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의 편제를 설명하는 항목이다. 이곳을 참고하였다. 각 직제는 최대한 한국의 직제와 유사하게 맞춘다.
스티븐의 전쟁영화보고評링크에 잘 소개되어 있다. 2차대전 당시 서류상 118개 사단[1]을 보유했으나, 현재는 10개 현역사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방위군 병력이 존재한다.
미군은 전부 미국 국방부(DOD, Department of Defense) 하에 속하지만 해안 경비대(United States Coast Guard, USCG)는 평시에는 미국 국토안보부(DH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소속이며 전시에 지시가 있을 경우 해군에 서류상 파견되는 형식으로 해군의 지휘를 받게 된다. 또 특기할 점은 한국군이 각 군의 참모부를 운영하는 것과는 달리 미군의 각 군은 민간인 출신이 청장을 맡는 청[2]에서 군대의 운영과 관리를 담당한다. 일단 군 관련 기관이니 당연히 군인도 청에 배속되는데, 이들 중 가장 계급이 높은 장교가 참모총장을 맡는다.
목차
1 펜타곤
- 국방장관 Secretary of Defense
- 부장관 Deputy Secretary of Defense
- 재무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Comptroller/Chief Financial Officer
- 감사부차관 Principal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Comptroller)
- 분석평가국장 Director for Program Analysis and Evaluation
- 군수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Acquisition, Technology and Logistics
- 국방연구기술국장 Director of Defense Research and Engineering
- 획득기술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Acquisition and Technology)
- 수송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Logistics and Material Readiness)
- 화생방보좌관 Assistant to the Secretary of Defense (Nuclear and Chemical and Biological Defense Programs)
- 군소사업국장 Director of Small and Disadvantaged Business Utilization
- 획득개조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Acquisition Reform)
- 물류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Advanced Systems and Concepts)
- 환경안보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Environmental Security)
- 산업분야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Industrial Affairs)
- 시설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Installations)
- 과학기술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 인사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Personnel and Readiness
- 관리정책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ce Management Policy)
- 의무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Health Affairs)
- 예비군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Reserve Affairs)
- 전투준비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Readiness)
- 프로그램통합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Program Integration)
- 계획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Planning)
- 정책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Policy
- 선임정책부차관 Principal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Policy)
- 국제안보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International Security Affairs)
- 전략/위협감소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Strategy and Threat Reduction)
- 특수작전/저강도분쟁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Special Operations and Low-Intensity Conflict)
- 정책지원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Policy Support)
- 기술안보정책부차관 Deputy Under Secretary of Defense (Technology Security Policy)
- NATO보좌관 Defense Advisor, U.S. Mission NATO
- 정보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intelligence
- 작전/통제/소통/정보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and Intelligence)
- 법무감사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Legislative Affairs)
- 공공정책차관보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for Public Affairs
- 국방부법무자문위원 General Counsel of the Department of Defense
- 작전평가국장 Director of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 정보감독보좌관 Assistant to the Secretary of Defense (Intelligence Oversight)
