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인터넷 용어)

이 문서에는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틀이 달린 문서에는 독자연구를 담을 수 있습니다. 모든 의견들은 다른 이용자의 정당한 반론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하기 전에 문서 내 검색을 통해 중복된 내용인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집단연구 문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Internet meme, 줄여서 meme(밈)이라고 부른다. 인터넷의 주요 문화 요소와 유행하는 것들을 일컫는 말.

1 개요

리처드 도킨스가 만들어낸 이라는 용어에서 유래한 개념. 드립이 추가 된 짤.

우리말로 대체할 수 있는 용어로는 '필수요소'가 있는데, 두 단어가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내가 고자라니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필수요소'가 '내가 고자라니'라는 소스(Source) 자체를 가리킨다면, 밈은 이걸 가지고 합성을 해서 나온 다양한 심영 능욕물 및 폭발물(...) 등을 전부 포함한다. 대체로 특정 요인에 의한 유행 전반을 통칭하는 개념.

원칙적인 차이점을 하나 더 들자면 한국의 필수요소는 사진 및 영상물 중심이고 주로 합필갤에서 좌지우지 되는 인터넷 문화 요소인 것에 비해, 밈은 사진 및 영상물뿐만 아니라 유행어 등 훨씬 더 포괄적이고 특정 사이트에 좌지우지되는 게 아니라 수많은 웹사이트들의 통합적인 유행 요소 전체이다. 밈의 이와 같은 의미는 애초에 4chan에서 비롯되었으며, 2000년대를 이끌었던 밈들도 십중팔구가 4chan에서 만들어졌다.

2 상세

인터넷에 나도는 기억하기 쉽고 병맛이 나거나 중독성 있는 대상이라면 무엇이든지 밈으로 등극할 가능성이 있다. 주요 밈의 유래를 따져 보면 밈이 밈으로 등극하는 규칙은 거의 없다고 해도 될 정도.

심지어는 밈이 재조합되어 새로운 밈을 만들어내는 경우도 있다. 하츠네 미쿠 보컬로이드에 넣어서 만든 Nyanyanyanyanyanyanya!이 어느정도 밈으로 퍼졌다가 이게 팝타르트 고양이를 만나서 새로 만들어진 Nyan Cat이라든지, 이미 인터넷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끌고 있던 하프 라이프의 막장 한국어 더빙이 사진 자료와 음향 합성을 만나면서 만들어진 장비를 정지합니다 같은 경우가 있다.

아래 항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밈은 원래 유전자 관련 단어였는데 2001년 MIT 의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페레티는 나이키 운동화에 “아동노동착취공장(sweatshop)”이라고 새겨줄 것을 주문했고 나이키는 거절. 페레티는 이 내용을 친구들에게 보냈고, 이 이야기는 널리 퍼져, 마침내 NBC 투데이 쇼에서 나이키의 대변인과 토론까지 하게된다. 이것이 최초로 밈이라고 명명된 사례로 꼽을 수 있다. 페레티는 후에 “나는 리처드 도킨스가 밈이라고 부른 것을 우연히 만든 셈이죠”라고 썼다.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밈은 90년대 미국 인터넷에서 이메일로 돌아다니던 동영상인 '베이비 차차'라는 아기가 춤추는 동영상이었지만 이때는 밈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당수의 밈은 그림 파일 내지 GIF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한국의 짤방과 비슷한 개념. 대부분의 유행어WTF도 이 짤방들의 자막에서 유래한다.

영어판 위키백과에서는 밈을 모아둔 분류도 존재하는데 2013년까지 무려 550개가 넘어가는 목록을 보유하고 있다. # 또한 밈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트 'Know Your Meme(주소)'도 있다.

