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버스

(경기도 마을버스에서 넘어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제3조 제1호 다. 마을버스운송사업 : 주로 시ㆍ군ㆍ구의 단일 행정구역에서 기점ㆍ종점의 특수성이나 사용되는 자동차의 특수성 등으로 인하여 다른 노선 여객자동차운송사업자가 운행하기 어려운 구간을 대상으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운행계통을 정하고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자동차를 사용하여 여객을 운송하는 사업.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7조(자동차의 종류) 영 제3조에 따른 각 여객자동차운송사업에 사용되는 자동차의 종류는 별표 1과 같다.
<별표 1> 4. 마을버스운송사업 : 중형승합자동차. 다만, 관할관청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소형 또는 대형승합자동차로 할 수 있다.
제8조 ④ 영 제3조제1호다목에 따른 마을버스운송사업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마을 등을 기점 또는 종점으로 하여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그 마을 등과 가장 가까운 철도역(도시철도역을 포함한다) 또는 노선버스 정류소(영 제3조제1호가목·나목 또는 같은 호 라목의 노선버스 정류소를 말한다) 사이를 운행하는 사업으로 한다. 다만, 관할관청은 지역주민의 편의 또는 지역 여건상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행정구역의 경계로부터 5킬로미터의 범위에서 연장하여 운행하게 할 수 있다.
1. 고지대(高地帶) 마을
2. 외지 마을
3. 아파트단지
4. 산업단지
5. 학교
6. 종교단체의 소재지

1 개요

시내버스지하철 등의 교통수단이 다니지 않는 동네 주거단지를 다니면서 다른 교통수단과 연계를 하는 버스. 요금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 시내버스, 지하철보다는 저렴하다.

물론(?) 지역에 따라서 예외가 있긴 하며, 마을버스라는것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지역도 상당하다. 반면에 서울, 경기, 부산은 마을버스의 운행이 매우 활발하다.[1] 더군다나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는 운영 형태까지 매우 유사하다.(구 이름을 노선명으로 쓴다든가) 경기도 마을버스 중 몇몇 노선은 시내버스와 경쟁하기도 한다.[2]

차량은 보통 에어로타운그린시티, BS090이 사용되고, 이 차량들을 쓰기에도 수익이 적은 노선이나 도로가 좁은 노선의 경우 카운티레스타가 사용된다. 때에 따라 아주 드물게 그레이스스타렉스와 같은 12~15인승 승합차를 사용하기도 한다. 서울과 경기, 부산 일부지역에서는 수익이 엄청난 노선들의 경우 그린시티나 BS090보다 체급이 높은 일반 시내버스용 차량인 슈퍼 에어로시티BS106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3]

일부 지역에서는 시내버스와의 구분을 위해 마을버스 노선번호 앞에 0을 붙이기도 한다. 물론 도색이 다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문제는 없으나 0을 붙인게 어떻게 보면 더 효율적이다. 경기도의 경우 고양, 파주, 부천, 의왕(남부지역) 마을버스에는 기존 번호 앞에 0이 붙는다.

경기도를 비롯해 상당히 많은 지역에서 노란색을 기본 도색 베이스로 지정하는 경우가 많다.

광역급행버스 정류장 선정과 관련된 핌피질이 극심하여 별칭인 M버스에서 M이 Maeul(...)을 의미한다고 비꼬기도 한다.

2 목록

2.1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해당 문서를 참조.

2.2 경기도 마을버스

이 문단은 경기도 마을버스(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 해당 리다이렉트 문서는 별도 문서로 독립 될 때까지만 이 문서로 리다이렉트 된다.

경기도의 경우 마을버스의 대부분이 시 외곽지역이나 농어촌지역을 운행하거나 서울특별시 마을버스처럼 지하철역 접속을 위해 운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승객이 매우 많아 시내버스용 대형차량이나 저상버스가 운행되는 경우도 있다.[4]

