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이 문서는 의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언급하는 정보는 기초적인 지식으로만 받아들여야 합니다. 바다위키에 등재된 의학 정보를 맹신하지 마십시오. 본 문서를 의료행위, 자가 진단, 교육 등에 활용함으로 인해 불이익이 발생해도 바다위키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습니다. 건강 관리와 질병 진단은 반드시 병의원·보건소 등 전문 의료기관만을 이용해야 합니다.

의학 관련 문서에 오해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자의적인 생각이나 공인되지 않은 학설 등의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타인의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국제질병분류기호(ICD-10)C33~34
진료과호흡기내과, 흉부외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관련증상호흡곤란, 객혈, 기침, 흉통
관련질병

파일:Attachment/54 EEAE2281.gif
Lung cancer. 기관지 및 폐의 악성 신생물.
폐암 환자의 폐 중 윗부분의 하얀 조직이 암 조직이다. 시꺼먼 것은 담배의 타르다.

1 폐암의 기본적 정의

일반적으로 의 기관, 기관지, 폐포를 이루는 상피세포의 변이로 인해 발생한 악성 종양을 지칭한다. 상피세포가 아닌 실질세포에서도 암이 발생할 수 있으나[1] 드물고, 일반적으로 폐암이라하면 상피에서 기원한 암종을 지칭한다. 폐암은 병리조직학적으로 크게 편평상피암, 선암, 소(小)세포암, 대(大)세포암, 기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생기는 부위에 따라서 중심형과 말초형으로 나뉘고, 치료와 관련해서는 소세포암(Small cell lung cancer, SCLC)과 비(非)소세포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으로 나뉜다.

2 분류

  • 비(非)소세포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 : Type II 상피세포나 폐포 상피세포가 기원으로 생각되며, 주로 폐 중심부에서 발견된다. 남자에게 흔하고, 흡연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2] 상대적으로 천천히 자라고 전이를 늦게 하며, 공동(Cavity)을 형성하기도 한다. 폐암의 약 30%정도를 차지한다.
    • 선암(Adenocarcinoma) : 폐의 선(線)조직[3], 작은 말초 기관지 상피에 생기며, 상대적으로 폐 말초 부위에서 잘 발생한다. 크기가 작아도 상대적으로 전이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선암은 최근 들어 그 발생빈도가 증가 추세에 있다. 폐암의 35~40%정도를 차지하며 비흡연자나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 가장 흡연과 관련성이 적은 암이긴 하지만 흡연과 무관하지는 않다. 다만 비흡연자가 폐암에 걸렸을 때는 높은 확률로 선암이다.
    • 대세포암(Large-cell carcinoma) : 폐암의 4~10% 정도로 발생하며, 폐표면 근처(폐말초)에 주로 발생하고, 절반이 큰 기관지에서 발생한다. 세포가 대체적으로 크기가 크며, 그 중 일부는 빠르게 증식·전이되는 경향이 있어 다른 비소세포암에 비하여 예후가 나쁜 편이다. 다만 병리학적 진단기법이 좋아짐에 따라 옛날 진단기법으로는 대세포암으로 진단되었던 암들이 편평상피암과 선암으로 밝혀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서, 실제 발생빈도는 더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 소세포폐암/소세포암(small cell lung carcinoma, SCLC) : 일반상피가 아니라 신경내분비세포(Neuroendocrine cell) 기원이다. 조직학적으로 실제로 작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서 소세포폐암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폐암 중에서도 가장 악성도가 높다. 전체 폐암의 15~25%의 경우이며, 대부분 폐의 중심 부위에서 생기며 조기에 전이를 일으킨다. 워낙 전이를 잘하기 때문에 처음 진단당시 75%정도의 환자가 원격전이가 있다고 한다.[4] 전체 폐암중 흡연과 연관성이 가장 큰데, 소세포암 환자의 1%정도만이 비흡연자라고 한다. 즉 소세포암 환자 100명을 선택하면 99명이 흡연자인 셈.

3 발병 원인

3.1 담배

폐암의 대표적인 원인이라 하면 누가 뭐래도 만악의 근원담배가 첫 손에 꼽힌다. 게다가 더 고약한 것은 간접흡연으로 인해 담배라곤 평생 입에 대 본 적도 없는 사람도 얼마든지 담배로 인한 폐암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폐암은 정상적인 공기만 들이마시면 발생 위험이 매우 낮은 암이다. 담배란 걸 피울 일이 없는 동물들의 경우 폐암으로 죽는 예가 거의 없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는 사실이며, 어떤 의미로는 문명의 발전 때문에 오히려 더 맹위를 떨치게 된 병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가 폐암에 걸렸다고 하면 보통은 본인의 흡연력이나 간접흡연을 의심하게 되며, 의사들 역시 폐에 이상 진단을 내리면 우선 금연 얘기부터 꺼내는게 보통이다.

