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우코스 제국

헬레니즘 제국
마케도니아 왕국셀레우코스 제국그리스-박트리아 왕국
파르티아
로마 제국
(시리아 속주)
이란의 역사
تاریخ ایران-
고대 제국이슬람의 도래
엘람메디아아케메네스헬레니즘 제국파르티아사산 왕조수니 칼리프 제국이란계 왕조들
마케도니아셀레우코스정통
칼리프
시대
우마이야아바스타히르 왕조사만
사파르
아바스부와이
유목 정복 왕조근대현대
가즈나고르호라즘몽골
제국
티무르사파비
왕조
아프샤르 왕조잔드카자르팔라비이란
이슬람
공화국
셀주크 제국
일 칸국카라코윤루
(흑양)
아크코윤루
(백양)



건국 직후의 영역. 안티고노스를 나눠먹기 이전.
300px-Seleucid-Empire_200bc.jpg
셀레우코스 왕조의 영역(200년경), 그리스아나톨리아로 확장하기 이전. 이때 파르티아가 떨어져 나온 것이 확인된다.

Ἀρχή Σελεύκεια (그리스어, 아르케 셀레우케이아)
Seleucid Empire (영어)

1 개요

BC 312년부터 BC 63년까지 존속했던 서아시아 일대의 헬레니즘 계열 왕국.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디아도코이 중의 하나였던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창건하였다. 수도안티오케이아를 중심으로 시리아 일대에 핵심 기반을 두고 있었으므로 시리아 왕국이라고도 한다.

헬레니즘 제국아시아 쪽 영토를 거의 모두 차지했으나 이집트의 경쟁 왕조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자주 전쟁을 벌여 국력을 낭비하였고, 각지에서 반란과 독립이 빈발하여 영토를 오래 유지하지 못했다. 서쪽에서는 로마, 동쪽에서는 파르티아에게 영토를 빼앗겨 BC 2세기 말에는 시리아의 소국으로 전락하였고, BC 63년 로마의 장군 폼페이우스에 의해 멸망하여 로마 제국의 시리아 속주로 편입되었다.

2 역사

2.1 불안한 초창기

셀레우코스 1세의 왕국 건설 과정은 디아도코이 항목을 참고.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1]가 사망한 후 왕위를 계승한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재위 281-261 BC)(구원자, 소테르)는 수도를 티그리스 강변의 셀레우케이아에서 오론테스 강변의 안티오케이아로 옮겼으며,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와 전쟁을 벌였다. 양국은 그 후로도 접경지대인 코엘레-시리아[2], 페니키아, 유대 등을 놓고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는데, 이를 시리아 전쟁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왕국의 영토인 아나톨리아켈트인들이 대규모로 쳐들어오기도 했다. 이는 단순한 공격이나 약탈이 아니라 대규모 이주 수준으로, 여러 켈트 부족들이 아나톨리아 중앙의 갈라티아 지역에 정착하여 자기네 땅으로 삼았다. 이들은 서아시아 일대에서 용병으로 활약했는데, 말 그대로 동부 지중해의 거의 모든 전투에 참여했다. 심지어 일부는 악티움 해전까지 참여했다고 한다.

이처럼 셀레우코스 왕조의 주의가 서방에 쏠려 있는 틈을 타 멀리 떨어진 동방 영토들이 떨어져 나가기 시작했다.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재위 261-246 BC)(신, 테오스)가 사망한 틈을 타 박트리아사트라프인 디오도토스가 왕위를 칭하고 독립을 선언했으며, 파르티아의 사트라프인 안드라고라스가 뒤를 이었다. 수 년 후 파르니족의 수장 아르사케스가 파르티아를 침공, 장악하여 아르사케스 왕조를 세움으로써 이 둘은 셀레우코스 왕조의 세력권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안티오코스 2세의 아들인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재위 BC 246-225 BC)가 왕위를 계승한 후 상황은 더 악화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와의 전쟁에서 대패하여 한때나마 바빌론까지 몰리기도 했으며, 그의 동생인 안티오코스 히에락스는 아나톨리아를 거점으로 반란을 일으켜 왕위를 주장하기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 3세와는 휴전 협정을 맺고, 안티오코스는 전쟁 끝에 제압해 냈지만 그 와중에 폰토스, 비티니아, 카파도키아, 페르가몬이 독립해 나갔다.

