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

1 개요

지명의 경우에는 행정구역의 폐치분합(廢置分合[1]) 및 경계 조정으로 인해 과거와 현재의 행정구역 차이로 인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일부 군 지역의 경우 군의 형태가 도넛 형태[2]라든가, 섬으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진도군이나 울릉군처럼 중심이 되는 큰 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근 도시에서 중심이 될만한 곳에 행정기관이 자리잡고 있는 경우, 또는 학교나 교육청, 경찰서 등의 명칭을 부여할 때 소재지의 지명 대신 인근에 큰 위상을 가지는 지명(인접한 지역에 인지도가 높은 지명이나, 규모가 큰 대도시가 있는 경우)을 갖다 붙였는데, 소재지의 지명 역시 유명해지거나 오히려 역전되어 위치 연상이 어려워진 것들 등등 다양한 이유를 가진다. 또한 지명과 관계 없이 지은 이름이 우연히 실제 지명과 유사하거나 똑같은 경우도 있다. 음은 같지만 한자(漢字)로는 다른 경우도 마찬가지.

예시를 적을 경우는 가나다순으로 작성 바람. 나열된 항목들 중에 억지스러운 것이 많아보여도 그냥 넘어가자.

2 학교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학교 문서로.

3 교통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 문서로.

4 공공기관, 민간시설, 행정

  • 교보문고 강남점은 강남구가 아닌 서초구에 위치한다. 현재는 폐업한 영풍문고 강남점 역시 서초구에 위치했다.
  • 강남종합시장은 서울 강남이 아닌 부천시 원미구 도당동에 있다.
  • 가리봉동 주민센터는 가리봉동에 없다. 구로3동에 있다. (가리봉동 행정구역에서 걸어서 1분거리 에이스하이엔드타워 안에 위치)2008년 가리봉1,2동 통폐합시 뉴타운이 예정 되있어서 이곳에다 두었으나....
  • 개포우성4, 5차와 개포한신아파트는 강남구 개포동이 아니라 도곡동에 있다. 버스 정류장 이름도 도곡동개포한신아파트다.
  • 곤지암리조트는 광주시 곤지암읍이 아니라 도척면에 있다. 원래 도척보다는 곤지암이라는 지명이 훨씬 넘사벽급으로 유명하다. 실촌읍이라는 이름을 곤지암읍으로 고쳤을 정도면.
  • 경기도 광주시 경안동 주민센터와 광주소방서 경안119안전센터는 경안동이 아닌 송정동에 있다. 다만 경안동(법정동) 일부가 송정동 관할이긴 한데[3], 경안동 주민센터와 경안119안전센터는 그 경안동 일부가 아닌 아예 송정동(법정동) 내에 있다. 다만 '경안' 자체가 광주시내(옛 경안면→광주읍)의 별칭이기도 하다. 덤으로 송정동 주민센터 역시 송정동(법정동)이 아닌 탄벌동(법정동)에 있긴 한데, 송정동이 탄벌동을 관할하긴 한다.
  • 공덕 삼성 래미안 1차, 3차, 4차, 5차 아파트는 아현동(행정동)에 위치해 있다. 공덕 현대아파트도 마찬가지.[4] 공덕 삼성 래미안 아파트 3차 옆에는 아현동 주민센터도 있다!
  • 광주광역시 5.18 국립묘지를 흔히 '망월동 묘지'라고 하는데, 사실 망월동이 아니라 운정동, 수곡동에 있다.
  • 광주광역시 서동은 남구에, 남동은 북구에 있다. 다만 북동은 북구에 있다.
  • 광주광역시립 사직도서관은 남구 사직동이 아닌 남구 양림동에 있다.
  • 광주광역시 상무지구의 대부분은 행정동 상무1동 관할도, 상무2동 관할도 아닌 치평동 관할이다. 상무1동과 상무2동은 법정동 쌍촌동에 속해있다.
  • 남양주세무서는 남양주시가 아닌 구리시에 있다.[5]
  • 대구 동구 선거관리위원회는 북구 대현동에 있다. 정확히는 북구 선관위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다.
  • 대구시민들이 칠곡이라고 부르는 지역은 경북 칠곡군에 속하지 않는다.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 지역)[6] 따라서 칠곡초등학교, 칠곡중학교, 칠곡나들목 등 칠곡과 관련된 곳이 칠곡군 외에도 대구 칠곡 지역에 더 많아서 구별하기 위해 대구 칠곡 지역을 칠곡, 칠곡군을 왜관이라고 많이 부른다.[7]
  • 대구 팔달시장은 북구 팔달동이 아닌 노원동과 서구 원대동에 걸쳐 있다. 참고로 수원시에는 팔달문시장이 있다.
  • 대전 대덕연구단지는 대덕구에 없다. (유성구 소재)[8]
  • 대전우편집중국은 대전광역시가 아니라 계룡시 두마면에 있다. 전주우편집중국도 전주시가 아니라 완주군 봉동읍에 있다.
    • 옛날에는 목포우편집중국도 영암군 삼호읍에 있어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에 해당됐으나 영암군에서 이름을 '영암우편집중국'으로 갈아버렸다(...).
