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와리

1 일본의 철도용어

大回り(おおまわり) 、大回り乗車(おおまわりじょうしゃ)

일본에서 유래한 철도 동호인들의 용어로, 첫 개찰 후 한번도 개찰구를 나가지 않은 상태로 환승하면서 넓은 지역을 돌아다니는 것을 일컫는 일본어이다. 문자 그대로 표기하면 '오오마와리'이고 발음은 오-마와리이지만, 장음을 생략하여 주로 오마와리라고 표기한다. 용어의 발상지인 일본에서는 JR대도시근교구간 운임 특례 규정을 이용해 오마와리를 한다. 대도시근교구간에서는 출발역과 도착역만 맞으면 그 경로가 어떻든 최단거리의 운임만 수수하기 때문.

예를 들면 도쿄의 대도시근교구간을 이용해 조반선 토리데역에서 토리데-키타카시와의 승차권을 발권하고, 아비코역에서 나리타선으로, 마츠기시역에서 소부선으로, 나루토역에서 토가네선-소토보선-우치보선을 거쳐 치바역에 도착, 치바에서 소부선과 무사시노선으로 각각 니시후나바시역신마츠도역을 거쳐 원래의 목적지인 조반선 키타카시와역에서 하차하는 것이다. 관서지방에서도 제대로 경로를 짜면 오사카에서 출발해 오사카부는 물론이고 다른 관서 2개현까지 거쳐 오사카로 돌아오는 것도 가능한 듯. 다만 경로의 열차중 특급권이 필요로 하는 열차는 불가하다. 예로 오사카권을 한바퀴 도는 오마와리의 경우 신오사카~교토간 이동시 쾌속만이 가능하고 특급권이 필요한 하루카,썬더버드 등은 불가능 하다는 말.

1.1 방법

  • 국내
    • 수도권의 경우 서울 지하철을 포함한 수도권 전철에서는 개찰 후 5시간을 넘지 않는 조건 하에서 가능하다. 이는 수도권 통합 요금제 내에서 전철 이용자에 대해, 노선망 내 가장 먼 두 역의 소요시간을 기준으로 한 승하차간 최대 이용제한시간을 설정해두었기 때문이다. 현재 기준인 5시간을 넘으면 개찰구에서 에러 표시가 나서 개찰구를 나갈 수 없게 되고, 역무원을 통해 추가운임을 결제 후 하차할 수 있다. 이 때 추가되는 운임은 기본운임 1회와 이용한 거리에 대한 추가 운임이나, 운송약관 11조2에 의해 운임을 계산하는 거리는 특례구간을 제외하면 전부 두 역 사이의 최단거리로 계산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오마와리 코스의 경우 특별한 추가요금은 물지 않게 된다.
    • 일본과는 달리 승차역과 하차역이 일치하는 경우에도 개찰구를 나갈 수 있으나, 5시간을 초과하여 역무원을 통한 정산을 할 경우 오해의 소지가 발생할 수 있다.
    • 1회용 승차권의 경우 발권시 출발역과 도착역을 선택해야 하므로 사실상 불가능하며, 선 · 후불 교통카드를 이용해야 한다.
    • 지하철 정기권의 경우도 도중하차만 하지 않으면 가능하다.
    • 다른 지역의 경우 대전 도시철도광주 도시철도는 단일노선으로 오마와리의 필요성이 지극히 낮고, 부산 도시철도대구 도시철도정도에서 한붓그리기를 시도해볼 만 하다.
    • 코레일 일반열차는 수도권이나 일본과 같은 특례운임지역이 없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 일본
    • 일본의 경우 Suica등 IC카드를 통해 역 운임구역 내 진입한 경우, 동일역에서의 하차가 불가능하다. 운임구역을 나가기 위해서는 역무원한테 왜 다시 돌아왔는지 이유를 설명해야 하고, 자칫 역무원의 오해를 살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JR노선의 경우, 국내와는 달리 별도의 시간제한이 없는 관계로 이에 따른 추가요금은 받지 않는다
    • 대도시 근교 구간을 넘어가는 노선 구간(죠에츠선 미나카미~나가오카)이나 JR과 개찰구를 공유하는 제3섹터 노선의 경우, 승차 자체는 가능하나 검표원의 검표시 부정승차로 간주하여 추가요금과 부가금을 물게 된다. 이는 행선지가 불확실하거나 패스가 지금의 선로하고 일치 하지 않는 경우는 무임승차로 간주하기 때문. 특히 노선별 추가요금은 있을지언정 수도권 통합 요금제로 인해 모든 철도 운영사가 운임구역을 공유하는 국내와는 달리, 일본의 경우 운영회사별로 칼같이 운임구역이 구분되므로 적발시 에는 무조건 추가 요금을 징수하거나 2배의 요금을 징수하게 된다. [1] 여러 사철구간을 구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외국인용 패스로는 출발역과 도착역이 동일해도 나갈 수 있고 칼같이 운임구역을 구분할 필요도 없지만 비용 측면에서 손해.
  • 독일이나 영국에도 운임특례가 설정된 구간이 있어 가능은 하다. 독일엔 아예 전국을 특례운임구간으로 만드는 티켓도 있는데 뭘...

