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한

(변진에서 넘어옴)
한국의 역사
청동기
시대
고대중세근세근대현대
원삼국
시대
삼국
시대
남북국
시대
후삼국
시대
구한말일제
강점기
미소
군정
분단
고조선고구려
부여
고구려발해고려조선대한
제국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소련
군정
북한
한사군
옥저
동예
신라태봉,후고구려
마한백제후백제미군정대한민국
진한신라신라
변한가야
우산국대한민국 임시정부
탐라국
변한의 국가
감문국거칠산국고자국미리미동국미오야마국벽진국비지국탁순국
원삼국시대 한반도 남부의 소국연맹 삼한
마한진한변한
위서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오환족선비족부여고구려옥저읍루예맥마한/진한/변한주호


弁韓 (변진(弁辰)이라고도 한다)

표에서 아래쪽 노란색이 변한의 영향력이다.

1 소개

고대 한반도 삼한전라남도, 경상남도 인근에 위치했던 12개 소국 모임으로 후에 가야로 칭해지게 되었다.[1] 사실 가야도 멸망하는 순간까지 중앙집권형 국가는 되지 못하고 소국 모임에 불과했기 때문에, 변한=가야나 마찬가지다.

변진(弁辰)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당대 기록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따르면, 현대에는 같은 경상도로 묶인 진한 지역과는 언어, 법속, 의식주 똑같고 단 제사 풍속만 다르다고 한다. 고고학적으로도 진한과 변한이 구분되는 부분은 그다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변한 지역이 그대로 이어진 가야도 그렇지만, 철광석 생산으로 유명해 마한, 한사군, 동예, 등등이 모두 변한의 철을 사갔다. 변한에서는 철이 화폐처럼 사용됐다고 한다.

2 변한 12개국

변한의 구성국 목록및 추정되는 위치이며, 변한의 역사는 아직까지 추측 뿐이다. 이병도설과 천관우정인보설 등등이 있다.

나라 숫자를 세어보면 13개다. 왜일까.

국가명현재 추정 위치
감로국(甘路國)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소개이 지역은 삼국사기진한으로 표기되고 일찌감치 신라 영역에 편입되었다.
고순시국(古淳是國)경상남도 진주시 일대. 천관우는 경상남도 사천시 일대로 비정했다.
소개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경상남도 고성군 일대
소개후에 고자국(소가야)으로 발전
구야국(狗邪國)경상남도 김해시
소개후에 금관국(금관가야)으로 발전
군미국(軍彌國)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과 곤명면 일대
소개
독로국(瀆盧國)부산광역시 동래구 일대
소개거칠산국(居漆山國)이라고도 한다.
미리미동국(彌離彌凍國)경상남도 밀양시 일대
소개
미오야마국(彌烏邪馬國)경상남도 창원시 일대. 이병도는 고령군으로 비정했지만 이지역은 반파국의 땅이다.
소개이후 골포국으로 발전한다.
반파국(伴跛國)경상남도 고령군 일대
소개후에 대가야로 발전. 반로국(半路國)이라고 종종 언급 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반파국(伴跛國)의 오기이다.
악노국(樂奴國)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소개
안야국(安邪國)경상남도 함안군 일대
소개후에 안라국(아라가야)으로 발전한다.
접도국(接塗國)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소개후에 칠포국으로 발전한다.
주조마국(走漕馬國)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소개

3 참고자료

3.1정사 삼국지》위지동이전

弁辰亦十二國, 又有諸小別邑,各有渠帥, 大者名臣智, 其次有險側, 次有樊濊, 次有殺奚, 次有邑借。有已國, 不斯國, 弁辰彌離彌凍國, 弁辰接塗國, 勤耆國, 難彌離彌凍國, 弁辰古資彌凍國, 弁辰古淳是國, 奚國, 弁辰半路國, 弁樂奴國, 軍彌國(弁軍彌國), 弁辰彌烏邪馬國, 如湛國, 弁辰甘路國, 戶路國, 州鮮國, 馬延國, 弁辰狗邪國, 弁辰走漕馬國、弁辰安邪國, 馬延國, 弁辰瀆盧國, 斯盧國, 優由國。弁,辰韓合二十四國,大國四五千家, 小國六七百家,總四五萬戶。其十二國屬辰王。辰王常用馬韓人作之, 世世相繼。辰王不得自立爲王。【魏略曰 明其爲流移之人 故爲馬韓所制。】

(弁辰) 또한 12국이다. 여러 작은 별읍(別邑)이 있고 각각 거수(渠帥)가 존재하는데 큰 것은 신지(臣智)라 하고 그 다음은 험측(險側), 그 다음은 번예(樊濊), 그 다음은 살해(殺奚), 그 다음은 읍차(邑借)가 있다.
변한진한은 모두 24개 국인데 대국은 4-5천 가(家), 소국은 6-7백 가(家)로 총 4-5만 호이다. 그 12국은 진왕(辰王)에 속한다. 진왕은 항상 마한사람이 맡아 세세토록 계승한다.