  • 대전교육연수원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에 있다.
  • 강남구 대치아파트는 대치동이 아니라 일원동에 있다. 뭐 양재천 하나만 건너면 대치동 학여울역이 나오긴 하다.
  • 등록문화재 제132호 '보성여관'은 보성군에 있긴 하나, 보성읍이 아닌 벌교읍에 있다.
  • 목포교도소는 무안군 일로읍에 있다. 1989년에 목포시 산정동(현, 일신아파트 자리)에서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 부산광역시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중구의 이름은 위치와는 별 상관이 없다. 정확히는 동구, 중구, 서구는 부산의 남쪽 끄트머리에 모여 있으며, 남구는 동구의 동쪽에 붙어 있고, 북구는 나머지와는 완전히 따로 부산의 서북쪽 끝에 떨어져 있다. 부산의 역사가 워낙 파란만장하기 때문.백문이 불여일견.
  • 부산진구에는 부산진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던 부산진성도 없고, 부산진역도, 부산진시장도 없고 모두 동구에 있다. 더 이상한 점은 다른 지역에서 이런 경우 대부분 인구가 늘면서 큰 구가 나눠져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동구는 부산진구에 속했던 구도 아니라는 점.[9]
  • 부산국제우체국은 양산시 동면에 있다.
  • 부산 동래세무서는 동래구가 아닌 연제구에 있다.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三成洞)은 삼성(三星)그룹과 연관 자체가 없으며, 삼성타운은 삼성동이 아닌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해 있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냥 그런 정도이겠지만...정작 삼성동에는 현대자동차그룹 소유의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10] 삼성동 현대타운
  • 서울 강서교육지원청은 양천구 신월동에 있다(사실 강서교육지원청의 관할구역은 강서구 및 양천구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강서수도사업소도 양천구(신정6동)에 있다.
  • 서울 강동교육지원청은 송파구 잠실동에 있다(강서교육지원청과 마찬가지로 강동교육지원청의 관할구역은 강동구 및 송파구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2016년 4월 현재 '강동송파교육지원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서울시 강동구의 중 고덕주공아파트 중 진짜 고덕동에 있는 건 2단지 뿐. 1단지도 고덕동이었지만 헐려서 재건축당했다.
  • 서울 강동세무서는 강동구 옆 동네 송파구에 있고(몇 년전 강동세무서는 강동구 내 길동사거 근처로 위치를 옮겼다), 반포세무서는 반포동이 아닌 방배동에 있다. 삼성세무서와 서초세무서는 강남구 역삼동에 있다. 심지어 역삼세무서와 함께 3개의 세무서가 한 건물에 입주해 있다.
  • 서울 강서세무서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에 있다. 구로세무서도 마찬가지로 영등포구 문래동에 있다. 참고로 구로세무서 바로 옆 건물은 영등포등기소다(…). 동작세무서는 구 경계가 되는 대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동작구가 아닌 영등포구 신길동에 있다. 영등포세무서는 영등포구청 옆에 잘있으니 걱정말자.[11]
  • 서울강서경찰서 임시청사는 강서구에 없고 양천구 신월동에 있다.
  • 서울 노원세무서는 서울시 도봉구 창동에 있다. 도봉세무서는 강북구 미아동에 있다. 사실 강북세무서는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으며 강북구 전체는 도봉세무서 관할이다.[12][13]
  • 서울금천경찰서는 금천구가 아닌 관악구에 있다. 사실 이 동네 공공기관 명칭이 완전히 뒤죽박죽인데, 고용노동부 관악고용노동지청과 관악고용센터는 구로구에 위치해 있고(구로디지털단지 내 위치), KT 구로지사는 관악구에 위치해 있으며(구로디지털단지역 인근 조원동 위치), 관세청 구로세관은 금천구에 위치하고 있다.(가산디지털단지 내 위치) 국세청 금천세무서도 관악구에 위치해 있다...(신원동 난곡터널 입구 위치)과거에는국세청 금천세무서 관악별관이었으나 금천세무서에서 분리되어 관악세무서로 발족하였다. 이게 뭐야 몰라 무서워 금천구가 뒤늦게 구로구에서 분구한 점, 구로디지털 근처 옛 신림동 지역도 일종의 구로, 금천으로 인식하는 것 때문
