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영웅전설5/시나리오

145007128.jpg

1 개요

5-2.jpg
게임 은하영웅전설5캠페인 모드 시나리오들. 완전승리, 승리, 패배, 완전패배 4가지의 전투 결과[1]에 따라 시나리오 분기가 나눠진다. 패배를 해도 분기가 있으므로 모든 분기를 보려면 일부러 지는 것도 필요. 또한 사망사관은 다음 시나리오부터 등장하지 못하므로 주의 요망.[2] 이하 표기는 정발판 번역을 따름

2 동맹군 시나리오

.제4차 티아매트 성계전투
0. 분기 플래그 없음 → 아스타테 성계 전투

.아스타테 성계 전투
1. 승리 → 암리처 성계 전투(2)[3]
2. 무승부(제한턴 종료), 패배(전함대 전멸)[4] → 사선 ~데드라인~

.사선 ~데드라인~
1. 완전승리[5] → 오딘 공략전
2. 패배, 완전패배 → 암리처 성계 전투

.암리처 성계 전투
1. 모두 → 도리아 성계 전투
2. 이때의 전투 결과는 신들의 황혼 ~이제르론 침공~ 이후의 분기에 영향
3. 암리처(2)는 승리(괴멸적 타격) → 오딘 공략전

.오딘 공략전
1. 완전승리 → 은하제국 정ㅋ벅ㅋ 정복 엔딩
2. 패배, 완전패배 → 도리아 성계 전투

.도리아 성계 전투
1. 완전승리, 승리 → 요새 대 요새
2. 패배, 완전패배 →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2)[6]

.요새 대 요새
1. 완전승리, 승리[7] → 신들의 황혼 ~이제르론 침공~
2. 완전패배 →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3)[8]

.신들의 황혼 ~이제르론 침공~
1. 암리처 전투(1)에서 완전승리, 승리했었을 때 → 페잔 방위전[9]
2. 암리처 전투(1)에서 패배, 완전패배했었을 때 →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
3. 이때의 전투 결과는 이후 분기에 영향[10]

.페잔 방위전
1. 완전승리 → 중우정치 가속, 제국 내란, 양은 퇴역하나 정치가들의 전횡과 위협에 다시 복귀하여 제국령 침공 엔딩
2. 패배, 완전패배[11] → 탓시리 게릴라
3. 패배, 완전패배[12] → 말 아데타 성계 전투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
1. 완전승리(라인하르트 전멸) → 중우정치 하 양 웬리의 제국 침공 엔딩
2. 패배(제한턴 종료), 완전패배[13] → 탓시리 게릴라
3. 패배, 완전패배[14] → 말 아데타 성계 전투
4. 란테마리오(2)는 완전승리ㆍ승리 → 은하제국 정복 후 민중 탄압 등 군국주의 국가로 탈바꿈, 어느 노제독[15]의 한숨 엔딩. 패배ㆍ완전패배 → 구국군사회의 멸망, 동맹 시민의 은하 제국 환영 엔딩
5.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3)은 승리 → 탓시리 게릴라(2)

.탓시리 게릴라[16]
1. 승리 → 버밀리언 성계 전투
2. 패배, 완전패배(아군 함대의 괴멸적 피해) → 말 아데타 성계 전투
3. 탓시리 게릴라(2)는 승리 → 버밀리언 성계 전투(2)

.버밀리언 성계 전투
1. 완전승리 → 중우정치 하 양 웬리의 제국 침공 엔딩
2. 패배, 완전패배 → 말 아데타 성계 전투
3. 버밀리언(2)는 패배, 완전패배 → 말 아데타 성계 전투(2)[17]

.말 아데타 성계 전투
1. 완전승리(라인하르트 전멸)[18]바라트화평조약 후 다수의 썩은 정치인군인이 제거됐기 때문에 용이하게 조국 재건, 이후 제국을 침공한다는 전화위복 엔딩
2. 패배, 완전패배 → 바람은 회랑으로
3. 말 아데타(2)는 패배, 완전패배 → 회랑의 전투(2)[19]

.바람은 회랑으로
1. 완전승리, 패배 → 회랑의 전투 ~상승과 불패와~
3. 완전패배(제국군이 이제르론 점령) → 엘 파실 혁명정부 멸망, 민주공화주의 종말 엔딩