경기도 마을버스중에서 운영이 매우 잘 되고 있는 도시를 뽑자면 바로 용인,[5] 성남, 고양, 파주, 안양을 뽑을 수 있다. 다만 다섯 도시의 차이점을 고르자면 고양시 마을버스농어촌버스의 성질을 가진 마을버스보단 서울 마을버스의 성격을 가진 노선이 많지만, 파주의 마을버스는 대부분이 농어촌버스처럼 운영되고 있다. 용인의 마을버스는 이 둘의 짬뽕이며 특히 수지구, 기흥구 지역은 지역 업체의 공백을 채워주고 있다. 수원이나 의왕의 경우 마을버스가 보통 시내버스가 없는 곳을 맡고, 수원은 워낙 시내버스가 촘촘해서(...) 성남의 마을버스는 구성남 지역 한정 시내버스와 다를것이 없다.(...) 마을버스가 시내버스만큼 발전한 것도 있지만, 구성남 특성상 시내버스가 골목길을 들쑤시고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 심지어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가 나란히 신호대기하고 있는데 시내버스 차량은 레스타이고 마을버스 차량은 슈퍼 에어로시티(!)인 경우도 가끔 연출된다. 게다가 3-3번은 무려 KD와 경쟁한다.(!) 재벌과 싸우는 중소기업 김포의 경우는 시내버스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고 군포는 마을버스가 사실상 관내 시내버스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요금은 인상전의 서울 시내버스 및 수도권 전철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지자체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도색은 노란색.[6]

현재 운행중인 마을버스 노선수가 많은 기초자치단체로는 용인이 제일 많으며(노선수 82개) 고양도 많은 수준이다. (노선수 76개) 자세한 것은 경기도 시내버스 문서를 참조.

한편, 학생들의 학교 및 학원 통학을 위한 학생통학용 마을버스가 많이 운행중이다. 운행형태가 전세버스 통학차량과 같으나 마을버스면허로 운행중이기에 여기에 쓴다.

참고로 청소년 카드 기준으로 서울 시내버스 요금보다 160원 비싸다.(서울 720원 경기도 마을 840원(일부 지역은 920원(...)을 받는다)) 물론 현금은 더 싸다.

2.2.1 경기도의 마을버스 목록

※ 마을버스 면허가 있는 지자체만 기재하며 굵게 표시된 곳은 마을버스 문서가 별도로 존재하는 문서들이다. 단, 리다이렉트되어 버스 목록(시내버스)으로 가는 문서는 제외.
※ 순서는 가나다 순.

2.3 인천광역시 마을버스

  1. redirect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인천의 경우 과거에는 서울이나 부산처럼 구 이름을 노선명으로 사용했었으나, 500번대 노선 번호를 부여받으면서 지선버스로 변경되며 시내버스가 되었다.[12] 하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인천시민들은 마을버스라고 부른다.

2016년 9월 현재 성인 카드요금은 950원으로 간선버스보다 300원 싸다. 이 때 당시 마을버스로 남은 중구1번서구5번은 각 지역의 공영버스로 존치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533번534번은 지선버스로 전환되었다가 모종의 이유로 다시 마을버스 면허로 전환되었다. 여담으로 현재 인천에서 자가용 번호판을 달고 다니는 노선버스는 모두 공영버스 면허라고 한다.[13]

500번대로 노선 번호가 부여되면서, 동구 지선버스는 500~510번, 남구 지선버스는 511~520번, 연수구 지선버스는 521~530번, 남동구 지선버스는 531~540번, 부평구 지선버스는 551~570번, 계양구 지선버스는 581~590번, 서구 지선버스는 590번대로 분류되었다.[14]

옹진군 공영버스는 카드단말기가 설치되지 않았다가 2010년인천시의 지원으로 단말기를 영흥면 공영버스에 설치하였다. 요금은 각 도서지역마다 다르다. 하지만 영흥면 공영버스는 지선버스 요금을 받는다.

90년대 초반 남동구 일대를 운행하던 노선 차량 번호판은 '인천 5 타 xxxx'를 사용하여 '인천 5 자'로 시작하던 일반 시내버스와 구분되었다.

2.4 강원도 마을버스

지리적 특성상 산간 벽지에서 면소재지나 주변 버스정류장을 이어주려는 목적이 강하다.

춘천시 북산면에 위치한 조교리는 소양댐 건설로 춘천시내는 물론이거니와 면소재지와도 완벽하게 고립되었다. 그러다가 2013년 4월 29일, 40여년만에 마을버스가 개통되었다. 차종은 코란도 투리스모.[15]

횡성군에서는 안흥면과 청일면 산간 벽지와 면소재지를 잇는 공영 마을버스를 운행중이다. 안흥면에서는 에어로타운이, 청일면에는 카운티가 운행중이다.