  • 서울 성북교육지원청은 강북구 미아동에 있다. 다만 성북교육지원청의 관할구역은 성북구 및 강북구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근로청소년회관과 근로미혼여성 임대아파트는 서울특별시가 아닌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에 있다. 광명시/서울 편입 문제 문서에 언급된 것처럼 서울시가 당시 시흥군 소하읍 철산리, 하안리 일대에 구로공단(현 구로디지털단지, 가산디지털단지) 근로자를 위한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기획했으나[14] 이 지역의 서울 편입이 무산되어 1981년에 광명시로 승격되자 지금과 같이 축소된 것.
  • 서울 동대문구에는 동대문이 없다. 원래는 동대문이 실제로 동대문구 관할이었으나, 1975년 동대문구 창신동, 숭인동이 종로구로 편입되면서 동대문 역시 종로구에 속하게 되었다.
  • 마찬가지로 서대문구에도 서대문(돈의문)이 없다. 서대문 역시 원래는 실제로 서대문구 관할이었으나, 1975년 서대문 인근의 정동, 의주로동, 충정로1가 등이 종로구, 중구 등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서대문(터)는 중구에 속하게 되었다.
  • 서울대공원서울랜드는 경기도 과천시에 있다.[15][16]
  • 서울 도봉운전면허시험장은 도봉구가 아닌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하고 있다. 본래는 도봉구 상계동이던 것이 노원구로 분구되면서 생긴 일이다.
  • 서울 목동아파트 8~14단지는 목동이 아닌 신정동에 있다.
  • 서울 양천향교는 양천구에 없다. 서울 지하철 9호선 양천향교역도 마찬가지(강서구 가양동). 다만 강서구와 양천구는 모두 조선시대 양천현 관할이었고, 양천향교가 있는 가양동이 바로 양천현의 관아가 있던 곳이다.
  • 서울 월드컵 경기장은 '상암 구장' 혹은 '상암 월드컵 경기장'이라고 불리지만 상암동이 아니라 성산동에 있다(월드컵경기장역의 부역명이 '성산'이다).
  • 서울 가양역이 아닌 증미역 인근에 우리은행 가양지점이 있었다. 가양역 인근에는 가양지점이 있다! 뭐야 이거 2014년 9월 22일에 증미역지점으로 제 이름을 찾았다.
  •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서울남부지방법원보다 남쪽에 있고, 서울남부지방법원은 서울서부지방법원보다 서쪽에 있다.[17]
  • 서울지방교정청은 경기도 과천시에 있다. 서울구치소와 똑같은 사례. 참고로 여기는 2006년 2월에 안양으로 갔다가 2014년 3월에 과천 정부종합청사로 다시 옮겼다.
  • 서울특별시 성동구치소는 성동구가 아니라 한강을 넘어 송파구에 있다. 1963년부터 1975년까지는 성동구, 광진구뿐만 아니라 한강 넘어 강동구,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 일부(1973~1975)까지 모두 성동구 관할이었기 때문.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강동중학교(현 송파중학교)는 성동구치소 옆에 있다(…). 또한 서울구치소는 서울에 있는 것이 아니라 경기도 의왕시에 있다. 1987년을 전후해 이전.[18]
  • 세종텔레콤(구, 온세텔레콤) IDC 분당센터가 위치해 있는 곳은 성남시 분당구가 아니라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이다. 경부고속도로 동쪽에 있는데 이상하게 동천동이다. 참고로 수지구분당구는 생활권이 인접해서 그런지 '~수지점'이라고 되어있는데 분당구에 있거나, '~분당점'이라고 되어있는데 수지구에 있는 경우도 많다.
  • 오산공군기지경기도 오산시에 없고, 경기도 평택시에 있다.
  • 용평리조트는 평창군 용평면이 아닌 대관령면에 있다. 물론 여기[19]에도 없다
  • 인천광역시 중구의 북쪽에는 동구가 있고, 동쪽에는 남구가 있다. 동구의 북쪽에는 서구가 있다.(구청 기준으로는 동구보다 서구가 더 동쪽에 있다) 동인천역은 중구에 있다. 상인천 초등학교,중학교,여자중학교는 상인천[20]에 없다. 전부 남동구에 존재. 동인천 중학교,고등학교 또한 남동구에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유는 인천광역시/지명 참고.
  • 수원시 영통구 광교 주민센터는 광교에도 광교에도 없고, 행정동 광교동은 이 두 동네를 관할구역으로 삼지도 않는다(게다가 이 두 동네는 다 장안구에 있는 법정동이다). 광교동의 관할구역상 법정동은 이의동하동. 광교신도시, 광교호수공원 등은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 하광교동(법정동)과 무관하며, 광교저수지[21]광교신도시 영역인 수원시 영통구 광교동(행정동)에 위치한 광교호수공원에 속해있지 않다. 심지어, 광교호수공원 전역은 수원시 영통구 하동(광교2동) 관할지역으로 원천호수는 원천동과도 무관하다.[22]