흡연자의 폐암 발병률은 비흡연자에 비해 13배에 달하며 2갑이상 피운 헤비스모커는 4~50배에 달한다고 한다[5] 게다가 담배를 피웠다 끊어도 흡연으로 인해 누적된 유전자 변이까지 완전히 없어지는 건 아니기 때문에 아무리 오랫동안 금연한 사람이라도 비흡연자보다 최소 2배는 더 위험하다. 비유하자면 언제라도 암으로 변할 수 있는 시한폭탄을 안고 사는 거나 마찬가지. 한 마디로 애초에 손을 대지 않는 게 상책이며, 설령 손을 댔더라도 하루빨리 끊는 것이 현명하다. 배우자나 애인이 골초라면 하루라도 빨리 금연을 종용하자.

통계에 따르면 폐암 사망자의 85%가 흡연이 원인이었다. 나머지 15%인 비흡연 폐암 발병자들의 대부분은 여성이다. 최근 국립암센터 폐암센터 조사에 따르면 여성 폐암 환자중 87%는 비흡연자였다.[6] 어린시절부터 간접흡연에 노출된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 30~40년 전부터 필터 담배가 등장하면서 흡연시 깊게 빨아들이기 때문에 폐암중 선암이 늘어나는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담배의 위험성에 대해서 강조하기 위해 지면이 많이 할애되었지만, 주의할 점은 주위에 폐암이 걸린 사람이 있다고 해서 그 사람을 "비흡연자인줄 알았는데, 흡연자였구만?" 하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간접흡연이 원인이었든 뭐든 비흡연자에서도 얼마든지 폐암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사실, 모든 종류의 암은 특별히 위험인자에 노출된 적이 없는 사람이라도 운이 지지리도 없으면 뜬금없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폐암에 걸렸다고 해서 흡연자로 몰아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니, 하지 않도록 하자.

3.2 담배 이외

담배 이외의 원인으로 폐암이 발병하는것에는 아직 의학적으로 아주 명확하게 인과관계가 나타난것은 없다. 다만 일반적으로 폐에 노출되는 물리/화학적 오염물질들이 다른 위험요인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것은 라돈 가스가 있다. 라돈은 주로 우라늄의 붕괴에 의해 생성되며, 이 탓에 우라늄 광산에서 일하는 인부들이 폐암으로 요절하는 안타까운 사례를 많이 찾을 수 있다.

또한 건축 자재, 단열재 등으로 쓰였던 석면도 강력한 발암물질 중 하나이다. 석면의 위험성이 널리 알려진 이후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어 가고 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에서야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됐다.[7] 그 외의 원인으로 추정하는것은 공해, 미세먼지, 에이즈, 방사선 등이 있다. 또한 주부들의 폐암 발병률이 높은 것이 발견되었는데,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가스레인지 및 음식물에서 생기는 연기가[8] 주요한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남자라고 간접흡연을 하지 않는 것도 아니고 여자가 무조건 담배를 피지 않는 것도 아닌데 비흡연자 여자의 폐암 발생비율이 매우 높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여자에게 선암이 잘 생기는 이유도 설명 가능하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할 때 충분한 환기시설을 갖추거나 문을 열어놓고 환기가 가능한 상태에서 요리를 조리해야한다.

그외 건강식품 과다 섭취의 부작용으로 폐암 발병률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여럿 있다. 대표적으로 눈에 황반을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인 루테인은 권고량 이상의 고용량을 장기복용할 경우 폐암의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다만 과일과 야채를 적게 섭취하는 군에서 폐암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므로 뭐든 건강하게 적당히 먹는 게 좋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 증상

폐암은 자각증상이 나타날 때쯤 되면 이미 심각한 사태가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체로 수술이 가능한 IIIA기로 진행전에 진단받는 비율은 20~25%에 불과하다. 나머지 환자들은 말기에 해당하는 IIIB나 IV기환자이다. 즉 지금 당장 몸이 날아다닐 정도로 멀쩡하다 해서 건강관리를 게을리해선 안 된다. 무엇보다 폐암은 발병 직전 단계에서는 진단이 굉장히 어렵기로 정평이 나 있다.