정선군에서는 신동읍과 운치리를 잇는 운치마을버스, 여량면(아우라지)와 구절리를 잇는 노추산마을버스, 임계면과 고양리를 잇는 고양산마을버스, 화암면의 각 마을과 면소재지를 잇는 그림바우마을버스가 운행중이다.

2.5 대전광역시 마을버스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문서를 참조.

대전은 유성구에만 마을버스가 존재하는데, 유성구가 워낙 넓다보니 커버지역으로 보면 마을버스라기보다는 사실상 유성구 내선이라고 봐야할 정도.

2.6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해당 문서를 참조.

2.7 대구광역시 마을버스

대구의 마을버스는 2000년 5월에 생겨서 2006년 2월 노선 개편 때 폐선될 때까지 25인승 중형버스가 주를 이루어 운행했다. 운행은 당시 31개 회사에서 각 1대씩 마을버스를 보유하였다.[16] 노선번호 체계에 맞춰서, 2번(서구), 5번(달서구 성서), 6번(달서구 월배), 6-1번(달서구 월배), 7번(북구 칠곡), 8번(동구 안심), 9번(수성구 시지)까지 10개 노선이 있었다.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수성구 범어권은 시내와 가까워서 그런지 마을버스가 없었다.[17]

당시 전 회사 전 노선 공동배차제로 돌려서, 회사들에 1대씩 두고 공동배차로 돌렸다.정말 비효율적이었다 대구에는 별도로 마을버스 회사가 없었다. 그리고 교통카드제를 시행하지 않았다.

노선으로는 2번, 5번, 6번, 6-1번, 7번, 8번, 9번이 있었다. 2006년 개편으로 마을버스가 사라지면서 2번은 완전히 폐선되었으며, 5번, 6번, 6-1번, 7번은 구간이 조정되고 지선버스화되어 5번은 성서1(-1)번, 6번은 달서1번, 달서1-1번[18], 달서3번, 7번은 칠곡1(-1)번으로 변경되었다. 8번, 9번은 간선버스가 몇몇 구간을 대신 운행하게 되어 8번은 849(-1)번 및 수성2번, 9번은 937번이 운행하고 있다. 아마 막장공무원의 소굴인 대구시 버스운영과의 입장이 바뀌지 않는듯한 중형버스 도입은 평생 안할듯 하다!!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문서를 참조.

2.7.1 노선

0번(중구, 남구), 1번(동구), 3번(북구), 4번(수성구 범어)은 원래부터 결번이었다.[19]

  • 2번(배차간격 40분): 서구문화회관(서구 이현동)~내당황제맨션(서구 내당1동)
  • 5번(배차간격 43분): 이마트 성서점(달서구 이곡동)~현대백조아파트(달서구 본리동)
  • 6번(배차간격 32분): 이마트 월배점(달서구 대천동)~이마트 월배점(달서구 대천동)
  • 6-1번(배차간격 33분): 선호유치원(달서구 본동)~달서청소년수련관(달서구 상인동)
  • 7번(배차간격 43분): 칠곡IC[20](북구 관음동)~칠곡IC(북구 관음동)
  • 8번(배차간격 60분): 성동마을(수성구 성동)~각산네거리(동구 동호동)
  • 9번(배차간격 43분): 시지지구 종점[21](수성구 욱수동) ~ 이마트 만촌점(수성구 만촌1동)

이처럼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고 홍보가 부족했으며, 해가 지면(옆 동네의 경산1(-1)번,경산2(-1)번처럼) 운행을 종료했기 때문에 존재감이 거의 없었다. 원래는 일반 시내버스와 거의 동일한 오전 6시부터 오후 23시까지 운행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이것이 지켜진 경우는 많지 않은 듯하다. 대당 2명의 기사가 운행하는 시내버스와 달리 마을버스는 대당 한 명의 기사만 운행했기 때문에 늦게까지 운행하지 못한 듯하다. 거기에다가 승객도 별로 없었는데, 가장 큰 원인은 당시에는 대구에 환승 제도가 없어서 시내버스와 마을버스가 환승이 되지 않았다. 당시에야 타지에도 그런 경우가 많았으니 그렇다고 치자. 하지만 홍보 부족으로 공기수송이 이어졌고 결국 2006년 2월 개편때 전면 폐선되었다. 다만 다른 지역의 마을버스와 달리 대구의 마을버스는 시내버스와 똑같이 공동배차를 실시했다는 것이 특이점이었다.[22] 즉, 마을버스만 운행하는 업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시내버스 업체에서 마을버스까지 운행했었다. 단지 면허만 달리했을 뿐.[23]

