극적인지라 가끔 주위로부터 '짜증난다'는 평판을 사기도 하는 모양이다(…). 설정상 175cm의 장신.[30] 평소에 등을 둥글게 숙이고 다니기 때문에 실제 키보다는 작아 보인다고 한다.
쿠니에와 함께 공식 캐릭터북의 앞표지를 장식했다.
오의는 '일기일회(一期一会).' 적 1체에게 큰 대미지를 준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천하오검 중 한 자루인 미카즈키 무네치카.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5개.
미카즈키(=초승달)라는 이름답게 머리에 초승달 장식을 달고 있는 쿨뷰티 속성의 진검소녀. 모티브가 된 미카즈키 무네치카가 천하오검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다는 평판을 얻고 있어서인지 전체적으로 우아한 인상이다. 성우도 화려하다 신장 173cm.
늘 한걸음 물러서서 만사를 관조하는 성격. 어째서인지 신발이 자주 없어져 버리기 때문에 늘 샌달을 신고 있다.
오의는 '기라미진(綺羅微塵).' 가로 직선상의 적 전체에게 큰 대미지를 주고 자신의 능력치를 상승시킨다.
  • 류몬 노부요(龍門のぶよ) (CV: 사토 마이)
모티브가 된 도검은 류몬 노부요시(龍門延吉).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3개.
선경(신선이 사는 곳)에서 태어나 그 자신도 신선의 술법을 쓸 줄 아는 소녀. 그러나 게임 내 설명에 따르면 지나치게 자기를 뽐내는 성격 때문에 신선술이 완전치 않다고 한다.
오의는 '우화등선(羽化登仙).' 가로 직전상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준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천하오검 중 하나인 오니마루 쿠니츠나.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5개.
장난치는 것을 무척 좋아하고 누가 자기에게 관심을 가져주지 않으면 바로 짜증을 내는 제멋대로 타입의 진검소녀. 체구도 133cm로 작은 편이다. 그러나 역시 천하오검 중 하나인지라 외관과는 어울리지 않는 강한 실력을 갖고 있다. 1인칭은 '와시.'
정수리에 마치 뭔가를 얹어놓은 듯 머리를 돌돌 말아 얹고 있는데(...) 그 속에 뭐가 있는지는 절대 비밀. 오니마루라는 이름 때문인지 그 머리 속에 오니의 뿔을 숨기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소문이 돌고 있다.
천하오검 진검소녀들 중에서는 제일 나중에 실장되었다.
오의는 '재액 떨구기(禍角落とし).' 적 1체에게 극대(極大) 대미지를 가한다.
모티브가 된 도검은 노부후사사쿠(信房作). 속성은 목. 레어도는.별 4개.
타인을 잘 따르고 순종적이며 친절한 진검소녀. 충의가 두텁고 책임감도 강하다.
이름인 코마키는 노부후사사쿠의 주인이었던 사카이 타다츠구가 활약한 전투 중 하나인 '코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유래되었다. (사카이 타다츠구는 이 전투에서 공을 세워 포상으로 노부후사사쿠를 하사받았다.)
오의는.'난구발호(乱狗跋扈).' 적 1체에게 중간 정도의 대미지를 주는 공격을 3회 반복한다.