폐암의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 식욕부진, 발열, 쉰목소리, 체중감소, 각혈 등의 호흡기계 증상과 종양의 압박으로 인한 흉통 등이 있다. 초기에 발견되는 경우는 자각증상 없이 건강검진 때 우연히 발견 되는 경우가 많고 심각한 증상 없이 말기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상당수이다..특히 5% 정도의 환자는 4기까지 아무 증상도 없다고 한다. 그 이전 3기 환자도 잔기침 정도로 병원을 찾았다가 폐암 진단을 받는 경우도 흔하다. 특히 기침의 경우 2주이상 지속시 폐암이 아니더라도 다른 심한 질환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참지 말고 검진 받아야 한다.[9]

특히 호흡기계 증상은 기관지가 약한 천식 환자들에게 크리티컬이며, 실제로 천식 환자들이 폐암에 더 취약하다. 전이가 될 경우 ,나 , 등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흔하다. 뇌로 전이된 암세포는 구토/두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뼈로 전이된 경우 기침만으로 뼈가 골절되기도 하며 암세포는 말 그대로 뼈를 녹이는 심각한 통증을 수반한다. 병세가 심해지면 부신생물증후군[10]으로 인한 식욕감퇴/발열 등의 전신증상과 여러 내분비 질환에서 볼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난다. 다만 꼭 병세가 심해져야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암의 종류에 따라 부신생물증후군이 먼저 나타날수도 있고, 나타나는 정도도 제각각이다. 참고로 소세포폐암에서 부신생물증후군이 가장 흔하다.

5 진단

위에서 발병 전에 진단이 잘 안된다고 언급했다. 그럼 건강검진을 꾸준히 받으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할 수 있지만, 폐암의 선별검사는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지 않다. 이건 제도가 부실하거나 돈이 부족한 문제가 아니라, 폐암을 발견하기 위한 건강검진을 시행해도 환자의 생존율을 상승시켜주지 못했다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이다. 환자의 생존율을 상승시켜주지 못하는데 선별검사를 돌릴 수는 없는 것이다. 대장암, 위암 등 다른 주요 암은 내시경 검사 등의 선별검사를 실시했을 때 조기진단이 가능하지만, 폐암의 경우는 선별검사로 쓸 수 있는 일반 흉부X-선 검사는 심히 부정확하다.[11] 그렇다고 해서 더 정확한 CT를 쓰자니, CT에 사용되는 방사선이 도리어 폐암의 위험인자다.(...)[12] 폐암의 위험인자인 방사선을 폐암 발견하겠다고 매년 찍는것은 넌센스다. 기관지경(Bronchoscopy)의 경우는 환자에게 위험한 시술이기 때문에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다.[13] 고로 건강검진으로는 폐암을 예방할 수 없으니 건강관리가 최선이라고 할 수 있겠다.

만일 환자가 폐암이 의심되는 증상인 기침, 객혈, 체중감소 등의 증상으로 내원 한 경우 먼저 흉부 엑스레이를 찍고, 이상소견이 있는경우 CT 촬영으로 확진하고 기관지 내시경/경흉부 세침흡인술[14]과 PET 검사 뇌 MRI 검사로 전이 여부를 판단한다. 림프절 전이 확인의 경우 수술 과정이 진단과정에 포함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폐암[15]의 병기를 정할 때는 TNM체계를 사용한다. T는 종양(Tumor), N은 림프절(lymph node), M은 원격 전이(distant metastasis)를 뜻한다. 폐암 중 비소세포암의 경우는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I~IV(1~4)기로 구분하며 이 중 I~III기는 A,B기로 다시 나뉜다. 단, 소세포암의 경우는 따로 병기를 두지 않고 제한기와 확장기로만 나눈다.

6 병기

6.1 비소세포 폐암

6.1.1 T 병기

T는 Tumor의 약자로, 종양이 해당 위치에서 얼마나 커졌는지를 본다. 폐의 경우에는 크기와 중요 구조와의 거리 등을 다룬다.

병기설명
T0암의 증거가 없음. (즉, 암이 아님)
T1종양 최대지름이 3cm 이하이며, 종양이 완전히 폐나 내장측흉막(Visceral pleura)에 둘러싸여 있다.
기관지내시경상 엽기관지보다 더 근위부(Proximal)에 침범한 소견이 없어야 한다.
*T1a : 종양 최대지름이 2cm 이하
*T1b : 종양 최대지름이 2cm 초과, 3cm 이하
T2종양 최대지름이 3cm 초과, 7cm 이하이며, 다음 3가지 중에 최소 하나를 만족한다.
*내장측흉막(Visceral pleura)를 침범함
*용골(Carina)[16]의 원위(Distal)방향으로 2cm이상으로 먼 주기관지(Main bronchus)를 침범한 경우
*폐문과 연결된 무기폐(Atelectasis)와 폐쇄성 폐장염(Obstructive pneumonitis)와 관련이 있으나,
그것이 전체 폐를 침범하지는 않음
*T2a : 종양 최대지름이 3cm 초과 5cm 이하
*T2b : 종양 최대지름이 5cm 초과 7cm 이하
T3종양이 7cm 초과이거나, 다음 3가지 중에 최소 하나를 만족한다.
*흉벽(Chest wall), 횡격막(Diaphragm), 횡격막신경(Phernic nerve), 종격흉막(Mediastinal pleura),
벽쪽심장막(Parietal pericardium)을 침범
*용골(Carina)의 원위(Distal)방향으로 2cm미만으로 가까운 주기관지(Main bronchus)를 침범한 경우.
단, 용골을 직접 침범하지는 않음.
*폐문과 연결된 무기폐(Atelectasis)와 폐쇄성 폐장염(Obstructive pneumonitis)와 관련이 있으나, 그것이 전체 폐를 침범함
*동일 엽에 서로 구분된 종양 결절이 여러개 발견됨
T4종양이 종격동, 심장, 대혈관[17], 기관, 되돌이후두신경, 식도, 척추뼈, 용골 중 어떤 것이라도 하나 이상 침범한 경우,
또는 동측 폐 다른 엽에 또다른 종양결절이 있는 경우