마을버스 도입 이전에는 80년대부터 1995년까지 구.대현교통에서 조야잠수교 통과 버스로 구형 콤비/코스모스 차량으로 조야동 마을버스 개념으로 운행했고 1998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한 칠곡지역 노선인 777번이 마을버스 개념으로 운행했다. 하지만 1대만 운행했고 배차도 1시간에 1대였다. 이 역시 긴 배차간격과 홍보 미비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데, 그럼에도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은 채 시행한 것. 777번은 이후 마을버스 7번으로 전환되었다가, 시내버스들의 칠곡3지구 러시가 본격화된 2002년에 노선이 크게 바뀌었고 이게 현재 칠곡1(-1)번의 모태가 된다.

2006년 노선 개편 때 마을버스가 사라지면서 마을버스 및 오지버스 역할은 지선버스가 도맡아 하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간선버스가 담당하기도 한다. 문제는 100% 대형 버스만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를 보면 좁은 골목길, 험한 산길, 가파른 언덕길 등등을 모두 대형버스가 다니고 있다. 따라서 운행 효율성과 안전을 위해서 수요가 적은 구간이나 위험 구간은 중형버스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차량은 뉴 코스모스(회사별로 중문이 폴딩인 차량이 있었고, 슬라이딩인 차량도 있었다.)와 BM090(현대교통, 우진교통, 창성여객(신설 당시 건영교통) 각각 1대씩(총 3대) 운행했다)로 운행했다. 특이하게도 그 어떤 회사도 에어로타운 차량을 운행하지 않았다.

요금은 2000년에 마을버스가 생겼을 때 당시 성인 400원, 중고등학생 300원, 어린이 200원이었으며, 2006년에 마을버스가 폐지될 때까지 요금 변동이 없었다. 마을버스는 100% 현금만 받았으므로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된 적도 없었다. 근대 대구 시내버스에서 교통카드제를 처음 실시한 게 2000년 말이다 거기에 대구에서는 마을버스가 폐지된 후 무료환승제가 도입되었다.

2015년 노선 개편 때 마을버스 신설이 추진되었으나, 무산되었고 대신 일부 노선에 시범적으로 수요응답형 버스를 추진중이다.

2.8 울산광역시 마을버스

울산의 경우 마을버스의 대부분이 시 외곽지역이나 농어촌지역을 운행하며, 다른 지역과는 달리 숫자 대신 업체명을 노선번호로 사용[24]고 가지노선이 굉장히 많았지만, 2011년 중에 2자리 번호(지역번호[25]+일련번호)로 전면 개편되었다.[26] 도색은 업체마다 제각각이었으나, 번호 개편과 함께 연두색의 통일된 도색으로 바뀌었다.[27] 요금 또한 천차만별이라서 농어촌지역[28]의 경우 안그래도 배차간격도 엄청 긴데 구간요금을 받는다.

시내일반과 마을버스의 중간 카테고리로 시내지선이 있기는 하나, 번호가 9로 시작하는 세자릿수라는 것과 요금이 통일되었다는 점만 빼면 형태상 마을버스와 별반 차이가 없다. 마을버스가 역으로 따르는 환승할인도 된다.

2.9 경상북도 마을버스

구미에는 수점동 오지마을 주민들을 위해 원평2동주민센터에서 출발하여 덤바우, 대성지, 구미청소년수련원, 수점동을 오가는 버스가 마을버스로 운행중이다. 다만 버스정보 앱과 홈페이지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점동에 있는 시간표를 확인하고 가야 된다.

울릉 천부에서 출발하여 석포, 섬목, 나리분지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마을버스로 운행중이다.

포항에는 죽장면 오지마을 교통편의를 위해 수요응답형 버스가 개통되었다. 운행사는 다름아닌 여기.

