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우키 쥬다이/덱

1 개요

기본적으로 엘리멘틀 히어로를 운용하며, 덕분에 히어로 테마로 사용 카드를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히어로 외 다른 카드들도 사용하긴 했다. 이후 네오스를 비롯한 네오 스페이시언이 추가되고, 코믹스에서는 마스크드 히어로가 추가된다.

2 애니메이션

당연하다는듯이 엘리멘틀 히어로덱을 사용한다. 이후 2기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네오 스페이시언과 이 둘이 융합하는 컨택트 융합 기믹이 새로 추가되었다. 3기에서는 패왕 시절에 이블 히어로덱을 잠깐 사용.

하지만 실제로 쓰기에는 네오스나, 엘리멘틀 히어로나, 네오 스페이시언이나 죄다 성능이 떨어져서 돌리기 힘들다. 엘리멘틀 히어로는 융합 위주로 싸우도록 설계된 카드군이라 능력치가 부실한데다가, 효과도 몇몇을 제외하면 그렇게 특출나게 좋다고 할 수 없는 수준이다. 그렇다고 융합 히어로들이 싱크로, 엑시즈를 뛰어넘을 만큼 아주 좋냐고 하면 당연히 No. 애초에 융합 자체가 현환경에서 싱크로, 엑시즈에 밀려 반고자가 되어버린 상황이니만큼… 사실 싱크로 소환의 등장 전에도 OCG에서 승률덱은 전혀 아니었다. 그나마 작정하고 덱을 짜면 융합 대체 몬스터와 미라클 퓨전의 힘으로 강력한 몬스터를 뽑아낼 수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에겐 버블맨과 욕항이 없기 때문에패 소모가 심했기에 제거내성은 없고 제거마함이 난무하던 당시의 듀얼환경과 영 어울리지 않았다. 오히려 OCG화되면서 하급인데도 강력한 효과를 달고 나온 코믹스판 히어로들이 실전에서 쥬다이의 명맥을 이어주었다.

네오 스페이시언도 역시나 능력치가 처참한데다가 효과도 독특한게 많기는 하지만, 그랜드몰을 제외하고는 실용성이 있는 효과들은 아니다. 코쿤들은 말할것도 없고, 네오스 컨택트 융합은 엔드페이즈에 훙하고 돌아가버려서 필드를 텅비게 만드는 녀석들이 능력치는 네오스와 다를게 없고, 효과도 고생해가며 소환한거에 비해 좋은 것도 아니라 엔드페이즈에 바로 귀환해버리면 매우 허무하다. 오히려 네오스가 소생과 리쿠르트가 쉽다는 점을 이용해 네오스로 비트를 하는게 더 승률이 높을 판.그리고 당연히 제대로 굴리려면 코믹스 카드와 OCG 오리지널 카드를 박아줘야 한다 그나마 이블 히어로는 뭔가 미묘한 애니판 히어로들에 비해 괜찮긴 하지만.

메인 카드이자 쥬다이를 대표하는 에이스 카드는 두말할 것 없이 네오스. 다른 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에이스 카드는 시작 시점부터 밝혀져 있었던 데 반해 네오스는 2기 중반이라는 상당히 늦은 시점에 등장한 카드이다. 페이버릿 카드는 엘리멘틀 히어로 플레임 윙 맨. 히어로 계통 이외에 자주 사용한 카드로는 유우기에게 직접 받은 날개 크리보가 있다. 하지만 워낙 혼자 따로노는 카드인 탓인지 초기에 레벨 10 몇 번 불러낸 것과 가끔 핀치상황에서 벽으로 쓴 것 말고는 점점 나오지 않게 된다.

전생으로부터 이어진 인연이라는 유벨은 최종보스전 때 융합소재로 써먹은 것 말고는 쓴 적이 없다.