- 행정관리국장 Director of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 실질평가국장 Director of Net Assessment
- 감사실 Office of the Inspector General
- 재무차관 Under Secretary of Defense Comptroller/Chief Financial Officer
2 합동참모본부
- 합동참모의장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 2차장 Assistant to the Chairman
- 합참주임원사 Senior Enlisted Advisor of the Chairman
- 합참차장 Vice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 참모장 Director, Joint Staff
- 인사본부 Manpower and Personnel (J-1)
- 정보본부 Joint Staff Intelligence (J-2)
- 작전본부 Operations (J-3)
- 군수본부 Logistics (J-4)
- 전략/정책본부 Strategic Plans and Policy (J-5)
- 지휘통신시스템본부 C4 Systems (J-6)
- 전략기획/합동성강화본부 Operational Plans and Interoperability (J-7)
- 전력구조/자원/평가본부 Force Structure Resources and Assessment (J-8)
- 행정국 Directorate of Management
- 육군참모총장 Chief of Staff of the Army
- 해군참모총장 Chief of Naval Operations
- 해병대사령관 Commandant of the Marine Corps
- 공군참모총장 Chief of Staff of the Air Force
- 주방위군총감 Chief of the National Guard Bureau
3 미 육군
- 육군청 Department of the Army
- 육군전력사령부(United States Army Forces Command)FORSCOM - 예하 제1군 노스 캐롤라이나 Ft. Bragg
- 미 육군 교육사령부(United States Army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3] TRADOC- 버지니아 Ft. Eustis
- 육군보급사령부(United States Army Materiel Command) - 앨러배마 Redstone Arsenal
- 아프리카육군(United States Army Africa) - 제9군(Ninth US Army) 이탈리아 Caserma Ederle, Vicenza, Italy
- 중부육군(United States Army Central) - 제3군(Third US Army)Patton's Own[4] 사우스 캐롤라이나 Shaw Air Force Base; Sumter County, South Carolina
- 북부육군(United States Army North) - 제5군(Fifth US Army) 텍사스 Fort Sam Houston, Texas[5]
- 남부육군(United States Army South) - 제6군(Sixth US Army) 텍사스 Fort Sam Houston
- 유럽육군(United States Army Europe) - 제7군(Seventh Army) 독일 Clay Kaserne, Germany[6]
- 173공수여단 "스카이 솔저스 Sky Soldiers"
- 2기병연대 "세컨드 드래군즈 2nd Dragoons"
- 태평양육군(United States Army Pacific) - 하와이 Fort Shafter, Hawaii
- 육군특수작전사령부(United State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 노스 캐롤라이나 Fort Bragg, North Carolina
- 해양군수보급사령부(Surface Deployment and Distribution Command) - 일리노이 Scott Air Force Base, Illinois
- 육군우주미사일방어사령부(United States Army Space and Missile Defense Command)/전략사령부(Army Strategic Command) - 앨러배마 Redstone Arsenal
- 제8군(Eighth Army) - 한국, 서울 용산기지(Yongsan Garrison)
- 2보병사단 1여단전투단(중 BCT)
- 육군의무사령부(United States Army Medical Command) - 텍사스 Fort Sam Houston, Texas
- 육군정보보안사령부(United States Army Intelligence and Security Command) - 버지니아 Fort Belvoir, Virginia
- 육군범죄조사사령부(United States Army Criminal Investigation Command) - 버지니아 Marine Corps Base, Quantico
- 육군공병대(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 워싱턴 DC
- 육군워싱턴지구대(United States Army Military District of Washington) - 워싱턴 DC Fort Lesley J. McNair
- 육군시험평가사령부(United States Army Test and Evaluation Command) - 버지니아 알링턴
- 미국육군사관학교(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 뉴욕 웨스트포인트
- 육군예비군사령부(United States Army Reserve Command) - 노스 캐롤라이나 Fort Bragg
- 육군기지관리사령부(United State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8] - 텍사스 Fort Sam Houston
- 육군사이버사령부(United States Army Cyber Command)/제2군(Second US Army) - 버지니아 Fort Belvoir
- 제1군(First Army) - 동부사단, 서부사단 연방예비군 및 주방위군 훈련
- 3군단
- 18공수군단
- 제32야전방공사령부[17]
- 제 11 방공 여단 - 미국 뉴멕시코 주, 텍사스 주 포트 블리스에 주둔
- 여단 사령부 , 본부중대
- 제 2 방공포병 연대 : 제 1중대 - THAAD 운용
- 제 4 방공포병 연대 : 제 1중대 - THAAD 운용
- 제 43 방공포병 연대 : 제 1/2/3대대 - Patriot3 운용
- 제 52 방공포병 연대 : 제 5대대 - Patriot3 운용
- 제 31 방공 여단
- 제 69 방공 여단
- 제 108 방공 여단
- 제 11 방공 여단 - 미국 뉴멕시코 주, 텍사스 주 포트 블리스에 주둔
미 육군사단은 대개 4개 여단전투단(Brigade Combat Team, BCT)을 예하에 두고 있는데, BCT는 크게 스트라이커BCT(Stryker BCT)/보병BCT(Infantry BCT)/중BCT(Heavy BCT)로 나누어진다.