진왕은 스스로 즉위하지는 못한다.[2]
이저국, 불사국,변진미리미동국, 변진접도국, 근기국, 난미리미동국, 변진고자미동국, 변진고순시국, 염해국, 변진반로국, 변(진)낙노국, 군미국, 변(진?)군미국, 변진미오사마국, 여담국, 변진감로국, 호로국, 주선국, 마연국, 변진구야국, 변진주조마국, 변진안야국, 마연국, 변진독로국, 사로국, 우유국이 있다. 26개국이나 마연국 중복이고 군미국과 변군미국을 동일한 국가로으로 본다면 24개국이 된다.

弁辰與辰韓雜居,亦有城郭。衣服居處與辰韓同。言語法俗相似,祠祭鬼神有異,施皆在戶西。其瀆盧國與倭界。十二國亦有王,其人形皆大。衣服,長髮。亦作廣幅細布。法俗特嚴峻。

변진은 진한과 잡거하고 또한 성곽이 있다. 의복, 거처는 진한과 같다. 언어와 법속이 서로 비슷한데 귀신에 제사 지내는 것은 다른 점이 있고, 부엌을 문의 서쪽에 둔다. (변진) 독로국은 왜와 접한다. [3] 12국에 또한 왕이 있는데 그 사람의 형체가 모두 크다. 의복은 청결하고 머리카락이 길며 또한 광폭세포(廣幅細布.폭이 넓고 고운 베)를 짓는다. 법속이 특히 준엄하다.

3.2후한서》동이열전

弁辰與辰韓雜居, 城郭衣服皆同, 言語風俗有異. 其人形皆長大, 美髮, 衣服絜清. 而刑法嚴峻. 其國近倭, 故頗有文身者.

변진(弁辰)은 진한과 잡거하는데 성곽(城郭), 의복(衣服)이 모두 같고 언어와 풍속에 다른 점이 있다. 그 사람들의 형체가 모두 장대(長大)하며 머릿결이 곱고 의복이 청결한데 형법은 엄준(嚴峻)하다. 그 나라가 왜(倭)와 가까워서 문신한 자가 상당히 많다.

  1. 매우 뜬금없이 조선시대에 성녕대군이 사후 '변한 소경공'으로 봉해진 적이 있다.(…)
  2. 위략에 이르기를 유이민이 뛰어났으므로 마한의 제어를 받았다.
  3. 접한다 이 부분을 왜 강조하냐면, 경계를 이루어서 접한다는 의미인데 이는 한반도에 있는 변한과 일본 본토의 왜로 해석하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독로국을 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대마도와 접하고 있는 부산 지역으로 비정하는 것이지만, 이걸 기준으로 해도 접한다는 표현을 쓰기 좀 뭐한 것이 사실이다. 아래에 있는 후한서 동이열전의 近倭라는 표현과 비교해보자. 천관우(千寬宇)는 이에 대하여, ‘접(接)’에는 간단한 사서(辭書. 辭典사전)에도 나와 있듯이 ‘연속(連續)’의 뜻과 함께 ‘근(近)’의 뜻이 있어, 위의 경우는 “독로국(瀆盧國)은 왜(倭)와 지경이 가깝다”는 뜻으로 보아야 한다. “왜인(倭人)은 대해중(大海中)에 있다”는 것이 「왜인전(倭人傳)」의 대전제이기 때문이라 했다.(천관우. 1976. 『가라사 연구』. 서울 : 일조각. 1991. 201쪽). 김정학(金廷鶴)은 “한은 대방의 남쪽에 있다. 동쪽과 서쪽은 바다로 끝이 났고, 남쪽은 왜와 접한다.”에 대해 “남쪽에 왜(倭)와 접(接)한다”고 했는데, 진수(陳壽)가 자료로 한 『魏略(위략)』에는 이 文句(문구)가 없다. 즉 『翰苑(한원)』에 적혀 있는 『魏略(위략)』의 일문(逸文)에는 “한(韓)은 대방(帶方)의 남쪽에 있고, 동서(東西)는 바다로 끝이 났다”고 되어 있다. 진수는 실제로 삼한지방을 여행한 일이 없으며, 『魏略(위략)』을 자료로 하여 문장을 엮었기 때문에, 한의 남쪽에 왜(倭)가 있다는 지식에서, “남쪽은 왜(倭)와 접(接)한다”고 문장을 엮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실제로 한(韓)과 왜(倭)가 땅을 접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