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

한자: 大王
영어: the Great

훌륭하고 뛰어난 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제국의 수장일 경우 대제(大帝)라고도 한다. 교황일 경우에는 대교황(大敎皇)이라고 부른다.

1 개요

대왕 혹은 대제라는 명칭의 사용방법은 동서양에서 많은 차이가 났다. 심지어 같은 동양의 국가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중국같은 경우 대왕은 명칭이 '왕'인 군주를 예의를 갖춰 높혀 불러줄 때 사용되었다. 당시 진시황황제라는 명칭을 만들지 않았던 춘추전국시대에는 신하들이 각국의 왕을 부를 때 '폐하', '성상'과 같은 의미로 '대왕'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즉 공식적인 존호시호가 아니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많이 달랐는데 자국 중심주의가 강했던 중국 왕조지금도 그렇다... 때문에 황제라는 용어를 대외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던 우리나라의 왕조들은 보통 '왕' 칭호를 사용했으나 중국만큼이나 강했던 우리나라 왕조의 자국 중심주의 덕분에 우리나라는 외왕내제 체제가 형성되어 군주를 부르는 새로운 칭호를 만들거나[1] 자국 내에서만 황제 칭호를 사용한다. 고구려의 유명한 태왕 명칭 역시 이에 해당한다.[2] 이런 상황에서 '대왕'이라는 원래 왕을 높혀 부를 때 쓰던 용어가 하나의 정식 명칭이 된 것이라고 추측한다.

삼국사기에서 고구려태조대왕, 차대왕, 신대왕의 시호엔 모두 '대왕'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데 바로 이때 고구려에선 '대왕'이 잠시 정식 시호가 된게 아닌가 추측하기도 한다. 신라백제에선 묘호[3] + 임금의 이름 혹은 시호 + 대왕(大王)으로 책이나 비석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도 위의 추측의 증거가 되기도 한다.[4]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선 대부분 왕들이[5] 모두 신하들로부터 대왕이라고 분명하게 불려지고있고, 신라본기 문무왕조에선 문무왕을 계속 '대왕'이라고 서술하고 삼국유사 가락국기나 여러 고고학적 유물들을 보면 가야 역시 군주를 대왕이라고 부른듯 하다.

발해의 경우 임금들의 공식 시호가 모두 시호 + 왕(王) 이라서 알기 어렵지만 발해 공주의 무덤 조사를 통해 발해 문왕의 존호[6]연호(2개) + 문왕의 존호 + 대왕(大王)[7] 임을 알아내 발해 역시 '대왕'이란 용어를 삼국과 비슷한 식으로 사용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고려, 조선 시대에는 알기가 쉬운데 간혹 왕들의 시호를 부를 때 '대(大)'자를 빼는 경우는 있었어도 왕들의 공식 시호에는 모두 묘호 + 임금의 시호 + 대왕(大王)이라서 '대왕'이 정식 시호임을 알 수 있다.[8]

반면 대제라는 칭호는 한자문화권에서 거의 사용된 예가 없다. 공식적으로 대제라는 시호를 사용한 사람은 손권이 유일하며, 강희제 같은 경우 강희대제라는 표현이 나타나긴 하지만 역시 근대 이후의 표현으로 보인다. 대(大)는 시법에는 없는 글자이며, 대황제를 시호로 받은 손권이 오히려 이례적인 일.

현대에 들어서 서양에서의 "대왕"의 정의가 들어온 뒤로 "대왕"이라는 칭호는 정말 대왕이 어울리는 사람에게나 붙여주는 아주 희귀한 칭호로 바뀌었다. 덕분에 우리나라에서 대왕이라 불리는 사람은 광개토대왕이나 세종대왕 정도밖에 없다.

한편 한자문화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대왕 및 대제가 더 엄격하게 적용된다. 정말 뛰어난 업적을 세운 군주에게만 헌정하는 칭호. 사실 한자문화권의 특성상 대왕이라 번역하긴 하지만, 엄밀히 말해 별명에 가깝다. 사용할 수 있는 이름의 개수가 무한대에 가까운 한자문화권과 달리 대부분의 다른 문화권은 일반 명사에서 이름이 비롯되었기 때문에 이름의 절대 개수가 적다. 게다가 피휘 관습이 없고 오히려 조상의 이름을 물려받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름이 중복되는 경우가 워낙에 많고, 그래서 구별을 위해 별명을 붙이는 관습이 발달했다. 사자심왕 리처드, 존엄왕 필립의 예처럼 인물의 특성이나 업적을 칭송하는 별명을 많이 사용하였고, 대왕(the Great) 역시 이러한 별명. 시호와 비슷하게 번역하는 관행이 있지만 엄밀히 말해 이러한 별명은 "사자 심장(을 가진) 리처드", "존엄한 자 필립"이라 번역하는 것이 원래 의미에 가깝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역시 직역하자면 "대(大) 알렉산드로스" 또는 "위대한 알렉산드로스"이다.