2.2 부활?

300px-194fkr.JPG
300px-187fkr.JPG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의 확장(진한 파랑색) 그리고 로마에게 털린후.

셀레우코스 2세가 죽고, 그 아들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재위 223-187 BC)가 즉위했다. 대왕(메가스)이라는 칭호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비범한 인물이었다. 비록 재위 초창기에 벌어진 프톨레마이오스 4세 필로파토르와의 전쟁에서는 어이없는 실수[3]를 저지르며(BC 217년 라피아 전투) 패배했지만, 승리한 프톨레마이오스 측의 피해도 컸으므로 별다른 영토 손실 없이 휴전이 이루어졌다.

전쟁에서 돌아온 안티오코스 3세는 곧 개혁에 착수했다. 문관과 무관으로 나뉘어 있던 관제를 개혁하여 문무관의 대립을 없앴으며, 알렉산드로스 시대에 추진되었던 그리스와 페르시아의 제도를 혼합하여 제국의 실정에 맞게 만든 개혁을 완수하였다. 이 개혁으로 스트라테고이(장군; 페르시아의 사트라프와 유사한 제도)라고 불리우는 지방 총독들이 문무관을 통합하게 되었다. 그리고 수도 안티오케이아만으로는 광활한 제국령을 효과적으로 다스릴 수 없었으므로 리디아의 사르데이스와 메소포타미아 셀레우케이아에 각각 행정 관청을 두어 각각 서방/동방을 관장하게 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그리스 문화를 동방의 문화보다 중시하였기 때문에 토착 세력의 반발을 야기하가도 했다. 한편 군주 숭배 사상을 확립하였다.

개혁을 마친 안티오코스 3세는 10년에 걸친 대규모 동방 원정을 단행했다. 안티오코스의 아나바시스라고도 하는 이 원정을 통해 아르메니아를 멸망시키고[4] 파르티아와 박트리아의 복종을 받아냈다.[5] 나아가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근방인 파로파미사다이의 인도계 군주와도 외교관계를 정립하고 코끼리도 많이 받은 그는 당당하게 시리아로 개선하였다. 시리아로 돌아온 안티오코스 3세는 프톨레마이오스 4세가 죽은 것을 알게 되고, BC 198년 파니온 전투에서 프톨레마이오스 군대에게 대승을 거두어[6] 라피아에서의 패전을 설욕하고 팔레스타인을 차지했다.

안티오코스 3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공격하기 전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와 동맹을 맺어 두었는데, 마침 필리포스 5세가 키노스케팔라이 전투에서 로마군에게 패배하자 이를 구실로 그리스 본토까지 넘보게 된다. 마침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패한 한니발 바르카가 셀레우코스 왕조에 망명해 왔고, 이에 고무된 안티오코스 3세는 대군을 일으켜 그리스 본토를 침공했다. 하지만 그리스 본토를 공격하러 간 선발대는 테르모퓔라이 전투에서 대패하였고, 오히려 로마 측의 역공을 당하게 되었다. 안티오코스 3세가 직접 지휘한 마그네시아 전투에서 7만에 달하는 대군이 패배하면서 셀레우코스 왕조는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

마그네시아의 패전은 파멸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안 그래도 한정되어 있던 셀레우코스 왕조의 군사적 자산이 완전히 뿌리뽑혔으며,[7] 타우로스 산맥 서쪽 아나톨리아의 모든 영토를 상실했다. 거기다 엄청난 액수의 배상금까지 지불해야 했다. 안티오코스 3세는 배상금을 마련하기 위해 동방 약탈 원정[8]을 떠나다가 BC 187년에 암살당했다. 형식적으로 복종하던 아르메니아와 파르티아, 박트리아는 셀레우코스 군사력의 몰락을 확인하고 마음대로 활개치기 시작하였다.