  • 과거 용인시 수지읍 상현민원중계소는 성복리에 있었으며, 2001년 수지읍을 분동할 당시에도 2003년까지 그 자리에 있었다. 성복동 분동 이후 2009년까지 성복동 주민센터가 위치해 있다가 현재는 롯데몰 건설로 인해 기존 건물은 철거 예정.
  • 신안교육지원청은 신안군에 없다. (전라남도 목포시.)[23]
  • 아현 1정비구역으로 지정해 놓은 지역은 공덕동(행정동) 지역이다. 마찬가지로 현재 지어지고 있는 아현 아이파크는 공덕동에 있다.[24]
  • 대구 북구/동구 선거관리위원회의 경우와 비슷한 경우이지만, 안양시 만안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안시 동안구에 있다.[25] 부천시 오정구 선거관리위원회도 안양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미구 상3동에 있는 원미구 선거관리위원회와 같은 건물에 있다.[26]
  • 용인시의 롯데마트 수지점은 수지구청이 바로 옆에 있긴 하지만 기흥구 보정동이 주소지다. 다만 성복역에 롯데마트가 들어가게 되면 바뀔 가능성이 있다.
  • 인천광역시 부평구만을 관할구역으로 하는 교육지원청의 이름은 뜬금없이 북부교육지원청이다. 부평구와 계양구가 분구되기 전의 행정구역이 북구였다. 더불어 계양구는 부평구의 북쪽에 있다.[27]
  • 인천 옹진군청은 옹진군에 없고 인천 남구에 있다. 그리고 옹진군은 지명 유래상으로도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에 속한다. 지명유래 단락 참고.
  • 울산 울주군청은 울산 남구에 있다.
  • 유명한 대학입시 학원들
  • 창원시 성산아트홀은 의창구 용지동에 있다. 행정구역 명칭인 성산구와의 관계는 없으나 "성산"이라는 것이 창원읍성에서 따온 명칭인 점은 확실하다.
  • 창원시 성산구의 대규모 아파트단지인 토월성원아파트,토월대동아파트는 토월동이 아닌 성산구 상남동에 있다. 토월동은 행정동인 성산구 사파동의 법정동 중 하나. 참고로 상남동은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다만, 이 두 아파트단지가 토월동과 꽤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있긴 하다.
  • 천주교 광교2동성당은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다. 광교동에 광교1동 성당이 생기고 개칭한 것으로 보인다. 근데 상현1동에 광교2동 성당이 있는건 조금 이상하긴 하다.
  • 천주교 염주동성당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2동 염주마을이 아닌 쌍촌동 화정초교 맞은편에 있는데 염주마을 근처에는 화정3동성당이 있다. 그 이유는 화정3동 관할인 e-편한세상 옆에 있기 때문이다. 개칭 전에는 염주제준...
  • 천주교 본촌동성당은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동에 있다. 그 이유는 임시성전 당시 본촌동에 있었기 때문이다.
  • 청남대(靑南臺)는 대학교가 아니라,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에 위치한 대통령이 전용으로 사용했던 별장이다. 청와대의 남쪽에 있다 하여 명명되었다.
  • 화성동부경찰서는 오산시에 위치해 있으며, 관할 구역은 화성시 동부 지역(동탄, 병점 등)과 오산시 전역이다. 다만 동탄 지역에 화성동탄경찰서가 2017년 신설됨에 따라 오산경찰서로 이름이 바뀌게 된다.이름 환원
  •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동발전은 중부지방과 남동임해공업지역에만 발전소가 있을 것 같지만, 한국중부발전은 남부지방인 제주도에도 발전소가 있으며, 한국남동발전은 중부지방인 인천에도 발전소가 있다.
  • 전주 중앙시장은 완산구 중앙동이 아닌 완산구 태평동에 있다.
  • 현대자동차 전주 출고장은 전주시가 아닌 완주군 봉동읍에 있다.하지만 전주완주가 통합된다면 진짜로 전주시에 위치해 있을수도 있다.
  • 전주시 덕진구에 위치한 조촌동 주민센터는 조촌동이 아닌 반월동에 위치해있다.
  • 서초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서초구가 아닌 강남구 논현동에 있다강남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역삼동에 있다
  • 서울남부교육지원청은 서울 정남쪽에 해당돼는 동작구관악구가 아닌 영등포구 문래동에 있다[29]관할구역인 금천구 서울 최남단이라서 남부인건가...
  • 서울 대방동 성당은 동작구 대방동이 아닌 영등포구 신길동에 위치하고 있다대방동과 길하나만 건너면 돼며 관할구역 이기도 하다

