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00

(서울 버스 9706에서 넘어옴)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래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특별시 7권역 간선버스
700701702703704705706707
710720721740750§751752753
760771
† : 주간선노선 / § : 공동배차 노선


2004%B3%E2_%BB%E7%C1%F8_093.png
9706번으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 로얄시티 차량. 현재 위 차량은 대차되었다.


9706번으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 형간전환 후에도 이 노선에서 다니다가 771번으로 옮겨간 뒤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

700px
-일산3동 주민센터 촬영. 현재는 숭례문으로 수정되었다.

700px
현대 뉴 슈퍼 에어로 시티 - 초저상버스 (유로 6 2015), 2015년 8월 28일 촬영. (버스 정류장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수색역 방면)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0번
기점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동해운수 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숭례문)
종점행첫차04:30기점행첫차05:48
막차00:20막차01:38
평일배차6~16분주말배차토요일 8~17분/일.공휴일 10~19분
운수사명동해운수인가대수25대
노선동해운수차고지 - 대화동주민센터 - 후곡마을5~8단지 - 국립암센터, 정발고교 - 백석고교 - 백신중학교, 금계초교[1] - 백석역 - 고양경찰서 - 행신초교 - 서정마을 - 화도교 - 화전역 - 덕은교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사천교 - 연세대학교정문 → 이화여자대학교후문 → 사직동주민센터 → 경복궁역 → 세종대로네거리(광화문역)→ 숭례문충정로역아현역이대역신촌오거리[2] → 연세로 → 연세대학교정문 --- 이하 역순 운행

1.1 개요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보조간선 노선으로 운행거리는 61.96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1.2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개편 당시 대화동에서 서울역을 오가던 915-1번 심야좌석버스가 노선변경없이 광역버스 9706번으로 운행하였다.
  • 2010년 3월 16일 광역버스에서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으며, 노선번호도 700번[3]으로 변경하였다.
  • 2012년 9월 8일 한국항공대학교 구도로 경유를 신도로 경유로 변경
  • 개편전 번호였던 서울 버스 9706 리다이렉트는 이 문서로 온다.

1.3 특징

대진고등학교~마두1동사무소까지 88번과, 백석고등학교까지 870번과 겹친다. 이 때 700번은 기본요금 720원이고 88번은 기본요금 1,250원, 870번은 기본요금 2,050원이므로 웬만하면 700번을 타자.특히 교통카드로 뭐 사먹는 애들에겐 필수다 이 버스 (특히 아침과 오후)의 수요의 상당 부분이 성저마을, 후곡마을~신일중-저동중/저동고-정발고-백석고 라인이거나 마두동, 정발산동, 후곡마을~대진고 가는 길에서 형성되므로 학생들에게 인기가 높다.[4]

707번과 달리 대화역, 주엽역, 강선마을, 능곡, 행신동 안동네, 동교동삼거리를 경유하지 않는다.

대화동 출발과 동시에 대화역 쪽으로 내려가다가 대화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좌회전하여 대화동주민센터 방향으로 들어간 후, 거기서 후곡마을과 국립암센터(정발고교)를 모두 들리고 금계초등학교에서 707번을 만나긴 만나는데...

서로 방향이 반대다. 즉, 서울 방향으로 가는 700번을 타고 금계초교에서 내린 상태에서 그 자리에서 탈 수 있는 707번을 타면 대화동으로 돌아가므로 주의.[5]

일산 구간만 살짝 굴곡이 있을 뿐, 금계초등학교를 지나서부터는 나름 직선이다. 다만, 707번과 달리 웬만한 정류장은 모두 정차하는 차이점이 있다. 한때 화전역 근처에서 항공대학교로 가기 위해 고양 BRT를 빠져나와서 골목길을 약간 투어하기도 했다.[6] 항공대생들만 좋아라 하는 것이지만, 광역 시절과 좌석 시절에 큰 도로로 빼고 싶어도 못 빼는 건 이 지역에 시의원이 고군분투로 반대하기 때문에 못 하였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의 권고로 마침내 9월 7일부터 항공대 미경유로 바뀐다.

연대정문에서 숭례문까지 꽤 회차 반경이 큰 편. 다만 707번과 700번 모두 회차 방향이 거의 똑같다.[7] 이렇게 한 이유는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회차시키는 거 자체가 도로 구조상 불가능하기 때문. 2013년 신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를 하던 시절에는 잠시 707번처럼 동교동삼거리로 회차하기도 했다. 연세로 차없는 거리 통제시에는 웨딩타운 이후 중앙차로에서 이탈하여 이대역부터는 가변차로로 정차하다가 경의·중앙선 신촌역 경로로 진입하여 운행하므로 이용시 주의해야한다.