2.3 망했어요

아버지를 잘못 만나 빚쟁이가 된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재위 187-175 BC)는 배상금 갚기에 허리가 휘어지다 암살당했다. 다음 왕위에 오른 셀레우코스 4세의 동생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는 기울어 가는 나라를 부흥시키기 위해 같이 기울어 가던(…) 옛 라이벌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를 갈구기 시작했다. 이 갈굼이 의외로 성과가 있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까지 밀어붙이는 기염을 토했지만, 로마의 개입으로 데꿀멍하고 물러나야만 했다.[9]

이후 왕국의 세력은 계속 기울었고, 동쪽에서는 파르티아가 점점 더 세력을 뻗치기 시작했다. 메디아페르시아가 파르티아의 위협을 받기 시작했으며, 마침 유대인들의 동태도 심상치 않았다. 안티오코스 4세는 가열찬 유대 문화 박해와 헬레니즘화로 이를 타개하려 했으나, 오히려 마카베오 반란이라는 대규모 반란만 촉발시켜 버렸다.[10]

게다가 안티오코스 4세가 파르티아를 치러 가던 도중 사망한 뒤에는 왕위를 두고 수십 년에 거친 여러 차례의 내전이 벌어졌으며, 유대는 완전히 독립해 버렸다.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재위 146-139, 129-126 BC)가 겨우 왕위를 회복하는가 싶었지만, 파르티아의 미트라다테스 1세에게 패해 포로로 잡혀 버렸다. 이로써 이란 고원 전역이 파르티아에 확고하게 귀속되었으며, 얼마 뒤에는 메소포타미아까지 빼앗겼다. 왕위를 이어받은 데메트리오스 2세의 동생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재위 138-129 BC)는 유대 반란군과 휴전한 뒤 어떻게든 군대를 긁어모아 동방 원정을 감행했다. 이는 예상 외의 성공을 거두어 메소포타미아, 메디아를 탈환하고 페르시아까지 진출했으나, 파르티아 왕 프라아테스 2세의 반격을 받아 전사한다. 이것이 망해 가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마지막 불꽃이었다.

2.4 생명연장의 꿈

600px-1stMithritadicwar89BC.png
BC 89년의 지도이지만 셀레우코스 왕조의 땅은 사실 BC 2세기 말에 저 정도 수준이 됐다. 위의 지도와 비교해보자. 약 150년만에 영토가 20분의 1 이상으로 쪼그라든 셈이다(...) 큰 나라들 사이에서 찾기 어려울지도 모르니 청록색이라고 말해두자

안티오코스 7세의 몰락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에 남은 땅이라고는 안티오케이아와 그 근처의 시리아 지역이 전부였다. 하지만 셀레우코스 왕조는 장장 수십 년 동안 생명 연장의 꿈을 이룰 수 있었으니, 다름이 아니라 주변의 거대 세력들이 이를 완충 지대로 삼았기 때문이다. 한때의 중동 패자가 완충지대...파르티아는 동쪽에서 쳐들어온 유목민들과 싸우는 한편 넓어진 제국의 세력을 굳히느라 여념이 없었고, 로마는 한창 폰토스와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땅과 돈만 많았다 뿐이지 사실상 로마의 보호국 상태인데다, 그 권력 투쟁은 셀레우코스 왕조에 비해 나을 것이 전혀 없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마침 만만한 먹잇감을 찾던 아르메니아의 티그라네스 2세가 시리아로 눈을 돌리게 된다. 망해 가는 나라들이 늘 그렇듯이 정신 못 차리고 자기들끼리 싸우던 셀레우코스 왕가의 경쟁자들 중 하나가 급기야 외부 세력인 티그라네스 2세에게 헬프를 쳤고, 옳다구나 하고 달려온 티그라네스 2세는 BC 83년 아예 자신이 셀레우코스 왕조의 왕이라고 선포해 버렸다. 이로써 셀레우코스 왕조는 멸망했다...

라고 해야 정상이겠지만, 로마의 루쿨루스가 티그라네스 2세의 장인인 폰토스의 미트라다테스 6세와 티그라네스 2세를 연속으로 관광보내면서 셀레우코스 왕조는 아르메니아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된다. 하지만 그 후에도 셀레우코스 왕가는 자기들끼리 병림픽을 계속했고, 결국 더 이상 이런 잉여들에게 시리아를 맡겨 뒀다간 위험하겠다고 판단한 로마의 폼페이우스에 의해 멸망했다. 비슷한 시기 로마에 편입된 폰토스, 아르메니아, 유대 등은 속국으로써 어느 정도 자치권을 가졌지만, 셀레우코스 왕조는 아예 없어지고 로마의 직할 속주로 편입되어 버렸다.(...)

