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는 위키디피아의 동일 제목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요
아시아자동차가 미쓰비시 후소의 고속버스 모델을 라이센스 생산했던 대형버스 라인업. 생산 당시 국내 버스 시장을 석권하였다. 당시 기사
2 모델별 설명
2.1 B905N
파일:B905n.php.jpg
1971년에 출시된 모델로, 미쓰비시 후소의 B905N 차대에 전기형 미쓰비시제 K11 스탠다드 데커 차체[1] 를 사용하여 아시아자동차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모델이다.[2] 미쓰비시 후소의 V8 8DC2(13,273cc, 265ps, 89kgm) 엔진을 탑재하였는데 이는 국내 차종 최초의 V8 엔진 탑재로 사실상 한국에서 생산된 최초의 제대로 된 고속버스 모델이자[3] 한국에서 처음으로 대량 생산된 고속버스 모델이며 많은 고속버스 회사가 이 차량을 구입한 사례가 있다. B905N은 미쓰비시 후소가 1967년에 자사 라인업에서 최고급형으로 내놓은 차량이며, 아시아자동차가 한국에서 면허 생산하기 전인 1969년에 대한민국에 최초로 직수입되어 도입된 고속버스 모델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B905N의 상급 모델로 B907S(B905N의 배기량을 늘리고 전장을 12M급으로 늘린 300마력급 모델), B906R(350마력 V12 엔진이 탑재된 12M급 모델)이 일본 미쓰비시 후소에서 직수입 되어 도입되었으며 이들 모델은 주로 한진고속이 수입하여 굴렸다.
2.2 B909S
파일:B909s.jpg
1976년에 B905N의 후속으로 출시된 모델로, 미쓰비시 후소의 MS513R 차대에 후기형 K11 스탠다드 데커 차체를 적용해서 아시아자동차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모델이다. 일본 본국에서는 모델명 체계가 변경되면서 MS513R로 명명 되었지만, 한국에서는 기존 B시리즈 모델명 체계를 따르면서 아시아자동차에서 자체적으로 B909S로 명명하였다.[4] 미쓰비시 후소의 V8 8DC8 (14,886cc, 305ps, 104kgm) 엔진을 탑재하면서 B905N보다 더욱 강력한 성능을 자랑했으며, 배기량이 늘어나고 예연소실식에서 직분식 엔진으로 변경되어 당시 동급 최강의 성능을 자랑했다. 종전의 B905N이 11.2M 전장이었지만, B909S는 12M 전장으로 더욱 길어졌다. 후기형 K11 차체가 적용되어서 B905N보다 더욱 둥글어진 외형을 하고 있었으며, 전면에 미쓰비시 후소 디자인의 검은색의 가늬쉬가 적용되었으며, 미쓰비시의 "스리 다이아" 마크와 "FUSO" 마크가 존재했던 마지막 모델이다. 특이하게도 냉방기가 후륜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2.3 B909L
파일:1124691560 B 909L.jpg
1981년 8월에 B909S의 후속으로 출시된 모델로, 미쓰비시 후소의 K-MS615S 차대에 B35 스탠다드 데커 차체를 적용해서 아시아자동차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모델이다. 이때부터 일체식 유리창이 적용되었고 스테인레스 바디 사양이 추가되었다. 많은 차량들이 스테인레스 바디 사양을 적용하고 출고되었으며[5], 냉방기는 다시 전륜의 뒤쪽으로 이동하였다. 대쉬보드도 기존의 철판으로 된 투박한 대쉬보드에서 중앙집중식 계기판이 적용된 플라스틱 재질의 대쉬보드로 변경되었다.[6] 미쓰비시 후소의 V8 8DC9(16,031cc, 310ps, 108kgm) 엔진을 탑재하였으며 당시 동급 최강의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했고 당시 운행되는 고속버스의 대다수가 B909L로 시장 점유율이 70%에 달하였다. 이 8DC9 엔진은 후속 모델인 AM919에도 인계되었고 후에 현대자동차에서 D8AY(8DC9-1A)라는 이름으로 면허생산이 되기도 했으며, 터보차저나 인터쿨러의 추가를 거쳐 2000년에 파워텍 엔진이 등장하기 전까지 장기간 활용되었다. 1984년에 단종되었으며, 1985년 2월에 AM919가 후속 모델로 등장하였다. 2000년대까지 대구에서 1984년형 B909L 1대가 통근차량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7]
여담으로 80~90년대 크로바완구에서 고속버스 장난감(다이캐스트)로 나온 모델이 이 차량이다.
3 이야기거리
미쓰비시 후소는 이 모델을 시작으로 현대 에어로 버스가 2007년에 단종될때까지 30년 이상 한국 버스 시장을 석권하게 된다. 초기 직수출에서 곧 라이센스 수출로 전환하였지만 아시아자동차를 통해 B버스를 대 히트시키고 현대자동차를 통해 후속 모델인 에어로 시리즈까지 오랫동안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2007년에 현대자동차와의 기술 제휴는 중단하였으나 현대에서 유니버스를 일본 내에 수입 판매하는 형태로 관계는 이어가는 중이니 한국 버스 시장과는 참으로 오랜 인연이 아닐 수 없다. 아시아자동차는 이 모델을 끝으로 1981년부터는 히노자동차와 기술제휴로 노선을 바꿔 후에 등장하는 AM시리즈는 히노사의 섀시를 베이스로 출시되었다.
