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애
1879년 평안북도 박천에서 태어났다. 19세 때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갔다. 구한말에 살았는데 당시엔 대한제국군의 군인들이 일본에서 교육을 받는 일이 많았다. 그는 일본육군사관학교의 예과인 성성학교를 다녔고, 1903년 졸업했다. 그 해 12월 일본 육군기병대 견습사관으로 근위사단에서 실무를 익히던 중 1904년 2월,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대한제국 파견 무관 자격으로 일본군에 종군했다. 이후 서울의 일본군 6군사령부에서 근무하다가, 그해 8월 대한제국 군인으로 복귀하여 무관학교 교관, 시위대 기병대장, 참모국 제2과장을 역임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한반도 국권침탈 야욕이 가시화되자, 이에 커다란 분노를 느끼며 항일운동에 투신하였으며, 장교로 근무하며 노백린, 이동휘 등과 어울리면서 효충회란 단체를 세워 친일파를 암살하려고 하였으나 대한제국 군대해산 등을 겪으며 군 규모가 위축되자 참령 계급이던 1909년에 베이징으로 망명했다. 이무렵 비밀결사 단체로 공화제를 추구했던 신민회에 가담했다.
1910년에 한일강제합병이 이뤄지자 국내와 중국을 오가며 독립군 자금을 모집하다가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1911년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1년 6개월 뒤에 나와서 중국에서 주로 독립운동을 다방면에서 활동하였다. 1920년대 초에는 같은 군인장교 출신이자 임시정부 국무총리였던 이동휘와 함께 고려공산당에 가담해 활동하기도 하였으나, 자유시 참변을 겪고난 후, 1921년 이후 병원과 농장을 경영하면서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주력했다. 1929년 3월 지린에서 조선혁명당을 결성하였으며, 1930년에는 임시정부로 다시 복귀하여 1944년까지 수차에 걸쳐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역임했다. 1935년 7월,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신한독립당,의열단,대한인독립단 등 5개 독립운동단체가 대일전선통일동맹을 공동 발기해 결성한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했을 때, 조선혁명당의 대표로 참여해 반일 민족연합전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1940년대에는 한국광복군의 참모총장을 지냈다.
광복 후에는 귀국하여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당시 한국광복군의 군인들은 미군정의 푸대접과 일본군, 만주군 출신 파벌이 군내에서 활약하는 것을 못마땅히 여겨 군사영어학교나 남조선국방경비대에 입대하지 않았는데 조병옥의 추천으로 그가 미군정의 통위부장(지금으로치면 미군정에서 국방부 장관에 해당하는 직을 맡았던 것)이 되자 광복군은 다수가 입대하였다. 당시 광복군 출신들이 입대하자 일본군과 만주군 출신 장교들은 유동열이 군내에서 광복군을 중심으로 파벌질을 한다고 반발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납북되었고 평안북도 근처에서 사망하였다.
2 여담
광복군 등 중국에서 활동한 군경력자들이 한국군에 입대할 수 있도록 푸시를 넣어준 탓에 국군이 일본군과 만주군 일색으로 채워지는 것을 막았다. 광복군, 국부군 출신들의 실전경험이나 기량이 대체로 일본군, 만주군 출신보다 떨어졌고 병영내 악습도 별반 다를게 없었기 때문에 군전력, 병사 처우 문제에선 별 보탬이 못되었지만 일단 정통성 차원에서 정말 중요한 일이었다.
장교는 양반만 되어야 한다는 희한한 사고를 갖고 있었다. 그바람에 46년 9월 유동열이 통위부장이 된 이후 한동안 상놈 출신들은 승진이 않되었다. 대표적으로 춘천의 8연대 수석장교 김종갑 중위가 상놈이라고 대위 승진이 안되었다. 양반인지 상놈인지 뭘보고 판단하는 거야? 족보 같은 걸 끼얹나? 참고로 당시는 미군정 시대로, 미군 조직법에 양반만 장교가 되어야 한다는 조항은 없었다.
자매품으로 송호성 국방경비대 총사령관은 경비대 사관학교를 불시에 방문하여 신언서판(身言書判)이나 관상이 안좋다는 이유로 후보생 20여명을 그자리에서 짤랐으며 자기 맘에 안드는 장교는 불문곡직 제주도 9연대에 처박았다. 이런 막가파 장군이 잘나갈수 있던 이유는 같은 중국군 출신인 통위부장 유동열이 밀어준 덕분이다. 끼리끼리 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