5 지형지물, 지명유래, 기타

  • 가평군 조종면의 옛 이름인 하면(下面)은 상면(上面)보다 윗쪽에 있다. 두 면에 걸쳐 조종천이 흐르는데, 하면이 상류 지역이다.[30] 이에 대해서는 하면이 강가에 있어 저지대이기 때문에, 하면이 서울에서 더 멀기 때문에 등 여러 설이 있다.
  • 계룡산계룡시가 아닌 공주시에 있다. 정확히 말하면 계룡산 자락을 두고 두 시가 붙어있지만 계룡시 측 계룡산은 계룡대가 들어앉아있기 때문에 못 올라간다.[31] 참고로 공주시에는 계룡면도 있다.[32]
  • 경상남도에 있는 고성반도는 이름과 달리 영역 대부분이 통영시에 속해 있다. 원래 역사적으로 통영시는 고성군의 일부였다가, 구한말에 진남군으로 분리되고 이후 용남군, 통영군/충무시를 거쳐 현재의 통영시가 된 것.
  • 경상북도 상주시 동문동(東門洞)은 서문동(西門洞)을 포함하고 있다.
  • 광양사거리는 광양시에 없고, 대신 제주시에 있다. 실제로 제주시청 일대를 광양이라고 부른다.[33]광양시청 일대를 제주라고 부르면 맞트레이드
  • 금천구에 위치한 말뫼고개는 스웨덴의 도시인 말뫼와는 관련이 없다. 고개의 지세가 마치 말의 머리나 말의 꼬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말머리고개, 말미고개라고 불렸던 것이 지금의 명칭이 된 것.
  • 김천시 남면은 이름과는 달리 김천시 정 동쪽에 위치한다. 그냥 동쪽도 아니고 최동단이다. 동지역을 기준으로 하지않고 그냥 김천시 전체로 봐도 동쪽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현제 김천 중심지역을 기준으로 지어진 지명이 아니라, 예전 김천시 지역에 있었던 행정구역인 개령군(또는 개령현)의 중심지인 현재 개령면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지어진 지명이기 때문이다. 개령면을 기준으로 보면 동남쪽에 남면이 위치해있다.
  • 낙성대는 대학이 아니다.
  • 남양주시 퇴계원면은 퇴계 이황과는 관계없다. 예종이 선왕인 세조의 능(광릉)을 참배하려고 행차하는데 교통이 불편하므로 하천바닥으로 길을 만들기 위하여 당시의 하천을 바깥쪽으로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그런데 예종의 본명은 이황이므로 결국 '이황'과 관계가 있다?
  • 논산시 강경읍 채운리는 채운면이 아닌 강경읍에 있다. 원래 채운면이었으나 1931년 강경읍에 편입된 것.
  • 먹골배의 이름의 유래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墨洞)이지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외곽의 경기도 남양주시로 재배지가 밀려나 현재는 남양주시에서 생산된다.
  • 보라매공원관악구 보라매동이 아니라 부지 대부분이 동작구 신대방동에 있다. 사실 보라매공원의 명칭은 보라매동에서 따온 것이 아니라 과거 이 자리에 있었던 공군사관학교의 상징 보라매에서 따온 것이다.
  •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土城) 및 금정구 금성동(金城),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金城), 대구광역시 수성구 및 수성동(壽城), 경기도 화성시(華城), 광양시 광양읍 목성리(木城),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天旺) 는 토성(土星), 금성(金星), 수성(水星), 화성(火星), 목성(木星), 천왕성(天王星)에 없다.
  • 부천이란 지명은 1914년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 당시 인천부[34]와 부평군을 통합하면서 부평의 '부(富)'와 인천의 '천(川)'을 따서 새로 지은 명칭이다(富川). 그런데 정작 오늘날에는 인천광역시부천시, 부평구부천시가 서로 별개의 행정구역으로 존재한다는 게 아이러니. 오해의 소지도 있는데, '부평의 부+인천의 천'인 줄 모르는 사람들이 한자 뜻으로만 보아 '부유한 내'라든지, '하천이 많아서 부천이라 불리는구나' 등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부천에는 시가지 개발과 함께 대부분 복개되어 하천이 거의 없다.
  • 부천시 소사동은 소사구가 아닌 원미구에 있다. 소사구에는 소사동이 있다.[35]
  • 육군 학군단 권역은 일반적인 행정구역 구성과 다르다.[36]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울산대가 대구경북권역이고, 천안에 소재한 대학이 경기남부권역이다. 심지어, 용인시 최북단 대학 단국대가 경기남부권역에 있고 단국대보다 남쪽에 있는 강남대가 경기북부권역이다. 후보생들도 자기 권역을 헷갈려한다.
  •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대는 원래 대부분 부평 지역에 속하긴 했으나 중심지가 아니었었다. 경인선 개통과 일제강점기 이후로는 완전히 중심지가 현 부평구 일대로 넘어왔다. 과거 부평도호부가 들어섰던 부평의 일제강점기 이전 중심지는 계양구 계산동이었다.
  • 부안군(扶安)과 인접한 고창군 부안면(富安)은 관련이 없다.[37]
  • 북한산(北漢山)은 서울특별시고양시에 걸쳐 있는 산이며, 북한(北韓)과는 아무 상관 없다. 북한산성(北漢山城)도 마찬가지. 남한산(南漢山)과 남한산성(南漢山城)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에 위치해 있는 산과 산성인데, 이쪽도 남한(南韓)과는 전혀 관련 없다. 북한(北漢), 남한(南漢)이란 이름은 한수(한강)의 북쪽, 남쪽에 있는 산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38]
