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직접 삼각대까지 설치한뒤 사격하는 영상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쓸 만한 중기관총이 없어서 고생하던 미군을 가엾게 여긴 외계인 장인이 만들어서 하사한 수랭식 기관총.
총 자체의 중량은 15kg이며 삼각대와 냉각수, 탄약까지 합하면 47kg이라는 무거운 무게를 자랑하지만 기존의 중기관총보다 가벼우며 생산이 쉽고 신뢰성이 높았다. 테스트에서 2만 발을 쐈는데도 고장이 안 났을 정도였다.
그러나 형식번호가 1917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기관총은 약간 늦게 만들어졌기에 1차대전에는 그리 크게 활약할 수 없었다. 덕분에 이 기관총은 모두 창고로 갔으나, 약간의 개량을 거쳐 M1917A1이 된 후 제2차 세계대전과 6.25 전쟁[1]에서 활약하게 된다. 대대급 중기관총으로 활용되었으며, 수랭식 기관총답게 중공군의 인해전술을 저지하는 데 매우 유용했다고 한다.
파일:Attachment/IMG 20140711 144014.jpg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M1917.
미합중국 해병대의 전쟁 영웅 존 바실론은 태평양 전쟁 중 과달카날 전투와 이오지마 전투에서 이 기관총과 이 기관총의 파생형인 브라우닝 M1919를 들고서 일본군에 맞서 싸우기도 했다. 흠좀무.
2 파생형
3 둘러보기
제1차 세계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 / 레버 / 폴링 블록
| 마티니-헨리 소총, 리-엔필드, P14, 르벨 M1886, 베르티에, 모신나강, 베르단, 카르카노, 30/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윈체스터 M1895 |
반자동 | 레밍턴 모델 8, 윈체스터 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18,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소총 |
자동 | 리베롤 1918, 체이-리고티 자동소총, 페도로프 자동소총, M1918 브라우닝 |
기관단총 / 산탄총 | MAB 18, 윈체스터 M1897/12, Auto-5, 레밍턴 모델 10 |
권총 | 리볼버 |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M1917 |
자동권총 | 마스,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새비지 M1907, FN M1910, 리센티 M1910, 콜트 M1911, 루비, 스타 M1914, 베레타 M1915/17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M1902, 루이스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 자동소총 |
중기관총 | 맥심 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호치키스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피아트-레벨리 M1914, M1917 브라우닝 |
박격포 | 2인치 중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유탄 | F1 수류탄, 밀즈 수류탄, RG-14 |
경야포 | 빅커스 Q.F. Gun, Mk II |
냉병기 | 도검 | 구군도, M1902 세이버, 트렌치 나이프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윈체스터 M70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존슨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
기관단총 | M1928A1/M1A1 톰슨, M2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M50/55 레이징, 유나이티드 디펜스 M42 |
산탄총 | 윈체스터 M1897/12, 이사카 M37, Auto-5 |
권총 | M1903(포켓 해머리스), M1911A1, M1917 리볼버, 콜트 오피셜 폴리스, 하이-스탠다드 HDM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18 루이스, M1917A1, M1919A4/A6, M1941 존슨, M2 중기관총 |
대전차화기 | 보이즈 대전차 소총, M1/M9 로켓발사기(바주카), M18 무반동포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박격포 |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
유탄 | Mk.2 수류탄, M7/M8 총류탄발사기 |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국민혁명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Kar98k, 모신나강,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4 엔필드 |
반자동소총 | ZH-29, 몬드라곤 M1908, SVT-40C, M1 개런드, M1 카빈 |
기관단총 | MP18, 스텐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PPD-40, PPSh-41C, PPS-43C, 유나이티드 디펜스 M42 |
권총 | 마우저 C96, 루거 P08, FN M1900, 콜트 M1903, FN M1922,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0/33 M1911A1, M1917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Vz.26/30, 마드센 M1902, DP-28, 호치키스 M1922, 라티-살로란타 M/26, FN M1930, 브렌 경기관총 |
중기관총 | PM M1910, 24식 중기관총, 30식 중기관총, MG34, M1919 브라우닝 |
대전차화기 | PTRS-41, PTRD-41, 보이즈 대전차 소총 |
박격포 | 20식 82mm 박격포, 31식 60mm 박격포 |
냉병기 | 도검 | 대도 |
※ 윗첨자C : 홍군이 사용 ※ 이탤릭체 : 무기대여법에 의한 지원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폴란드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b wz.98/98a/Kbk wz.29, Kbk wz.91/98, 리-엔필드W |
반자동소총 | Kbsp wz.38M, SVT-40E |
기관단총 | Pm wz.39, 스텐 기관단총W, PPSh-41E, PPS-43E |
권총 | Wz.30/32, Wz.35 Vis, TT-33E |
지원화기 | 기관총 | Rkm wz.28, Ckm wz.25, Ckm wz.30, Ckm wz.32, 브렌 경기관총W, DP-28E |
대전차화기 | Kb ppanc wz.35 |
박격포 | Granatnik wz.36,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윗첨자W: 서부군 ※ 윗첨자E: 동부군 |
한국전쟁기의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17 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
기관단총 | 100식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M1A1 톰슨 |
권총 | 94식 권총, M1911A1 |
지원화기 | 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
대전차화기 | M9/M20 로켓발사기(바주카),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박격포 |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
유탄 | Mk.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
베트남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스프링필드 M1903, 윈체스터 M70, M40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XM21/M21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M14, M16/XM16E1/M16A1, CAR-15/XM177E2 |
기관단총 | M1A1 톰슨, M3, MP40, MAC-10, UZI, M/45(스웨디쉬 K), PM12 |
산탄총 | 윈체스터 M12, 이사카 M37, 레밍턴 M870, 레밍턴 M11-48, Auto-5 |
권총 | M1911A1, M1917, PPK, Mk.22 Mod.0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A1, M1919A6, 스토너 63 코만도, M60, M2 |
유탄발사기 | M79, 차이나 레이크, XM148, M203, Mk.19 |
대전차화기 | M20 로켓발사기(슈퍼 바주카), M72 LAW, M18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M40 무반동포 |
화염방사기 | M2/M9 화염방사기, M202 FLASH |
박격포 | M2/M19 60mm 박격포, M29 81mm 박격포 |
맨패즈 | FIM-43 레드아이 |
수류탄 | Mk.2 수류탄, M26 수류탄, M34 백린수류탄, M18 연막탄 |
- 이동 ↑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에서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