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버스

혹시 경산버스을(를) 찾아오셨나요?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경북교통 · 경상버스 ·경신교통 · 관음교통 · 광남자동차 · 남도버스 · 뉴세한여객 · 달구벌버스 · 대덕버스 · 대명교통 · 대일버스 · 동명교통 · 삼천리버스
성보교통 · 세왕교통 · 세운버스 · 세진교통 · 신일여객 · 신진자동차 · 신흥버스 · 영진교통 · 우주교통 · 우진교통 · 우창여객 · 한일운수 · 현대교통

慶尙버스自動車

경상버스자동차
업종명운수업
설립일1979년 10월 15일
대표이희욱
위치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공단로 125 (일언리)
전화번호053-552-5831
차량번호대구 70 자 52xx

1 개요

대구광역시 버스 회사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공단로 125(舊 일언리 14-9)에 있다.[1] 정식 명칭은 경상버스자동차로 1979년 10월 15일 시내버스 운송 면허를 취득하여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이현동에서 설립되었다.

2 특징

경상버스의 대표이사는 성보교통의 대표이사와 형제 사이다.[2][3]

차종은 현대버스, AM937, BS106을 모두 운용했었고 2010년 이후로는 현대버스만 출고하고 있다. 대구광역시에서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현대 저상버스를 2번째로 출고한 회사다.[4]

성보교통이 우성교통을 합병한 후 2010년 12월 성보교통 소속 323(-1)번이 모두 경상버스로 이동하고, 2011년 1월 508번세운버스에 일부 넘겨주면서 노선을 트레이드했다.

대구 최초로 AM937 차량을 구매한 회사이자, 마지막까지 AM937E 일반버스 차량을 운행했던 회사로도 유명하다.[5][6] 각계기판이 달렸던 AM937E 냉방 일반버스는 2005년에 모두 퇴역했으며, 이후 계열이 되는 성보교통에서 AM937 고전고형 좌석버스를 마지막으로 굴리다가 2006년 2월에 모두 감차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 회사의 차량 상태는 대체로 좋지 않다. 840번에 운행하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모델 중에는 천장 옆면이 찌그러지고 녹이 슬어있는 버스가 있는가 하면 뉴 슈퍼 에어로시티 범퍼도 검정색이 아닌 대우버스랑 비슷하게 그냥 단색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또한 대구, 아니 전국에서 드물게 중문 폴딩형 RB520 차량[7]을 운행했던 회사이기도 하다.(1980년대 고정배차제 시절 121번에 투입)[8] 중문 폴딩형 RB520을 운행했던 다른 회사는 신일여객[9]

2013년 경산시 자인면 일언리로 차고지를 이전했는데, 경산시 시내버스 회사인 대화교통 차고지 북쪽에 차고지를 이전했다. 차고지 공사가 끝날 때까지 매곡리공영차고지로 임시 이전하기도 했으며 2013년 11월 4일 일언리로 완전히 이전했다. 사실 그 전에 이전 준비를 했으나, 노사 갈등 때문에 늦춰진 거라고 한다. 이현동에서 자인까지 공차 거리가 상당한 관계로 2013년 11월 18일 노선 트레이드에 따라 623번성보교통, 653번세운버스에 넘기고 성보교통이 맡았던 618번, 719번, 동구1번을 운행하게 되었다. 다만, 차고지를 이전한 서구 업체들 중 가장 먼 거리로 이전해 버려 신흥버스, 경신교통, 우진교통이 서구를 관통하는 노선 다수를 배정 받았고 동쪽으로 이전해도 너무 먼 거리라서 북구 노선에 동구 업체인 달구벌버스가 어쩔 수 없이 지원 하는 식으로 300번을 배정 받은 것 같다던지, 동구 및 경산시 출입 노선에 적합한 업체인데 어째 수성구 노선이 갈수록 많아지는 세진교통과 경북교통, 칠곡(강북 지역) 출입 노선인데 칠곡 종료후 북구나 인접 구, 군으로 공차 회송 하는 업체가 없는 노선이 되어버린 708번과 719번 등 웃지 못할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 검단동이 재개발되면 그냥 형제들 모두다 영진교통, 광남자동차와 함께 새 공영차고지에 입주해야... 하다못해 대구대를 기종점으로 쓰는 노선을 받아오던가 했었어야 했는데 곧 개장하는 유곡리로 이전했어도 상황에서 큰 차이는 없을 듯하다(…) 차고지 이전 이후 배정 받은 모든 노선의 공차거리가 기본 30분이 넘게 걸리고 기본이 45분, 많게는 1시간 가까이 걸리며 고속도로를 기준으로 한 예상값이므로 일반 도로는 더 걸릴 것이다. 이런 거리에 719, 649, 840처럼 칠곡이나 대곡, 중구에서 시작하거나 끝내는 업체가 없는 노선들만 배정되어 가스 소모량, 연료비 지출이 타 업체 대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멀리갈동안 버스운영과는 멍때리기나 했거나 아니면 경산버스가 경상버스차고지를 동쪽끝으로 고립시켰겠지 경산버스에 압박을 가해서라도 방천리에 경신이랑 같이 입주시키던지 금호공영차고지를 만들던가 했어야지

더불어 한때 잠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도색(G 마크도 또렷하게 있었다!)의 차량을 운행한 적이 있었다. 링크 2010년 행당역 가스폭발 사고의 여파로 2001~2002년식 차량을 조기 대차할 무렵에 서울 취소분 재고차로 출고한 차량이다. 출고 이후에도 대놓고 G 도색을 유지하고 다니다가 2011년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도색으로 재도색했다. 본래 623번에서 운행했으나 차고지 이전 이후에는 508번에 운행했고, 2015년 8월 이후에는 649번으로 이동했다.