  • 사네미츠 시타라(真光したら) (CV: 田端 皆美)
모티브가 된 도검은 사카이 타다츠구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하사받은 '도공명 사네미츠의 타치.'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4개.
치어리더풍의 진검소녀. '참전해 주니 감사하라'고 말하는 등 고압적인 태도를 취하지만, 의외로 외로움쟁이 속성도 갖추고 있다.
이름인 '시타라'는 사카이 타다츠구가 '도공명 사네미츠의 타치'를 하사받게 된 계기인 '나가시노-시타라가하라(長篠・設楽原) 전투(통칭 나가시노 전투)'에서 유래했다.
오의는 '치카라코부(力鼓舞).' 에리어 내의 아군 전체의 능력치를 상승시킨다.
  • 쿠니유키 아카시(国行あかし) (CV: 成田沙季)
모티브가 된 도검은 아카시 쿠니유키.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3개.
곧잘 싸우려 드는 기질의 진검소녀. 사투리 속성 캐릭터인데 이는 아카시 쿠니유키가 오늘날의 교토 일부에 해당하는 야마시로 국에서 제작된 데에서 유래한다.
허리에 '타카시'라는 이름의 문어 마스코트를 달고 있다. 아카시 지역이 문어로 유명한 데에서 유래. 머리 모양도 문어를 닮았다
오의는 '팔비현현(八臂顕現).' 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중간 정도의 대미지를 준다.
  • 오오카네히라 나가메(大包平ながめ) (CV: 竹下 礼奈)
모티브가 된 도검은 오오카네히라.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5개.
언제나 여유를 잃지 않는 상냥한 진검소녀. 2월 26일 업데이트로 선행추가되어, 2월 26일부터 3월 11일까지 기간 한정으로 영입할 수 있다. 별 5개답게 더럽게 안나온다 그 이후에도 따로 풀릴 수는 있을 것이라고.
이름인 '나가메'는 오오카네히라의 '나가메이(長銘[31])'가 일부 깎여나가 있는 데에서 유래했다.
부가효과로 전선에 내세울 경우 '거울 조각'을 보다 많이 획득할 수 있다.
오의는 '오오히라츠츠미(大平包)'. 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큰 대미지를 주고 아군의 능력치를 상승시킨다. 후방지원 시 효과없음.
  • 코가라스 모로하(小烏もろは) (CV: 川端 しおり )
모티브가 된 도검은 코가라스마루[32].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5개.
밝은 성격의 진검소녀. 가끔 진짜인기 거짓인지 알 수 없는 말을 할 때가 있다. 코가라스(작은 까마귀)라는 이름 때문인지 빛나는 물건을 모으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코가라스마루는 여타 일본도와 달리 시노기가 칼날의 중앙에 위치하여 양날검(='모로하')처럼 보이는데, 이에서 캐릭터의 이름이 유래했다.
특수효과로 전선에 내세울 경우 거울 조각을 보다 많이 획득할 수 있다.
오의는 '우바타마시(烏羽騙)'. 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중간 정도의 대미지를 주고 아군 전체에게 오는 공격을 일정 시간 무효화시킨다. 후방지원 시 효과 없음.

