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전상에서의 생사불명
행방불명과 동의어로, 특히 천재지변이나 대형 참사같은 큰 사고가 난 지역에서 해당 사람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 이런 용어가 쓰인다. 때문에 이렇게 처리된 희생자들의 경우 생존해있을 확률은 대단히 낮은 게 일반적. 본인의 사망 자체가 불확실한 경우도 있으며 이들 중 반수 이상은 불명이 된 시기를 생각해 봤을 때 현재는 분명 고인이 된지 오래일 것이다.
1.1 사례
- 프랑스에서 실종되었는데 암살되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법원에서도 실종선고를 하였다.
- 생사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가 마지막으로 탑승한 비행기의 잔해는 회수되었다.
- 기근으로 인해 식민지를 버리고 이주하여 인근 원주민 부족에 동화되었을 가능성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다만 현재는 어느 부족에 동화되었는 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 메리 셀러스트호의 승무원들
- 아르헨티나 더러운 전쟁의 실종자들
-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를 봐서는 독재정권에 의해 각종 방법으로 살해당하거나 바다로 버려졌을것이 확실시 된다.
- 아멜리아 에어하트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프랑스의 작가, 비행사)
- 지중해에서 그가 마지막으로 탔던 P-38기가 발견되었다. 정황상 독일군에게 격추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2011년 10월 20일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남벽에서 실종 된 후 2명의 대원과 함께 소식이 끊겼다. 이후 대한산악연맹을 중심으로 두 차례 구조대를 파견했지만 아무런 흔적을 찾지 못했다. 거대한 눈사태에 휘말려 5,600~5,700미터 빙하지대에 묻혔을 것이라고 추정한 뒤 수색을 중단했다.
- 본인이 도피한 상태에서 사망했다고 해서 장례식까지 치뤘다고 하지만 살아서 숨어있다는 설이 유력한데 중년은 됐으니 정말 죽었을지도 모르니 불확실한 상태.
- 호주 총리 재임 중 1967년 12월 17일 바다에서 수영하다가 영영 실종되었다. 공식적으로는 수영 중 사고사로 결론내려졌지만, 호주 해/공군의 정밀 수색에도 불구하고 시신이 발견되지 않아 모 강대국에게 납치되었다느니, 원래 모 강대국의 스파이였고 정체가 들통날 것 같자 본국으로 탈출한 것이었다느니, 상어에게 잡아먹혔다느니 하는 음모론이 난무했었다.
2 픽션상의 클리셰로서의 생사불명
픽션의 캐릭터가 이런 상태가 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다. 해당되는 악당 또는 조연이 주인공의 눈 앞에서 사망한 건 분명하지만 무너지는 구조물 효과로 인해 시체를 찾을 수가 없게 되어버려 '공식적으론' 생사불명 처리가 된 경우,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앞의 경우랑 비슷하지만 '정황적으로'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처리되었을 뿐 작중인물이 그 캐릭터의 죽음을 눈으로 확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1] 십중팔구 부활/속편 예고 플래그.
액션 영화/드라마에서 자주 쓰이는 기법을 예로 들어보면, 주인공이 악당하고 싸우다가 총을 쥔 주인공의 손에 총을 맞으면 악당은 자연스럽게 강에 빠진다. 그 후, 나중에 경찰 관계자들이 시체를 찾을려고하면 '시체가 없었습니다'하는 이야기를 전해주면서 찝찝하게 끝을 맺게 만드는 식이다.
이렇게 하면, 제작자 측에서 추후 해당 작품의 매출과 인기를 계산해서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을 경우, 자연스럽게 실종된 악당이 실은 잠깐동안의 공백기를 가지다가 다시 등장해서 주인공과 그 동료들의 뒤통수를 때린다! 같은 전개로 구렁이 담 넘어가듯 가야 할 때 시청자들을 사전에 납득시켜주는 장치가 되는 것이다.
밑의 캐릭터 목록을 추가할 때 주의할 점은, 무조건 사라졌다고 해서 넣지 말고 가급적 상식적으론 사망했을 가능성이 큰 케이스에 휘말리고 행방불명되었다/사망한 걸로 친다는 언급이 작중에서 확실히 나와야 해당되며, 당연히 시체 미발견 없이 그냥 죽고선 부활한 캐릭터는 해당되지 않는다.