6.1.2 N 병기

N은 Lymph Node에서 Node의 앞글자로, 부위 림프절(Regional lymph node)[18] 전이가 얼마나 있는지를 본다. 참고로 폐 부위 림프절이 아닌 엉뚱한 곳의 림프절인 경우는 원격전이(M1)로 본다.

병기설명
N0부위 림프절 전이의 증거가 없음.
N1동측 기관지주변 림프절(Peribronchial lymph node), 동측 폐문림프절(Hilar lymph node),
동측 폐내림프절(intrapulmonary node)을 침범한 경우. 직접 침범[19]도 포함됨.
N2동측 종격림프절(Mediastinal lymph node), 용골하림프절(Subcarinal lymph node)를 침범한 경우
N3반대측 종격동, 폐문 림프절을 침범한 경우 또는 동측/반대측을 불문하고 사각근림프절(Scalene lymph node),
쇄골상림프절(Supraclavicular lymph node)을 침범한 경우

참고로 N2기의 경우는 2가지로 나누는데, 임상적으로 N1이라고 생각했는데 수술했더니 N2가 된 경우를 Minimal N2, 수술 전 영상에서도 이미 충분히 N2가 될만한 암인 경우는 Advanced(bulky) N2라고 부른다. 두 그룹의 예후가 확실히 차이난다고 한다.

6.1.3 M 병기

병기설명
M0원격전이의 증거가 없음
M1원격전이가 있음.
*M1a : 반대측 폐엽에 종양 결절이 있거나, 흉막에 결절이 있거나, 또는 악성 흉수(Malignant effusion)나
악성 심낭삼출(Pericardial effusion)이 있는 경우[20]
*M1b : M1a 이외의 원격전이.

6.1.4 병기 설정

크게 I, II, III, IV 기로 나누고 이를 IA, IB처럼 A, B, C로 세분화한다. 흔히 말하는 1기, 2기, 3기, 4기가 이 I, II, III, IV를 말한다. 참고로 M1인 순간 무조건 IV기이기 때문에 I~III기에서는 M0이라는 표기를 생략하였다.

병기설명
IA기T1N0
IB기T2aN0
IIA기T1N1, T2aN1, T2bN0
IIB기T2bN1, T3N0
IIIA기T1N2 ,T2N2, T3N1~2, T4N0~1
IIIB기T4N2, N3(T 무관)
IV기원격전이가 있는 모든 경우(M1)(T, N 무관)

참고로 TNM 분류상 실제 I~IV병기설정에 안쓰인 TNM 병기도 있는데(T1a, T1b나 M1a, M1b 등), TNM 병기는 진단목적 뿐만 아니라 치료방침 결정 및 예후 예측에도 쓰이기 때문에 이상하게 생각하지 말자.

6.2 소세포 폐암

소세포폐암도 TNM 병기가 존재하긴 하는데 과거에는 유용성이 거의 없어서 잘 쓰지 않았다. 그래서 그냥 크게 제한기와 확장기로 2개로만 나누는 것이 선호되어 왔다. 다만 소세포폐암에서 TNM 병기가 유용성이 없다는 것은 조기진단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발견 당시에 이미 진행된 병기인 경우가 많았었기 때문이고, 최근에는 NCCN, ACCP를 비롯한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에서 TNM 병기에 따라 N0의 경우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권고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대부분의 암환자들이 PET/CT를 시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외국에 비해 진단의 정확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아래에는 제한기/확장기의 2단계 분리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TNM 병기 설정방식은 비소세포폐암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TNM 병기를 확인하고 싶다면 상단의 비소세포폐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

6.2.1 제한기

Limited disease, LD. 종양이 한쪽 폐에만 존재하고 다른쪽 폐에 전이가 되지 않은 경우. 특히 단순히 한쪽 폐에 있는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이 폐가 적절한[21] 방사선 치료 필드에 들어가는 경우를 지칭한다.[22] 따라서 일반적으로 M1만 아니면 제한기가 될 수 있으나 T3~T4이고 결절이 매우 많아서 방사선 치료를 받을 수 없게되는 경우는 그냥 확장기를 줘 버릴 수도 있다. 참고로 상대정맥증후군(Superior vena cava syndrome)이나 되돌이 후두신경침범의 경우는 제한기를 줄 수 있다.