다만, 고대 그리스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등장하기 전에는 '대왕'이라고 하면 곧 '페르시아 왕'을 지칭하는 것이었다.

본 항목에서 설명하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지만 한국 사극에서 제목에 '대왕'이 들어간 사극은 크게 히트하지 못한 일종의 징크스가 있다. 대왕의 길대왕 세종이 그랬고, 2012년 하반기부터 방영하는 대왕의 꿈도 크게 흥행하지 못하고 종영되었다. 광개토대왕은 제목이 '광개토태왕'이었으니 예외

2 사례

2.1 보통 대왕, 대제, 대교황이라고 인정받는 실존 인물

2.2 대왕인 가상 인물

  1. 국왕 항목 참조
  2. 후에 신라의 법흥왕진흥왕이 '태왕' 칭호를 사용한다.
  3. 예로 신라의 태조, 태종이 있다.
  4. 미륵사 사리함기에 나오는 '대왕 폐하'라든지...
  5. 예를 들어 유리명왕, 대무신왕, 평강왕 등
  6. 임금이 살아있을 때 이름대신 부르던 것, 죽었을땐 시호라고 한다.
  7. 광개토대왕릉비에 의하면 대왕의 존호 역시 연호(영락) + 태왕(太王)임을 알 수 있다.
  8. 고려의 경우 몽골의 부마국이 된 이후의 왕들은 묘호가 없어짐.
  9. 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복군주로 칭송된다.
  10. 한글 창제. 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명군.
  11. 이따끔 요한 바오로 2세도 대교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시성절차가 완료되면 정식으로 대교황 칭호가 올려질 가능성도 있다.
  12. 단 통치 전반기만.
  13. 별명
  14. 위키피디아에서는 Mutsuhito the Great를 치면 메이지 덴노로 리다이렉트 된다.
  15. 중국의 경우는 먼치킨 황제의 경우에도 대제라는 표현에 매우 인색하다. 사실 중국.한국.베트남 같은 동양권에서는 군주의 묘호를 따로 붙여주기도 하고... 강희제의 경우 세계구급 먼치킨이라서 받은거. 아예 별칭중에 천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한 위대한 황제라는 천고일제(千古一帝)라는 별칭이 있다.
  16. 진짜로 시호가 대제다.(...)
  17. 크메르 문자를 다듬어 타이 문자를 만들었다.
  18. 태국 국민이 1987년에 '대왕(the Great)' 칭호를 헌정해 공식적으로 대왕으로 불린다.
  19.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 성경에서 고레스 대왕으로 불리는 인물.
  20. 보통 한국사람들이 알고 있는 이름은 알렉산더 대왕. 동방으로 한 우물만 파서(??) 대성한 케이스.
  21. 기독교 공인 이전에는 '신격'의 칭호를 받았다.
  22. 당대에 대왕 칭호를 받긴 했지만 현실은(...)
  23. Wilhelm der Große : 구 독일제국 한정.
  24. 신성 로마 제국 황제도 겸임했다. 우리식으로 치면 세종대왕급으로 체코에서 존경받는 왕이다. 보헤미아 왕으로는 카렐 1세이다.
  25. 야노슈 후냐디의 아들로, 헝가리의 짧은 전성기를 만들어낸 개혁군주. 영국식으로 마티아스 1세로도 불리며, 헝가리 국내에서는 '코르비누스(대왕)'이란 칭호를 붙인다. 부다페스트의 코르비누스 대학도 이 사람에서 따온 이름.
  26. 불가리아 역사상 최고의 정복군주. 당시 판도가 현재의 루마니아에서 마케도니아에 이르렀다.
  27. 한때 웨코문드의 지배자였다. 그래서 말버릇처럼 '내가 웨코문드의 대제다!' 라고 입버릇처럼 말한다.
  28. 사실 대왕이라는 호칭은 알고보면 자칭. 애니에서는 진짜 대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