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선 | |||||
금정 방면 반 월 | ← 3.7 km | 상록수 | → 1.5 km | 오이도 방면 한대앞 | |
수도권 전철 | |||||
4호선 | |||||
당고개 방면 반 월 | ← 3.7 km | 상록수 (448) | → 1.5 km | 오이도 방면 한대앞 | |
4호선(통근급행)[1] | |||||
당고개 방면 산 본[2] | ← 9.4 km | 상록수 | → 3.1 km | 안산 방면 중 앙 |
常綠樹驛 / Sangnoksu Station
상록수역 (안산대학교)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Sangnoksu |
한자 | 常綠樹 |
중국어 | 常绿树 |
일본어 | サンノクス[3] |
역번 | |
수도권 전철 4호선 | 448 |
300px 수도권 전철 4호선 승강장 | |
300px 상록수역사 크게보기 | |
주소 |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상록수로 61 (舊 본오동 409) | |
수도권 전철 | |
운영기관 | 코레일 |
4호선 운행 개시일 | 1994년 4월 1일 |
당고개행 통근급행 운행 개시일 | 2010년 1월 18일 |
안산행 통근급행 운행 개시일 | 2014년 9월 1일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
안산선 개업일 | 1988년 10월 25일 |
역 등급 | 배치간이역(안산역 관리) |
1 개요
안산선 448번.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상록수로 61 (舊 본오동 409번지) 소재.
상록구의 이동, 일동과 본오동 사이에 있다.
안산선 최초 기획 당시의 명칭은 용신역이었다.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주인공 채영신의 실제 모델로 유명한 최용신의 묘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소설의 배경이 된 곳인 것을 감안하여 붙여진 이름이었다. 그러나 당시 철도청에서 특정 인물의 이름보다는 널리 알려진 소설 이름을 쓰는 편이 더 낫다 판단하여 1988년에 오늘날의 상록수역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이로써 상록수역은 문학작품을 역명으로 사용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인근에 이 역의 부역명으로도 쓰이는 안산대학교(구 안산1대학)[4]가 있으며, 역 남쪽으로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같이 있는 거주지역인 본오동이 있어 이 쪽 주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당고개행 완행 열차가 이 역 1번 플랫폼에서, 안산행 완행 열차는 이 역 4번 플랫폼에서 대피한다.
안산선에서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 가동된 역이다. 다만, 본선 쪽에만 설치되어 있다. 부본선은 급행열차 대피를 제외하면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여 아예 설치를 하지 않은 듯 하다.
2013년 연말에 게이트 교체작업이 진행되면서 삼발이 게이트가 사라지게 되었다. 새로운 게이트는 출입구 기준으로 기존의 게이트보다 좀 더 앞쪽에 위치한다.
2015년 11월 출입구 신설 공사를 시작하였다. 새로운 출입구는 상가 밀집지역 건너에 위치. 이제 52번에서 내려서 안 뛰어 가도 된다.
배구 팬들에게는 동대입구역 이전 도원역 수준의 개념역이다. 왜냐면 걸어서 5분 거리에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의 홈구장인 상록수체육관이 있기 때문이다. (동대입구역의 경우 우리카드와 GS칼텍스가 썼는데, 보수공사가 길어져서 14-15시즌까지는 각각 아산, 평택에서 봐야 했으나 GS칼텍스가 2015년 1월에 돌아왔고 우리카드도 2015-16시즌 시작과 동시에 돌아왔다. 도원역의 경우 2013년 봄까지 도원체육관에서 남녀부 배구경기를 진행했는데 이제는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와 숭의 아레나 파크로 홈구장이 이전한 인천 유나이티드 팬들에게 그런 평을 받고 있다. 2013-14 시즌부터는 인천의 남녀부 배구경기는 계양체육관에서 진행되고 있다.)
코레일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안산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메트로 전동차에서는 '상록수'까지만 방송한다.