1.2 예시

2. 도쿄 역에서 토카이도 혼센을 타고 카와사키 역에서 하차.
3. 카와사키 역에서 난부 센을 타고 바로 다음역인 싯테 역에서 하차. [2]
4. 싯테 역에서 난부 지선(하마카와사키 지선)을 타고 하마 카와사키 역에서 하차.
5. 하마 카와사키 역에서 츠루미 센을 타고 츠루미 역에서 하차.(츠루미역 츠루미선 방항에는 게이트가 있으므로 주의)
6. 츠루미 역에서 케이힌 토호쿠 센-네기시 센을 타고 오후나 역에서 하차.
7. 오후나 역에서 토카이도 혼센을 타고 치카사키 역에서 하차.
8. 치카사키 역에서 사가미 센을 타고 하시모토 역에서 하차.[3]
9. 하시모토 역에서 요코하마 센을 타고 하치오지 역에서 하차.
10. 하치오지 역에서 하치코 센을 타고 코마카와 역에서 하차.
11. 코마카와 역에서 하치코 센을 타고 타카사키 역에서 하차. 코마카와 역에서 타카사키 역까지는 비전화 구간인 관계로 환승한다.
12. 타카사키 역에서 료모 센을 타고 오야마 역에서 하차.
13. 오야마 역에서 미토 센을 타고 토모베 역에서 하차.
14. 토모베 역에서 죠반 센을 타고 아비코 역에서 하차.
15. 아비코 역에서 나리타 센을 타고 치바 역에서 하차. 이때 운행계통상 나리타 역에서 갈아타야 되는데 만화에서도 나왔는지는 추가바람
16. 치바 역에서 우치보 센을 타고 소가 역에서 하차.
17. 소가 역에서 드디어 케이요 센을 타고 핫초보리 역에서 하차.
2. 신당역에서 서울 지하철 6호선을 타고 석계역에서 하차.
3. 석계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회기역에서 하차.
4. 회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타고 상봉역에서 하차.
5. 상봉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을 타고 군자역에서 하차.
6. 군자역에서 서울 지하철 5호선을 타고 천호역에서 하차.
7. 천호역에서 서울 지하철 8호선을 타고 복정역에서 하차.
8. 복정역에서 수도권 전철 분당선을 타고 이매역에서 하차.
9. 이매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강선을 타고 판교역에서 하차.
10. 판교역에서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을 타고 양재역에서 하차.
11. 양재역에서 수도권 전철 3호선을 타고 고속터미널역에서 하차.
12. 고속터미널역에서 수도권 전철 9호선을 타고 동작역에서 하차.
13. 동작역에서 수도권 전철 4호선을 타고 오이도역에서 하차.
14. 오이도역에서 수도권 전철 수인선을 타고 원인재역에서 하차.
15. 원인재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인천시청역에서 하차.
16. 인천시청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을 타고 검암역에서 하차.
17. 검암역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타고 홍대입구역에서 하차.

2 일본어

お回り.
한자 그대로 주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주변, 둘레등으로 사용된다. 앞의 오는 미화어[4]이기 때문에 반드시 붙일 필요는 없으나 일본인들은 습관적으로 붙인다.

3 일본의 속어

お巡り(さん)

경관을 의미하는 속어이다. 순찰을 돌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속어라고는해도 비하하는 느낌은 없기 때문에 흔히 사용된다. 미화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뒤에 까지 붙이는 것이 일반적. 한자인 경관보다는 오마와리쪽이 더 일본어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뉘앙스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이 강하여 여성이나 아이들이 선호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1. 오마와리 자체가 애당초 그리 좋은 인상이 아니며, 역무원들에게 오마와리가 발각되면 대부분 무임승차로 간주하거나 추가요금을 받게 된다.
  2. 사실 츠루미는 카와사키 바로 다음역이다(...) 배차 간격이 엄청난 2개의 노선을 타고 1시간 정도 빙~ 둘러갈게 아니면 타지 말길. 더군다나 치카사키 역까지는 그냥 그대로 타고 가도(...) 된다.
  3. 가끔 사가미 센 열차중 요코하마 센을 직통해 하지오지 까지 가는 열차도 있음.
  4. 말그대로 말이 가진 느낌을 꾸며주기 위해서 붙여주는 것으로 일본어의 앞에 오는 오와 고가 바로 미화어다. 파벌별로 의견이 나누어지기는 하나 대체로 정중어, 미화어, 겸양어, 존경어의 4가지를 통틀어 일본어에서의 경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