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기나타

(치도에서 넘어옴)

(なぎ)
(なた)

t20081102b.JPG
아래가 나기나타. 위는 왜창(야리).

1 개요

일본 헤이안 시대부터 쓰이기 시작한 전근대 장병도(長柄刀) 계열 무기. 언월도글레이브, 협도와 흡사하지만, 나기나타가 더 가볍고 얇기에, 운용 방식도 차이가 난다.
처음 이 무기가 등장하였을 때의 이름은 나가나타((なが)
(なた)
)였으나 이후 우치가타나(打刀)의 형식이 나타나자 우치가타나를 단도와 구분하기 위해서 장도((ちょう)
(とう)
, 죠토우)라고 부름에 따라, 둘을 구분하기 위해 나기나타는 치도(薙刀)[1]라고 바꿔 부르기 시작한다.

일본의 무기술을 대표하는 무장 중 하나이자, 역사적으로도 오래 사용한 무기임에도 일본도야리처럼 유명한 나기나타는 매우 적다. 무사시보 벤케이가 사용했다는 이와토오시나 지나가는 참새가 날에 양단 되었다는 토비스즈메 정도가 있다.

2 형태의 변천

사용한 기간이 길기 때문에 형상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대체로 일본도 칼날을 장대에 부착한 것처럼 생겼으며, 일본도처럼 둥근 칼방패가 있다는 점이 특징. 그러나 세부 형상은 단순히 일본도 손잡이를 길게 만들어놓은 것과는 다르다.

나기나타와 비슷한 위치의 무기로 나가마키((なが)
(まき)
)라 하여 대태도의 자루를 길게 늘린 무기가 있는데, 나가마키의 경우는 대태도를 쉽게 다루기 위해 칼자루만 길게 늘린 것이므로 칼로 취급한다. 하지만 나기나타는 전체적으로 베는 장대무기에 맞추어 진화한 창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무기의 중후장대화가 유행했던 남북조 시대에는 대치도(大薙刀)라는 아주 커다란 것도 존재했다.


대치도 유물(출처: #1, #2)

나기나타가 고안된 계기는 불명확하다. 단순히 더 큰 일본도를 요구하는 과정에서 나왔다는 설, 나라 시대 후기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테오코(수모手鉾)라는 무기가 길게 변한 것이라는 설, 중국에서 불교를 배워온 승려가 덤으로 중국식 장대무기인 대도(大刀)를 배워온 것이 일본의 승려들의 무술로 정착했다는 설 등이 있다.

nrd127-18.jpg
테오코의 모습(#)

3 역사

본래 일본은 중국식의 율령제로 통제되었으며 평민을 징병하여 창(矛)과 방패를 이용한 집단전을 하는 것이 기본이었다. 그러나 율령제가 무너지고 일본의 군사력을 새롭게 대두된 무사들이 도맡기 시작하면서 일본의 전법은 변화하게 된다.

일본 무사의 스타일이 확립된 헤이안 시대의 일본 무사는 마상에서 활을 쏘는 것이 주요 전술이었고, 활과 타치, 단도가 주무장이었다. 이러한 무사들은 독자적인 가문을 내세우며 그 가문에 대대로 봉공하는 낭당(狼黨:로토)과 같은 휘하 가문들이 존재하여 하나의 정예 군대를 이루었다. 하지만 모든 무사들이 갑옷과 말을 장비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주요 가문이 아닌 자들은 타치와 나기나타를 들고 도오마루 같은 준제식 갑옷을 입고 도보로 움직이며 기마무사를 보조하였다.

창과 방패가 사라지고 나기나타가 주요 백병전 무기가 된 것은 율령제 징병을 통해 군대를 만들어 집단전을 상정하던 것과는 달리 일본의 무사들은 소규모 엘리트 전사였기 때문에 측면을 잡히기 쉽고 집단전에만 적합한 창을 쓰는 것이 오히려 좋지 않았기 때문에 길이가 적당하면서도 다양하게 쓸 수 있어 개인무술로써의 역량을 다할 수 있는 나기나타가 활용되었기 때문이었다.