6.2.2 확장기

Extensive disease, ED. 종양이 제한기를 지나 반대쪽 폐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만일 악성 흉수, 악성 심낭삼출이 있는 경우 확장기로 취급하며, 위에서 언급했듯이 M1은 아니라도 T3~4이고 결절이 매우 많아서 방사선 치료를 받을 수 없게되는 경우 확장기이다. 확실한 원격전이가 있으면(M1) 그냥 확장기다.

여담으로 (학교에 따라 좀 다르지만) 의과대학생은 위 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의 병기 설정법을 모두 외워야 한다.(...) 다른 암보다 분류법이 어려워서 고통스러운 편.

7 치료

가장 확실한 치료법은 여느 암과 마찬가지로 수술을 통한 절제이다. 수술 후나 수술을 못 할 정도로 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나 항암화학요법 등의 전신치료를 시행한다. 수술 성적을 올리기 위해 수술 전후로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7.1 수술

수술은 흉부외과에서 담당한다. 비소세포 폐암의 경우 대개 IA에서 IIIA기까지를 수술이 가능한 병기로 본다. 물론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IIIA기 이하라도 환자에 따라 수술이 어려운 경우도 있고, IIIB기 이후의 환자라도 항암치료를 통해 암세포를 줄인 후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전체 환자의 40%에서 수술이 시행되며, 그중에서 완치목적을 위한 수술이 75%, 증상완화를 위한 수술이 12%, 진단목적이 12% 정도를 차지한다고 한다. 위에 병기를 참고하면 IIIA기 중에서도 minimal N2 이하인 경우 수술이 선호된다.

다만 암의 병기랑 무관하게 신체적으로 수술을 견딜 수 있는 군이어야 수술을 진행한다. 설령 IA기라도 신체적으로 수술을 못 견디는 군이면 당연히 수술을 진행할 수 없다. 무슨 말인고 하면, 다른 기관과 달리 폐는 숨 쉬는 기관이기 때문에 해당 폐엽을 잘라내고 나서도 폐활량등의 폐기능이 충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암을 고치려고 수술을 했더니 숨 못 쉬어서 죽더라, 하면 정말 말도 안 되기 때문에 수술 전에 폐기능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만일 천식 등의 이유로 원래 폐기능이 안 좋았던 사람이라면 IA기라는 완전 초기 암이라고 할지라도, 유일하게 '완치'할 수 있는 수술이란 선택지를 못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기존에 병이 있어도 운동 등으로 심폐기능이 튼튼한 사람이라면 얼마든지 가능할 수도 있으니 평소에 열심히 운동하던 사람이 유리하다.

참고로 네덜란드나 미국에서 발표되는 논문에 따르면 병원크기나 외과의사의 경험은 폐암수술 성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1~2달 기다리다가 병기가 진행되면 제아무리 명의라고 해도 성적이 나빠질 수밖에 없다.

수술방법 중 가장 선호되는 방법은 해당 암이 포함된 엽만을 잘라내는 폐엽절제술(Lobectomy)이며, 종양이 크면 왼쪽 또는 오른쪽 폐를 모두 절제하는 폐절제술(Pneumonectomy)을 시행한다. 암은 해부학적 단위로 절제해야 전이 위험이 가장 낮기 때문에 엽 등으로 단위로 보통 절제한다. 다만 폐의 엽은 우측 폐가 3개 엽, 좌측 폐가 2개 엽으로 매우 적다. 따라서 폐를 절제했을 때 호흡기능이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 드물게 쐐기절제술(Wedge resection)이나 분엽절제술(Segmentectomy)를 시행하기도 한다. 다만 이는 재발률이 높아서 일반적으로는 완치를 확실히 기대할 수는 없는 방법이다.

예외적으로 최근 진단기술의 발전으로 종종 발견되는 간유리음영(GGO)[23]으로 나타나는 초기암의 경우 부분절제술이 성적에 차이가 없다는 것이 거의 일치된 중론이다. 간유리음영으로 나타나는 폐선암의 경우 논문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doubling time이 공통적으로 1년에서 3년까지 성장이 매우 느리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일본과 미국에서 각각 T1aN0의 초기암(very early stage)에 대한 부분절제술에 대한 무작위 연구가 진행 중이다.