2.4.6 오오타치/대태도(大太刀)

차지하는 칸 수는 3*2칸. 대체로 강력하고 레어도도 높지만 제일 넓은 면적을 차지하다 보니 그만큼 사용에도 제약이 따른다. 소모 열량도 높은 편.

  • 카시와 아야메(柏あやめ) (CV: 曽山友花里)
모티브가 된 도검은 카시와다치(柏太刀). 속성은 목. 레어도는 별 3개.
지는 것을 싫어하는 성격의 진검소녀. 기운이 넘치고, 공식 설정상으로 성격이 남자 같다고 한다. 1인칭은 '오이라.' 신장 165cm. 이름인 아야메(붓꽃 또는 창포)는 카시와다치가 단오에 봉납된 데에서 왔다.
같은 오오타치인 다이야나 후타라와는 옷이 닮아있는데, 이는 세 자루의 오오타치가 전부 같은 신사에 봉납되어 있는 데에서 나온 것.
오의명은 '여천하(女天下).' 에리어 안의 아군 전체의 방어력을 상승시킨다.
  • 세노보리 다이야(瀬登だいや) (CV: 岡山 芽唯美)
모티브가 된 도검은 신검 세노보리노타치(瀬登太刀).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3개.
미모와 품격을 겸비한 장발의 진검소녀. 침착한 성격으로, 좋은 집안 출신이라 윗사람처럼 말하는 것이 몸에 배여 있다. 신장 160cm.
이름인 '다이야'의 유래는 '닛코다이야가와(日光大谷川).'
오의는 '조진파(潮津波).' 가로 직선상의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준다.
  • 네네키리 후타라(祢々切ふたら) (CV: 호리카와 사츠키)
모티브가 된 도검은 네네키리마루(祢々切丸).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3개.
네네키미라루부터가 전체 길이 3.4m에 달하는 무지막지한 크기이다 보니 후타라 역시 195cm의 장신이다. 그런데도 들고 있는 네네키리마루는 유달리 길어 보이는 게 함정. 여담으로 네네키리마루는 무게만 22.5kg에 달하는지라 여고생이 들고 휘두르기엔 여러모로 무리가 있다.
이름인 '후타라'는 네네키리마루가 봉납된 후타라 산(二荒山)에서 유래. 이 산의 신사에는 네네키리마루 외에도 카시와다치와 세노보리노다치도 함께 봉납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셋의 복장은 세트.
오의는 '견적필살(見敵必殺).' 에리어 내의 아군과 적 전체에게 대미지를 가한다. 팀킬
  • 호타루마루 아소(蛍丸あそ) (CV: 芹山 結衣)
모티브가 된 도검은 호타루마루. 속성은 수. 레어도는 별 4개.
귀엽고도 덧없어 보이는 외모의 소유자라는 설정. 하지만 그와 별개로 어떤 역경에도 포기하지 않는 강함을 지녔다.
빈곤한 생활을 보냈기 때문에 절약 정신이 투철하며, 과자나 주스 등의 단것을 무척 좋아한다.
이름인 '아소'는 호타루마루가 봉납되어 있었던 아소 신사에서 유래했다.
오의는 '차윤취형(車胤聚蛍).' 에리어 내의 아군 전체의 기력을 회복시킨다. 호타루마루가 손상되었을 때 반딧불이들이 모여들어 고쳐 주었다는 설화에서 유래한 능력.

2.4.7 직도(直刀)

차지하는 칸 수는 2*1칸. 2016년 1월 22일 시점에서는 한 명밖에 없다.
직도는 말 그대로 곧은 형태의 칼로, 휜 형태가 특징인 일본도의 정형이 잡히기 이전 시대에 만들어진 물건이다. 이 때문에 '카타나'로 불리는 일본도에는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시치세이 토미미(七星とみみ) (CV: 이츠키)
모티브가 된 도검은 쇼토쿠 태자가 지녔었다고 전해지는 직도인 칠성검(七星剣). 속성은 금. 레어도는 별 4개.
점술과 소문을 좋아하는 진검소녀. 유행을 쫓는 것만이 아니라, 오랜 역사를 지닌 물건도 소중히 여기는 성격의 소유자. 자신의 이름을 1인칭으로 사용한다.
2015년 가을 이벤트의 보상 진검소녀로 등장했다. 드랍 아이템인 십자가를 7천 개를 모아야 얻을 수 있었다.
오의는 '북두주상(北斗奏上).' 에리어 안의 아군의 능력치를 상승시킨다. 능력치가 상승해 있는 시간이 극도로 짧은 대신 상승폭이 무려 5배다. 덕분에 보스몹이나 요도소녀를 상대할 때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서포트 캐릭터.

2.4.8 검(剣)

2016년 1월 현재 검의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진검소녀는 모티브가 일본도 이외인 검이다.

