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
남양주시의 시내버스 | ||||||
광역급행 | M2316,[광], | M2323,[광], | ||||
간선급행 | 8001 | 8002 | 8012 | |||
직행좌석 | 11 | 100 | 1000 | 1001 | 1100 | 1200 |
1660 | 1670 | 1700 | 2000 | 7007 | ||
일반좌석 | 330-1 | 330-2 | 330-3 | |||
시내 | 1 | 1-4 | 3-1 | 5 | 5-1 | 6 |
7 | 7-5 | 8 | 8-1 | 8-2 | 9, 9-1 | |
10 | 10-5[공] | 15[광] | 23 | 30[광] | 30-15 | |
55 | 55-1 | 56 | 65 | 65-1 | 71 | |
73 | 74 | 88 | 91 | 92[구] | 93[구] | |
97 | 112-1 | 165 | 166-1 | 167 | 167-1 | |
168 | 202 | 707 | ||||
공영 | 마석순환 | 공영버스 | 통학맞춤 | |||
마을 | 2 | 2-1 | 33 | 33-1 | 60 | 61 |
63 | 64 | 65 | 77 | 80 | 82A/B | |
83 | 85 | 88 | 88-1 | 88-2 | 88-3 | |
99 | 99-1 | 99-2 | ||||
[광] 경기광주 면허 노선이지만 남양주시 관내가 기점이며 수요처이므로 같이 기재함. | ||||||
[공] 경기광주 면허, 남양주 면허 공동배차 노선. | ||||||
[구] 구리 면허 노선이지만 남양주시 관내가 기점이며 수요처이므로 같이 기재함.(빙그레 출발 제외) |
서울시 시내버스(2228번 지선버스)로 운행하던 시절(2008년 11월)의 모습. 위 차량은 대차되어 현재 242번에서 운행 중이다.
양수리가 종점이던 시절 모습. 위 차량은 165번으로 넘어갔다가, 65번에 있는 2005년식 차량이 대차될 때 65번으로 이동했다.
700px
2015년 7월 촬영. 2003~4년식 가스 차량 대차분이다.
1 노선 정보
남양주시 일반시내버스 167번 | |||||
기점 |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남양주유기농박물관) | 종점 |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경동시장)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50 | 막차 | 00:20 | ||
평일배차 | 출퇴근 15분/평시 20분 | 주말배차 | 25분 | ||
운수사명 | 대원운수 | 인가대수 | 17대 | ||
노선 | 남양주유기농박물관 - 남양주종합촬영소입구 - 송촌리 - 운길산역 - 양수리 - 조안리 - 팔당역 - 도심역 - 덕소역 - 도농역 - 롯데백화점(구리역) - 교문사거리 - 망우역 - 상봉역 - 중랑역 - 삼육서울병원(회기역) - 청량리역환승센터 → 경동시장 → 현대코아 → 청량리역환승센터 → 이후 역순 |
2 개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후의 군(郡) 단위 지역 경유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66-2번 도시형버스(양수리 - 경동시장)가 전신이다. 이 때는 서울시 시내버스였으며, 대원교통에서 운행했다.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2228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7월에 망우로 중앙버스전용차선과 청량리버스환승센터가 개장하면서 경동시장 구간이 홍릉사거리로 단축되었다.
- 하지만 중앙선이 개통하게 되자 상황이 달라졌다. 서울 버스가 경기도를 진입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던 서울시청이 2008년 중앙선 개통을 이유로 노선을 폐선시킨다고 선언한 것. 이에 양수리 주민은 물론 대원교통 기사들까지 시청을 방문해 항의하기도 했다.[1] 이에 남양주시청이 서울시와 협상, 2228번을 대체하는 남양주 면허의 시내버스를 신설하기로 하고 2228번은 양수역이 개통하면 폐선시키기로 합의했다.
- 그래서 신설된 것이 167번이며, 2228번과 동일한 노선으로 2008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관련 기사 개통 직후에는 2228번과 같이 운행하다보니 전 구간을 단일요금으로 운행했다.