소세포 폐암의 경우 조기 전이가 매우 흔하기 때문에 흔해 수술적 치료보다는 방사선이나 항암화학요법을 이용한 치료에 중점을 둔다. 그나마 제한기일 경우 드물게 수술이 가능한 경우가 있고, 이 경우 항암치료를 병행함으로써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수술이 가능한 경우는 일반병기로 I~II기 이하여야 일반적으로 시도해볼 수 있다.

다만 최근 2015년 일본 규슈국립암센터에서 Lung Cancer지에 발표한, propensity-scoring matching을 시행한 논문에서는 II~III기에서도 수술한 환자군이 더 성적이 좋았다. 사실 진단기술이 발전하고 수술기술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게다가 한국은 세계에서 드물게 폐암환자의 거의 대부분이 PET/CT촬영을 받기 때문에 진단의 정확도가 높은 편이다.

7.2 항암화학요법

항암제를 경구나 정맥을 통해 투여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항암제는 병기나 발병위치 등 환우의 상태에 따라 처방하는 것이 다르며 방사선치료와 같이 하는 경우도 있다.

수술이랑 병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수술 전에 항암화학요법을 하는 것을 신보강화학요법(Neoadjuvant chemotherapy), 수술 후에 항암화학요법을 하는 것을 보강화학요법(Adjuvant chemotherapy)라고 한다. 참고로 번역이 마음에 안든다 보강화학요법이 효과적이라고 하는 경우는 주로 II~IIIA기로, 오히려 I기에서는 논란이 된다. 이는 항암제가 오히려 신체에 주는 피해가 더 크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요법(Regimen)은 Cisplatin(또는 Carboplatin)에다가 Paclitaxel(또는 Docetaxel, gemcitabine, Vinorelbine)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이 효과적이지 않는다면 Docetaxel, Pemetrexed와 표적치료(Targeted therapy)를 시행한다.

표적치료제란 다른 항암제와는 달리 암세포만을 공격하여 다른 세포들에게 피해가 덜 가는 치료제를 말한다. 최근 수술할 수 없는 환우들의 희망은 바로 이 표적 치료제라고 봐도 무방하다. 한국의 경우 전체 폐암 환자중 40%의 환자는 EGFR, 또는 ALK 유전자 양성인 환자이기 때문에 서양의 13%보다 표적치료제로 치료받을 확률이 높다.[24] 이레사, 타세바, 지오트리프, 잴코리[25] 등이 있고 현재 다국적 제약회사에서 신약들을 계속 개발중에 있다.

폐암은 표적치료요법이 암종 중에서는 많이 개발되어 있는 편으로, 상대적으로 사용된 역사가 긴 것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도 계속 새로운 표적치료요법이 치료 가이드라인에 업로드 되고 있으니, 혹시 궁금한 사람은 NCCN 가이드라인을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로 일반명(상품명)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나열된 이레사, 타세바, 지오트리프, 잴코리는 상품명이므로 참고바람.

  • 혈관신생억제제인 Bevacizumab : 혈관신생인자인 VEGF에 대한 단일클론항체이다.
  • 경구 EGFR Tyrosine-kinase inhibitor인 Erlotinib(Tarceva), Gefitinib(Iressa), Afatinib(Giotrif)
  • 주사 Anti-EGFR Antibody인 Cetuximab(Erbitux) : EGFR에 대한 단일클론항체이다.
  • ALK-inhibitor : Crizotinib(Xalkori)

참고로 표적치료요법에 관한 오해가 하나 있는데 '표적'치료 요법이니 다른 부작용이 없을 것이라는 기대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표적이라 함은 일반적인 항암제처럼 그냥 분열 잘하는 세포를 마구잡이로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분자'를 공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게 아무리 잘 잡아도 '암세포에만' 존재하는 분자일 확률은 거의 없다.(애초에 우리 몸에서 만든거니까...) 따라서 일반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을'수는 있지만 '아예 없기'는 힘들다. 대표적으로 위에서 언급된 EGFR같은 경우는 피부에 아주 풍부하다(...)

7.3 방사선치료

파장이 짧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치료 방법 또한 다양하다. 항암화학요법과 같이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폐암은 방사선치료 반응이 좋은 편이라 완치를 기대해 볼 수도 있는데, 따라서 I, II기에서 수술이 불가능하거나[26] 환자가 수술을 거부한 경우 사용하며, III기에서도 일부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항암화학요법 등에 반응이 없는 경우 보존적 치료를 해주기 위해서 시행하기도 한다.