4 미 해군
- 함대군사령부(대서양함대)
-
제2함대(서대서양)(2011년 해체) - 대서양함대 수상함대사령부
- 대서양함대 잠수함대사령부
- 대서양함대 항공사령부
- 해군원정전투부대
-
- 유럽미해군/제6함대(지중해)
- 중앙미해군/제5함대(중동)
- 남방미해군/제4함대(남아메리카)
- 해군특수작전사령부
- 해군예비역부대
- 해군네트워크작전사령부
- 군사수송사령부
- 작전실험평가부대
- 해군핵추진프로그램
5 미 해병대
- 미국 해병 군사령부(United States Marine Corps Force Command)
- 2 해병원정군(II MEF, Marine Expeditionary Force)
- 2 해병사단(2nd Marine Division)
- 2 해병항공단(2nd Marine Air wing)
- 2 해병군수단(2nd Marine Logistic Group)
- 2 해병원정여단(2nd Marice Expeditionary Brigade)
- 22 해병원정대(22nd MEU, Marine Expeditionary Unit)
- 24 해병원정대(24th MEU)
- 26 해병원정대(26th MEU)
- 2 해병원정군(II MEF, Marine Expeditionary Force)
- 미국 태평양 해병대(United States Marine Pacific)
- 1 해병 원정군(I MEF)
- 1 해병사단(1st Marine Division)
- 3 해병항공단(3rd Marine Air wing)
- 1 해병군수단(1st Marine Logistic Group)
- 1 해병원정여단(1st Marine Expeditionary Brigade)
- 11 해병원정대 (11st MEU)
- 13 해병원정대 (13rd MEU)
- 15 해병원정대 (15th MEU)
- 3 해병 원정군 (III MEF)
- 3 해병사단(3rd Marine Division)
- 1 해병항공단(1st Marine Air wing)
- 3 해병군수단(3rd Marine Logistic Group)
- 3 해병원정여단(3rd Marice Expeditionary Brigade)
- 31 해병원정대(31th MEU)
- 1 해병 원정군(I MEF)
6 미 공군
- 공군전투사령부(Air Combat Command) - 버지니아
- 공군교육사령부(Air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 텍사스
-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Air Force Global Strike Command) - 루이지애나
- 8공군(Eighth Air Force) - 루이지애나
- 20공군(Twentieth Air Force) - 와이오밍
- 공군군수사령부(Air Force Materiel Command) - 오하이오
- 항공체계센터(Aeronautical Systems Center) - 오하이오
- 공군비행테스트센터(Air Force Flight Test Center) - 캘리포니아
- 공군국제병참지원센터(Air Force Global Logistics Support Center) - 일리노이
- 공군핵무기센터(Air Force Nuclear Weapons Center) - 뉴멕시코
- 공군연구소(Air Force Research Laboratory) - 오하이오
- 공군보안지원센터(Air Force Security Assistance Center) - 오하이오
- 공군무장센터(Air Armament Center) - 플로리다
- 아널드공학개발센터(Arnold Engineering Development Center) - 테네시
- 전자시스템센터(Electronic Systems Center) - 매사추세츠
- 공군생활주기관리센터(Air Force Life Cycle Management Center) - 오하이오
- 공군예비군사령부(Air Force Reserve Command) - 조지아
- 4공군(Fourth Air Force) - 캘리포니아
- 10공군(Tenth Air Force) - 텍사스
- 22공군(Twenty-Second Air Force) - 조지아
- 공군예비군인사센터(Air Reserve Personnel Center) - 콜로라도
- 공군우주사령부(Air Force Space Command) - 콜로라도
- 14공군(Fourteenth Air Force) - 캘리포니아
- 24공군(Twenty-Fourth Air Force) - 텍사스
- 우주미사일시스템센터(Space and Missile Systems Center) - 캘리포니아
- 우주혁신개발센터(Space Innovation and Development Center) - 콜로라도
- 공군네트워크통합센터(Air Force Network Integration Center) - 일리노이
- 공군특수작전사령부(Air Force Special Operations Command) - 플로리다
- 특수작전훈련센터(Special Operations Training Center) - 플로리다