  • 플랑베르주 몽토방(Flamberge Montauban) (CV: 秦 佐和子)
모티브가 된 도검은 샤를마뉴의 12기사 중 한 명인 르노 드 몽토방이 사용했다는 검 플랑베르주. 속성은 화. 레어도는 별 5개.
2015년 12월에 추가된 스테이지 용궁동에서 얼굴을 비춘 캐릭터. 서양의 검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이니만큼 프랑스에서 찾아온 캐릭터로 설정되어 있다.
플랑베르주가 날이 물결치는 형태의 검인 것을 반영하여 곱슬머리 속성. 캐릭터의 성인 몽토방은 플랑베르주를 사용했다는 전설상의 인물 르노 드 몽토방에서 따왔다. 그런데 어째서인지 칸사이벤을 사용한다(…). 게다가 설정상 밀입국했다고(…).
요도소녀를 '요도 무라마사'를 뜻하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 전방에 배치하면 요도소녀의 출현 확률이 올라가는 부수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배치 시 차지하는 칸은 대태도와 같은 3*2칸.
오의는 플랑보얀(flamboyan). 에리어 내의 적 전체에게 큰 대미지를 준다. 단 후방지원 시 오의가 효과를 발휘하지 않는다.

3 요도소녀(妖刀少女)/요도귀녀(妖刀鬼女)

쉽게 말하면 진검소녀의 흑화 버전. 요도소녀와 요도귀녀는 정확히는 서로 다르지만, 일단 개념이 비슷하므로 합쳐 기술한다.
일러스트는 붉은 빛을 띠며, 대사도 하나같이 흉흉하다. "인간 따위 죽어버려", "지옥에 떨어지세요" 등의 대사를 마구 쏘아대는 무서운 면모를 보인다.

요도소녀는 진검소녀가 요도화한 버전으로, 진검소녀의 일러스트가 붉은빛으로 바뀌어 있다. 몇몇 요도소녀의 대사로 보아 더 이상 인간이 아닌 요괴로 취급되는 듯. 크게 3가지 루트로 입수할 수 있다.

  • 진검소녀의 호감도를 0%로 낮춘 상태에서 출진시키면 해당 진검소녀가 일정 확률로 요도소녀로 바뀐다.
  • 도검을 제작할 때 타마하가네 식(蝕)을 1개라도 섞어 제작하면 요도소녀가 제작된다.
  • 몇몇 맵에 랜덤으로 출현하는 요도소녀와 싸워 패배시키면 해당 요도소녀를 포획할 수 있다. 묘사는 사슬로 얽어 잡는 모습인데, 이 때 요도소녀들이 말하는 대사도 하나같이 '복수하겠다', '붙잡아도 소용없다' 등 적대적이다.

요도귀녀는 요괴들의 정점에 서 있는 '요사스럽고 흉흉한 존재'. 요도소녀보다도 정신이 깊이 침식된 존재로 묘사된다. 요도소녀와는 달리 일러스트가 완전히 새로 그려졌으며 오의명도 진검소녀일 때와 전혀 다르다. 외관은 오니의 뿔이 돋아있는 등 완전히 요괴의 모습. 입고 있는 옷도 흰 기모노, 그것도 오른쪽 옷깃을 위로 가게 입고 있다.[33]
한정된 맵에서 출현한 이들과 싸워 패배시키면 사로잡을 수 있으나, 요도소녀와는 달리 도망칠 수도 있다(쓰러뜨려도 '도망쳤다'는 메시지가 뜨며 들어오지 않는다). 2016년 4월 '수라의 선율' 이벤트로 등장한 임무보상 아이템인 '긴박 사슬'을 사용하여 포획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요도소녀/요도귀녀는 사로잡으면 전투에 투입할 수 있고 시험베기도 시킬 수 있다. 단 임무에는 동원할 수 없으며, 봉납으로 능력치를 올릴 수도 없다.
요도소녀/요도귀녀는 능력치가 높은 편이며 몇몇 요도소녀는 오의의 종류도 달라진다(대부분 공격형으로). 그러나 이들을 부대에 편성시키면 다른 진검소녀들의 키레아지가 빨리 저하되며(특히 요도귀녀를 편성시키면 극심하게 저하된다), 무엇보다 이들은 배신 가능성이 있다. 배신한다고 부대에서 사라지거나 하지는 않지만 전투 중에 갑자기 적군으로 돌아서서 공격해온다.