  • 삽교호는 예산군 삽교읍이 아닌 아산시당진시 사이에 결쳐있다. 삽교읍이 아닌 삽교천에서 따온 명칭.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의 뚝섬이라 불리는 지역은 섬이 아니다. 예전에는 홍수가 날 때마다 중랑천 물이 송정동 부근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 한강으로 흘러 들어가서 성수동 일대가 일시적으로 섬이 됐는데, 지금은 제방공사를 해서 완전히 육지가 됐다.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의 대림(大林)은 커다란 삼림지대와 전혀 무관하고, 단지 신방동과 신도동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붙인 지명이다. 오히려 지금의 대림동 일대는 원래는 도림천변 풀밭 및 목장지대였다고 한다. 동네 이름도 원래는 원지목리(遠芝牧里)였다.
  •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남산부산 도시철도 1호선 남산역,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남산역, 강원선 남산역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또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남산정역하고도 관련이 없다.
  • 석촌호수석촌동이 아닌 잠실동(잠실3동, 서호)과 신천동(잠실6동, 동호)에 있다.[39]
  • 설악산의 울산바위는 울산광역시에 없다. 다만 전설에 따르면 울산에서 올라온 바위가 설악산에 자리를 잡아 울산바위가 되었다고 하므로, 울산광역시와 관련이 있긴 하다. 울산댁 물론 진짜 울산에서 왔을 리는 없다.
  • 수색비행장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다.[40]
  • 수원시의 역사적 위치는 현 화성시에 해당하는 지금의 융건릉 자리이다(수원화성 축조 이전까지). 실제로 화성에 수원고읍성이 있다. 반대로 화성시 명칭의 기원은 당연히 수원시 팔달구수원화성. 애초에 같은 지역에서 분화된 것이지만 명칭의 연원은 서로 바뀐 셈이다.
  • 수원시 장안동은 장안구가 아닌 팔달구에 있다.[41]
  • 순천시 서면은 순천시+승주군의 도농통합시 출범 이후 현재 순천시의 서부가 아닌 동북부에 있다. 순천시의 시내 권역으로 보더라도 서면은 순천시내로 진출입하는 북서쪽 관문에 해당하지 완벽하게 서쪽에 해당하지는 않는다. 이곳이 어째서 서면으로 명명된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 민간어원설 중에 하나로 광양현의 서쪽에 있어서 서면이였는데, 정유재란 이후 서면을 순천부에 편입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름을 '동면'이나 다른 이름으로 바꾸지 않고 쭉 서면이란 이름을 계승하다 보니 이렇게 된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정확하지 않다.
  • 시흥동이라는 지명을 가지고 있는 곳은 두 곳이 있지만 둘 다 시흥시에 없다. 한 곳은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이고 나머지 한곳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이다.(한자도 '始興'으로 똑같다.) 게다가 지금의 시흥시는 구한말까지는 원래의 시흥군(시흥현)과 전혀 연관이 없는 지역이다. 다만 시흥시금천구 시흥동이라는 이름은 같은 연원을 두고 있는 것은 맞다. 자세한 내용은 시흥군 항목과 시흥시 항목 참조.
  • 시흥시에 있는 오이도이 아니다.[42]
  • 안산(鞍山)이라는 산은 서울 서대문구에 있으며, 안산(安山)시와는 전혀 관계 없다.
  • 양주시 남면은 이름과는 달리 양주시의 북쪽에 있다. 위의 순천시 서면의 사례와 유사하다. 원래 옛 적성군의 남쪽이라 하여 남면이라 명명된 것이고, 1914년 적성군이 연천군에 병합되어 연천군 남면이 되었다. 이후 1945년 해방과 함께 38선으로 인해 연천군의 38선 이남 지역인 적성면, 남면 등이 파주군에 편입되고, 이듬해인 1946년 남면이 다시 양주군에 편입된 이래 면 이름을 바꾸지 않고 현재에 이르게 된 것.
  • 연천군 신서면 역시 명칭과는 달리 연천군의 서쪽이 아닌 북쪽에 있다. 원래 철원군 관할이었다가 1963년 편입된 곳이다.
  • 영동군(永同)은 강원도 영동(嶺東)과 무관하다.(충청북도 소재)
  • 오산 공군기지(오산비행장)는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에 있다. 그래도 평택시 중에서 오산과 가깝긴 하다 미군 측에서 비행장 소재지 행정구역인 평택(Pyeongtaek)이나 인근의 구 송탄(Songtan)보다 로마자 철자가 간단한 오산(Osan)을 채택했기 때문.
  •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일부 아파트 단지는 광교신도시에 속해있지 않으면서도 이름 앞에 광교라고 써 붙여져 있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는, 광교신도시에 속하지 않았으면서 광교신도시 택지지구에 있는 마을 이름인 광교마을이라고 써 붙여진 아파트도 있다. 근데 한쪽은 광교마을보다 광교산에서 더 가깝다는게 함정.[43] 막상 그 광교마을도 수원시 상광교동, 하광교동, 광교1동, 광교2동 중 어느곳에도 속해있지 않다.
