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국의 주요 지도자들 | |||||||||
미국 | 영국 |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해리 S. 트루먼 | 조지 6세 | 네빌 체임벌린 | 윈스턴 처칠 | 클레멘트 애틀리 | ||||
중화민국 | 소련 | (자유) 프랑스 | |||||||
린썬 | 장제스 | 미하일 칼리닌 | 이오시프 스탈린 | 샤를 드 골 |
중화민국 역대 주석 | |||||||
2대 | → | 3대 | → | 4대 | |||
장제스 | → | 린썬 | → | 장제스 |
林森. 임삼. 별명은 木林森, 나무가 번식하는 모습이 눈에 훤히 들어온다
(1868~1943.8.1)
1 개요
청나라의 관리, 혁명가, 중화민국의 정치인
2 생애
1868년 푸젠 성 민허우 현(閩侯縣)에서 태어났다. 1884년에는 건너편의 대만으로 옮겨가 타이베이(臺北) 시 전보국에서 근무하다가 청일전쟁 후인 1902년에 대륙으로 귀환, 상하이의 세관에서 일하게 되었다.
이후 태평양을 횡단해 하와이를 거쳐 샌프란시스코에서 살던 중 1905년에 쑨원(孫文)이 도쿄에서 결성한 중국동맹회에 가입하여 정치에 발을 들였다.
1909년 귀국하여 장시 성 주장(九江)에서 비밀리에 무장조직을 결성하고 1912년 신해혁명 때 장시 성 구역의 지휘를 맡았다.
그러나 1913년에 쑨원이 위안스카이(袁世凱)에 대항해 일으켰던 제2차 혁명에 가담했으나 실패로 돌아가자 그 역시 쑨원을 따라 일본으로 망명했다. 1914년 겨울에는 중국 국민당의 전신인 중화혁명당의 미국 지부 총지부장에 선출되었으며 이후 국회의 수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선통제의 복벽으로 강제로 해임당했다. 이후 1917년 광저우에서 쑨원이 군정부를 수립하자 광저우로 가 외교부장에 임명되었다.
1922년에는 광둥 군벌의 지원을 받아 푸젠 성의 성장(省長)이 되었으나 얼마 안 가 사임하고 대신 건설부장이 되었다. 쑨원의 사후에는 국공합작의 중단을 요구하는 서산회의파(西山會議派)의 일원으로 1927년 장제스(蔣介石)에 의해 일어난 공산당 유혈 숙청인 4.12 상하이 쿠데타를 지원했다.
그 덕에 1931년에는 입법원장까지 승진했는데 뜻하지 않게도 국민정부 주석[1] 자리에까지 오르게 되었으니 바로 그 해 초 정적이었던 후한민(胡漢民)을 가택연금하며 권력을 강화하려던 당시 국민정부 주석 장제스의 입지가 만주사변의 여파로 인해 약화된 것이었다. 이에 장제스는 1931년 12월, 린썬을 얼굴마담으로 내세우고 국가원수 자리를 그에게 양보한다.
그러나 일당독재채제에서 이 자리는 실권이 극단적으로 적은 자리였으며 린센은 난징(南京)에 있는 국민정부(후에 총통부)에 발도 들여 놓지 못했않았다. 왜냐하면 그 곳은 여전히 장제스의 관사로 쓰였으니까. 그가 페이크 보스라는 것을 직감한 타임(Time) 지는 이것을 비꼬아 1934년의 한 기사에서 그를 장제스의 꼭두각시로 지칭하였다. 안습 1935년 그 임기가 완료될예정이었으나 국민당의 훈정채제가 연장됨에 따라서 헌법 반포까지 퇴임이 미루어지게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대국민 연설을 하면서 국민들의 지지와 결집을 호소했다. 이후 1943년 임시 수도 충칭(重慶)에서 당한 교통사고와 얼마 후의 뇌졸중으로 인해 사망할 때까지 명목상으로나마 주석의 지위를 유지했다. 죽기 전 일본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면 대만 반환을 성사시켜야 한다고 언급했다. 전후임 주석은 물론 장제스.
읽어보면 알겠지만 사실 신해혁명에서 중일전쟁까지 에지간한 정치적 격동을 직접 몸으로 체험한 사람이다. 언듯 보기에는 갑툭튀한 허수아비로 보이겠지만 나름대로 험난한 인생역경을 헤쳐오면서 살아온 사람.
3 여담
적극적인 일부일처제 찬성론자로 당시까지만 해도 중국에 흔하던 일부다처제를 1935년부터 법적으로 금지시킨 바 있다. 타이베이에는 이 사람의 이름을 딴 길 이름이 있다(林森北路,林森南路).
타이베이 총통부로 향하는 길 왼쪽의 '개수공원'(介壽公園)[2]에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당시 중국에서 나오던 평가 중 하나가 다른 사람에게 조언을 해주길 좋아하지만 정작 사람들은 그의 조언을 좋아하지 않았다는 뭔가 애처로운 이야기가 있다.
사진을 봐도 알겠지만 염소수염이 인상적인 것으로 유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