3 정치/군사

라이벌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마찬가지로, 셀레우코스 왕조 역시 소수의 그리스-마케도니아 엘리트를 중심으로 경영되었다. 이 그리스-마케도니아인들은 헬레니즘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바르바로이와 외래 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대단했으며, 토착 피지배층과 공감할 만한 요소가 거의 없었으므로 항상 긴장 관계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왕국은 엄청나게 넓고 그리스-마케도니아인들은 소수였으므로, 셀레우코스 왕조는 원활한 통치를 위해 토착 엘리트들을 통치의 하부 구조로 적극 끌어들여야만 했다. 그 결과 그리스-마케도니아 엘리트들의 직접적인 통제력은 헬레니즘 문화 시설과 수비대가 있는 도시 지역에 한정되었고, 그 외의 지역은 마을 촌장이나 부족장들을 통해 간접 지배했다. 심지어 토착 세력이 강한 곳, 예컨대 파르스 등지에서는 아예 속국과 비슷한 왕조 체제가 자리 잡기도 했다.[11] 행정 면에서는 아케메네스 왕조 시절의 조세 및 지방 행정 제도를 많이 답습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란 고원이나 다른 동방 지역에 관한 사료는 없어서 연구가 어려우며, 사료가 남아 있는 서방 지역에서도 지역마다 체제나 제도를 달리 적용한 것을 보면 섣불리 짐작하기 어렵다.

상당수의 그리스-마케도니아인들이 고향을 떠나 의지할 곳 없는 아시아로 인생역전을 노리며 몰려왔는데, 그들이 성공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은 왕국 전체의 통치권과 군대를 가진 왕의 호의를 입는 것이었다. 어떤 식으로든 왕의 눈에 든 이는 왕의 "친구"가 되었으며, 이런 친구들은 왕의 개인적 측근인 동시에 왕국의 지배 엘리트가 되었다.[12]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절 그리스-마케도니아인들이 바르바로이에 대한 거부감만큼이나 오리엔트식 전제 왕권에 대한 거부감도 강했던 반면, 셀레우코스 왕조 시대에는 세습적인 전제 왕권이라는 개념이 무리없이 받아들여진 듯하다. 왕위를 노리고 반란을 일으킨 장군이 군사들에게 "왕을 치러 간다"는 사실을 숨겼다가, 군사들이 사실을 알게 되자 단체로 항명해버려서 반란이 실패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왕들은 아무 거리낌없이 자신을 신, 구원자, 혹은 특정 신의 현신이라고 주장했는데,[13] 이러한 군주 숭배 사상은 안티오코스 2세 때 기반이 닦이고 안티오코스 3세 때 확립된다.

소수의 지배 엘리트가 인종적, 문화적으로 완전히 다른 다수의 토착민들을[14] 지배하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지배는 군사적 위력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말은 안 통해도 칼은 통한다 아래 서술하겠지만 셀레우코스 왕조는 각지에 도시를 건설하여 통치와 문화의 거점으로 삼았다. 이런 도시에 용병들을 적극 정착시키는 한편, 일종의 봉건제도처럼 병사들에게 토지 소유권이나 징세권을 주어 관리하게 하다가 전시에 동원하였는데 이를 카토이코이(Katoikoi) 혹은 클레루코이(Klerouchoi)라고 한다. 그리스-마케도니아 이주민의 숫자가 갈수록 줄어들었기 때문에 나중에는 아시아 출신자들도 클레루코이에 포함되었으나, 장교나 정예부대 자리는 늘 그리스-마케도니아인들이 독점하였다.