수평식 와이퍼와 앨리슨 자동변속기가 달린 2007년BS110CN F/L 1대가 있었는데, 저상버스임에도 보기 드물게 예비차량으로 굴렸다.[10] 경상버스의 저상버스 1호차인데, 특이하게도 2004년 중반 이전에 출고한 차량들처럼 측면에 사명이 적혀 있는 것이 특징이었고 경상버스 유일의 대우 저상버스이자 앨리슨 자동변속기 차량이었다. 본래 623번에서 운행했으나, 성보교통과의 노선 트레이드에 따라 동구1번으로 이동했다. 하지만 차량 결함이나 정비상으로 불편한 게 있었는지 얼마 후 323번에 투입되었던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 1대로 변경된 후 예비차량으로 격하되어 다니다가, 결국 2015년 8월에 감차의 칼날을 맞으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 저상버스 예비차량은 719번같이 저상버스를 아예 볼 수 없는 노선에도 예비차로 들어가기도 했다. 해당 차량의 감차로 인해 현재 저상버스에는 100%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에다가 ZF 자동변속기만 달고 나온다. 반면 계열사인 성보교통에는 2015년 중순 이후 앨리슨이 부쩍 늘어났다. 그랬다가 2016년 9월 12일부터 경상버스도 앨리슨 6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현대저상을 도입했다. 그것도 719번 투입이다. 뜬금없이 앨리슨이 달린 이유는, 흥안운수가 주문했다가 취소한 재고차량을 구입했기 때문이다.[11]

경신교통니코 버스처럼 놀랍게도 면허 번호와 차량 일련 번호의 조합으로 '그 번호'를 가진 차량을 보유중이며[12], 해당 차량 역시 523번처럼 메가박스 대구점[13]으로 가는 노선인 323번에 있다(...) 649번에는 5225호도 있다!

3 운행 노선

3.1 2015년 7월 31일까지

모두 65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볼드는 주력 노선을 말한다.

3.2 2015년 8월 1일부터

모두 ??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볼드는 주력 노선을 말한다.

  1. 면허지는 예전 차고지가 있던 대구광역시 서구 와룡로87길 68(이현동 45-52번지)로 되어 있다.
  2. 성보교통 사장이 이고 경상버스 사장이 동생이다.
  3. 계열 관계는 비교적 최근에 성립된 관계로, 성보교통(당시 세림교통)의 대표이사인 이희주 씨가 세림교통의 대표이사로 취임할 당시에는 경상버스가 기존의 다른 대표이사였고, 이후 이희주 씨의 동생인 이희욱 씨가 경상버스의 대표이사로 취임하면서 계열 관계가 성립된다.
  4. 최초는 뉴세한여객이다.
  5. 고전고에다가 KIA 마크가 달린 1997년형이 2004년에 조기 대차된 반면, 저전고에다가 ASIA 마크가 달린 1996년형 3대가 2005년에 내구 연한을 채우고 대차되었다. 더불어 2002년 10월까지 대구에서 마지막으로 AM937E 무냉방 차량을 운행하기도 했다. 당시 차량번호는 5201호였으며 해당 차량은 2011년 508번 지분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세운버스(3744호)에 넘어가 현재는 면허가 말소된 상태이다. 또한 재도색하지않고 대차될 때까지 녹색 구구도색으로 있었다. 대구 AM937E 무냉방 차량 중 ASIA 타원형 마크가 부착되어 있는 차량이기도 하다. Asia 굴뚝형 마크의 AM9372001년 이전에 전멸하였다.
  6. 우연의 일치인지 부산에서도 AM937E 입석차량을 마지막으로 운행한 회사인 한창여객의 번호도 부산 70 자 52XX이고 대구에서 AM937E 입석차량을 마지막으로 운행한 경상버스 역시 대구 70 자 52XX의 번호를 사용한다.
  7. 경기도 완행버스에서도 중문 폴딩형 RB520을 굴린 적이 있었고 경상남도 양산시쪽 시외노선에서도 운행한 적이 있었다.
  8. 대구에서 드물게 중문 슬라이딩형 BF101 차량을 운행했던 회사는 관음교통한일운수.
  9. 심지어 이 회사는 대구에서 드물게 현대자동차의 프런트엔진 버스인 FB500 차량을 운행했다.(고정배차제 시절 836번전신인 32번에 투입) 1990년대 초반에 BF101보다 더 일찍 조기대차되었다.
  10. 5210호
  11. 신성교통흥안운수 계열은 서울특별시의 대표적인 앨리슨빠 회사다. 반면 서울특별시에서 단일 업체들 중 가장 큰 업체이자 악덕업체로 악명높은 선진운수, 경기도까지 운송망이 넓은 KD 운송그룹 계열은 앨리슨에 피를 본 기억 때문에 거의 ZF만 이용 중이다.
  12. 5252호. 니코니코의 역순으로 배열된 번호의 차량이다.
  13. 대구도시공사 승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