요도소녀/요도귀녀를 도검제작 란에서 제정신으로 되돌리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열량을 소모하며 요도귀녀의 경우 타마하가네도 투입해야 한다.

모든 진검소녀에게 요도귀녀 모습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2016년 4월 시점에서 등장한 요도귀녀는 6명(아소, 아타키, 쿠니에, 킷카, 칸나,쿠니요),

  • 킷카 : 5지역(이즈모 대사)에서 확률적으로 출현. (제작 가능)
  • 쿠니에 : 용궁동 1번째 에리어에서 확률적으로 출현.
  • 칸나 : 용궁동 6번째 에리어에서 확률적으로 출현.
  • 아소 : '우로우지마 상륙 작전' 이벤트에서 등장. (제작 가능)
  • 아타키 : '이경십자로' 이벤트에서 등장. (제작 가능)
  • 쿠니요 : '수라의 선율' 이벤트에서 등장.

4 NPC

4.1 야에가키 이치코(八重垣いちこ)

성우는 미요시와 같은 야마모토 모미지.
튜토리얼에서 플레이어에게 게임을 안내해 주는 NPC로, 이후에는 퀘스트에 해당하는 '사명' 칸에 들어갈 때마다 마주할 수 있다.

흰 제복을 입고 있는 보라색 머리의 여성으로, 플레이어가 오기 전까지 진검소녀들을 지휘하고 있었다. 진검소녀들에게는 "야에가키 사령(司令)"이라 불린다.

4.2 오쿠라 봇코(御蔵ぼっこ)

성우는 아베 코코로(阿部 心).
과금샵에 해당하는 '만물상(万屋)'에서 볼 수 있는 분홍 머리의 어린 소녀. 이벤트의 회화를 보면 타마하가네의 감정이 특기인 듯하다.
NPC이지만 계속 내버려두면 방치 대사도 있고 이런저런 대사를 들을 수 있다.

4.3 히노카구츠치(火之迦具土)

성우는 나카데 쥰나(中出純奈).
튜토리얼에서 등장한 이후 도검제작 시 얼굴을 비추는 NPC. 외관상 성별은 잘 알 수 없었지만 공식 가이드북에서 '그녀'라고 지칭되어 여성인 것이 밝혀졌다. 통칭 츳치(ツッチー).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불의 신인 히노카구츠치에서 유래한 캐릭터.
화면 전환 시 뜨는 로딩 화면에서 신켄 토막지식을 전달한다. 신켄!!/토막지식 일람 참조.

5 그외 언급된 미실장 캐릭터

6 츠쿠모(憑喪)

이 게임의 적. 어느 날 갑자기 떨어져내린 운석 집단 '오오텐구(大天狗)'의 조각에서 태어난 수수께끼의 생명체이다. 오오텐구로 인해 황폐해진 땅에 나타나 에너지란 에너지는 전부 흡수하여 사람들의 생명까지도 위협하기 시작한 인류의 적이다.
츠쿠모가 (전기를 포함한) 에너지를 전부 빨아먹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문명은 전기 없이 목조 건축 위주로 버티고 있다.

등장하는 츠쿠모는 크게 다음과 같다. 이름은 일본 신화의 요괴에서 따온 것이 많으며, 생김새는 기존 문명에서 사용되던 물건들이 츠쿠모가미화한 것처럼 보인다.