- 공군수송사령부(Air Mobility Command) - 일리노이
- 18공군(Eighteenth Air Force) - 일리노이
- 미국공군원정센터(United States Air Force Expeditionary Center) - 뉴저지
- 유럽주둔공군(United States Air Forces in Europe) - 독일
- 3공군(Third Air Force) - 독일
- 아시아태평양주둔공군(Pacific Air Forces) - 하와이
- 5공군(Fifth Air Force) - 일본
- 7공군(Seventh Air Force) - 한국
- 11공군(Eleventh Air Force) - 알래스카
13공군[18]
- 공군주방위군(Air National Guard)
- 공군주방위군즉응센터(Air National Guard Readiness Center) - 메릴랜드
- 브라운공군주방위군교육훈련센터(I.G. Brown Air National Guard Training and Education Center) - 테네시
- 공군주방위군즉응센터(Air National Guard Readiness Center) - 메릴랜드
7 주방위군
8 통합군
지역기준 | 본부위치 | 담당지역 | ||
USAFRICOM | United States Africa Command | 아프리카 사령부 | 독일 슈투트가르트[19] Kelley Barracks | 이집트를 제외한 아프리카 |
USCENTCOM |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 중부 사령부 | 플로리다 탐파, 맥딜 공군기지[20] | 터키를 제외한 중동/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 이집트 |
USEUCOM | 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 | 유럽 사령부 | 독일 슈투트가르트 Patch Barracks | 유럽 & 터키 & 러시아(아시아에 속한 지역도 포함) |
USNORTHCOM | United States Northern Command | 북부 사령부 | 콜로라도, 콜로라도 스프링스, 피터슨 공군기지 |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쿠바, 푸에르토 리코 포함 |
USPACOM | United States Pacific Command | 태평양 사령부 | 하와이 호놀룰루, 캠프 H.M.스미스 |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인도까지), 오세아니아 |
USSOUTHCOM | United States Southern Command | 남부 사령부 | 플로리다 마이애미 | 과테말라 이남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
기능기준 | 본부위치 | |||
USSOCOM |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 특수작전 사령부 | 플로리다 탐파, 맥딜 공군기지 | |
USSTRATCOM | United States Strategic Command | 전략 사령부 | 네브래스카 오마하 Offutt 공군기지 | |
USTRANSCOM | United States Transportation Command | 수송 사령부 | 일리노이 세인트 클레어 카운티, 스콧 공군기지 |
9 기타
9.1 주요사령부
9.1.1 미국내
- 항공우주방위사령부
- 공군 군수사령부
- 공군 구성군사령부
- 공군 교육사령부
- 항공 수송사령부
- 공군 전략사령부(SAC)
- 공군 전술사령부(TAC)
- 공군 보안사령부
- 공군 통신사령부
- 육군 항공미사일 사령부
- 공군 특수작전사령부(Air Force Special Operations Command)
- 의무 사령부
9.1.2 해외
- 유럽주둔 미 공군사령부(USAFE)
- 태평양 공군사령부(PACAF)
- 알래스카 공군사령부(AAC)
-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
9.1.3 독립작전기관
- 공군예비대
- 공군첩보대
- 공군사관학교
10 관련기관
- 미국 국방과학연구소
- 육군 고등연구개발국
- 해군 연구개발국
- 공군 개발 연구소 (U.S. Air Force Research Laboratory.AERL)
10.1 보수교육기관
합동군사대학과 같은 통합 보수교육기관도 있고, 각 군별로 설치된 교육기관도 있는데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국방대학교
- 합동참모대학
- 국방언어교육원
- 지휘참모대학
- 고등군사학교
- 해병대학교
- 해병전쟁대학
- 해전대학
- 해군대학원
- 항공대학교
- 항공지휘참모대학
- 항공전대학
- 공군기술원
- 공군전문대학
- 육군준사관교육원
10.2 특수작전사령부