소세포 폐암의 경우 제한기에 한해 적용이 가능하다. 확장기의 경우 암이 광범위하게 퍼져있어 방사선 치료에 의한 폐손상 부위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

참고로 소세포폐암에서 항암화학요법을 통해서 완전 관해(Complete remission)[27]가 일어난 경우, 폐에서는 정말 완치일 수도 있는데 뇌 전이가 있어서[28] 결국 환자가 죽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해서 전뇌방사선조사(Whole brain irradiation)를 해 준다. 안해주면 2/3의 환자가 뇌에서 재발한다고 한다.

8 사회적 인식

사고나 다른 병증으로 죽게 되는 경우는 주변에서 정말로 안타깝게 보지만, 폐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삐딱한 시선을 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폐암 환자는 골초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실제로 폐암으로 죽은 사람 상갓집에 가보면 흔히 나오는 말이 "내 저러다 언젠가 죽을 줄 알았지…"이다. 1999년에 폐암 환자 및 가족으로 구성된 원고 36명이 담배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도 결국 2014년 4월 10일 "담배 제조사가 담배의 위해성을 은폐하였다고 볼 증거가 없다"며 원고 패소로 최종 결론이 났다. 한 마디로 "그러게 그 독한 걸 누가 뻑뻑 펴 대래?"

그러나 본문 상단에서 나오듯이 세계적으로 전체 환자중 15%는 비흡연자이며 한국의 경우 국립암센터의 통계로 보면 여성환자 중 대부분(87%)은 비흡연자이다. 현재 1999년과 비교해서 10만명당 폐암 발병율은 큰차이가 없지만 남성 환자는 흡연율 감소로 인하여 줄어드는 반면 여성환자는 12.9명에서 15.5명으로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폐암 환자를 무조건 자업자득이란 식으로 바라보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무지한 시각이다.

9 현황

위암, 간암과 더불어 발병률 및 사망률 1위를 두고 엎치락뒤치락하는 3대 암으로 꼽힌다. 통계청2010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폐암 환자가 한국인의 암 사망자 중에서 1위를 차지했다. 게다가 암 사망자는 10년 사이 무려 25%나 증가했는데, 그 중에서도 폐암은 사망률 증가 추이가 빠른 편에 속한다고. 1년 사이에만도 무려 4.4%나 증가했다고 한다. 흡연자 인구와 폐암 불감증이 얼마나 무서운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보여준다 하겠다.

10 예후

평균 생존율은 2009~2013년 기준 23.5%
20년 전 보다 2배 이상 높아졌으나 암 전체 생존율 (69%)에 못미친다.
1기 70% 2기 45% 3기 20% 4기 5%

11 폐암으로 사망한 유명인들

※ 당연하지만, 일부 종교인을 제외하면 생전에 대부분 흡연자들(그것도 골초)이었다. 다만 아닌 경우도 있으니 여기 있는 전원이 흡연자라고 단정짓지는 말 것.

