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국

Broadcasting Station / 放送局

1 개요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 미디어매체를 통해 여러가지 시청각 정보를 블특정 다수에게 제공을 할 수 있는 시설을 가리키는 말이다.

좁게는 교내 방송국[1]부터 넓게는 지상파 방송국 등이 포함된다.

한국 최초의 방송국은 1927년에 세워진 라디오 방송국인 경성방송국(JODK)이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이 식민지 통치를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세운것이기 때문에 우리말과 일본어 방송의 비율이 1:3이였고, 이때까지는 일본의 명의으로 세워진 방송국이였다. 1947년이 되서야 한국은 국제무선통신회의에서 독립국가로서 한국 호출부호 에이치엘(HL)을 부여받게 되었고, 처음 부여된 날인 9월 3일은 전파주권 회복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방송의 날로 정해졌다.

한국 최초의 TV 방송국은 대한방송(HLKZ-TV)이고, 이후 화재로 망하면서 한국방송공사(KBS)가 그 뒤를 잇는다. 자세한 것은 각각 해당 문서 참조.

2 내부 구성

나름 보안시설이고 설계 자체가 은근히 복잡한데, 이유는 방송국이라는 시설 자체가 전시에는 전략적 요충지 0순위 중에서도 0순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향방작계 뛰는 예비군들도 방송국의 중요성에 대해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는다 적이나 거수자에게 점령당할 경우, 순식간에 프로파간다, 그러니까 선전, 선동용도로 쓰이면서 적군의 사기 진작과 아군 혼란 초래를 일으킬 수도 있다.[2] 당장 6.25 전쟁 초반에 이승만 대통령이 뭐라고 방송을 때렸으며 그 결과 국민들이 어떤 운명에 처했는지 상기해 봐도... 그렇다고 이승만 전 대통령이 적이었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궁성사건 당시에도 하타나카 등 반란군이 최후로 점거하려 했던 곳도 NHK 도쿄 스튜디오였으며, 박정희 소장이 5.16 쿠데타 당시 맨 먼저 점령한 곳도 남산연주소(HLKA)[3]였다. 그리고 12.12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은 취임 이후 예고도 없이 불쑥 KBS 본관을 찾아 주조정실까지 한달음에 들어오면서 '국가기간시설 보안이 뭐 이따위냐'라며 관계자들조인트를 깠고을 문책했고, 이후 KBS 본관에는 현재와 같은 게이트가 추가되었다.

한편 1999년에는 PD수첩의 보도에 불만을 품은 만민교회 신도들의 점거로 인해 MBC 습격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당시 '외부인들에게 너무 쉽게 뚫려버린 게 아니냐', '혹시 내부인의 협조가 있었던 것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그래서 결국 내부 구조와 방송 중요장비가 위치한 공간은 마치 미로를 연상되게 할 정도로 상당히 복잡하게 바꾸었다. 현대에는 각종 예능 프로에서부터 연예인들이 방송국 곳곳을 누비는 장면도 심심찮게 나온다. 그래봐야 대부분 출연자 대기실 씬이지만, 런닝맨 등 일부 예능에서 구조 내부를 낱낱이 공개하기도 한다. 그래봐야 화면과 실제 구조를 매칭시키기는 상당히 어렵다.

사실 일반인은 방송부에 출입하는것도 제한되어 있다. 방청객 등으로 출입이 허가되더라도 정해진 루트로만 다닐 수 있게 제한되어 있다. 물론 직원도 막 아무렇게나 뽑지 않는다.

3 상주 인원들

4 교내방송

문서 참조.

5 유사 개념: 세트장, 로케이션, 방송사

5.1 세트장

주로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공간을 말한다. 사극, 시대극 등 각 드라마의 특성에 맞춘 장소를 별도로 섭외한다. 예산절약 등의 차원으로 기존의 세트장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새로이 별도의 세트장을 짓는 경우도 있다. 촬영 후에는 이를 지자체의 관광상품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특히 한류 드라마들의 경우 이를 이용한 상품이 많이 개발된다. 하지만, 제아무리 흥행한 드라마라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최근에는 태양의 후예 세트장에 관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

5.2 로케이션

5.3 방송사

6 국가별 방송국 목록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방송 관련 정보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6.1 대한민국

★(10개) :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 40조에 의한 재난방송 의무송출 방송사로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지정한 지진 자동자막송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4] 이 방송사는 나무위키:편집지침제도권 방송사와 동일한 기준이다.
※(2개) : 법률에 의해 설치된 국가기간 방송사의 지위를 갖는 방송사다.

6.1.1 지상파 방송

대한민국의 4대 지상파 방송사
한국방송공사한국교육방송공사문화방송SBS
6.1.1.1 과거에 방송되었던 지상파방송
6.1.1.2 방송법에 규정된 특수 방송사

6.1.2 종합편성채널

종합편성채널
JTBCMBN채널ATV조선

6.1.3 보도전문채널

6.1.4 기타 방송국

채널은 케이블방송/채널 참조.

6.2 북한

6.3 일본

6.3.1 지상파 방송

일본의 지상파 방송국
공영 · 공공: NHK
(종합 TV · 교육 TV · 1 라디오 · 2 라디오 · FM)
민방
중심방송국·준중심방송국
키국 (간토 · 간사이)
TV Network
약칭 (간토 / 간사이)
소유주라디오
?width=30 ?width=30
니혼 TV·요미우리 TV 방송
NNN / NNS
(NTV / ytv)
요미우리 신문RF 라디오 일본
(요코하마 독립국)
?width=40 ?width=30
TV 아사히·아사히 방송
ANN
(EX/ ABC)
아사히 신문ABC 라디오
(JRN, NRN)
?width=30 ?width=30
TBS 테레비·마이니치 방송
JNN
(TBS / MBS)
마이니치 신문
(도쿄방송)
TBS (JRN 키국)
MBS (JRN, NRN)
?width=40 ?width=30
후지 테레비·간사이TV
FNN / FNS
(CX / KTV)
후지산케이
산케이신문
NRN
(OBC / LF1))
?width=40 ?width=30
TV 도쿄·TV 오사카
TXN
(TX / TVO)
니혼게이자이신문라디오 닛케이
(단파)
기타방송대학2) (비영리)
라디오: JFN (FM 오사카 / 도쿄 FM) ·
JFL (FM 802 / J-WAVE) ·
MegaNet (FM Cocolo / Inter FM) ·
화요회 · 전국 FM 연합 ·
분카 방송1) · 공동체 라디오
TV: 독립방송협 · 민교협
1) NRN 공동 키국
2) 간토 지역에서 지상파 송출

6.3.2 비(非) 지상파 방송국

6.4 중국

6.5 홍콩

6.6 마카오

6.7 대만

6.8 미국

6.8.1 지상파 방송

미국 6대 지상파 방송국
?width=100%?width=100%?width=100%
?width=100%width=100%?width=100%

6.8.2 비(非) 지상파 방송국

6.9 멕시코

6.10 영국

6.11 독일

6.12 프랑스

6.13 이탈리아

6.14 덴마크

6.15 스웨덴

6.16 핀란드

6.17 스페인

6.18 러시아

6.19 터키

6.20 아랍에미리트

6.21 호주

6.22 국제방송

7 관련 문서

  1. 또는 방송실이라고도 불린다.
  2. 이러한 모습이 영화 브이 포 벤데타다크 나이트등에 나타난다.
  3. 현 KBS 제1라디오의 전신
  4. 방통위 보도자료.
  5. 일부 방송사에서 진행하는 업무도 처리하므로 추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