가마쿠라 시대까지 나기나타는 주요한 백병전 무기로써 활용되었고, 전국시대까지 꾸준히 활용되었다. 그러나 무로마치 시대부터 조금씩 그 비중을 잃기 시작한다. 먼저 기존과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갖춘 군사조직 악당(惡黨)들은 평지에서 말을 타고 활을 쏘던 기존 방식을 거부하고 산야를 돌아다니며 매복이나 지형지물을 이용한 습격을 중요시한다. 이에 따라 기마무사가 중요시되던 과거와 달리 정규 무사들도 도보전을 자주 하게 되었으며, 궁시전에 적합한 오오요로이의 상체에 도보전에 적합한 도오마루의 쿠사즈리를 갖춘 하이브리드형 갑옷도 그림으로 확인된다. 하급무사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도오마루, 하라마키 같은 갑옷이 도보전투에 편리하다는 점 때문에 정규 장비로 쓰이기 시작한 것도 이 즈음이었다. 더군다나 갑옷 디자인의 발전으로 틈새가 아주 많던 과거와는 달리 팔다리의 틈새를 철저하게 가리는 디자인들이 등장했다. 가령 장딴지와 허벅지, 무릎까지 가려주는 하이다테나 목 보호대가 등장했다. 이러한 신형 갑옷들은 기존의 나기나타로는 쉽게 대처하기가 힘들었기에 갑주를 강타하여 쓰러트리기 위한 금쇄봉[2]이나 가리봉 같은 타격장비들, 그리고 창과 같은 새로운 장비들이 등장하였다. 용도는 비슷하나 기원이 다른 나가마키 라는 무기도 이때부터 등장하였다.

오닌의 난 이후로 시작된 전국시대에는 오랜 전란 탓에 고가의 기마무사를 양성하기가 힘들어져 징집 보병인 아시가루(足輕)가 주력이 되며, 아시가루들을 빨리 훈련시키고 집단전에서 탁월한 위력을 발휘하는 창이 크게 확산되면서 정규 무사들조차도 창을 쓰는 사람이 많아져 나기나타의 비중은 크게 줄어든다. 그러나 백병무기로써의 융통성은 창보다 훨씬 나았으므로 여전히 일부에서는 사용되었다.

전국시대가 끝나고 에도시대가 오면서 나기나타는 활약의 무대를 잃었다. 그러나 에도 시대에도 나기나타의 사용법에 대해서는 폭넓게 교육되었으며 도장에서는 단순히 검술만을 가르치지 않고 이 나기나타의 사용법도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 무가의 여성들의 경우에는 교양내지는 호신술적인 측면에서 나기나타술을 배우는 경우도 있었으며 혼수품으로 나기나타를 가져가는 경우도 많았다.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여성용의 나기타나술이 더욱 발전[3]하였고 타이쇼 시대 쯤에 현대무도 나기나타[4]로 발전한다. 다만 제정 시에 남성 나기나타술 유파도 참여했으며, 현대의 나기나타(무도)는 여성 무도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남성도 배울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막부말에 활동한 사카모토 료마는 유명한 검술가이기도 하지만 그가 단을 딴 것은 나기나타였다는 점에서 적어도 메이지 시대가 될 때까지는 남성이 나기나타를 다루는 것은 부자연스럽게 여기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나기나타하면 여성이라는 이미지가 굳어진 것은 일본이 군국주의적인 경향을 가지면서 여성들에게 강해지라고 나기나타를 권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남성들에게는 검도유도를 권했으며, 의외일 것 같지만 조선에서는 마찬가지 이유로 국궁을 권했다[5]. 제2차 세계대전 후 검도와 나기나타에 금제령이 내려진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230142.jpg
후에 학생 스포츠로 부활한다. 전일본 나기나타 연맹에서 단급과 시합, 규정을 관리하고 있다. 현대 나기나타는 검도의 면과 동에 독자적인 소수(팔뚝 방어)와 정강이받이를 사용한다. 도복 바지의 형상도 검도의 하카마와는 차이가 크다. 나기나타 연습용으로 사용되는 죽도의 경우, 약 1미터 이상의 긴 나무 막대기의 끝부분에 대략 죽도를 1/3정도 잘라놓은듯한 부분을 붙여놓는다. 근데 이게 완전히 고정하는게 아니라 약간 느슨하게 고정해서 흔들리는데다가, 특유의 긴 리치때문에 원심력이 합쳐져서 죽도보다 더 아프다.