.회랑의 전투 ~상승불패와~
1. 완전승리(라인하르트 전멸) → 양이 전술적 패배를 인정한 라인하르트와 강화, 이제르론을 내주는 대신 엘 파실 공화정부의 독립 획득
2. 승리(제한턴 종료) → 감히 무기를 손에
3. 완전패배(제국군이 이제르론 점령) → 엘 파실 혁명정부 멸망 엔딩
4. 회랑의 전투(2)는 완전승리 → 불가능[20], 치트로 확인하면 '말 아데타 성계 전투' 의 완전승리 엔딩이 나온다. 승리(제한턴 종료) → 양 웬리가 '자유행성동맹'의 사절단 대표로 페잔으로 파견, 라인하르트와 평화조약 체결 엔딩. 완전패배 → 불가능[21]

.감히 무기를 손에
1. 완전승리, 승리 → 시바 성계 전투
2. 완전패배(제국군이 이제르론 점령) → 이제르론 공화정부 멸망, 민주공화주의 종말 엔딩

.시바 성계 전투
1. 완전승리 → 섭정 힐데가르트와 화평 엔딩
2. 승리(제한턴 종료)[22] → 라인하르트와 평화 조약 엔딩
3. 완전패배(제국군이 이제르론 점령) → 이제르론 공화정부 멸망 엔딩

3 제국군 시나리오

.제4차 티아매트 성계전투
0. 분기 플래그 없음 → 아스타테 성계 전투

.아스타테 성계 전투
1. 승리, 무승부(제한턴 종료) → 사선 ~데드라인~
2. 패배 → 암리처 성계 전투(2)[23]

.사선 ~데드라인~
1. 완전승리 → 렌텐베르크 공략전
2. 승리 → 암리처 성계 전투
3. 완전패배 → 오딘 방위전

.암리처 성계 전투
0. 분기 플래그 없음 → 렌텐베르크 공략전
1. 암리처 성계 전투(2)는 완전패배 → 오딘 방위전

.오딘 방위전
1. 완전승리, 승리 → 렌텐베르크 공략전
2. 완전패배 → 제국 멸망 엔딩

.렌텐베르크 공략전[24]
0. 모두 → 키포이저 성계 전투
1. 이때의 전투 결과는 키포이저 성계 전투 이후의 분기에 영향

.키포이저 성계 전투
1. 완전승리, 승리 → 라인하르트의 종심진
2. 완전패배 → 발하라 성계 전투[25]
3. 베스타란트의 점령 여부는 라인하르트의 종심진 이후의 분기에 영향
4. 렌텐베르크 공략전에서 완전패배했었을 때 모두 → 발하라 성계 전투

.라인하르트의 종심진
1. 완전승리 → 신들의 황혼(2)[26]
2. 승리[27] → 가이에스부르크 공략전
3. 승리[28] → 가이에스부르크 공략전(2)[29]
4. 완전패배 → 문벌대귀족 득세, 동맹에 대한 효과 없는 공세로 인한 전력 소모로 소강 상태 엔딩

.발하라 성계 전투
1. 완전승리(브라운슈바이크 전멸), 승리 → 가이에스부르크 공략전
2. 완전패배 → 문벌대귀족 득세 엔딩

.가이에스부르크 공략전
1. 완전승리 → 요새 대 요새
2. 패배, 완전패배 → 문벌대귀족 득세 엔딩
3. 가이에스부르크(2)는 완전승리 → 신들의 황혼(2)

.요새 대 요새
1. 완전승리 →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3)[30]
2. 패배, 완전패배 → 신들의 황혼 ~이제르론 침공~

.신들의 황혼 ~이제르론 침공~
1. 완전승리(적 함대 전멸 후 이제르론 점령)[31] →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2)[32]
2. 승리[33] →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
3. 신들의 황혼(2)는 완전승리 →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5).[34] 승리 →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4)

.란테마리오 성계 전투
1. 완전승리[35], 패배[36] → 버밀리언 성계 전투
2. 완전패배(라인하르트 전멸) → 라인하르트 전사, 제국 내분, 양 웬리의 제국 침공 엔딩
3. 란테마리오(2)는 완전승리ㆍ승리 → 말 아데타 성계 전투. 완전패배 → 라인하르트 전사 엔딩
4. 란테마리오(3)은 완전승리[37], 무승부(제한턴 종료) → 버밀리언 성계 전투
5. 란테마리오(4)는 완전승리ㆍ패배 → 버밀리언 성계 전투(2)
6. 란테마리오(5)는 완전승리ㆍ승리[38] → 말 아데타 성계 전투(2).[39] 완전패배 → 라인하르트 전사 엔딩