여담이지만, 화성시 남양읍에서는 병점역보다 상록수역이 더 가깝다! 하지만 직접 닿는 대중교통 노선은 반월역으로 가야 있다는 게 함정
2 승강장
↑ 반월 | |||||||
ㅣ | 1 | 2 | ㅣ | ㅣ | 3 | 4 | ㅣ |
한대앞 ↓ |
1·2 | 수도권 전철 4호선 | 금정·사당·서울역·당고개 방면 |
3·4 | 수도권 전철 4호선 | 한대앞·중앙·안산·오이도 방면 |
3 연계교통
상록수역 앞에는 버스 정류장만 6곳이 있기 때문에 이 곳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이 아닌 이상은 이용하기가 어렵다. 보통 대체로 안산 주민들이 이용하는 정류장은 상록수역 바로 앞의 정류장이고, 오이도나 수원으로 가는 시외 버스는 역사를 나와서 큰 길로 나와서 타야 한다. 일단 큰 길에 있는 정류장도 가소롭게도 상록수역 입구가 아닌 상록수역 앞이라고 적혀 있다.
시내버스 | ||
승차위치 | 노선 | 경유지 |
상록수역 (17247) | 11 | 본오동ㆍ팔곡동ㆍ반월동ㆍ당수동ㆍ입북동ㆍ서수원터미널ㆍ수원역ㆍ팔달문ㆍ연무동 방면 |
23 | 본오동 방면 | |
33 | 본오동 방면 | |
66 | 본오동ㆍ팔곡동ㆍ반월동ㆍ반월역 방면 | |
71 | 본오동ㆍ사동ㆍ중앙역ㆍ호수동ㆍ초지동ㆍ원곡동ㆍ반월공단 방면 | |
71-1 | 본오동ㆍ사동ㆍ중앙역ㆍ호수동ㆍ초지동ㆍ원곡동ㆍ반월공단 방면 | |
71-2 | 본오동ㆍ사동ㆍ중앙역ㆍ호수동ㆍ초지동ㆍ푸르지오6차(사동) 방면 | |
76 | 본오동 방면 | |
99-1 | 본오동 방면 | |
125 | 본오동 방면 | |
511 | 본오동 방면 | |
상록수역 (17246) | 11 | 일동ㆍ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
23 | 일동ㆍ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ㆍ오이도역ㆍ월곶지구ㆍ월곶역 방면 | |
33 | 일동ㆍ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성포동ㆍ월피동ㆍ고잔동ㆍ선부동ㆍ신길동ㆍ안산역 방면 | |
66 | 일동ㆍ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 |
71 | 안산대ㆍ일동 방면 | |
71-1 | 안산대ㆍ일동 방면 | |
71-2 | 안산대 방면 | |
76 | 일동ㆍ한대앞역ㆍ이동ㆍ중앙역ㆍ호수동ㆍ초지동ㆍ원곡동ㆍ안산역ㆍ신길동ㆍ군자동ㆍ거모동 방면 | |
99-1 | 일동ㆍ부곡동ㆍ월피동ㆍ성포동ㆍ고잔동ㆍ중앙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고잔역ㆍ호수동ㆍ초지동ㆍ푸르지오6차(사동) 방면 | |
125 | 일동ㆍ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고잔동ㆍ선부동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 방면 | |
511 | 일동ㆍ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고잔동ㆍ선부동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 |
상록수역앞 (17226) | 31 | 한대앞역ㆍ성포동ㆍ월피동ㆍ부곡동ㆍ수암동 방면 |
52 | 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 |
101 | 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고잔동ㆍ와동ㆍ선부동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 |
상록수역 (17224) | 10 | 사동ㆍ한양대ㆍ푸르지오6차ㆍ호수공원ㆍ중앙역 방면 |
31 | 본오동ㆍ사동ㆍ중앙역 방면 | |
52 | 본오동 방면 | |
101 | 본오동 방면 | |
상록수역앞 (17222) | 22 | 본오동ㆍ팔곡동ㆍ반월동 방면 |