  • 오오카부로(大禿, おおかぶろ) : 머리털로 바닥을 기어다니는 해골 모양의 츠쿠모.[34]
  • 이츠마데(以津真天, いつまで) : 뻐꾸기 시계가 변화한 듯한 츠쿠모. 새처럼 날아다닌다.[35]
  • 잇폰다다라(一本踏鞴, いっぽんだたら) : 우체통이 변화한 듯한 외다리 외눈 츠쿠모.[36]
  • 사카바시라(逆柱, さかばしら) : 기둥이 변화한 듯한 츠쿠모. 땅 속으로 사라졌다가 솟아오르는 형태로 나타난다.[37]
  • 코로우카(古籠火, ころうか) : 전기 간판이 변화한 듯한 츠쿠모. 날아다닌다. [38]
  • 누리카베(塗壁)
  • 규키(牛鬼)
  • 후구루마오우히(文車王妃) : 편지나 연서를 좋아하는 요괴. 책이 한가득 합쳐져 4족보행 괴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츠쿠모이다.
  • 누리보토케(塗仏)
  • 토우다이키(灯台鬼)
  • 츠치구모(土蜘蛛)
  • 와뉴도(輪入道)
  • 쿄우린린(経凛々)
  • 텐구(天狗)
  • 후루츠바키(古椿)
  • 노부스마(野衾)
  • 노즈치(野槌)
  • 오토로시(おとろし)
  • 키하츠(鬼髪)
  • 오보로구루마(朧車)
  • 아오안돈(青行灯)
  • 코토후루누시(琴古主)
  1. 모티브가 된 도검은 사몬지 도파이다.
  2. 도검명의 어감상 여자아이의 이름으로 쓰기엔 어려운 것들도 있다. 그 경우에는 독음을 다르게 하거나 원 주인의 이름에서 몇 글자를 차용해오는 등 이름을 조금 바꾸어 사용.
  3. 오노노 코마치의 와카인 花の色は うつりにけりな いたづらに 我身世にふるながめせしまに(꽃잎은 빛이 바래 버렸구나 덧없이 장마가 져서 감상할 겨를도 없던 동안에)에서 따 온 구절.
  4. 츄죠히메는 하룻밤 만에 가로세로 약 4m에 달하는 타이마 만다라를 짜냈다는 전설이 있다.
  5. IOSYS에서 동방 프로젝트의 어레인지 앨범 노래에 참여하기도 했다.
  6. 도검난무의 사요 사몬지가 사몬지 형제 중 막내인 것과는 대조적. 그쪽은 검종을 중심으로 형제를 매기는 경향이 있는데, 이쪽은 무엇을 기준으로 한 것인지 불명. 제작 시기를 기준으로 삼았다는 설이 있으나, 실제로 사몬지 도파의 도검들 중 무엇이 먼저 만들어졌는지는 설이 분분하다.
  7. '휴우가 마사무네'라는 이름의 유래. 카치나리의 관직명이 종 4위인 '휴우가노카미(日向守)'였다.
  8. 다만 실제 아츠시 토시로는 당연히(...) 와키자시급으로 길지는 않다. 단도 중에서는 큰 편이지만.
  9. 닛카리 아오에가 석등이 둔갑한 여자 유령을 베었다는 설화에서 유래했다.
  10. 모노요시 사다무네의 소유자였던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나고야 근교의 오카자키를 세력 기반지로 두고 있었다. 또한 이에야스 사후 모노요시의 주인이 된 도쿠가와 요시나오는 나고야 성을 세운 사람이다.
  11. 직역하면 '메기 꼬리.' 나마즈오 토시로의 칼날이 메기 꼬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12. 일본의 민간전승에서는 땅 속의 거대한 메기가 꿈틀거려 지진이 일어난다는 이야기가 있다.
  13. 아이젠 쿠니토시를 만든 니지 쿠니토시의 작품
  14. 사사키 가에서 칸나기리를 본 주인인 카타다 마타고로에게서 빼앗아갓는데, 이후 사사키 가의 당주가 원인불명의 병으로 쓰러졌다. 칸나기리의 저주라는 점괘가 나와, 저주를 풀기 위해 일족 중 한 명을 땅에 매장(...)하면서 칸나기리를 절에 봉납하자 병이 나았다는 설화.
  15. 오사후네 스케사다가 만든 우치가타나로, 쿠로다 칸베에가 소유했던 명도.