-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USSOCOM :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 합동특수작전사령부 (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 JSOC[21])
- 합동특수작전대학 (Joint Special Operations University)
- 육군특수작전사령부 (USASOC : United States Army Special Operations Command)
- 제1특수부대사령부 (1st Special Forces Command)
- 제75레인저연대 (75th Ranger Regiment)
- 육군특수작전항공사령부 (ARSOAC : US Army Special Operations Aviation Command)
- 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SOAR : 160th Special Operations Aviation Regiment, 나이트스토커)
- JFK특수전센터 (John F. Kennedy Special Warfare Center and School)
- 해군특수전사령부 (NSWC : United States Naval Special Warfare Command)
- 해군제1특전단 (Naval Special Warfare Group 1 - 네이비 씰 1, 3, 5, 7팀)
- 해군제2특전단 (Naval Special Warfare Group 2 - 네이비 씰 2, 4, 8, 10팀)
- 해군제3특전단 (Naval Special Warfare Group 3 - SDV : SEAL Delievery Vehicle Team 1)
- 해군제4특전단 (Naval Special Warfare Group 4 - Special Boat Teams[22] 12, 20, 22)
- 해군제10특전단 (Naval Special Warfare Group 10)
- 해군제11특전단 (Naval Special Warfare Group 11 - 네이비 씰 17,18팀[23])
- 해군특수전센터 (Naval Special Warfare Center)
- 해병특수작전사령부 (MARSOC : United States Marine Corps Forc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 해병레이더연대 (Marine Raider Regiment, 레이더스)
- 해병레이더지원단 (Marine Raider Support Group)
- 해병특수작전학교 (Marine Special Operations School)
- 공군특수작전사령부 (AFSOC : United States Air Force Special Operations Command)
- 제1특수작전비행단 (1st Special Operations Wing)
- 제24특수작전비행단 (24th Special Operations Wing)
- 제27특수작전비행단 (27th Special Operations Wing)
- 제193특수작전비행단 (193rd Special Operations Wing)
- 제919특수작전비행단 (919th Special Operations Wing)
- 제352특수작전단 (352nd Special Operations Group)
- 제353특수작전단 (353rd Special Operations Group)
- 공군특수작전 공중특수전센터 (Air Force Special Operations Air Warfare Center)
10.3 주방위군(USNG, United States National Guard)
각 주별로 편성된 시간제 군복무를 하는 병력으로 편성된 부대이다(상근예비역? 방위병?). 시간제로 근무하지만, 엄연히 현역이며 전시에는 일정 기간 별도의 훈련을 받고 전선에 투입된다. 주방위군 부대는 전투 준비 태세에 대한 등급이 매겨지며, 이 등급은 군사 기밀로 분류된다. 육군과 공군은 주방위군 조직 아래 편성된 전력이 있고, 해군과 해병대는 연방군만 존재한다.
특이 주방위군 육군은 10개 사단에 불과한 육군 현역 사단을 뒷받침하는, 어떻게 보면 미군의 또 다른 주력이라고 할 수 있다. 총 8개 사단에 이르며, 각 사단은 비록 장비는 조금 떨어질지언정 역시 미군이란 소리가 나올 정도의 전투력을 갖추고 있음은 분명하다. 진짜 없는 병과 없이 다 갖추고 있고, 이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미 육군은 큰 전력 공백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단적인 예를 들면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전력순환의 일환으로 파병되는 부대들이 바로 이 주방위군 부대들이었다.
주 방위 육군은 대략 35만명, 공군은 10만명가량으로 총 45만에 달한다고 한다.