2.10 경상남도 마을버스

경남에서 마을버스를 운행하는 곳은 창원시, 양산시 등이 있다.[29]

창원에서는 의창구마산회원구, 진해구의 일부 대중교통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마을버스를 투입하고 있다. 성격도 다양해서, 1번2번 노선은 의창구 동읍 및 대산면 일대의 교통오지를 오가는 농어촌성격의 노선으로, 7번8번 노선은 각각 동읍 자여택지지구, 구암/소계동 주택가의 대중교통 사각지대와 교통거점(창원역)을 오가는 어마어마한 배차량의 대도시형 마을버스 운행을 하고 있다. 진해구 지역은 웅천, 웅동 지역 내 대중교통 오지 지역의 교통수단으로 350, 351, 352, 353의 4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이쪽은 본래 '진해공영버스'라는 이름이었다가 2015년 12월 1일자로 '진해마을버스'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양산의 경우는 웅상 지역에 특히 마을버스 노선이 많은데,[30] 1990년대 웅상읍지역이 공장단지와 주거지역등이 생겨나며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인구는 많은데 불구하고, 시내버스는 7번국도로만 다녀서 정작 읍내와 마을까지 거리가 멀어, 이때 부터 각기 다른 노선의 마을버스가 개통되면서 지금에 이른다.

구. 웅상읍 마을버스의 기.종점은 거의 다 덕계상설시장에서 마치며, 시내버스노선들과 상당히 중복되어도 워낙 수요가 많다보니 마을버스도 상당히 많은 승객이 이용한다.

그외에 양산 북정동~강서동간 마을버스와 신평터미널~지산간 마을버스가 운행중이다. 더 자세한 것은 경상남도 시내버스 문서를 참조.

밀양의 경우, 시내버스가 운행하지 않는 삼랑진, 하남, 초동, 부북, 상동, 용활동 방면으로 운행하고 있다.

의령의 경우, 군 지역에 마을버스가 운행하는 매우 희귀한 예. 하지만 의령의 마을버스는 사실상 읍내 중심지 순환버스의 역할을 하므로, 다른 대중교통수단이 다니지 않거나 다닐 수 없는 곳을 연결하는 타 지역 마을버스와는 그 역할이 약간 다르다. 일단은 마을버스로 허가가 나 있으니 마을버스로 치겠다.

2.11 광주광역시 마을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문서를 참조.

2.12 전라북도 마을버스

완주에서는 버스가 들어가지 않는 면지역의 마을에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13 전라남도 마을버스

구례에는 오산[31] 정상 바로 아래 깎아지른 바위위에 자리잡은 '사성암'이라는 암자에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마을버스라고 쓰고, 셔틀버스라고 읽는다.(...) 하지만 엄연히 허가는 마을버스로 나 있다고 한다. 운행구간은 사성암 주차장에서 암자 바로 밑까지 약 3km이지만 요금은 성인기준 편도 1,700원, 어린이 1,200원으로 크고 아름답다. 워낙 산길이 좁고 가파르고 대부분 비포장길이기 때문에 때문에 한 번쯤 타보면 왜 이정도 가격을 받는지 알게된다. 운행회사명은 안전운수사(...) 역시 정말 산길이 가파라서 회사이름을 저렇게라도 붙여서 안전운수를 기원해야 할 판이다. 참고로 이 돈이 아깝다면 약 4.5km 길이의 등산로를 이용하면 된다. 산길이 워낙 좁고 험한데다가 교행이 불가능하여 일반차량의 출입은 금지된다. 마을버스끼리는 단선철도에서 열차가 대피선을 통해 교행하듯 에서 중간중간에 위치한 약간 넓은 곳에서 대기하며 교행한다.(...) 배차간격은 관광객 수에 따라 5분 배차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2~30분 간격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행된다. 차종 역시 현대 카운티스타렉스가 수요에 따라서 운행하고, 수요가 아무리 많아도 길이 길인지라 더 큰 차의 운행은 불가능 하다고 한다. 운행시간은 오전 8시부터 관광객 수효에 따라 오후 6시~6시반 즈음까지 운행한다. 사실 이 절은 드라마 토지, 추노, 뉴스 시작 전이나 중간 영상, 아침 프로그램 등등에도 여러번 모습을 비추어 그 때마다 이 마을버스의 수요가 폭증한다고 한다.

3 외국의 마을버스

일본에서는 '커뮤니티 버스(コミュニティーバス)'라는 형태로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데, 주로 민간업체에 운영을 위탁하는 경우가 많다.특히 도쿄 미나토구의 '치이바스(ちぃばす)' 시스템의 경우에는 동네 특성상 웬만한 지방 소도시 뺨칠 정도의 노선망을 갖추고 있어서 소형버스가 아닌 중대형버스가 들어가기도 하며, 주말과 공휴일 한정으로 1일 무제한 승차권을 팔고 있다. 미나토구 커뮤니티버스 노선도 도쿄에서 교통패스가 없을때 일반 버스와 지하철보다 저렴해서(대개 기본요금이 100엔) 치트키로 활용할수 있다. 심지어 무료로 운영하는 노선도 있으니 잘 활용하면 좋다.

