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
남양주시의 시내버스 | ||||||
광역급행 | M2316,[광], | M2323,[광], | ||||
간선급행 | 8001 | 8002 | 8012 | |||
직행좌석 | 11 | 100 | 1000 | 1001 | 1100 | 1200 |
1660 | 1670 | 1700 | 2000 | 7007 | ||
일반좌석 | 330-1 | 330-2 | 330-3 | |||
시내 | 1 | 1-4 | 3-1 | 5 | 5-1 | 6 |
7 | 7-5 | 8 | 8-1 | 8-2 | 9, 9-1 | |
10 | 10-5[공] | 15[광] | 23 | 30[광] | 30-15 | |
55 | 55-1 | 56 | 65 | 65-1 | 71 | |
73 | 74 | 88 | 91 | 92[구] | 93[구] | |
97 | 112-1 | 165 | 166-1 | 167 | 167-1 | |
168 | 202 | 707 | ||||
공영 | 마석순환 | 공영버스 | 통학맞춤 | |||
마을 | 2 | 2-1 | 33 | 33-1 | 60 | 61 |
63 | 64 | 65 | 77 | 80 | 82A/B | |
83 | 85 | 88 | 88-1 | 88-2 | 88-3 | |
99 | 99-1 | 99-2 | ||||
[광] 경기광주 면허 노선이지만 남양주시 관내가 기점이며 수요처이므로 같이 기재함. | ||||||
[공] 경기광주 면허, 남양주 면허 공동배차 노선. | ||||||
[구] 구리 면허 노선이지만 남양주시 관내가 기점이며 수요처이므로 같이 기재함.(빙그레 출발 제외) |
width=100% | |
낚시질 도색은 옛날부터 시작되었다. 하부냉방 차량이 아닌 슈트락이 달려있는 것은 전중문형 차량이기 때문. | |
width=100% | width=100% |
2004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 전후의 모습 출처 | |
width=100% | width=100% |
GBUS 공용 도색 출시 이전까지의 모습. 보조행선판 또한 서울시와 판박이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2005년경에 대차했던 천연가스버스 차량이다. | |
width=100% | |
현재 모습 |
1 노선 정보
남양주시 일반시내버스 707번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진벌리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현대코아)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3:50 | 막차 | 01:00 | ||
평일배차 | 출퇴근 5분/평시 8분 | 주말배차 | 12분 | ||
운수사명 | 경기버스 | 인가대수 | 25대 | ||
노선 | 진벌리 - 광릉내 - 장현리 - 내각리(대궐터) - 퇴계원 - 갈매역 - 신내능마을 - 신내초등학교 - 망우역 - 상봉역 - 중랑역 - 삼육서울병원(회기역) - 홍릉사거리 - 현대코아 - 청량리역(환승센터) |
2 개요
경기버스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3 역사
3.1 통합환승제 시행 이전
2007년 7월 서울-경기 통합환승제 시행 이전에는 좌석버스였고, 그래서 운임도 교통카드 기준 1600원을 받았다. 더불어 330-1도 당시엔 아웃 광주(경기고속)노선이라 이 노선이 형간전환한 이후로 한 동안 좌석버스가 없게 된다.
당시의 이 노선의 위치는 그야말로 무적. 장현리와 내각리 주민들에게 이 노선은 빛이고 희망이었다[1]. 이 노선의 원조격인 시내버스 7번[2]과 73번[3], 7-5번[4], 7-8(현 88)번도 있긴 있었고 강변역으로 가는 11번도 있었지만 11번은 배차간격이 너무 길었고[5] 88번은 구리역 일대 상습정체로 인해서[6] 사람들은 느려도 그나마 소통이 잘 되는 707번으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돌다리 쪽은 허구하면 막히고[7] 화랑로로 가자니 오후가 되면 화랑로가 헬게이트 수준으로 변했기 때문. 게다가 화랑로로 가는 73번의 배차간격이 40분에 달했었기 때문이기도 해서 사람들은 아무리 비싸도 이 노선으로 몰렸다. 그리고 퇴계원-갈매-중랑공영차고지를 잇는 도로가 제아무리 2차로라도 타고 있으면 알아서 잘 빠져나가서 서울시계 진입하거나 혹은 갈매마을에 도착했었다. 평균적으로 평일 오후 퇴계원-상봉역은 20분이 소요되었다. 덕분에 좌석 시절에는 절대적인 인기를 누렸다.
대진 시절에는 일부 차량이 내촌까지 연장 운행을 하기도 했다.(707-1번)
그러나 도색 관련해서 수많은 버스 동호인들의 질타를 받기도 했는데, 서울특별시 시내버스가 아닌데 도색은 서울시 시내버스와 완전히 판박이로 했기 때문에[8][9] 이게 서울시 버스인 줄 알고 환승하려다가 기본요금 그대로, 그것도 좌석버스 운임이 빠져나가는 일이 벌어지자 항의하는 승객이 한둘이 아니었다고. 게다가 역시나 또 다른 옆동네의 청량리행 노선에서도 유사한 파란 도색을 적용해서 말이 많았다. 지금은 전부 GBUS 도색이 적용되었다.(적용시기는 2008년 이후)[10]
2005년 7월 망우로 중앙버스 전용차선 및 청량리 환승센터 완공과 함께 경동시장 회차에서 한 블럭 단축되어 홍릉사거리ㆍ현대코아 경유, 청량리 환승센터 회차로 변경되었다. 구 2228번ㆍ2229번도 마찬가지로 이 때 단축ㆍ변경되었다.