- 미국의 전직 대통령인 조지 부시.Jr(아들 부시)는 주 방위공군에서 중위로 복무한 적이 있으며, 빌 클린턴 전 대통령도 베트남 전쟁 시기에 주 방위육군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소집되지 않았다.
10.4 예비군
매달 한번에 2일씩받는 12회의 소집훈련과 15일짜리 동원훈련으로 연 39일의 훈련을 받는 예비군들. 현역에 준하는 훈련수당을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장비도 현역들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지 않으며, 방탄복 등의 기본 장비들도 현역들과 비슷한 수준.
전역한 전 현역들과, 처음부터 예비군으로 입대하는 경우가 있다. 연 39일의 훈련이며, 동원훈련빼고 소집훈련은 주말 한번 나가는 수준인지라 생업과 겸할수 있다.
그리고 예비군 예산이 전체 국방비의 9%가량으로, 2010 년 기준으로는 571 억 달러. 2010년 평균 환율인 1,214원으로 계산하면 69 조원 쯤 된다. 2010년 한국 국방예산은 대략 30조원.
어쨋든 이 예비군도 미군에게 중요한 전력이다.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된 병력에도 예비군과 주 방위군이 포함되어 있다.
10.5 해외 주둔 미군
항목 참고
11 해안경비대
- 본부
- 인사참모부(Human Resources)
- 해안경비대범죄수사대(Intelligence & Criminal Investigation)
- 작전참모부(Operation)
- 군수참모부(Engineering & Logistics)
- 계획정책실(Plans & Policy)
- 전술지휘자동화체계실(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s & Information Technology)
- 자원실(Resources)
- 획득실(Acquisition)
- 대서양지구(Atlantic Area)
- 태평양지구(Pacific Area)
4성제독은 해안경비대사령관 1명이며 3성제독은 부사령관과 태평양지구사령관, 대서양지구사령관, 작전담당부사령관[24] 등 5명이다. 2성제독은 각 지구대사령관 9명과 사관학교장과 기타 기능 담당 부사령관들이다.[25]
중장급에선 사관후보생 출신이 간혹 있다. 대표적으로 13지구대사령관과 해안경비대본부 참모장, 부사령관 등을 지내고 2014년에 퇴역한 존 쿠리어(John Currier)[26]가 있다.
거기다 해안경비대면서 해외에도 주둔한다. 일본 요코스카에 미군 항만 시설을 관리하는 극동근무대(USCG Activities Far East)가 있고 네덜란드에도 유럽근무대(USCG Activities Europe)가 있다. 항공대 역시 존재해서 해안경비대 항공대가 있다.[27]- ↑ 이중 5개사단은 서류에만 존재하는 유령사단.
그런데 이 5개 사단이 사실 비밀병기 로 무장한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헛소리가 있다 그런데 미국이라면 그러고도 남을 기세 - ↑ 육군청, 해군청, 공군청. 원어가 Department이기 때문에 실수로 성이나 부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국방"부"의 하위기관이므로 성이나 부가 아니라 청이다. 청은 부보다 낮으며, "장관"이라는 영문 직책명을 쓰나 급수로 치면 차관급이다. 여담으로 성과 부도 자주 혼용되는 표기인데, 일단 성이 부보다 높은 기관이다. 일본의 경우 상급기관 명칭에 부 대신 성을 쓰기 때문에 그쪽 서적의 영향을 받은 문서에선 성이라고 오기하기도 하지만(예: 국방성) 표준 표기로는 한국 기관을 기준으로 해서 부라고 번역하기 때문에 성 대신 부를 써야 옳다.(예: 국방부)
- ↑ 신병훈련 및 군무원들에 대한 교육과 훈련교범을 담당.
- ↑ 2차 세계대전 당시 패튼 장군 지휘아래 작전을 펼쳤던 것에서 유래.