.버밀리언 성계 전투
1. 완전승리, 승리 → 말 아데타 성계 전투
2. 완전패배(라인하르트 전멸) → 라인하르트 전사 엔딩
3. 버밀리언(2)는 완전승리 → 은하 통일, 키르히아이스안네로제결혼 엔딩. 승리 → 말 아데타 성계 전투(2)

.말 아데타 성계 전투
1. 완전승리, 승리[40] → 바람은 회랑으로
2. 완전패배(라인하르트 전멸) → 라인하르트 전사, 제국 내분, 양 웬리의 제국 '정복' 엔딩[41]
3. 말 아데타(2)는 완전승리ㆍ승리(제한턴 종료) → 은하 통일 엔딩

.바람은 회랑으로
1. 완전승리 → 은하 통일 엔딩
2. 승리, 패배, 완전패배 → 회랑의 전투 ~상승과 불패와~

.회랑의 전투 ~상승불패와~
1. 완전승리(이제르론 점령) → 은하 통일 엔딩
2. 무승부(제한턴 종료) → 쌍벽의 전투
3. 완전패배 → 라인하르트 전사 엔딩

.쌍벽의 전투
1. 완전승리, 승리 → 시바 성계 전투
2. 완전패배(미터마이어 전멸) → 페잔 방위전[42]