  • 인천 남구 관교동은 예전의(부천군 문학면 시절) 관교리에 있지 않다. 지금의 관교동은 오히려 승기리 지역에 가까우며, 관교리는 지금의 문학동 북부에 해당된다.
  • 인천 옹진군옹진반도에서 유래했으나 현재 관할 지역에 옹진반도가 없다. 남북 분단과 관련이 깊은 지명이다. 옹진군(인천) 문서 참고. 그리고 옹진군청의 위치도 문제인데 공공기관 단락 참조.
  • 지리산 청학동마을은 실제 청학동이 아니라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다.
  • 진주시 하대동은 상대동보다 위에 있다.
  • 천안시 북면은 천안시의 북쪽이 아닌 동쪽에 있다. 이는 조선시대에 목천현의 북쪽이라 북면이라 한 것을 부군면 통폐합 이후에도 그대로 썼기 때문이다.
  • 철원군 서면도 명칭과는 달리 철원군의 서쪽이 아닌 중앙부에 있다. 원래 김화군 서쪽이었다가 남북으로 분단되고, 1963년에 남한의 김화군을 철원군에 임시로 붙여 놓았기 때문이다. 정작 철원군의 서쪽이던 신서면은 같은 해 연천군으로 넘어갔다. 통일되면 원래의 뜻대로 복구될 수도 있다
  • 청도군은 바로 남쪽에 있는 밀양시 청도면과 한자가 같지만(淸道), 청도군이 아닌 밀양시에 있다. 실제로 밀양시 청도면의 '청도'는 청도군에서 따온 이름이 맞는데, 구한말까지 청도군 외서면이었다가 1912년 밀양군에 편입하면서 원래 소속 고을의 이름인 '청도'를 따 면명을 개칭한 것이기 때문이다.
  • 충청남도 당진시 행정동(杏亭洞)행정동(行政洞)이 아니고 법정동이다.
  • 충청남,북도는 명칭과는 달리 남북이 아닌 동서로 나뉘어 있다(서쪽이 충청남도, 동쪽이 충청북도). 실제로 충청북도의 옥천군이나 영동군은 충청남도 아산시천안시보다 훨씬 남쪽에 있으며, 충청남도청이 홍성으로 이전함에 따라 청주의 충청북도청보다 약간 북쪽에 위치하게 되었다. 아산시 북쪽에는 경기도 평택시가 있으며 영동군 서쪽에는 충청남도 금산군이, 영동군 남쪽에는 전라북도 무주군이 있다. 동서로 나뉘었음에도 남북이라 명명된 이유는, 양 도의 영역 자체가 아닌 양 도의 중심 도시(구한말 당시)의 위치를 기준으로 했기 때문이다(충주 : 북쪽, 강경 : 남쪽).
  • 전국 곳곳에 있는 서울치과, 나주곰탕, 목포홍어, 홍천뚝배기, 대구식당, 양평해장국, 설악추어탕, 전주식당 등등.
  • 프랜차이즈 카페편의점, 제과점, 레스토랑 등의 점포 명칭. 한 동네에 한 종류의 가맹점이 하나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신촌, 세종로 등 번화가에 매장이 여러 개씩 들어서거나, 본점에서 돈독이 올라 여기저기 가맹점을 살포하면 점포 명칭을 정하는데 애로사항이 꽃피는데, 예를들어 신촌, 이대에만 10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는 별다방의 경우도 신촌'대로'점, 신촌'명물거리'점, '연대'점, 신촌'아트레온'점, 이대점, 이대'ECC'점 등 끌어올수 있는 명칭은 눈물겨울만큼 죄다 끌어다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일례로 아웃백의 경우 연세대학교 앞에 위치한 점포가 신촌점을 먼저 가져간 덕분에 2호선 신촌역 앞에 있는 점포의 명칭은 엉뚱하게도 이대점이다. 매장망이 좀 더 촘촘한 편의점 등은 더 심각하여, XX점, XX중앙점, XX제일점, XX역점, XX으뜸점, XX2호점, 신XX점 등이 뒤엉켜서 명칭만 가지고는 위치 연상이 도저히 불가능할 정도인 곳들이 많다. 예를 들면 XX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XX역점이 있었는데, XX역 바로 앞에 신XX점이 생기고, 동네 한 쪽 구석에 XX중앙점이 생겨서 XX역점은 XX역 바로 옆에 없고,, XX중앙점은 XX동 중심지에 있지 않은 등등 총신대입구(이수)역스러운 사태들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래서 그런 프랜차이즈 카페 점포로는 웬만하면 길 찾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XX은행 XX지점과 같은 형식이 더 정확하다. 단, 여기에는 예외도 있어서 특히 은행 지점들이 밀집한 강남이나 서울 도심 등 주요 거점지역은 이것마저도 주의해야 한다. 이를테면 국민은행 역삼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역삼역지점이 아닌 스타타워지점이다.
  • 파주시 법원읍에는 법원이 없다[44]. 한자도 똑같다(法院). 법원읍의 '법원'이란 지명은 일제강점기 때 '법의리'와 '원기리'라는 두 마을을 통합하면서 각 앞글자를 따 새로 지은 이름.
  • 울주군 온양읍 발리는 인도네시아 발리 섬과 관련이 없다.[45]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2, 3동 일대를 신창동(新+창동, 新倉洞)이라고 관습적으로 부르는데,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지명이다.[46] 참고로 용산구에 법정동 신창동(新倉洞)이 있다(행정동 원효로2동 관할).
  • 가곡 '동무생각'에 나오는 청라언덕은 청라가 아닌 대구에 있다.
  • 금산사충청남도 금산군이 아닌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에 위치해 있다.