셀레우코스 왕조의 군사 장비나 편제는 거의 대부분 알렉산드로스 시절 마케도니아의 것을 답습하였으나, 비슷한 마케도니아식 군대를 가진 다른 디아도코이 국가들과 투쟁하는 와중에 더욱 중장화하게 된다. 페제타이로이들이 사용하는 사리사의 길이가 길어지고 더 큰 방패를 사용하거나, 헤타이로이들이 방패나 다리 보호대, 마갑 같은 장비들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경무장 투창병이었던 펠타스트들도 펠타 대신 더 큰 방패인 투레오스를 사용하고 갑옷을 입기 시작했는데, 이를 투레오포로이라고 한다. 체인메일이 도입된 이후 체인메일을 입은 투레오포로이들을 흉갑을 입었다 하여 토라키타이라고 불렀는데, 큰 방패와 체인메일, 칼을 쓰는 모습이 로마 군단병과 닮았다 하여 군대가 "로마화"되었다는 오해를 낳기도 했다.

특히 셀레우코스 왕조는 이란 고원과 스텝 유목민들과 자주 접했으므로 카타프락토이를 적극 받아들였는데, 직접적인 계기는 안티오코스 3세의 동방 원정인 듯 하다. 또한 셀레우코스 1세가 찬드라굽타로부터 코끼리 500마리[15]를 받은 이후 전투 코끼리 역시 적극 도입하였는데, 이 코끼리에도 갑옷을 입히고 상교를 지우는 등 중무장화시켰으며, 적이 코끼리의 약점을 노리지 못하도록 코끼리 호위용 부대를 따로 조직했을 정도였다. 낫전차 역시 실전에 투입했으나, 페르시아 시절과 마찬가지로 별 효용성은 없었다.

4 사회/문화

초창기 셀레우코스 왕조는 특히 헬레니즘 문화의 전파에 정력을 쏟았는데, 이는 특히 도시 건설을 통해 이루어졌다. 아무것도 없는 곳에 신도시를 건설한 경우도 있었고, 원래 있던 마을을 크게 확장하여 도시를 조성하기도 했으며 원래 있던 도시를 이름만 그리스 식으로 바꾸기도 하였다.[16] 이런 식으로 여러 곳에 거점 도시들을 만들고 그리스-마케도니아인들을 정착시켜 헬라스식 문화를 뿌리내리는 동시에 헬레니즘화된 토착민들을 양성하는 것이다. 또한 토착 엘리트들에게 헬레니즘 양식의 옷들을 하사하고 그리스식 이름을 주는 등 문화적인 혜택을 주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시도는 왕조 초창기에만 이루어졌다. 우선 디아도코이 전쟁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양강 체제가 이루어지면서 둘이 박터지게 싸우느라 왕들이 심시티(...)를 할 상황이 못 되었다. 게다가 사방에서 적이 쳐들어와 영토가 시시각각 축소되고,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본토도 인구가 많이 유출되어 더 이상 뽑아낼 인구가 없었기 때문에 신도시 건설은 급속도로 자취를 감췄다.

셀레우코스 왕조의 동방 영토 영유 기간이 그리 길지 않았기 때문에 도시화를 통한 헬레니즘 정책은 다른 곳에서는 점차 사라져 갔지만, 그 대신 박트리아 왕국이 바톤을 넘겨받아 헬레니즘 문화를 상당히 융성하게 했다.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사회세계사 교과서를 보면 신라 시대 불상과 인도의 간다라 불상을 비교하며 헬레니즘 문화에 대해 서술한 내용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박트리아 왕국의 영향이다. 또한 왕조의 중심지였던 시리아와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는 헬레니즘이 확고한 대세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이후 고대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을 거쳐 이슬람 시대까지 시리아 및 지중해 연안 지대의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로마가 셀레우코스 왕조를 마그네시아에서 꺾을 때가 아이러니하게 셀레우코스 왕조의 절정기였고 그 중심에는 대왕이라 불리는 안티오코스 3세가 있었다. 알렉산드로스의 후계자들 중에 가장 국력도 강했던 나라였던지라 로마가 제정으로 변모한 뒤 셀레우코스 왕조의 의례를 많이 본받으려고 했다. 그래서 동로마 제국의 황제에게까지도 비슷한 의례가 전해졌다고 한다.