11.1 한국

11.2 외국

12 참고 링크

  1. 대표적으로 카르시노이드(Carcinoid) 종양이라 불리는 신경내분비세포종이 있다. 다만 이는 상피기원 폐암에 비해 몹시 드물다.
  2. 문장 해석에 주의해야 하는데, 전체 폐암 환자 중 흡연자를 선택했을 때에 가장 빈도가 높은 암이 편평상피암이라는 것이다. 특정 암을 선택했을 때 가장 흡연자의 빈도가 높은 것은 소세포암이다.
  3. =샘 조직
  4. 원격전이가 있으면 일반적인 암은 4기 진단을 받는다. 보통 4기는 말기 취급된다.
  5. http://blog.iseverance.com/kjhang/i/entry/25#_home 세브란스병원 폐암클리닉 김주항 교수
  6.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1/06/2014110601089.html
  7. 다만 석면은 폐암보다도 악성중피종(Mesothelioma)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라서 이쪽으로 더 알려져 있을 것이다. 다만 어떤 의미에서는 악성중피종이 폐암보다 더 노답이다.
  8. 특히 튀김류를 조리할 때 미세먼지 수치가 급격히 올라간다.
  9. 여담으로 연령층을 불문하고 우리나라에서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면 결핵일 가능성이 있으니 무조건 검진받자.
  10. =Paraneoplastic syndrome, 부종양증후군. 부신+생물이 아니라 부+신생물이다.
  11. 조기암인 경우는 일반 흉부 X-선에서는 작아서 안보이며, 설령 보일만한 크기라도 흉부 X-선은 앞뒤로 겹쳐진 영상 한장을 얻는 것이기 때문에 판독이 부정확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
  12. X-선도 CT랑 동일하게 방사선을 쬐지만 쬐는 방사선량이 CT가 압도적으로 높다. 참고로 X-선 몇번 찍는것은 방사선량이 매우 낮아 암 발생 위험을 전혀 증가시키지 않는다. 여러분이 해외여행 갈 때 비행기에서 쬐는 우주선이 X-선 찍는것보다 훨씬 강력하다(...)
  13. 꼭 해야 하는 이유가 있어야만 시행한다. CT상에서 뭐가 보였다거나, 다른 기관지가 막힐 만한 임상적 증거가 있거나.
  14. CT를 찍어서 기관/기관지와 가까운 쪽에 있으면 기관지내시경, 피부와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경흉부 세침흡인술을 이용한다. 앞서 종류를 설명할 때 중심형(Central)과 말초형(Peripheral)을 나눈 의의중 하나가 여기에 있다.
  15. 폐암 뿐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암(혈액암 제외)이 TNM 체계를 사용한다. 다만 일부 암은 TNM을 매기기는 하는데 사실상 무시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16. 기관에서 첫 기관지가 갈라지는 부분
  17. 대동맥, 대정맥 등
  18. 폐 주위의 림프절이라고 정의된 림프절군을 말한다.
  19. 보통 림프절 전이는 세포단위로 림프관을 타고 전이되는데, 직접침범이라 하면 처음 발생한 위치에서 스스로 자라서 림프절에 도달한 경우를 지칭
  20. 흉수는 폐-흉막 사이에 물이 차는것, 심낭삼출은 심장-심장막 사이에 물이 차는 것을 뜻한다. 감염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암에 의해' 발생한 것만을 지칭.
  21. 환자가 견딜 수 있고, 치료 과정에서 다른 중요 위험인자가 예상되지 않는
  22. 치료 목적을 위한 병기 설정이기 때문으로, 방사선 치료가 중요 치료라서 그렇다.
  23. Ground glass opacity. '간'이라는 말은 갈다(Grind)의 활용형이다. X-ray나 CT 영상 등에서 확실한 결절형태가 아니라 배경이 비치는 약간 희미한 형태로 나타나는 병변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24. 표적치료는 검사를 통해서 표적치료가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만 할 수 있다.
  25. 다른 약들은 건보 적용이 되는데 젤코리는 아직 비급여라 하루 2회 복용시 한알에 16만원에 한달 약값이 1천만원에 달할정도라 폐암 환자나 가족들에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죽어라 까이고 있다. 현재 2번 정도 급여적용 빠꾸를 먹고 현재 건보심사평가원과 제약사 한국화이저사와의 협상이 진행중이라 한다. 한편 다른 비급여 약이던 지오트리는 약값을 대거 인하해서 8개월만에 건보적용이 되고 있는터라 한국화이저사도 나노단위로 까이고 있다.
  26. 위에서 언급한 다른 신체조건이 안맞는다거나 동반 병이 있는 이유 등
  27. 완치랑은 다른 개념이다. 인간이 사용하는 의료기구로는 암의 존재를 찾을 수 없게되는 단계를 뜻한다. 운이 좋으면 정말 완치일수도 있지만 세포 몇개만 남아 있어도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잔여 암세포를 확실히 죽이기 위해 추가 치료를 더 해준다.
  28. 뇌쪽에는 혈액-뇌 장벽(Blood brain barrier, BBB)이라는 게 있어서 약물이 잘 안들어간다.
  29. 2008년 대장암 수술을 받고 6년 뒤,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암이 폐로 전이되어서 같은 해 11월에 사망하였다.
  30. 식물인간 상태로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호흡기를 뗀 채로 병상에 있다가 사망해 존엄사 논란을 촉발한 분이다.
  31. 이를 두고 고인의 흡연 경력 여부가 논란의 도마에 올랐는데, 이에 대해 외사촌 조카인 현장 스님은 가족력이 있는 것 같다며 해명했다. 어쨌든 흡연 전력은 그가 이미 고인이 되었기에 알 수 없다.
  32. 스님은 방에서도 항상 향을 피우셨는데 이게 원인이라는 설도 있다. 실제로 향을 피울 때는 발암물질이 많이 나오기도 하고...
  33. 후배들에게 담배를 절대 못 피우게 했다. 하지만 자신은 골초였다.
  34. 마지막 유언으로 자신의 오빠에게 담배를 끊으라는 이야기를 남겼다.
  35. 항목의 인물들과는 다른 인물이다.
  36. 사망 당시 주치의에 따르면 사인은 "흡연에 기인한 폐암에 따른 호흡정지"라고 한다. 즉 폐암이 영향을 끼쳤다.
  37. 영화 킹스 스피치에서도 재현되어 있지만, 일설에 따르면 말더듬이 체질의 교정에 담배가 좋다는 사이비 의사들 권유를 따르다 그만 골초가 되었다고 한다. 결국 환갑도 채 맞지 못한 채 형보다 먼저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