4 기술

길이도 긴데다가 찌르기 베기가 가능한 전천후 무기다. 병장기의 최종병기라고 봐도 될 정도. 미야모토 무사시가 창이 나기나타에 비해 유리하다고 말하기는 했으나 전장같은 특수한 상황을 말하는 것이고 1:1 로 붙는다면 나기나타가 유리하다. 기본적으로 별로 강하다는 인상이 없지만 냉병기는 크고 길수록 유리한데다가[6] 나기나타는 같은 긴 무기인 창보다도 범용성이 높다.

영국 선원 리처드 파크가 단순한 쿼터스태프로도 세명의 레이피어 검사를 때려잡은 사례가 있는데, 나기나타는 여기다가 끝에 날까지 달려있다. 검도와의 모의전을 해보면 검도가 일반적으로 털리는게 대다수. 그나마 룰이 있는 시합이니까 룰을 이용해서 비벼볼 구석이 있지만 실전이었으면 더 심하게 털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주로 하단 공격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하단 공격 외에도 다른 장대 무기처럼 모든 부위를 이용한 공격도 가능하다, 뒤의 봉 부분으로 후려친다던가, 일본도처럼 날이 휘어있는 형태를 이용하는 세밀한 기술들도 존재한다. 즉, 창과 검과 봉의 장점을 조합하였다고 보면 된다. 사실 얘도 엄밀히 따지면 월도/협도계열이다.

고류 중에도 치도술을 연마하는 유파가 많이 있다. 토다파 무갑류 치도술이나 직심영류 치도술, 양심류 치도술처럼 나기나타술을 주로 익히는 유파도 있고, 가토리신토류나 마니와 넨류, 북진일도류처럼 유파 내에 나기나타술이 포함되는 유파도 있다. 보통 북진일도류 등의 에도시대 유파가 가토리신토류 등의 전국시대 유파보다 작은 크기의 나기나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5 미디어 매체에서의 나기나타

여러 만화 등의 매체에서는 항상 우월한 스피드와 리치, 그리고 반대쪽 끝까지 활용하는 철벽의 방어력 등으로 대체로 보다 유리한 듯한 뉘앙스를 풍긴다. 가끔씩 쌍두창처럼 자루 양 끝에 날이 달린 형상의 나기나타가 등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나 도끼 등과 마찬가지로 주인공이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주인공과 맞붙으면 뭔가 하여튼 이유가 있어서 패하는 역할. 검은 주인공이 쓰는 무기니까

상기했듯이 나기나타와 창의 운용은 무척 다르지만, 롤플레잉이나 액션 등 게임에서는 과 같은 계열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픽션에서는 여성 무술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남성보다 여성 캐릭터가 들고나오는 경우가 많고, 여성 무술 + 아가씨 라는 스테레오 타잎까지 덧 씌워져서, 왠지 나기나타를 다루는 여성캐릭터들은 야마토 나데시코이거나 혹은 고풍스러운 일본인 여성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승려가 장비하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다. 무사시보 벤케이를 묘사한 그림 중에도 나기나타를 들고 있는 그림이 흔하다. 현존하는 소헤이(일본 승병) 묘사 그림 중 상당수가 나기나타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에서는 소헤이와 아시아 왕조의 나기나타 기병이 나기나타를 장비한다. 중요한 점은 aoe3에선 나기나타를 쓰는 게 모두 남자라는 점.