막차가 0시 20분이라는 것 하나만으로도 성저, 후곡, 밤가시마을 주민들의 밤친구 역할을 톡톡히 하긴 하지만, 706번이 더 늦게까지 다닌다. 다만 706번은 성저마을 끄트머리만 스쳐가고 후곡 대신 문촌, 강촌으로 가는 데다가 화정, 원당역까지 찍고 동산삼거리로 들어가 통일로를 타고 서울 시계로 진입하기 때문에... 성저마을에서 간선 타고 인서울하려면 수색로로 가는 이 노선이 706번보다 빠르다. 다만 숭례문에서 곧바로 경찰청으로 우회전하므로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안 가는 점은 약점.[8]

2012년 6월 중순경에 저상버스가 처음 도입되었다.

위키백과에서는 이 번호를 부여받은 이유가 원래는 시에서 709라는 번호를 부여하려고 했으나, 동해운수에서 700번으로의 변경을 요구했다고 한다.

이 노선에 투입된 차량 1대가 타요로 랩핑되었다.

숭례문에서 경찰청으로 우회전하기 때문에 서울역으로 가고 싶다면 세종문화회관이나 소공동주민센터[9]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만일 숭례문에서 내렸다면 지하철 1호선 출구를 통해 횡단할 것. 덧붙여서 이 노선은 광화문빌딩에 정차하는 대신 서울특별시청을 무정차 통과하므로 700번이나 707번을 타고 서울특별시청으로 가고 싶다면 광화문빌딩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

운행 속도는 상당히 느리다. 특히 심야시간 삼성프라자에서 회차 후 대화종점으로 향하는 노선에서 심한데, 하차벨이 눌리지도 않았고 정류장에 아무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정류장에서 정차, 혹은 감속후 앞문을 열고 닫는다(...). 사람 없기로 유명한 수색 - 화전 구간, 심지어 대곡역(!!)에서도 예외없다.[10][11] 뿐만 아니라 일산에 진입했을 때는 평균 운행속도가 30km/h를 밑도는 현상까지 발생하기도 하는데, 심야 시간 퇴근을 위해 쌩쌩 달릴 것을 기대한 승객들은 여간 짜증나는 것이 아니다.

2 연계 철도역

3 폐지된 노선

폐선된 버스 노선입니다.

이 버스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하 내용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2004년 개편 직후 주간선업체인 다모아자동차에서 운행한 노선으로, 수색동 은평공영차고지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사이를 잇는 노선이었다. 구체적인 운영구간은 은평공영차고지 ↔ 수색로 ↔ 성산로 ↔ 금화터널 ↔ 서대문역서울역 ↔ 남대문시장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을지로 → 시청 → 서대문역 순이었다[12].

하지만 중복노선이 많았던 터라 수요가 적었고, 270번이 동교동, 신촌, 아현역쪽으로 노선을 변경한 후 승객이 늘어난 걸 보고 이 노선도 270번을 따라서 신촌, 아현역 쪽으로 노선을 변경해서 다니기도 했다.

그래도 수요가 없었는지 2005년 7월 31일에 수요 부족을 이유로 폐선되었다. 당연하지만 이 문서의 1번 항목과는 상관이 없다.

  1. 여기서 동사의 707번과 만나지만,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간다.
  2. 버티고타워 앞에 있는 정류장에 정차한다.
  3. 동해운수 측에서 요구한 번호라고 한다. 원래는 709번으로 하려 했으나 업체측에서 인지도에 따라서 일부러 요구했다고 한다.
  4. 9706번 시절까지만 해도 그런 거 없었다. 특히 백석고의 경우 울며 겨자먹기로 1,000원이 넘어가는 좌석버스에 몸을 실어야 했을 정도.
  5.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비슷한 상황이 일어나는 곳이 경산시외버스터미널. 이유는 509번 때문이다. 영남대행 509번과 사동행 509번이 X자 형태 노선이라 경산시외버스터미널 앞에서 영남대행 509번을 타야 할 승객이 사동행 509번을 타면 엉뚱하게도 영남대학교가 아닌 사월역 쪽으로 빠진다. 반대로 터미널 건너편에서 영남대행 509번을 타면 경산시장으로 우회전하지만, 사동행 509번을 타면 경산시장이 아닌 경산경찰서를 통해 삼풍동 쪽으로 간다.
  6. 해당 구간의 서울 간선이나 지선 중 항공대 앞으로 안 가는 노선은 771번 하나밖에 없었다.
  7. 707번을 보면 알겠지만 700번은 연세로, 707번은 동교동삼거리 및 연남동으로 회차한다.
  8. 915-1, 9706 시절에는 1000번 뺨치게 밟았다. 이 버스를 타면 AC540100km/h 넘게 밟는게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당시 1000번은 삘 한번 타면 120km/h 밟고 다녔는데?
  9. 정류장명은 삼성플라자
  10. 반면 저상버스 706번은 대곡역에서 전력질주를 한다. 그래 봤자 최고조넘을 비롯한 광역버스들에 추월당하지만
  11. 이건 어쩔 수 없다. 서울시면허 버스들은 정류장 근처에서 서행하면서 앞문을 열어주지 않으면 정류장 무단통과로 인식되어 징계가 내려지기 때문이다.
  12. 출처 : http://k.daum.net/qna/view.html?qid=01ME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