- ↑ 텍사스 주 샌 안토니오 소재
- ↑ 5군단을 주축으로 하며, 170보병여단/172보병여단의 두 여단을 주력으로 삼고 있었다. 모두 기계화보병여단으로, 중 BCT로의 개편이 예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예산크리로 두 여단 모두 2012년 여름에 해체되었고, 상위제대인 5군단도 2013년 6월 퇴역했다. 천조국이 겪고 있는 예산난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상황이다. 이걸로 유럽에 주둔하는 미 육군 기갑부대는 제로가 되었다 (...)
- ↑ 일렉트릭 스트로베리(Electric Strawberry)라는 별명도 있다.
- ↑ 미 육군 기지 및 주둔지 관리를 임무로 함.
- ↑ 부대마크에 아메리카 원주민이 새겨져 있다
- ↑ 부대 상징이 큼지막한 빨간 1이다.
- ↑ 아이언 호스(Iron Horse)로 불리기도 한다. 하츠 오브 아이언 2에서는 보병사단을 뽑다 보면 아이언 호스라는 별명이 붙어 나온다. ivy에는 담쟁이라는 뜻 외에 로마숫자 Ⅳ를 알파벳 IV(aɪvi)로 발음한 것이라는 의미도 있다.
- ↑ 제1차 세계대전의 제2차 마른 전투에서 활약한 것에 유래. 사단의 모토 역시 Rock of the Marne이다.
- ↑ 2차 세계대전당시 산악인들(주로 산맥 지역 거주자나 스키 강사 등 산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을 뽑았다)을 위주로 모병하다보니 전체 육군 사단중에 가장 고학력자들로 구성되었다고 한다. 현재 미 육군 사단들 중에서는 진짜배기 보병사단이라고 알려진 사단. (사실 보병사단이라 이름 붙은 다른 육군사단들은 상당히 기계화가 된 상태라....) 여기에 부대가 뉴욕주 버펄로 근방에 있는 까닭에 매서운 추위로 악명높아 일부 병사들이 배치받기를 꺼려하는 사단이기도 하다.
- ↑ 뉴욕주와 캐나다의 국경과 마주하고 있어서 겨울에는 굉장히 춥기로 악명높은 지역이라 근무지로 기피대상 1호다.
미국판 '인제가면 언제오나 원통해서 못살겠네..' - ↑ 창설 당시 미 연방 소속 48개 주에서 지원병들이 나왔다는 이유로 저런 별명이 붙었다. 비슷한 부대로 독일의 그로스도이칠란트 사단, 즉 대독일사단이 있다.
- ↑ 울부짖는 독수리라는 이름이 더 익숙할 것이다.
- ↑ 32군으로 번역하는 이들도 있으나, Army Air & Missile Defense Command의 번역으로는 적합치 않다. 사령관도 Brigadier General, 즉 준장이다.
- ↑ 2012년 해체
- ↑ 아프리카 사령부임에도 독일에 있는 이유는 아프리카 지역에 고급 장교단(가족 포함)과 지휘통신 체계를 장기적으로 유지할만한 군기지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해당국가가 친미적이면서 정치가 안정되어 있고, 배후도시가 기지를 지원해줄만한 교통/통신/의료/전력 등 인프라가 있어야 하는데, 아프리카에 그런 도시가... 게다가 아프리카 지역에 무슨 일이 벌어지면 어차피 유럽 주둔 미군을 동원한다는 점도 하나의 요인.
- ↑ 이라크전쟁과 아프가니스탄전쟁으로 야전본부는 카타르의 도하로 옮겨졌음.
- ↑ 명목상 소속. 실질적인 지휘는 대통령과 관계자들이 지휘한다.
- ↑ SWCC : Special Warfare Combatant-craft Crewmen
- ↑ 예비대 성격의 부대.
- ↑ 부사령관은 Vice Commandant이고 특정 기능 담당 부사령관은 Deputy Commandant이다.
- ↑ Assistant Commandant도 있다.
- ↑ 1953년생으로 사우던메인대학을 졸업했다. 수상함 근무가 아닌 조종장교 출신이다.
- ↑ 다만 규모가 작으니 육군 항공대나 해군 항공대나 해병대 항공대에 비할 바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