3.2 통합환승제 시행 이후
그러다가 2007년 7월 통합환승제 시행과 동시에 일반으로 형간전환이 이루어졌다.[11]
내촌차고지가 완공되면 내촌으로 연장이 될 것이라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다른 광릉내 노선과는 달리 진벌리로 연장하게 되었다. 연장시기는 2012년 8월 27일이며 2013년 3월 11일자로 내촌차고지로 연장되었다가 민원으로 인해 2013년 4월 말에 진벌리 차고지로 복귀했다.
4 특징
- 한때 에어로 스페이스 LD를 시범적으로 1대 뽑아 고급좌석 운행을 하기도 했으나 시원하게 망했다.[12]
- 형간전환 이전에는 평일 저녁 청량리 방면마저 입석을 세울 정도의 포스였다면 전환 이후에는 평일 대낮에는 공기수송을 할 때도 있는 노선이 되어버렸다. 그래서 경춘선 개통시 폐선이나 노선단축 떡밥이 수시로 흘러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경춘선이 상봉역에서 끊기는 데 비해 이 노선은 청량리역으로 어떻게든 직통하므로 경춘선 개통 이후에도 살아는 남았다. 그리고 지금도 단거리 승객이 적은 것 빼고 다 괜찮은 노선. 더불어 갈매동 일대가 개발되고 나면 조금은 흥해질 듯 하다.
- 2016년 현재 NEW BS106 신차출고가 계속되고 있다. 내촌영업소가 현재 KD가 현재 가스보조금이 안나오다 보니 신차출고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내촌영업소에 있던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대차시켜 모두 이 노선으로 보내고 있다. 대신 이 노선에 있던 크롬시티가 내촌으로 넘어가서 23, 88번에 몇대씩 투입되어 운행되기 시작했다. KD가 올해는 천연가스버스 출고가 불가능하기도 하고, 또 내년에 보조금이 들어온다고 하니, 내년에 내촌영업소에 폭풍대차가 있을거라 전망한다.[13]
- 장현리를 빠져나가 퇴계원으로 가던 도중 차가 갑자기 멈춰서, 모든 승객들이 뒤따라오던 88번 버스로 갈아타야 했던 적이 있다.
- 서울에서 오른쪽 사이드미러를 전봇대에 박은 적이 있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회기역, 청량리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상봉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퇴계원역[14], 갈매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 상봉역(ITX-청춘 통근), 청량리역(ITX-청춘, ITX-청춘 통근, ITX-새마을, 무궁화호, DMZ-Train, 정선아리랑열차)
- ↑ 물론 내각리에서는 앉아가는 게 기적이었다. 거의 100% 확률로 장현에서 자리 다 채워서 내각리로 내려왔으므로...
- ↑ 이 노선과 99% 경로가 일치하는 일반버스였다. (신내동 구간 약간 다름) 다만 선진네트웍스에서 회사를 접수한 후에 차량을 점점 빼다 보니 배차간격은 묻지마 신세. 남양주 어느 동네 30번처럼 막장... 결국 막판에 이것만은 있으나마나 파리날리는 신세였다.
- ↑ 장현에서 퇴계원사거리까지 이 노선과 똑같이 오다가 퇴계원사거리에서 우회전해서 삼육대학교를 거쳐 석계역으로 간다. 배차간격 40분. 통합운임제 시행 이전에는 퇴계원초교부터 종점까지 서울 버스 1156과 100% 똑같았으나 통합운임제 시행후 얼마 안 있어서 1156과는 달리 서울시계-퇴계원입구를 4차로 대로로 지르는 걸로 변경되었다.
- ↑ 광릉내에서 출발하여 사릉(한신A)까지 현 23번과 동일하게 가다가 그 이후로 지금과 동일하게 운행. 참고로 말하자면 선진시절 23번과 7-5번 두 노선을 맞바꿔치기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 ↑ 당시 일반 운임을 받았고 좌석시트 차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은 30분이었다.
- ↑ 사실 어차피 이거 돌다리 가라고 있는 노선인지라... 퇴계원에서 1-1번(명진때부터, 1-1은 선형 구조상 장현을 경유할 수 없다. 퇴계원-전도치-청학리 코스.)과, 인창동에서 5-2번과 경쟁을 벌였다.
- ↑ 심할 때는 88번이 구리역 일대 통과하는데만 30분씩 걸렸던 적도 있다...
- ↑ 이는 선진네트웍스 시절 그 계열사의 본거지인 인천지역의 영향을 받은것이 크다. 인천의 경우 도색은 서울이랑 같은 방식이나 행선지의 경우 통일된 규격이 없어 일부 업체들이 행선지 제작을 서울과 동일하게 해도 문제없다고 보았기 때문.
- ↑ 그나마 2004년에는 빨간색으로 해서 그나마 나았으나, 천연가스차량으로 도입할 때 파란색으로 적용시켜서 문제가 생긴 것이다.
- ↑ 경기버스(업체) 노선의 경우는 이 노선 뿐만 아니라 소속된 타 노선도 완벽하게 판박이였다.(행선판은 자체 제작) 다만 707번은 도색 + 행선판까지 동일했다.
- ↑ 이와 동시에 7번이 없어져버렸다.
- ↑ 당시 노선번호는 700번. 차량번호는 3749호와 3750호였으며 이후 707번에 통합되었다.
- ↑ 다만, 내년에도 보조금이 들어오지 못한다면 신차출고가 불가능하거나 안되면 내촌영업소까지 아예 디젤로 돌아서 버릴 수 있을 것이다. 일단은 내년에 보조금이 들어와봐야 알 듯.
- ↑ 퇴계원극동아파트, 세란의원, 온누리병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