토탈 워: 쇼군2센고쿠 시대 배경인 만큼 여러 유닛이 사용한다. 승병은 물론 중보병과 기병에 속하는 일부 사무라이 유닛, 그리고 성에 주둔하는 여성 무사 등. 겐페이합전 시기를 다루는 사무라이의 태동에서는 기본 보병도 나기나타를 쓰는 등 훨씬 널리 쓰인다. 그러나 무진전쟁 시기를 다루는 사무라이의 몰락에서는 전멸.

참고로 쇼군 2의 오프닝에서는 검을 든 카타나 사무라이와 나기나타를 든 나기나타 승병 사이에 1대1 결투가 벌어지는데, 나기나타가 진다. 그러나 사무라이가 이기자마자 화살이 날아와 사무라이를 한방에 저승으로 보낸다(...)결론은 활이 최강 실제 게임에서는 같은 조건 하에서 카타나 사무라이는 나기나타 승병을 이기기 힘들다. 아니, 사실상 못 이긴다. 능력치와 스킬 모두 밀린다. 나기나타 사무라이의 경우 카타나 사무라이가 이기긴 하지만 노업 상태에서 얘기고, 공업 좀 해주면 역으로 발린다. 사실 노업 상태에서도 나기나타 사무라이의 하이브리드 유닛 성격[7]+워낙 떡장갑을 두른지라 마냥 밀리진 않는다.

배틀테크에서는 드라코니스 연맹 소속 배틀메크의 이름으로 쓰였다.

영화 명량에서 일본 수군이 다수 들고 나온다. 근데 크기로 봐선 대치도로 보인다. 소품팀이 큰 거 좋아하는듯

5.1 관련 항목

5.2 해당 무기를 사용하는 캐릭터

  1. 도검소지허가증을 규정하는 법률인 총포도검화약류등단속법 2조는 일본의 법을 그대로 번역하였는지, 도검의 정의에 치도가 들어간다. 정작 한국에서 나기나타는 교습하는 도장도 거의 없다. 한편 도검의 정의에 월도는 있지만, 협도는 빠져 있다.
  2. 흔히 연상하는 도깨비 방망이
  3. 오히려 창술은 쇠퇴하였다.
  4. 스포츠 종목의 '정식 명칭'이 그냥 '나기나타'다. 검도와는 달리 뒤에 -도(道)나 -술(術)을 붙이지 않는다.
  5. 학예지 18집 일제 감정기의 전통 궁술 참고
  6. 물론 너무 길어지면 빠르게 대처하기가 어려워진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7. 장대무기라 보병과 기병 모두에 그럭저럭 괜찮다. 반면에 카타나 사무라이는 대보병 전문. 유닛 성격부터가 전혀 다르다.
  8. 창대 양쪽에 날이 있는 나기나타를 사용한다. 겔구그 시리즈의 전매특허 무기.
  9. 다만 코믹스판 한정이다.
  10. 니가나타보단 키쿠치야리(菊池槍)에 더 가깝다고 한다.
  11. 날의 넓이로 볼 때 나기나타보다는 언월도인데 게임에서는 이상하게도 기술명이 나기나타이다.
  12. 극장판 홍행편에서 싸울때 잠시 씀 극장판외에는 쓰지않음.
  13. 원래는 연옥귀의 무기였으며 하쿠도시가 연옥귀를 죽인 후 자신의 무기로 쓰게된다.
  14. 자루 양 끝에 날이 하나씩 달린 양날형.
  15. 2편영웅외전 한정. 날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무기 자체도 두 자루로 분리가 가능한 형태다.
  16. 근접무기들 중에 코발트 나기나타가 있다. 이 게임에서는 코발트제 물건은 보동 왜풍이 짙다.
  17. 정확히는 합체 전 형태인 레온이 '나기나타 소드'라는 진짜 나기나타를 사용한다.
  18. 물론 작중 나기나타를 들고 휘두르진 않지만, 할로우 아타락시아에서 랜서와의 대화 중 좀 다룰줄 안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