2.1 OCG화 된 카드

2.1.1 테마 덱

2.1.2 몬스터 카드

2.1.3 마법 카드

2.1.4 함정 카드

2.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2.2.1 마법 카드

2.2.2 함정 카드

3 코믹스

여기서 사용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덱의 경우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코믹스 오리지널 카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설정상 어린 시절의 쥬다이가 사용한 카드 외에는 전부 히비키 코요에게서 받은 카드들로 애니메이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오리지널 카드들이 대거 등장했다. 코믹스에 등장한 오리지널 카드들은 대부분 서적 동봉이나 프리미엄 팩, 리미티드 에디션 수록 카드로 발매 되었다.

전체적으로 시대가 많이 흐른만큼 하나같이 원작보다 대폭 상향되어 나온것이 특징. 특히 하급 몬스터는 OCG로 나오면서 효과가 추가되었다.[3]초기에 나온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엘리멘틀 히어로 오션부터, 후기로 가면 다양한 코믹스 융합히어로의 바리에이션까지… 오죽하면 GX 다 끝나고 5D's가 한참 방영할때까지도 GX 코믹스는 한동안 계속되었기에 신카드가 계속 발매되어 히어로 비트덱이 계속 승률덱으로서 군림했었다. 거기에 이전에 나온 카드인 초융합과의 궁합은 발군이라 쓸수있는 상황이 한정적인 초융합이 흉악한 카드로 발돋음하게 되는 계기를 만들어줬다.

이때 쥬다이가 사용하는 카드는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 에어맨, 포레스트맨, 더 히트, 레이디 오브 파이어, 크노스페, 브르메, 아이스 에지 등으로 융합 몬스터는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블래스트,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 엘리멘틀 히어로 엡솔루트 Zero, the 샤이닝, graet TORNADO등이 있다.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 자연 관련 히어로들이다.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와 플레임 블래스트 외의 코믹스에서 등장한 융합 몬스터는 엘리멘틀 히어로+한가지 속성을 사용하여 융합하는, 소재가 느슨한 몬스터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 마지막 권의 어둠속성 에스크리다오를 끝으로 6속성 전원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중 엘리멘틀 히어로 엡솔루트 Zero의 경우는 코요 프로가 세계 대회에서 우승을 할 때 사용한 일명 "최강의 HERO". 현실에서 발매 된 카드의 효과도 그렇고 말 그대로 "최강의 HERO"로서 이름을 날리기도 했다.

특히 엑스트라덱의 매수가 15장으로 줄어들면서 애니메이션 융합 히어로가 나설자리가 거의 없게 되었고 보통은 줄창 코믹스판 히어로만 사용하게 되었다. 사실상 승률 히어로덱하면 애니판보다는 코믹스판을 뜻한다.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을 들고 나온 만죠메도 그렇고 코믹스에 오면서 전체적으로 보정을 단단히 먹은 느낌.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네오스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순수 융합 히어로를 사용하게 되었다. 게다가 손패 융합, 필드 융합은 물론이거니와, 퓨전 버스라는 마법카드로 덱에서도 융합하고, 평행 세계 융합으로 제외된 몬스터들로도 융합한다. 여기에 천성적인 드로우의 강함까지 합쳐져서 그야말로 언제 어디서든 융합이 가능한 듀얼리스트(…). 융합 몬스터의 종류는 애니메이션 판이 더 많은 만큼 위의 두 카드가 현실에 추가되면 그야말로 무한 융합을 볼 수 있을 듯. 결국 평행 세계 융합은 발매되었으나, 무한 융합을 막기 위해 효과가 조금 바뀐 상태.

3.1 테마 덱

3.2 몬스터 카드

3.3 마법 카드

3.4 함정 카드

4 관련 게임에서 사용한 덱 레시피

GX 방영 시기가 게임 미디어믹스가 가장 활성화되었던 시기였다는 점과 태그 포스 초기작의 덱 배분 특성이 겹쳐 동 시기/이후의 다른 캐릭터들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숫자의 덱을 가지고있다.

4.1 태그 포스

4.1.1 히어로 등장

제1부 5월 1일~6월 15일까지 사용한다.

4.1.2 히어로 최고!

제1부 6월 16일~7월 31일까지 사용한다.

4.1.3 협력하는 우정

제2부, 제3부에서 자신의 파트너가 되었을 때, 또는 제2부에서 결승전 이외에서 대전 상대로서 싸웠을 때 사용한다.

