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1 노선 정보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7412번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중산마을2단지.해태쇼핑.코오롱아파트)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50 | 막차 | 24:00 |
평일배차 | 출퇴근 6분/평시 15분 | 주말배차 | 15~25분 |
운수사명 | 대원고속 (대화영업소) | 인가대수 | 21대 |
경유 정류장 |
고양(중산) | ↔ | 서울(강남) |
중산마을2단지.해태쇼핑.코오롱아파트 | 신사역.푸른저축은행 |
중산마을10단지.동신아파트 | 논현역 |
일산경찰서 | 신논현역.구교보타워사거리 |
일산동구청 | 강남역 |
마두역 | 역삼럭키아파트.역삼월드메르디앙아파트 |
백석역 | 뱅뱅사거리기쁨병원 / 역순[1] |
2 개요
KD 운송그룹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고양시 중산동과 서울 강남역을 잇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일산에서 강남을 향하는 노선으로는 9700번이나 9711A번이 있었으나, 9700은 능곡과 화정을 경유했고,[2] 9711A번은 탄현동, 중산동을 경유하는 것으로도 모자라서 아예 DMC 일대도 투어하다가 강남으로 향하는 노선이었다.[3] 일산 주민들은 강남으로 바로 가는 노선을 원했고, 결국 2차 개통노선에 일산 - 강남 노선이 포함되었다.
- 2010년 11월 29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 2011년 3월 3일부로 신논현역과 강남역 가변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단, 강남 방향은 중앙차로)
- 2011년 하반기부터 광역급행버스 정류장 개수 제한이 완화되어 9월 16일부터 중산으로 연장되었으며, 서울 쪽에서는 우성아파트 가변 정류장이 추가되었다. 언제부턴가는 우성아파트 정류장 대신 대신 도곡로를 경유하여 역삼럭키아파트, 뱅뱅사거리(기쁨병원) 정류장으로 회차가 변경되었다.
4 특징
- 2기 광역급행버스중에서는 제법 성공한 노선이다. 9700번, 9711A번과는 달리 일산에서 강남역을 바로 이어주는데다 일산에서 정류장이 몇 개 없어 소요시간이 적게 든다는 것이 이용객들에게 잘 알려진 듯 하다. 게다가
KD그룹답지 않게 중앙차로 정류장중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에서는 일반 차로로 우회하는 등[5] 기사들도 소요시간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KD 운송그룹이라도 일산에서는 어쩔 수 없나 보다. 오오 이거슨 7권역의 저주 오오 그러나 강변북로/올림픽대로에서는 짤없이 75km/h이라 강변북로에서는 200번, 2200번에게, 올림픽대로에서는 인천/김포 노선[6]의 밥이 된다(...) - .
KD답지 못하게 평일 낮 시간대에는 강변북로에서 120km/h 밟는다 카더라. 특히 12-2시 사이 하지만 R/H 때는... 이 버스를 탄 걸 두고두고 후회할 것이다
- 중산 해태쇼핑 기준으로 막히지 않을 경우 강남역까지 55분 ~ 60분 정도가 걸린다. 기존 9711A번이 같은 구간을 최소 1시간 10분이 걸렸던 것을 감안하면 거의 혁명이나 다름없다.[7] 9700번과도 겹치는 일산경찰서, 일산동구청, 마두역, 백석역에서는 9700번보다 10분, 9711A번보다 20분 정도 빨리 간다. 그래서인지 출근시간대에는 일산경찰서에서, 퇴근시간대에는 강남역에서 사람들을 다 채우고도 모자라 사람들의 줄이 인도를 막아버릴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자랑한다.
- 하지만 강남역 이남으로는 가지 않는다는 다소 큰 단점이 있다. 9700번이 교육개발원, 9711A번이 시민의 숲까지 가는 것을 감안하면 아쉬운 부분으로, 특히 강남 - 양재 구간의 업무지구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은 이 때문에 큰 불편을 겪어서, 현재의 회차방식을 바꿔 양재까지 연장해달라는 민원이 적지 않게 들어온다.
- GTX가 개통한다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 노선이다. 물론 예정이 2022년이라 아직 먼 미래의 얘기지만, 준수한 표정속도와 높은 정시성, 결정적으로 낮은 요금을 자랑하는 GTX와의 싸움에서 환승저항 말고는 믿을 게 없기 때문. GTX의 경우 별도 지하 복선 선로고 역 숫자도 적어서 표정속도와 정시성이 높으며,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으로는 요금도 광역급행버스보다 낮다. 이 노선에 대항하는 GTX의 유일한 단점으로는 일산신도시 내에 역이 없다는 것[8] 뿐.
5 연계 철도역
- ↑ 단, 역삼러키아파트 정류장이 아닌 강남역으로 간다.
- ↑ 9600번은 이 노선이 생긴 후인 2011년 2월 8일에 생겼다. 그와 동시에 9700번은 직선화되었다.
- ↑ 사실 그래서 9711A는 일산-강남을 완주하는 수요보다는 일산-DMC, DMC-강남 이렇게 타는 수요가 더 많다. 일산에서는 DMC안쪽을 다 쑤시고 다니면서 월드컵경기장까지 가는 버스는 이것밖에 없고, DMC에서는 강남을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직통으로 쏴주니...
- ↑ 2010년 이전까지만 해도 KD그룹 시내버스 노선중 일산에 진출한 노선은 명성운수와 공동배차하는 9700번 하나 뿐이었다. 때문에 그동안 대화영업소에는 제대로 된 유선전화조차 없이 핸드폰만으로 유지를 해왔다. 그러다 2010년 8월 8109번이 개통한 데 이어 2010년 11월 M7412번과 M7613번까지 개통하자 드디어 유선전화를 설치하는 등 대화영업소를 대폭 개편하기에 이른다.
- ↑ 명성운수, 신성교통 등 기존 일산지역 버스회사들이 주로 쓰는 스킬이다.
엥? 다른지역 버스들은 안그럼? 당연한 건줄 알았는데;;
- ↑ 1100번, 1101번, 9500번, 9501번, M6117번, M6427번
- ↑ 7권역 버스들의 각종 사건사고로 현재는 이보다 느려졌다. 1시간 15 ~ 20분 정도.
- ↑ 킨텍스역과 대곡역이 생기지만, 둘 모두 신도시 주거지역에서 빠르게 접근하기는 좋지 않다.
- ↑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