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의 소재지가 불일치하는 행정구역

1 개요

도청, 시청, 주민센터 등의 지방행정 청사가 자신이 관할하는 행정구역이 아닌 다른 행정구역에 위치하고 있는 곳을 정리하는 문서.

이런 경우, 청사 자체의 행정 및 운영은 소재지 행정구역이 아닌 자신이 관할하는 행정구역의 조례·규칙을 따른다. 가령 울산광역시 울주군청이 남구에 있다는 이유로, 울주군청이 남구의 조례를 따른다면 얼마나 이상하겠는가(...).[1]

과거에는 엄청나게 많았는데, 도농통합 개편과 신청사 이전 건설로 크게 줄어들었다.

2 현재

2.1 기초자치단체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에 위치한다. 옹진군이 여러 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어 청사 위치를 정하기 애매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옹진군의 모든 섬은 인천항으로 통하는데[2], 이러한 행정상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인천 본토에 군청을 세운 것이다. 그리고 북한이 포격을 할 까봐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다. 2017년 청량면으로 이전 예정이다.

2.2 주민센터

구로3동(법정동 구로동)에 위치한다.
시내인 반곡관설동(법정동 관설동)에 위치한다. 이유는 판부면의 3개리가 상호 실질월경지로서 일반적인 교통로를 통한 왕래가 불가능하고, 이 3개리를 포섭할 수 있는 곳이 과거 판부면이었다가 원주시내(1995년 도농통합 이전 구 원주시)에 편입된 관설동 지역이기 때문.
시내인 해신동(법정동 금동)에 위치한다. 이유는 옥도면이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
  •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
주민센터가 분평동에 있다.

2.3 경찰서

  • 대전 동부경찰서
동구 지역을 관할하지만 대덕구 법동에 위치함. 인동에 새 청사를 건설 중이며 완공되면 문평동에 있는 대덕경찰서가 옮겨오게 된다.
  • 서울 금천경찰서
관악구 조원동에 위치. 단 관악구 조원동은 금천경찰서의 관할구역에 포함된다.

2.4 기타

  • 서울 동작세무서
영등포구에 위치(세무서 리모델링시 노량진에 위치해있기도 하였으나 공사 후 다시 복귀), 단 소재지인 영등포구 신길동은 동작세무서 관할이다.
  • 서울 구로세무서
영등포구에 위치
  • 서울 강서세무서
영등포구에 위치, 마곡지구로 이전 예정.
  • 서울 서초세무서
강남구에 위치, 강남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서초세무서 및 역삼세무서와 같은 건물에 있다. 단 관할구역인 서초구 경계에서 300 m 밖에 떨어져있지 않다. 관할구역을 기준으로는 삼성세무서 역시 관할구역 밖에 있다.
  • 서울 강동세무서
풍납동에서 강동구 길동사거리로 이전했다. 관할구역을 기준으로는 송파세무서 역시 관할구역 밖에 있다.
  • 서울 구로세무서
영등포구 문래동에 있다.
  • 서울 동대문세무서 별관
성북구 보문동에 있다. 한때는 이 곳이 동대문세무서였다.
  • 경상북도청 대구청사
구 경북도청 일부에 동해안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부서를 남겨두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길 64에 있음. 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황해도 도청 역할을 하고 있다.
바티칸의 땅이 좁은 관계로 대사관은 이탈리아 로마에 있다.

3 과거

3.1 광역자치단체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원래는 청사의 소재지가 일치 하였으나, 광역시 승격등으로 청사의 소재지가 불일치 하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 - 대구광역시는 본래 경상북도 대구시였기에, 경상북도청이 경상북도 대구시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았으나, 대구시가 경북과 남남이 되면서 남의 지자체에 청사가 위치하게 된 꼴이 되버린 것)

1967년에 서울특별시[3]에서 수원시로 이전.[4]
1983년 부산광역시[5]에서 창원시로 이전. 20년간 셋방살이.
2016년 대구광역시[6]에서 안동시 - 예천군경북도청신도시로 이전. 35년간 셋방살이.
2005년 광주광역시[7]에서 목포시 - 무안군남악신도시로 이전. 19년간 셋방살이.
2013년 대전광역시[8]에서 홍성군 - 예산군내포신도시로 이전. 24년간 셋방살이.

3.2 기초자치단체

  • 1995년 도농통합시 출범 전의 피통합 군청들 및 과거의 군청들
자신의 군에서 분리된 시(행정구역의 역사성과 생활권을 공유하는 시)에 위치한 경우가 많았다.
†은 1995년 도농통합시 출범 이전 폐지되었던 군, ‡는 1995년 도농통합시 출범 당시 통폐합되지 않고 유지된 군, →는 해당 기간 행정구역의 지위 또는 명칭이 바뀐 것을 나타낸다.
2001년 연암동으로 이전(구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1동)
2005년 논공읍으로 이전(구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1동)
2011년 압해읍으로 이전(구 목포시 북교동)
2012년 용진읍으로 이전(구 전주시 인후동2가)
2014년 청주시와 통합으로 폐지되었다. 폐지 전까지도 청주시 북문로1가에 위치하고 있었다.

3.3 기타

2002년 오정동으로 이전(구 원미구 도당동). 2016년에 오정어울마당으로 개칭.[12]
위의 '기초자체단체' 중 도농통합 이전 및 과거에 존재했던 군들의 사례처럼, 일제 당시 부-군으로 도농분리된 지역들이다.
  1. 해외에 위치한 우리나라 대사관의 영내는 주제국 법의 적용이 제외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2. 이런 식으로 옹진~인천항~다시 옹진을 왕복하면 하루가 다 가곤 한다.
  3. 1910년 한성부 폐지 후 경성부가 경기도에 편입, 1947년에 경기도에서 다시 독립.
  4. 20년간 셋방살이. 참고로 경기감영은 조선왕조 내내 한성부 내에 있었다가, 23부제 시행으로 경기감영이 폐지되고 1896년 13도제가 부활하면서 도청이 1910년까지 수원에 있었던 적이 있다.
  5. 1963년에 경상남도에서 독립.
  6. 1981년에 경상북도에서 독립.
  7. 1986년에 전라남도에서 독립.
  8. 1989년에 충청남도에서 독립.
  9. 1914년부터 1936년까지는 부천군청 소재지가 부천군 문학면 관교리 (현 인천광역시 남구 관교동). 1936년에 해당 지역이 인천에 재편입되었다.
  10. 기존 군청은 1969년 신설된 신안군의 군청으로 2011년까지 있었다.
  11. 이름과는 달리, 구 여천시가 아니었음에 유의(구 여천시는 구 여천군의 삼일읍과 쌍봉면이 분리 승격된 것).
  12. '일반구'가 부천에서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13. 덕원군은 1942년 원산부와 문천군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광복 전에 이미 폐지되었으므로 현행 미수복지역(이북 5도) 행정구역으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본 문서의 사례에 일단 해당되므로 함께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