참고로 러시아에는 BMP-1을 개조한 마을버스가 다닌다.(...)사스가 불곰국

미얀마에는 트럭버스가 다닌다. 아시아 헌터에서도 취재했다.트럭뒤에 매달린 사람에 따르면 겁나게 재밌다 카더라

OZLEM-FiZiK-TEDAVi-(1).jpg
gaziantep-polisi-nden-havali-korna-uygulamasi-4462083_o.jpg
터키에서는 돌무쉬(Dolmuş)라고 부르는 마을버스가 도시 곳곳을 누빈다(!) 일반적으로 12+1인승 봉고차를 개조해서 사용하며, 지방에 따라 다르지만 노란색이나 파란색에 차량 앞면에 행선지를 빽빽이 적어놓고 있다. 터키 돌무쉬의 특징은 일단 돌무쉬가 지나다니는 길목 어디에서든지 손만 흔들면 세워주며, 또한 내리고 싶은데서 내릴 수 있다는 점이다. 왕복 2차선 도로나 교통이 혼잡한 시내 중심가의 경우 일정구간마다 정거장을 비치해 운행하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도로가 혼잡하지 않은 경우에는 세워주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돌무쉬의 장점은 차안에 사람이 너무 많이 타고있다 싶으면 중간에 서지않고 안에서 누가 세워달라고 할때까지 계속 밟는다는거다. 반대로 차안이 널널하면 사람 더 태우려고 일부러 빵빵대면서 천천히 몬다.(...)

요금을 내는 법도 특이한데, 우선 택시처럼 구간마다 요금이 달라진다(!) 작성자가 거주하고 있는 콘야를 예를 들자면 예?! 캠퍼스에서 보스나-헤르섹 동(Bosna-Hersek mah.), 버스터미널(Otogar), 공단(Sanayi), 베쉬욜(Beşyol), 자페르(Zafer)까지 운행하는 돌무쉬를 캠퍼스에서 자페르까지 쭉 타고 갈 경우에는 2.40터키 리라를 내야 하지만 캠퍼스 안에서 돌 경우에는 1.50리라, 보스나까지 가면 1.75리라, 버스터미널까지는 2리라, 공단까지는 2.25리라 식으로 요금을 책정한다. 돌무쉬에 사람이 가득차서 혼잡할 경우에는 앞사람에게 요금을 건내달라고 부탁하면 운전사에게까지 요금이 전달되고, 마찬가지로 거스름돈이 돌아오는 모습도 볼수있다.

4 운임

추가바람.

5 기타

이런 마을버스도 있고 이런 마을버스도 있었다고 한다. 하나는 그레이스 하나는 스타렉스 서울 버스 성북05 문서를 참조.

그외에도 수익성만을 쫓아서 노선 굴곡이 심한 노선을 비꼬는 의미로 마을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M6117등이 있다.줄여서 M(Maeul)버스라 한다 카더라 더 자세한 것은 택배근성 문서를 참조.

