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관
말 그대로 다른 노선의 철도와 연결되는 선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연결선로는 일반 간선철도보다는 도시철도 노선과 연결된 연결선로를 주로 설명한다.
2 존재하는 연결선로
- 신설동역 연결선로
- 서울 지하철 1호선 신설동역 - 동묘앞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신설동역 사이에 연결선로가 있다. 2호선이 개통되기 이전부터 존재하는 연결선로로 서울메트로 소속의 1호선 전동차가 군자차량사업소를 오갈때 사용한다. 2호선에 반입되는 전동차가 이용하는 연결선로이기도 하며 연결선로 중에서 인지도(?)가 가장 높다. 원래 정규운행을 염두에 두고 건설한 연결선이라 신설동역 지하3층에 승강장도 마련되어 있지만, 1기 지하철 계획이 대대적으로 바뀌는 통에 흑역사로 전락했다. 자세한 것은 신설동역 문서 참고.
- 충무로역 연결선로
- 서울 지하철 3호선 충무로역 - 동대입구역 ↔ 서울 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역 사이에 연결선로가 있다. 3호선 전동차를 반입할 때, 서울메트로 소속의 4호선 전동차가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정비를 받으러 갈때 사용된다. 구조는 똬리굴 형태로 되어있다. 서울 지하철 3호선과 4호선의 마무리 공사가 되기 전에 3호선용 전동차가 입환기관차에 견인되어 지축차량사업소로 반입된 적이 있다.
- 금정역 연결선로
- 경부선, 과천선, 안산선이 연결된 선로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전동차를 반입할 때 사용하며, 수도권 전철 3호선 열차는 여기서 반입된 후 충무로역 연결선로를 거쳐 3호선으로 반입된다. 정규운행이 가능한 연결선으로, 안산선이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개념으로 운영되었을 때는 경부선으로 다니던 전동차가 안산선으로 그대로 다닌 적이 있다. 다른 연결선로와 달리 역 진입 전후에 4호선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건넘선을 놓은 간단한 형태다.
- 까치산역 연결선로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과 서울 지하철 5호선이 연결된 선로로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차를 반입할때 사용한다.
- 도봉산역 연결선로
- 경원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 지상구간에 있는 연결선로로 서울 지하철 6호선, 7호선 전동차를 반입할때 사용한다. 6호선 전동차는 밑에 나올 태릉입구역 연결선로를 통해 6호선으로 들어간다.
- 왕십리역 연결선로
- 가락시장역 연결선로
- 8호선과 5호선 마천지선 방이역을 잇는 연결선로로 8호선의 중검수는 고덕차량기지에서 받기 때문에 8호선 차량의 중검수시 고덕차량기지까지 회송목적으로 사용한다. 8호선 전동차가 반입될 때에는 일단 1호선 신설동역-2호선 까치산역-5호선 방이역을 거치고 이 연결선로를 거쳐 들어온다.
- 태릉입구역 연결선로
-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으로 6호선 차량이 도봉차량기지로 중검수를 받을때, 또는 6호선 전동차가 반입될 때 사용된다. 물론 6호선 열차가 7호선으로 알바뛰거나 한때 장터열차 운행시 이용했다.
- 동암역 연결선로
- 경인선과 인천지하철 1호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으로 인천 1호선 차량반입 외에는 사용할 일이 없다. 알다시피 인천지하철 1호선은 중전철이라...
- 미금역 연결선로
- 분당선과 신분당선을 연결하는 연결선로. 분당선 미금역을 출발해서 갈라진 후 신분당선 정자역으로 들어온다. 예전에는 분당차량사무소에 세들어 살던 신분당선 차량의 기지 입/출고용도로 사용했었으나 신분당선 광교차량사업소가 개소한 이후 활용도는... 하지만 추후 신차 반입 등의 목적으로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
- 항목 참조.
- 김포공항역 연결선로
-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결하는 연결선로. 김포공항역에서는 공항철도와 9호선이 같은 방향으로 한 층의 플랫폼에서 만나는데, 개화역 방향으로 9호선 김포공항역을 지나면 바로 분기선로가 있어 그 분기선로가 공항철도와 합류하게 된다. 반대로 종합운동장역 방향으로는 김포공항역 직전에 합류한다. 9호선이 직류 1500V, 공항철도가 교류 25000V 60Hz를 사용하므로 이 연결선로는 절연구간이다.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2차분은 수색직결선과 이 연결선로를 통해 반입되었다.
- 공항철도와 9호선 직결운행을 염두에 두고 건설한 연결선이라 정규운행이 가능하다.
- 부산진역 연결선로
- 경부선과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연결하는 연결선로. 경부선 부산 방향으로 부산진역 진입 직전에 갈라서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 선로를 통해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를 반입하였다.
- 수영역 연결선로
-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을 연결하는 연결선로. 3호선 수영역에서 출발하여 2호선 양산역 방향으로 합류한다.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가 호포차량사업소로 중검수를 받으러 가기 위해 사용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명덕역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신남역을 연결하는 연결선로.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가 월배차량기지사업소에 중검수를 받으러 가기 위해 사용한다.
- 이매역 연결선로
- 분당선과 경강선을 연결하는 연결선로. 분당선 야탑역을 출발해서 이매역 진입 전에 갈라진다. 부발차량사업소로 코레일 371000호대 전동차를 반입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전동차는 분당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때문에 중검수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3 개통예정인 연결선로
4 한때 존재했던 연결선로
- 수서차량사업소 연결선로
-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차량사업소와 분당선을 연결하는 연결선로로 분당선 전동차를 반입하는데 사용되는 연결선로이다. 현재 분당선은 왕십리역과 연결되어 있어 분당선 전동차 반입용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2016년 현재는 SRT 수서역공사 관계로 철거된 상태이다.
- 창동차량사업소 연결선로
- 경원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창동차량사업소를 연결하는 연결선로. 경원선 창동역에서 방학역 방향으로 분기하여 창동차량사업소로 들어가며 초기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를 이 선로를 통해 반입했다. 과천선이 개통된 이후 필요 목적이 없어져[1] 지역 개발크리로 노반부터 철거됐으며 창동역-방학역 사이에 분기하여 중랑천 상계교 인근을 건너 차량기지와 바로 연결되는 구조였으며 상계교 인근에 철교가 있었으나 동부간선도로 확장공사 등으로 철거되었다.
- 경인선 오류동역 경기화학선 → 서울 지하철 7호선 천왕차량사업소 연결선로
- 7호선 전동차 2차 도입분 중 천왕차량사업소 배속분 반입에 사용된 선로. 신풍역-건대입구역 미개통으로 인해 도봉산역을 이용한 반입이 불가능하여 임시로 사용하였고[2] 현재는 상기 구간의 개통으로 도봉산역을 이용한 반입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