- 2228번은 2008년 12월 20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228번이 폐선되자마자 167번은 바로 거리비례 요금제로 바꾸었다. 한편 2228번에 있던 차량은 41번, 4434번 신설에 쓰였다.[2]
- 2009년 10월 19일, 운길산역에 차고지가 완공되면서[3] '운길산역 - 진중농협 - 양수파출소 - 양수리 - 양수파출소 - 진중농협 - 진중삼거리'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11년 12월 3일에 '남양주유기농박물관(삼봉리) - 송촌리 - 운길산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13년 10월에 있었던 남양주 슬로푸드 축제를 앞둔 2013년 9월 23일에 남양주경찰서를 경유하지 않고 남양주체육관을 경유[4][5]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대체 노선은 15번과 2000-1번이다.
- 이렇게 계속 연장되면서 막차가 새벽 2시 반 이후에 복귀하게 되었지만, 2015년 현재는 경동시장에서 0시 반 이전에 막차가 출발하며, 차고지에는 익일 2시 이전에 도착한다.
4 특징
- 삼봉리, 송촌리 일대를 책임지던 62번 공영버스가 폐선된 후, 이를 대체하기 위한 56번이 신설되기도 했으나 이 노선은 대성리와 양수리만 연계해주고 배차간격이 뜸한 편이어서 167번을 더 찾는 편이다. 그래서 구간 수요도 많은 편.
- 태생이 비슷한 166-1번과는 '덕소 - 청량리' 구간을 공유한다. 2000-1번과도 중복되는 구간이 많다. 자주 보는 얼굴들이기도 하고 이 노선과 15번에 금강고속 출신 기사들도 좀 있다보니 마주치면 서로 인사하기도 한다.
- 15번, 166-1번 등이 다니지 않는 조안면, 양수리 일대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좋은 노선이다.
- 경동시장 막차가 0시 20분에 있기 때문에 덕소 주민들의 심야 귀가도 책임지는 노선이다.
- 저상버스는 없다.[6]
- 도곡리차고지 이후론 속도를 제법 내는 편이다.
- 덕소역과 운길산역 사이의 경치가 좋다. 구 6번 국도 구간인데, 날씨 좋은 날에 저렴하게 경치 구경하기 좋다. 전철을 타고 덕소역에서 내려 이 버스로 갈아탄 뒤, 운길산역에서 하차 후 다시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는 방법이 있다. 역으로도 가능하다.
노선 따라 걷기에도 최적.
- 회차점인 제기동 새마을금고 정류장에서 기사가 쉬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7]
- 출퇴근시간을 제외하면 청량리 ↔ 구리 30분, 청량리 ↔ 덕소 50분, 청량리 ↔ 양수리 75분 정도 걸린다.
- 일부 차량은 대성리차고지에 주박한다.
정식으로 연장되면 훌륭한 남양주 남동부 투어노선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회기역[8], 청량리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상봉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 구리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운길산역, 팔당역, 도심역, 덕소역, 양정역, 도농역, 구리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 청량리역(ITX-청춘, ITX-새마을, 무궁화호), 상봉역(ITX-청춘), 덕소역(무궁화호)
- ↑ 버스기사들까지 나서서 폐선을 반대한 이유는 자신들의 거주지가 양수리 및 인근 남양주 지역인데 만약 폐선되면 서울시내만 운행하는 노선이 신설되고 결국 출퇴근이 힘들어지기 때문.
- ↑ 여담으로 41번/4434번이 신설된 당시에는 도곡리차고지에서 삼성동 탄천변까지 공차회송을 하다가, 워낙 비효율이 크다보니 중랑공영차고지로 옮겼다. 구 2228번 기사들의 거주지가 남양주권이다보니 출퇴근하는데 있어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었는데 지금은 어떤지...
- ↑ 이전까지는 도곡리차고지를 이용했다.
- ↑ 과거 10-6번이 경유했던 구간. 이 외에는 1000번만 다닌다.
- ↑ 슬로푸드 축제 기간에는 13번이라는 임시 노선이 167번의 보조 노선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차량은 남양주 버스 55번 출신 2대였다.
- ↑ 가스차도 거의 없다. 없는 건 아니고 조금 있다. 조금
- ↑ 근데 거의 쉬기가 힘들다. 왕복 2차로에 앞에 교차로까지.
- ↑ 삼육서울병원 하차 후 우측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