인터넷 필수요소의 변화를 잘 표현한 짤로는 이것 참조

The GAG Quartet라는 곳에서 그동안 유행했던 밈들을 전부 모아 리믹스한 곡도 있다. # 다만 마치 9gag에서 나온 것마냥 제목을 지은 게 문제

위저의〈돼지고기와 콩(Pork And Beans)〉 M/V는 유튜버들이 직접 참여했다. #

참고로 특정 공식 작품(게임, 애니메이션 등)에 대해 팬들이 드립을 치고 그게 밈으로 발전하는 경우, 후속작이나 업데이트로 그 밈이 공식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Ascended Meme이라고 한다. 일본 같은 경우 まさかの公式(설마했던 공식)으로 불리며, 공식 설정이 동인 설정을 자주 참고하고 가끔은 역수입까지 하는 경향이 있는 함대 컬렉션이나 아이돌마스터 시리즈에서 자주 볼 수 있다.

3 발음 문제

How to Pronounce Meme이라는 이름의 유튜브 동영상을 보면 해당 발음은 /밈/으로 발음되고 있다. 하지만 댓글란에서 일어나는 병림픽이 문제. 요술공주 미미, 멤메이, 메메, 메미, 메이메이, 맴매 등등 천차만별의 의견이 있는데, 결론부터 보자면 해당 단어는 밈으로 발음하는 게 맞다.

복잡할 것 없이, 이 용어를 처음 만든 리차드 도킨스가 /밈/이라고 발음을 정했기 때문에 /밈/인 것이다. 사실 어원학적으로 따지면, /멤/이 되는 것이 맞기 때문에 /밈/이라고 부르는 것은 특별한 근거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도킨스가 그렇게 정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from Greek mimēma 'that which is imitated' 라는 meme의 어원 설명에서 보듯(옥스퍼드 사전출처), meme이라는 단어는 그리스 어근 mime에서 출발했다. 그런데 이 mime 어근은 영어에 들어와서 /미메/로 발음된다. 예를들어, mimesis, mimetic 같은 단어들은 /미메시스/, /미메틱/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도킨스가 처음 의도한 대로 mimeme /미멤/에서 mi를 뺀 것이라면 /멤/이 되는 것이 맞지만, 아래 설명에서 보듯 gene과의 유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발음도 gene과 유사하게 만든 것이다. 결국 도킨스가 자의적으로 창조한 단어와 발음인 것이다.


다음은 위키백과에서 인용한 이기적 유전자의 일부분의 번역이다.

We need a name for the new replicator, a noun that conveys the idea of a unit of cultural transmission, or a unit of imitation. 'Mimeme' comes from a suitable Greek root, but I want a monosyllable that sounds a bit like 'gene'. I hope my classicist friends will forgive me if I abbreviate mimeme to meme. If it is any consolation, it could alternatively be thought of as being related to 'memory', or to the French word même. It should be pronounced to rhyme with 'cream'.

우리는 이 새로운 복제자를 위한 이름이 필요하다. 문화의 전달의 단위, 혹은 모방의 단위라는 개념을 잘 전달할 수 있는 명사 말이다. 적당한 그리스어 단어를 어원으로 선택하면 'Mimeme'라는 단어를 얻을 수 있지만, 나는 어느정도 유전자(진)와 비슷하게 발음되는 단음절 단어를 원한다. 내 고전주의자 친구들이 mimeme를 meme으로 축약하는 것을 용서해주길 바랄 뿐이다. 위안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혹시 이 단어가 영어 memory(메모리)나 불어 même(멤)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단어는 크림과 라임이 맞도록 발음되어야 한다.

4 목록

알파벳 순으로 정렬했으며, 개별 문서를 만들기 힘들 정도로 내용이 적은 밈은 밈/기타에 서술하였다.

5 참조 문서

  1. 괴담으로 수록되어 있지만 밈 위키에서는 밈 계열로 설명되어 있다. 항목 참조
  2. 위키백과에서는 'Rage comic'으로 등록되어있다.
  3. 우리나라의 등짝을 보자와 비슷하다. 해당 항목 참조
  4. 유튜브에서 레프트 포 데드팀 포트리스 2의 모든 2차 창작이 대부분 밈 종류가 되었다. 팀 포트리스 2의 경우는 커뮤니티 유행어 문서 참고.
  5. 이쪽은 비교적 최근에 쓰이기 시작했다.
  6. 대부분의 팀 포트리스 2의 밈들을 여기서 볼 수 있다. 아직 많이 부족하니 아는 대로 추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