.페잔 방위전
1. 완전승리, 승리 → 시바 성계 전투(2)[43]
2. 완전패배(라인하르트 전멸) → 라인하르트 전사, 로이엔탈의 찬탈 엔딩

.시바 성계 전투
1. 완전승리[44]이제르론 공화정부 멸망, 은하 통일 엔딩
2. 승리(제한턴 종료) → 평화 조약 엔딩

3. 완전패배(라인하르트 전멸) → 라인하르트 전사, 제국 내분, 이제르론 공화정부의 제국 정복 엔딩
  1. 시나리오에 따라 몇 가지 조건이 없는 경우도 존재
  2. 만약 함대 사령관이라면 해당 함대 자체가 등장하지 않아 난이도가 급상승할 수 있다. 이는 적 또한 마찬가지이므로 반대로 난이도를 낮출 수도 있다.
  3. 뮈켄베르거가 직접 대함대를 이끌고 동맹군과 정면승부
  4. 전함대 전멸이 보통의 완전패배조건. 이하 생략하되 완전패배조건이 다를 시에는 괄호 안에 별도 표기
  5. 괴멸적 타격은 85-95% 정도의 적함을 파괴
  6. 구국군사회의의 군사혁명 성공, 양 웬리가 전사해서 이제르론 공방전도 없기 때문에 제국군 함정이 15,000~20,000척 늘어난다. 동맹군 역시 어느 정도 군사력을 회복해서... 2,500척 늘어난다.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
  7. 적 함대가 전멸해도 자동 승리
  8. 요새를 잃은 양 웬리가 총참모장으로 처음부터 참전
  9. 제국령 침공작전 때 최후의 반격이 성공하여 주요 전력 보존 및 각 함대 사령관 전원 생존. 이들이 페잔 회랑의 동맹쪽 출구에서 대함대(90,000척)로 제국군 요격
  10. 승리 : 피해 정도와 상관 없이 적 함대 전멸 혹은 아군 함대가 괴멸되지 않은 채 제한턴 종료. 패배 : 아군함대가 괴멸된 채 제한턴 종료. 완전패배 : 제국군이 이제르론 점령
  11. 신들의 황혼에서 승리했었을 때
  12. 신들의 황혼에서 패배, 완전패배했었을 때
  13. 신들의 황혼에서 승리했었을 때
  14. 신들의 황혼에서 패배, 완전패배했었을 때
  15. 이 시나리오에서 최종까지 살아남은 노제독은 뷔코크 뿐이다.
  16. 라이갈 성역 회전탓시리 성역 회전 혼합
  17. 메르카츠 함대 발각, 뷔코크와 양 웬리 등 잔여군 전부가 출격(60,000척)
  18. 팁을 주자면 사관 함대가 2개인 것에 주목하자. 적은 배치와 이동으로 3개 그룹(아이제나흐미터마이어, 뮐러파렌하이트그릴팔처, 라인하르트)으로 나뉘므로 2개 그룹을 사관 함대로 각각 유인하는 동안 뷔코크칼센은 라인하르트만 잡으면 클리어가 참 쉽다
  19. 양의 책략으로 이제르론 점령, 동맹 정부 및 뷔코크 등 동맹군 전원이 이제르론으로 퇴각하여 농성, 시바 성계 전투와 같은 그러나 양의 대사가 껴있는 이벤트 발생
  20. 이론상은 가능하나 몇 가지 점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 첫째, 적 함정이 너무 많다.(120,000척) 둘째, 적은 회랑 입구의 기뢰지대 앞에서 대기하며 안으로 유인해봐도 절대 들어오지 않는다. 셋째, 아군 함정은 그동안 사관을 모두 살렸을 시 적은 편은 아닌데(52,000척) 적을 타격하려면 아군이 깔아놓은 기뢰를 아군이 밟아야 해서 37,000척 정도로 줄어든다. 팀킬 넷째, 소규모 분함대로 적 함대 일부를 유인하여 라인하르트와 분리시키고 싶어도 지형이 좁아서 힘들다. 다섯째, 쓸데없이 분함대가 너무 많아서 대미지의 집중이 안된다. 여섯째, 뭘 해보려고 해도 턴 수가 너무 적다.(30턴) 세이브로드 노가다로 이전 시나리오까지 적 함대 사령관들을 전부 죽이면 되려나?
  21. 아예 불가능하다. 이제르론을 점령당하는 것이 완전패배조건인 듯 한데 적들은 무슨 짓을 해도 회랑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22. 브륀힐트 강습 이벤트로도 승리 가능
  23. 동맹군의 암리처(2)와 동일
  24. 알테너 성역 회전렌텐베르크 요새 공방전 혼합
  25. 문벌대귀족군이 오딘으로 출격
  26. 키르히아이스 생존 루트, 키르히아이스가 로이엔탈 대신 이제르론으로 진격
  27. 키포이저에서 베스타란트를 점령하지 않았었을 때
  28. 키포이저에서 베스타란트를 점령했었을 때
  29. 브라운슈바이크의 핵공격과 라인하르트 암살 미수 이벤트 미발생
  30. 동맹군의 란테마리오(3)과 배경은 동일
  31. 양이 30턴에 퇴각하므로 주의
  32. 양 함대가 전멸하여 후방 안전 확보
  33. 적 함대를 전멸시키지 않은 채 이제르론을 점령해도 자동 승리
  34. 란테마리오(2)와 같이 후방 안전 확보
  35. 뷔코크의 자살 시도 이벤트를 보지 않고 적 함대 전멸
  36. 뷔코크가 전멸하지 않은 상태에서 30턴이 되면 양이 후방을 교란하여 자동 패배, 뷔코크의 함정 수 혹은 전체 함정 수가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자살 시도 이벤트가 뜨고 그 다음 턴에 앞과 같은 이유로 자동 패배, 제한턴이 종료되도 앞과 같은 이유로 자동 패배
  37. 뷔코크의 자살 시도 이벤트가 발생해도 자동 완전승리
  38. 뷔코크의 자살 시도 이벤트가 발생해도 자동 승리
  39. 바라트 화평조약 체결 후 키르히아이스가 고등판무관으로 부임, 지구교앤드류 포크를 이용한 음모로 키르히아이스 암살, 분노한 라인하르트가 동맹을 총공격, 동맹 역시 남은 모든 전력(양 웬리 등 60,000척)으로 응전
  40. 뷔코크의 함정 수가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민주주의에 건배 이벤트가 발생하고 자동 승리
  41. 번역이 미묘하게 다르다.
  42. 미터마이어 전사, 라인하르트가 신제국수도에서 로이엔탈과 직접 대결
  43. 미터마이어함대와 관련 분함대 미등장
  44. 이제르론의 방위력은 1100에 불과하지만 방어력과 회복률이 무지막지하므로 많은 전력으로 한번에 쳐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