5 역대 왕

이름재위 기간가족 관계비고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311 - 281 BC시조왕을 칭한 것은 305년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281 - 261 BC셀레우코스 1세의 아들페르시아 귀부인[17]
셀레우코스 1세의 혼혈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261 - 246 BC안티오코스 1세의 아들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246 - 225 BC안티오코스 2세의 아들파르티아, 박트리아, 갈라티아 상실
셀레우코스 3세 케라우노스225 - 223 BC셀레우코스 2세의 아들암살당함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223 - 187 BC셀레우코스 2세의 아들동방 원정, 아나톨리아 상실
셀레우코스 4세 필로파토르187 - 175 BC안티오코스 3세의 아들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175 - 163 BC안티오코스 3세의 아들
안티오코스 5세 에우파토르163 - 161 BC안티오코스 4세의 아들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161 - 150 BC셀레우코스 4세의 아들유대 상실
알렉산드로스 발라스150 - 146 BC안티오코스 4세의 아들이라 주장데메트리오스 1세와 내전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146 - 138 BC데메트리오스 1세의 아들1차 재위.
메소포타미아, 이란 고원 상실
안티오코스 6세 디오뉘소스145 - 140 BC알렉산드로스 발라스의 아들디오도토스 트뤼폰의 꼭두각시
디오도토스 트뤼폰140 - 138 BC왕가가 아님왕위 찬탈자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138 - 129 BC데메트리오스 1세의 아들파르티아에 패해 전사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129 - 126 BC데메트리오스 1세의 아들2차 재위
알렉산드로스 2세 자비나스129 - 123 BC안티오코스 7세의 양자라고 주장프톨레마이오스의 꼭두각시
클레오파트라 테아125 - 123 BC프톨레마이오스 6세의 딸길어서 각주로 처리[18]
셀레우코스 5세 필로메토르125 BC데메트리오스 2세의 아들어머니에게 암살됨
안티오코스 8세 그뤼포스125 - 96 BC데메트리오스 2세의 아들어머니를 죽이고 살아남음
안티오코스 9세 퀴지케노스114 - 96 BC안티오코스 7세의 아들안티오코스 8세와 내전
셀레우코스 6세 에피파네스96 - 95 BC안티오코스 8세의 아들안티오코스 9세를 죽임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95 - 83 BC안티오코스 9세의 아들내전 선수 1번
데메트리오스 3세 에우카이로스95 - 87 BC안티오코스 8세의 아들내전 선수 2번
안티오코스 11세 에피파네스95 - 92 BC안티오코스 8세의 아들내전 선수 3번
필리포스 1세 필라델포스95 - 83 BC안티오코스 8세의 아들내전 선수 4번
안티오코스 12세 디오뉘소스87 - 84 BC안티오코스 8세의 아들선수 1번 대타
티그라네스 대왕83 - 69 BC아르메니아내전 종결자
셀레우코스 7세 필로메토르83 - 69 BC?티그라네스에게 쫓겨나 버로우
안티오코스 13세 아시아티쿠스69 - 64 BC안티오코스 10세의 아들
필리포스 2세 필로로마에오스64 - 63 BC필리포스 1세의 아들
  1. 니카토르 승리자,전승왕 니케 생각하면 된다.
  2. Coele-Syria, 현재의 다마스쿠스 근처 지역을 가리킨다.
  3. 이집트 섭정 소시비오스의 거짓 항복에 낚인 것 & 전투에서의 삽질