4.1.4 오시리스 레드의 저력

제2부 결승에서 대전 상대가 되었을 때 사용한다.

4.1.5 은사를 향한 마음

제3부에서 세븐 스타즈와 태그를 짜서 대전 상대가 되었을 때 사용한다.

4.1.6 새로운 히어로의 예감

덱 레시피 입수 후에 듀얼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4.2 태그 포스 2

4.2.1 엘리멘틀 히어로

덱 레벨 6. 신뢰도 3999까지 사용한다.

4.2.2 네오 스페이시언

덱 레벨 6. 신뢰도 4000부터 사용한다.

4.2.3 패왕의 징조

덱 레벨 8. 플레이어가 금지 카드를 덱에 넣고 있을 때 사용한다.

4.2.4 비트 바이 히어로

덱 레벨 7. 쥬다이 신뢰도 8000 이벤트에서 사용한다.

4.2.5 최고 히어로 덱

덱 레벨 6. 마루후지 쇼 신뢰도 7000 이벤트와 듀얼리스트 2·3 신뢰도 6000 이벤트에서 사용한다.

4.2.6 초절 히어로 덱

덱 레벨 7. 텐죠인 아스카 신뢰도 7000 이벤트에서 사용한다.

4.2.7 무적 히어로 덱

덱 레벨 6. 사오토메 레이 신뢰도 8000 이벤트에서 사용한다.

4.2.8 호조 히어로 덱

덱 레벨 6. 듀얼리스트 2·3 신뢰도 4000 이벤트에서 사용한다.

4.2.9 격렬 히어로 덱

덱 레벨 7. 듀얼리스트 2·3 신뢰도 7000 이벤트에서 사용한다.

4.3 태그 포스 3

2008년 3월 금지 제한이 적용된다. 버전에 따라 사용하는 덱이 다르다.

4.3.1 유우키 쥬다이(유벨)

4.3.1.1 새로운 힘

레벨 4. 파트너 덱. 파트너로 선택하면 사용한다.

4.3.1.2 힘을 향한 의지

레벨 6. 1주차에 사용하고, 2주차 이후 신뢰도 2000 미만일 때 사용한다.

4.3.1.3 최고의 친구들

레벨 9. 2주차 이후 신뢰도 2000 이상일 때 사용한다.

4.3.1.4 언제나, 앞으로!

레벨 10. 플레이어가 금지 카드를 덱에 넣고 있으면 사용한다.

4.3.2 유우키 쥬다이

4.3.2.1 우리 최고!

레벨 7. 파트너 덱. 파트너로 선택하면 사용한다.

4.3.2.2 히어로 최고!

레벨 4. 2주차 이후 신뢰도 2000 미만일 때 사용한다.

4.3.2.3 듀얼 최고!

레벨 8. 2주차 이후 신뢰도 2000 이상일 때 사용한다.

4.3.2.4 마이 페이버릿!

레벨 9. 플레이어가 금지 카드를 덱에 넣고 있으면 사용한다.

4.3.3 패왕 쥬다이

4.3.3.1 패왕의 봉인

레벨 8. 쥬다이를 파트너로 스토리 모드를 클리어하면 프리 듀얼에서 선택할 수 있다.

4.3.3.2 패왕의 일갈

레벨 10. 유우키 쥬다이(유벨) 신뢰도 1000 이벤트에서 사용한다.

4.4 태그 포스 스페셜

4.5 월드 챔피언십 2008

2007년 9월 금지제한이 적용된다.
덱명 'E의 어둠', 레이트 1250.

  1. 이후 후지와라 유스케에게 돌려주었다.
  2. 처음에는 미러포스 2장이라는 충격과 공포를 연출했으나 후에 악몽의 신기루로 교체. 더 공포잖아
  3. 예로 에어맨의 경우 원작에서는 그저 공격력을 절반으로 하는 것으로 직접공격이 가능한 전투요원이였으나 현실에서는 최강의 서치카드중 하나로 발매되었다. 나머지 히어로들은 코믹스에선 모두 일반 몬스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