마지막에는 결국 사망한 경우는 ★표를 붙인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2.1 이 결말을 맞은 캐릭터
- 검은방4 - 노멀엔딩에서 허강민
- 고우영 일지매 - 일지매
- 괭이갈매기 울 적에 - 우시로미야 에바를 제외한 우시로미야 일족 전원 + α
- 눈물을 마시는 새 - 케이건 드라카
- 더 울버린 - 모리 노부로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 케일럽 골드맨
- 듀라라라 - 오리하라 이자야
- 록맨 제로 4 - 제로
- 리그 오브 레전드 - 이렐리아의 오빠 '젤로스', 카사딘의 딸, 카타리나ㆍ카시오페아자매의 아버지 '뒤 쿠토 장군' 등 챔피언들의 혈육들
- 메이즈 러너 - 갤리
- 바이오하자드: 4D 엑시큐터 - 카메론
- 바이오하자드: 오퍼레이션 라쿤 시티 - 니콜라이 지노비에프
-
블리치 - 그림죠 재거잭[2] - 스타크래프트 - 마 사라 행정관
- 에이전트 오브 쉴드 - 캐서린 셰인, 토바이어스 포드, 도니 길, 프랭클린 홀, 카민스키
- 엑스맨: 최후의 전쟁 - 저거너트, 파이로, 애쉬, 아놀, 텔포드 포터/배니셔, 글롭 허먼, 코모도
- 엑스맨 탄생: 울버린 - 세이버투스, 데드풀
- 앤트맨 - 1대 와스프
- 워킹 데드 시즌1(게임) - 케니
- 워킹 데드 시즌2(게임) - 아르보
- 원피스 - 겟코 모리아
- 용자왕 가오가이가 파이널 - GGG 대원들과 솔다트 J 002[3]
- 제노니아 4 - 카엘[4]
- 카우보이 비밥 - 스파이크 스피겔
-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어벤져 - 레드 스컬, 몇몇 HYDRA에 해당하던 나치 조직원들과 현대의 생사불명이 처리된 몇몇 조직원들
- 퇴마록 - 장준후를 제외한 주연인물 전원
- 타르타로스 온라인 - 크로모도
- 피어 더 워킹데드 - 베사니 엑스너, 패트릭 트랜, 마리아 톰슨, 더글라스 톰슨, 앤드류 아담즈 상병
- 하프 라이프 2 -
행정관월리스 브린, 그리고리 신부 - D.Gray-man - 크로스 마리안
2.2 생사불명 처리가 된 뒤 살아돌아왔던 캐릭터
- 갓이터 - 아마미야 린도[5]
- 괭이갈매기 울 적에 - 우시로미야 배틀러, 샤논?[6]
- 기동전사 건담 AGE - 아세무 아스노
- 기동전사 건담 SEED - 키라 야마토, 무우 라 프라가
- 데드풀(영화) - 데드풀
- 데빌 메이 크라이 - 버질★
- 데스 큐어 - 갤리
- 드래곤 길들이기(소설) - 알빈[7]
- 록맨 X 시리즈 - 제로
- 명탐정 코난 - 아카이 슈이치
- 메탈기어 시리즈 - 빅 보스★, 솔리드 스네이크
- 바이오하자드 5 - 질 발렌타인
- 아테나:전쟁의 여신 - 손혁★
- 워킹 데드 시즌2(게임) - 케니★
- 울버린 3 - 세이버투스
- 유희왕GX - 마루후지 료
- 철권 - 미시마 헤이하치
- 타임 크라이시스 - 와일드 독★, 와일드 팽★
- 헤일로 시리즈 - 마스터 치프[8]
- 환영을 달리는 태양 - 시로카네 긴카
- D.Gray-man - 칸다 유우[9]
- G.I. Joe: 더 라이즈 오브 코브라 - 스톰 쉐도우
- ↑ 진짜로 죽긴 했지만 좀비/사이보그화 같은 게 되어 돌아왔다는 순억지 케이스도 많다.
- ↑ 천년혈전편에서 생존이 확인.
- ↑ GGG 요원들은 마모루와 카이도를 제외하면 붕괴하는 삼중련 태양계에서 탈출하지 못했다. 솔다트 J도 마찬가지.
- ↑ 1주차 한정. 2주차인 하드 모드에서는 생존.
- ↑ 작전중 행방불명 → 시체가 안나오자 결국 작전중 사망처리 → 사실 살아있었다 루트를 그대로 밟은 케이스
- ↑ 배틀러는 공식적으론 행방불명이고 자신도 자기 정체를 진심으로 부인하고 있으며, 샤논도 심증상으로는 같이 살아있는 것일 가능성이 있지만 정말 죽었다고 보는 게 일단 본편의 결말. 하치죠 토오야 항목 참조.
- ↑ 책 끝에 '그는 과연 죽었을까?' 같은 멘트가 나오고, 다음편, 혹은 다다음편에 반복해서 등장한다.
- ↑ 헤일로3 결말에서 우주공간에 표류중인 여명호 안에서 냉동수면 상태에 들어간 뒤 지구에서는 MIA 처리되지만, 속편인 헤일로 4에서 등장이 확정되었다.
- ↑ 마텔에서 사망플래그가 조용히 떴었으나, 아직까지는 회복능력이 따라줬는지 살아 돌아왔다. 교단에서도 그를 사망처리 했었다. 사실 칸다는 이제 교단이니 성전이니 더 이상 관련하지 않고 자유로운 몸으로 조용히 살 수있었을 텐데도 알렌을 노아로 각성시킨 후회(죄책감) 때문에 스스로 자기 의지로 교단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그는 두 번 다시 이노센스를 쥐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