4 퇴역이후
[1]
[2]
대부분의 차량들은 10년의 내구연한을 끝마치고 폐차되가나 창고로 재활용되기도 했으며 정말 상태가 좋은 극히 일부의 차량들은 퇴역 이후에 중고로 팔려나가서 공장 통근버스 같은 용도로 쓰이기도 했다. 특히 B905N의 경우 1980년대 초반까지 생존해 있었던게 사진으로 남아있다. 어떤차량들은 고속버스 이후 통근버스으로 활용되어 최소 2000년대 후반까지는 생존개체가 있었으나 지금은 더이상 남아있는 차량이 적어도 국내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본국인 일본에서는 조금 다른데 일본은 버스 내구연한이란 개념 보다는 배기가스 규제와 서비스 측면에서 차량 대차를 하기에 버스들이 한국 보다는 운행을 더 많이한다.[8] 그 덕분에 B시리즈 및 MS5계 버스들은 2000년대 초반 까지, MS6계 버스들은 2000년대 후반 까지도 지방 버스 업체에서 영업용 시외버스로 활약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퇴역후에도 무조건 한국처럼 폐차되거나 중고수출으로 가지는 않고 가끔 창고로 사용하거나 다른 지방노선 차량으로 인도하는 경우가 자주있다. 그렇기에 일본에서는 나온지 40년이지난 B버스, MS5, MS6계 차량들이 아직도 현역이거나 또는 창고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개체들의 경우는 버스 애호가들에 의해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정비되어 보존되는 경우도 더러 있다.
5 둘러보기
기아자동차의 차량 | ||||
구분 | 승용, SUV, RV, 승합, 경상용차 | 버스 | 트럭 | 군용차 |
1960년대 | K-360, T-600, T-1500, T-2000 | |||
1970년대 | 124, 브리사, 132, 604 | B버스, AB버스, AM버스 | 타이탄, 복서, KB트럭 | K-111, K-511, K-711 |
1980년대 | 프라이드, 캐피탈, 콩코드, 봉고(승합모델), 베스타, AC버스, 토픽 | 콤비, 코스모스 | 봉고(트럭모델), 세레스, 트레이드, 라이노, AM트럭 | K-311, K-811 |
1990년대 | 비스토, 아벨라, 리오, 세피아, 슈마, 크레도스,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엘란, 스포티지, 록스타, 레토나, 카렌스, 카스타, 카니발, 프레지오, 타우너 | 그랜버드 | 그랜토 | K-131 |
2000년대 | 모닝, 스펙트라, 쎄라토, 씨드, 포르테, 옵티마, 로체, 앙투라지 (VQ SEDONA), K7, 오피러스, 쏘울, 쏘렌토, 모하비, 벤가 | 파맥스 | K-911 | |
2010년대 | 레이, K2, K3, K4, K5, K9, KX3, KX5, KX7, 니로, 스팅어 | K-151, 중형전술차 | ||
갈색 글씨 - 단종차량 |
- ↑ 일본에서는 미쓰비시 차체외에도 후지중공업의 차체를 선택할수 있었다
- ↑ 참고로 일본 본국에서도 B905N은 고출력 11.2m 고속버스 모델으로 판매되었고 또 B806이라고 시외버스, 관광버스용 저출력 차량이 있었다
- ↑ 그 이전에 현대 R226, 신진 RC420TP가 자칭 고속버스로 판매되기는 했지만 R226은 프런트엔진 버스인데다가 마력도 턱없이 부족했고 신진 RC420TP는 일본 본국에서 도시형 버스로 개발된 모델을 기반으로 터보챠져를 올린 수준이라 성능적인 면에서는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현대 유니시티급에 더 가까웠다.
- ↑ 이러한 번호 작명법은 B909S, B909L 이후에도 AM919, AM929, AM939를 거치고 그랜버드가 나온 이후에도 AM949, KM949로 코드 네임이 이어지다가, 40년이 지난 현재도 지금의 뉴 그랜버드의 코드네임인 KM959에 까지 쭈욱 이어내려오고 있다.
- ↑ 패널바디 차량도 적지는 않았다.
- ↑ 이 대쉬보드는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버스 초기형이나 AM919에서도 사용되었다.
- ↑ 일단 최소 2010년까지는 살아있었던게 확인되고 있다. 2016년 현재는 폐차되었다고 알려졌다.
자사의 마지막 남은 유산을 폐차되도록 방치하는 현기차 - ↑ 단 JR버스와 같은 주요고속버스 회사의 경우 12년 정도 운행하면 퇴역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