  16. 호소카와 타다오키가 36명의 가신의 목을 쳤다는 일화. 이 때 사용한 칼에 36명의 유명 시인을 뜻하는 '36가선(=카센)'에서 이름을 따 와 '카센 카네사다'라고 명명했다.
  17. '다이야'는 철도의 시간표를 뜻하는 다이어의 일본식 표기다.
  18. 담당 일러스트레이터 왈, '수박 두 개를 붙인 듯한 가슴.'
  19. 일본 설화에서 너구리는 거근(정확히는 타마가 큰 것)으로 묘사된다. 이걸 거유 속성으로 치환한 듯.
  20. 원문은 'あがり症(특별히 몸에 이상이 없는데도 심장이 쿵쿵 뛰거나 식은땀을 흘리는 증상)
  21. 다케다 신겐의 가신. 츠가루 마사무네는 이 사람의 이름에서 따와 '죠우이즈미 마사무네(城和泉正宗)'라고도 불린다.
  22. 다만 '도다누키 마사쿠니'는 정확히는 도다누키 도파의 도공 마사쿠니가 만든 검 전부를 일컫는 말이라 실제로는 태도, 타도 등 여러가지가 남아있다.
  23. 도다누키 마사쿠니는 철저히 실전용으로 만들어진 도검이라 성능은 좋았지만 미적으로는 그다지 평가가 좋지 못했다.
  24. 사슴뿔 장식이 달린 투구를 쓰고, 자신이 죽인 자들의 넋을 기리기 위한 염주를 두르고 다녔다고 한다.
  25. 다만 나키기츠네가 만들어진 가마쿠라 시대에는 와키자시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우치가타나로 분류된다(와키자시는 무로마치 시대 후반부터 사용되었다).
  26. 무라마사는 '도쿠가와 가를 저주하는 검'이라는 전설이 붙어 있었으며 여기서 파생되어 온갖 요도 전설이 창작되기까지 했다. 무라마사 항목 참조.
  27. 아키쿠사몬 흑칠대도의 코시라에에서 따온 것. 이 검이 우에스기 가에 소장되어 있었을 때 가을 밤 풍경을 형상화한 코시라에가 만들어졌다.
  28. 편지나 연서를 좋아해 끌려드는 요괴다.
  29. 시시오는 수도에 나타난 요괴 누에를 퇴치한 공로로 내려받았다는 검이다.
  30. 재미있는 것은 모티브가 된 이치고히토후리는 소유자였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자기 키에 맞춘다고 갈아내어 도신을 줄여버린 적이 있다. 그게 무슨 소리요 도요토미관백!! 내가 줄어들다니!!
  31. 일본도가 제작된 지역, 제작자명, 제작시기 등을 새긴 것. 만든 도공의 이름이나 도파 정도만 새기는 '메이(銘)'보다 길다고 해서 이렇게 불린다. '쵸우메이'라도고 읽는다.
  32. 전승에 전해지는 코가라스마루는 헤이케의 보검과 겐지의 보검이 있는데 모로하는 헤이케의 보검 쪽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33. 기모노는 왼쪽 옷깃을 위로 올라가게 입으며, 오른쪽 옷깃이 위로 올라가는 것은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수의다. 인간으로서는 이미 죽었다는 의미라고도 볼 수 있다. 기모노 항목 참조.
  34. 오오카부로는 본래 '국화꽃 무늬 기모노를 걸친 단발머리의 사람 형태를 한 요괴이다.
  35. 설화 속 이츠마데는 얼굴은 인간, 몸은 뱀, 발톱은 검과 같은 모습을 한 크기 약 4.8m의 괴조라고 한다.
  36. 잇폰다다라는 일본 전설에 나오는 외다리 요괴로, 12월 20일에 쿠마노 지역(오늘날의 와카야마 현)의 산에 오르면 조우할 수 있다고 한다. 어째인지 우체부만은 공격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37. 사카바사라는 기둥을 거꾸로 세워서(뿌리였던 부분을 위로 가게 해서) 집을 지으면 나타난다는 요괴이다.
  38. 코로우카는 석등롱이 변화한 요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