  4. 이 때 예르반두니 왕조(Orontid dynasty)가 패망하고 셀레우코스 왕조에 충성하는 아르타쉐스라는 아르메니아인이 스트라테고스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10여 년 후 아르타쉐스가 반란을 일으켜 아르타쉐스 왕조(Artaxiad dynasty)를 세워 셀레우코스 왕조는 지배권을 상실했다.
  5. 파르티아의 수도 헤카톰필로스를 함락시키고 박트리아 군대 역시 초전에 무찔렀으나, 파르티아 왕가는 도망갔고 아니 이인간들은 로마전 때도 튀더니 수도에 불싸질러지는게 일상인가박트리아는 수도 박트라에 틀어박혔으므로 수 년간 포위했으나 점령하지 못했다. 결국 파르티아는 왕이라는 칭호를 쓰는 대신 셀레우케이아에 복종하기로 하고, 박트리아는 종주권을 인정받고 왕족 통혼을 했다.
  6. 이 때 기병 전투에서 카타프락토이의 활용이 대성공을 거뒀고, 이로 인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헤타이로이도 중무장화된다.
  7. 16,000명에 달하는 마케도니아 팔랑크스가 궤멸되었으며, 전투 코끼리 부대도 완전히 해체되었다.
  8. 말 그대로 신전을 털어버렸다.
  9. 이 때 안티오코스 4세와 로마 사신의 회견 과정이 안습인데 물러나라는 로마 사절의 요구에 안티오코스 4세가 신하들과 이야기 좀 해보겠다더니 로마 사설이 대뜸 그 자리에서 안티오코스 4세 주위에 원을 그리기 시작하면서 이 선에서 나오면 로마랑 전쟁할 줄 알라고 으름장을 놓자 안티오코스 4세는 몇번 사정하다가 결국 사신이 그 선을 다 그리기 전에 즉시 철수해 버렸다고 한다. 말 그대로 개굴욕 그러니 빚을 만들지 말자 일국의 왕에게 너무 잔인했다고 로마 내부에서도 비판이 있었다 하니 안습...
  10. 마카베오 반란은 성경 제2경전(개신교 기준으론 외경) 마카베오기에 잘 나와 있다. 이때도 자기는 페르시아 신전 털러가고 부하들이 그 사이 털린다. 이 나라 징세는 약탈이다. 참고로 고대 로마의 영광스러운(?) 성경 첫 출현이 바로 이 마카베오기인데, 유다인들을 돕는 동맹국으로 등장한다. 여기서 로마는 적에게는 용맹하고 동맹에게는 따뜻하며, 아무도 왕이 되려고 하지 않는 상남자스럽고 훈훈한 멋진 나라로 묘사되어있다. 복음서의 묘사와 비교하면 흠좀무
  11. 이런 속국 왕조 체제는 파르티아 시대까지 이어진다. 특히 페르시아 지방의 군주들은 "프라타라카"라고 불렸는데, 독자적인 주화를 발행할 정도로 자치권을 가졌다.
  12. 이 친구들은 친구, 영예로운 친구, 최고의 친구, 그리고 최고의 영예로운 친구라는 4단계의 계급으로 분류되었으며, 가장 친한 친구에게는 왕관까지 허락했다고 한다.
  13. 시조 셀레우코스 1세는 자신이 아폴론의 후예라고 주장했고, 그 증거로 닻의 형상(보통 셀레우코스 왕조가 등장하는 게임에 셀레우코스 왕조의 문장으로 등장)을 한 모반을 가지고 있다고 선전했다.
  14. 게다가 땅이 워낙 넓다 보니 피지배 종족도 매우 다양하다. 수천 년의 전통과 문화를 가진 이집트인들만 지배했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대비되는 부분이다.
  15. 사실 이 코끼리들은 이미 늙어버린 코끼리들로 받은지 얼마 안 돼서 많은 수가 늙어 죽었다. 환불은 안 되나요
  16. 마케도니아나 북부 그리스 지명 (가령:에데사), 또는 왕가의 이름을 딴 지명이 많은데... 밑을 봐서 알다시피 왕의 이름이 태반이 셀레우코스 아니면 안티오코스다. 그래서 결과는? 안티오키아, 셀레우키아, 초대(?) 왕비인 아파마를 딴 아파메아 등 똑같은 이름의 다른 도시가 너무 많아 머리를 아프게 한다. 또한 그리스 지명을 딴 도시들 역시 상당히 헷갈리게 한다.
  17. 이름은 아파마(apma) 정확히는 박트리아 계열, 대부분의 마케도니아 인들이 알렉산드로스 시절 결혼했던 페르시아 여인과 이혼했지만, 셀레우코스는 이혼하지 않았고 여왕으로 살았다.아들 안티오코스 1세가 자신의 어머니를 기념하여 도시를 건설했다.
  18. 알렉산드로스 발라스, 안티오코스 7세, 데메트리오스 2세의 왕비 & 안티오코스 6세, 셀레우코스 5세, 안티오코스 8세, 안티오코스 9세의 어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