23 | 일동ㆍ한대앞역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ㆍ오이도역ㆍ월곶지구ㆍ월곶역 방면 | |
55 | 본오동 방면 | |
99 | 본오동ㆍ팔곡동ㆍ반월동ㆍ반월역ㆍ삼천리마을 방면 | |
상록수역앞 (17225) | 10 | 사동ㆍ한양대ㆍ푸르지오6차ㆍ호수공원ㆍ중앙역 방면 |
22 | 사동ㆍ호수동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ㆍ시화공단 방면 | |
23 | 본오동 방면 | |
55 | 사동ㆍ호수동ㆍ초지동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ㆍ시화공단 방면 | |
99 | 사동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ㆍ오이도 방면 |
좌석버스 | ||
승차위치 | 노선 | 경유지 |
상록수역 (17247) | 301 | 본오동 방면 |
상록수역 (17246) | 301 | 안산대ㆍ일동ㆍ부곡동ㆍ수암동ㆍ목감동ㆍ논곡동ㆍ광명사거리역ㆍ개봉역ㆍ구로역ㆍ신도림역ㆍ영등포역ㆍ여의도환승센터 방면 |
상록수역앞 (17225) | 110 | 사동ㆍ이동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고잔동ㆍ와동ㆍ선부동 방면 |
707 | 사동ㆍ이동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반월공단 방면 | |
909 | 사동ㆍ이동ㆍ시외버스터미널ㆍ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 방면 | |
상록수역앞 (17222) | 110 | 입북동ㆍ서수원터미널ㆍ수원역 방면 |
707 | 입북동ㆍ서수원터미널ㆍ수원역 방면 | |
909 | 입북동ㆍ서수원터미널ㆍ수원역 방면 |
직행좌석버스 | ||
승차위치 | 노선 | 경유지 |
상록수역앞 (17225) | 3100 | 사동ㆍ한양대ㆍ호수동ㆍ초지동ㆍ신안산대 방면 |
3101 | 사동ㆍ한양대ㆍ호수동ㆍ초지동ㆍ신안산대 방면 | |
상록수역앞 (17222) | 3100 | 반월동ㆍ대야미ㆍ한세대ㆍ고천ㆍ서초역ㆍ교대역ㆍ강남역ㆍ양재역ㆍ양재시민의숲역 방면 |
3101 | 반월동ㆍ대야미ㆍ군포역ㆍ군포시청ㆍ서초역ㆍ교대역ㆍ강남역ㆍ양재역ㆍ양재시민의숲역 방면 |
시외버스 | ||
승차위치 | 노선 | 경유지 |
상록수역앞 (17225) | 700 | 사동ㆍ이동ㆍ안산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 방면 |
737 | 한양대입구ㆍ안산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정왕동ㆍ월곶입구ㆍ대야동ㆍ소사동ㆍ부천남부역ㆍ중동역ㆍ부평역방면 | |
8147 | 안산터미널 방면 | |
8467 | 사동ㆍ이동ㆍ안산시청ㆍ원곡동ㆍ안산역ㆍ시화터미널 방면 | |
상록수역앞 (17222) | 700 | 대명고ㆍ의왕TGㆍ서초역ㆍ교대역ㆍ강남역ㆍ양재역ㆍ양재시민의숲역 방면 |
737 | 수원역ㆍ수원종합버스터미널 방면 | |
8147 | 대명고ㆍ의왕TGㆍ장지역ㆍ가락시장ㆍ잠실역ㆍ동서울터미널 방면 | |
8467 | 반월역ㆍ대야미ㆍ군포역ㆍ군포시청ㆍ모란역ㆍ성남터미널 방면 |
4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4호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700명 | 20,834명 | 22,973명 | 23,678명 | 18,568명 | 17,939명 | 17,939명 | 18,581명 | 19,518명 | 19,590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20,275명 | 21,188명 | 21,631명 | 21,943명 | 22,134명 | 21,694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