폐차 직전의 마을버스가 전 세계를 여행한 실화도 있다. 참고로 이 마을버스는 우유니 사막도 여행했다.
  1. 안산의 경우는 예외. 이쪽은 마을버스가 모두 시내버스로 형간전환이 되었다.노선은 기존과 같잖아? 시내버스의 탈을 쓴 마을버스 사실은 마을버스를 운영하던 회사들이 부도가 나는 바람에... 마을버스 노선들은 모두 시내버스 회사에서 인수하였다.
  2. 대표적으로 고양시 마을버스성남의 어느 마을버스가 해당된다.
  3. 부산의 경우 대학교 순환버스에 특히 많으며 이외에는 강서20번이나 부산진9번에서 운행중이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부산 강서구 마을버스에서는 BS105나 무냉방 BS106, 무냉방 에어로시티540SL(물론 540L도 있었다), 냉방형 에어로시티, BS106을 운행하기도 했다. 경기도에서는 용인 마을버스 일부가 저상버스(현대)로도 다니며 고양 마을버스 회사인 뉴시티는 아예 100% 저상화 노선을 따로 운행시킬 정도라고 한다.(040, 045, 048, 075번이 있다)
  4. 현재 저상버스가 운행중인 경기도 마을버스는 용인의 810번 시리즈와 고양의 010번, 039번, 040번, 045번, 046번, 048번, 075A번이 있다.
  5. 수지구와 기흥구 일대에만 잘 다닌다.처인구는 생각도 안하나
  6. 파주 마을버스는 예외. 별도의 도색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성남은 GRYB 버스의 초록 디자인을 사용했으나, 점차 노란 G버스 도색도 늘어나고 있다. 구리의 경우 2번만이 자체도색 사용중. 평택도 자체 도색이다. 연두색, 흰색, 노란색, G버스 초록색 등 여러색을 섞어서 쓰고있다. 심지어 하남시는 서울 버스 도색을 몇몇 사용한다. 물론 일반 G버스 도색도 사용한다.
  7. 이 문서는 구리와 남양주 노선이 통합기술.
  8. 실제 문서는 안양시 버스 목록 4.5.2 문단.
  9. 안산의 마을버스 노선은 없다.
  10. 실제 문서는 안양시 버스 목록 4.5.3 문단.
  11. 이 문서는 화성과 오산 노선의 통합기술이며, 전 노선이 실장되지 않았다.
  12. 무의도, 백령도, 대청도, 연평도, 영흥도, 자월도, 덕적도의 마을버스는 제외.
  13. 533번, 534번, 옹진군 공영버스 제외.
  14. 하지만 526번530번부평구 지선버스이나 부평구 버스의 결번이 없어 연수구 번호를 부여받았다.
  15. 겨울에 눈이 와도 산길에서 운행할 수 있는 마을버스 모델로 제일 적합했다고 한다.
  16. 당시 대구 시내버스 회사는 32개가 있었으나, 2001년에 부도난 대현교통은 마을버스를 보유하지 않았다.
  17. 참고로 2006년 개편 때 생긴 지선버스 역시 중구, 남구, 서구는 따로 없으나, 다른 지역 지선버스가 경유하고 있다.
  18. 1년 후인 2007년 2월 달서1번과 달서1-1번은 달서1번으로 통합되었다.
  19. 이는 마을버스 번호를 1번부터 일련번호로 매긴 게 아니라 시내버스처럼 권역별로 번호를 매겼기 때문이다.
  20. 당시에는 델타클럽 칠곡점이었다가 까르푸가 인수해서 까르푸 칠곡점이 되었고, 까르푸의 철수로 인해 홈에버 칠곡점으로 변경되었다. 홈에버홈플러스에 합병되어 홈플러스 칠곡IC점이 되었다가 또 폐점되어 현재는 폐건물화 되었다.
  21. 현재 대구자연과학고 후문 뒤에 있는 그 곳이다.
  22. 당시 마을버스를 운행하던 중형버스들은 함안 동일고속에 매각했으나 현재는 대차되었다. 또한, 2016년 현재 100% 대형버스만 운행 중이다.
  23. 일괄적으로 9000번대 번호판이 달렸다.
  24. LED행선판에 임의로 번호를 적기도 했으나 공식적으로는 숫자로 된 번호가 없었다.
  25. 1: 중구, 2: 남구, 3: 동구, 4: 북구(노선 없음), 5/6: 울주군
  26. 이 때 가지노선도 모두 독립된 번호를 부여받았다.
  27. 그런데 이 도색기준을 씹어먹는(…) 업체들도 많다. 오히려 100% 준수하는 업체가 무거교통울남마을버스 정도로 소수.
  28. 온양읍, 웅촌면
  29. 김해시의 경우, 마을버스 대신 공영버스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창원시 진해구 지역에도 진해시 시절부터 이 명칭을 사용해왔었는데, 2015년 12월 1일자로 진해마을버스로 명칭이 바뀌었다.
  30. 2000년대까지는 '양산 시내버스=양산(본시가지), 양산 마을버스=웅상 버스'라고 봐도 될 정도로 양산 시내에는 시내버스만, 웅상에는 마을버스만 있었다. 예외는 한 손으로 꼽을 수 있었을 정도. 그나마 2010년대에는 웅상에도 양산 시내버스 노선이 좀 늘었다.
  31. 경기도 오산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