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발언

1 개요

이겼다! 제 3부 끝!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이 다친 다리로 어떻게 저 공격을 피하지… 여러분이 맞춰보실래요? (중략) 내가 고르고 싶은 건 2번째지만 그건 깨몽일 것 같고… 만약 그렇다면 이 만화 수준이 너무 낮아지겠지?

- 메가톤맨

같은 만화지만 신경끄자

'메타픽션(metafiction)적인 발언(發言)'의 준말. '창작물 안의 등장인물이 자신이 등장하는 작품 자체에 대해 언급하거나, 제4의 벽 너머의 존재(독자, 시청자)를 인지하는 행위'로 정의될 수 있다.

간혹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등에서 캐릭터들이 제4의 벽을 돌파해서 독자의 존재, 작가의 존재, 나레이터의 존재를 인식하거나 아예 작가나 나레이터랑 대화하는 경우도 있고, 자신이 애니메이션 세상에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는데, 메타픽션적인 요소에 속한다고 할 수는 있으나 이는 사실 메타픽션을 개그적 요소로 이용한 것이며 해당 작품의 장르 자체가 메타픽션인 건 아니다.

게임에서 튜토리얼을 할 때 나오기도 한다. 적절한 유저 인터페이스 없이 게임 속의 캐릭터들이 플레이어에게 알려주는 식으로 처리할 경우. 근데 주인공은 플레이어의 분신이기 때문에 NPC가 주인공에게 말하는 형태가 되고, 이게 메타발언인 것이다. "OO, 알고 있어? □키를 누르면 ~~를 할 수 있어!" 형태로 주로 쓰인다.

2 예시

니코니코 동화에서 이런 부분이 나오는 영상이 올라오면 해당 부분에 "메타발언 자중 ㅋㅋㅋ" 혹은 메메타아(メメタァ)같은 코멘트가 달린다.

3 그 외

트위터트위터 봇에서 종종 '봇주'(트위터 봇의 주인을 뜻하는 은어)를 전제하고 트윗을 하거나, 아예 관리자의 속사정에 대해 캐릭터의 입장에서 트윗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것 또한 메타발언에 속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귀신 이야기는 출간 순서는 꽃 이야기미끼 이야기보다 뒤지만, 시간 순서는 앞인데도 불구하고 하치쿠지는 칸바루 스루가센고쿠 나데코의 일을 알고 있다.
  2. 애니메이션화 결정되기 전에 원작에 등장한 대사다.
  3. 애니메이션은 원작 순서대로 진행되지않고 스토리를 골라와서 애니화 한다. 학생회 임원들 항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