6 대도시 주변의 혐오시설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대도시에서 운영하는 각종 기피시설이나 혐오시설들이 주변 지역인 경기도경상남도 등에 위치해 있다.[47] 이러한 각종 혐오시설로 인해 해당 지역 주민들은 각종 불편을 호소하고 있으며, 각종 분쟁의 씨앗이 되고 있다.
image_readmed_2011_232987_1302634814403921.jpg

특히 서울시립묘지, 서울시립승화원(화장터)[48], 서울시립난지물재생센터(하수/분뇨처리장), 마포구 폐기물처리시설등이 밀집한 고양시는 행정대집행 절차를 통해 일부 시설물을 철거하려 하는 등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20120405023909194.jpg

  • 관련 기사

고양시-서울시 기피시설 마찰 갈수록 확대
고양시 서울시 기피시설 강제철거
서울 쓰레기를 경기도에 버려?

사실 경기도 고양의 서울인접 지역에 서울시 관할 혐오시설이 여럿 들어선 데는 영 좋지 않은 역사가 있다. 서울특별시/역사 참조.

7 외국

  • 그린란드는 얼음으로 뒤덮여서 하얗다. 아이슬란드 출신 바이킹인 붉은 에이리크가 처음 이 땅에 밟았을때 붙여준 이름인데 실제로 풀밭이어서 그랬는지, 아니면 '이 땅이 푸르러졌으면' 하는 희망사항이었는지는 전승에서도 오락가락한다. 다만 수도 누크의 경우 얼음대지가 아닌건 맞다.
  • 뉴멕시코 주는 이름과 달리 멕시코가 아닌 미국에 있다. 다만 어원은 새로운 멕시코라는 의미에서 가져온 것이니 반쯤은 맞다고 할 수 있는데 미국과 캐나다에 있는 뉴(New)어쩌구 지명은 대부분 과거 자신들이 살았단 고향, 고국에서 가져온 이름이 많기 때문.[49]
  • 도미니카 연방연방 국가가 아니다. Commonwealth를 연방이라고 번역하는 습관도 있고 영연방(Commonwealth of Nations) 회원국이라서 도미니카 연방이라고 불리고 있다.[50][51]
  • 도쿄 게임쇼는 도쿄에서 안 열린다. 도쿄 모터쇼도 1989년 이후 20년간 치바현에서 열렸으나 현재는 다시 도쿄로 돌아갔다. 대신 도쿄 오토살롱이 치바현 마쿠하리 멧세에서 열린다.
  • 도쿄도 고토 구(江東区)는 아라카와 강의 동쪽이 아니라 서쪽에 있다. 여기서 강(江)은 아라카와가 아니라 아라카와의 지류 스미다 강이기 때문[52]. 참고로 고토구의 설치는 1947년, 구 아라카와 강이 스미다 강이 된 것은 1965년이다.
  • 미국 중서부(Midwest)는 지리적으로는 중부 서쪽이 아니라 중앙에서 동북쪽이다. 대표 주가 일리노이, 위스콘신, 미시간, 오하이오 등이다. 미국 건국 당시 지리적 분류의 흔적이다.
  • 방콕은 현지에서는 방콕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현지 명칭은 끄룽 텝. 마하나콘 아몬 라따나꼬신 마힌타라 유타야...
  • 밴쿠버 섬에는 밴쿠버가 소재하고 있지 않다.
  • 북예멘남예멘은 /모양을 경계로 해서 동서로 나뉘어져 있었다. 서쪽이 북예멘, 동쪽이 남예멘.동예멘과 서예멘
  • 신치토세 국제공항이 있는 치토세 시의 옆동네인 기타히로시마 시는 히로시마 현이 아닌 홋카이도에 있다.
  • 아르헨티나의 국가명 의미는 은의 나라라는 뜻이지만 실제로 아르헨티나에는 은이 그렇게 많지 않다.
  • 아이슬란드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북극권이고, 빙하도 있지만 섬 전체가 화산지대이다.
  • 이시카와역은 아오모리히로사키시에 있다. 이름과 달리 이시카와현에는 이시카와역이 없다.
  • 오키나와 현 야에야마 제도에 있는 다케토미 정[55]의 사무소는 다케토미 정에 없다. 때문에 행정업무를 보려면 배타고 이시가키 시까지 가야한다. 이는 가고시마 현 가고시마 시에 있는 같은 현의 도시마 촌과 미시마 촌, 한국의 인천광역시 옹진군(남구 소재.)도 마찬가지.
  • 뉴기니 섬파푸아뉴기니는 사실 기니와 상관이 없다. 그저 피부색 어두운 사람이 있다 하여 위에 있는 뉴~어쩌구와 비슷한 의미로 붙인 이름이다. 나중에서야 국명으로 이쪽 원주민을 가리키는 단어인 파푸아가 붙었다.
  • 칭하이(靑海) 성은 바다에서 한참 떨어진 내륙에 있다.
  • 카보베르데는 '베르데 곶 (녹색의 곶)'이라는 의미지만, 애초에 곶이 있을 수 없는 섬나라이다. 실제 지명인 베르데 곶은 건너편인 세네갈에 있다.
  • 캔자스 시티는 캔자스 주와 미주리 주 경계에 걸쳐져 있지만, 실제로 더 인구가 많은 쪽은 미주리 쪽이다.
  • 영화 '퐁뇌프의 연인들'로 유명한 퐁뇌프 다리는 프랑스어로 '새로운 다리'라는 뜻인데, 역설적이게도 퐁뇌프 다리가 센 강을 지나는 다리 중 제일 오래된 다리다.
  • 페루의 도시 중 하나인 찬차마요는 마요네즈와는 아무 관련 없다. 마요네즈를 마요(참치마요 등)로 줄여 부르면서 생긴 일.
  • 제트추진연구소는 제트엔진을 연구하는 곳이 아니다. 초창기에 창립멤버들이 로켓이란 이름이 너무 양판소스럽다고 제트추진이라는 이름을 썼고, 지금은 외행성 탐사선 등의 우주선을 제작하고 있다.

8 스포츠

팀의 지명 이름과 홈구장의 위치와 주소가 다른 팀도 많이 있다. 대부분은 홈구장을 연고지에서 못 구하고 근처 지역에 확보하는 경우이다.

  • 우루과이 프로축구 1부리그
    • 리버풀 FC (Liverpool Fútbol Club) - 리버풀 FC (Liverpool Football Club)가 아니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 위치한 프로축구 클럽인데, 당시 몬테비데오와 무역 관계가 활발했던 리버풀 항구에서 팀 이름을 따왔다.[60]
  1. 폐지, 설치, 분할, 통합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2014년 7월 1일에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해서 지금은 아니다.
  3. 법정동 상 경안동과 송정동의 경계가 옛 목현천 선형을 따라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따라서 행정동 경안동 영역에도 법정동 송정동이 일부 걸쳐 있다), 행정동 상 경안동과 송정동의 경계는 현재의 목현천 선형을 따라 명확하게 설정해 놓았다.
  4. 마포구 행정구역 개편전에 공덕동에 있었으나 7년전 즈음(아는 위키러는 정확한 연도를 찾아서 수정바람) 행정구역 개편으로 아현동에 위치해 있다. 단 법정동은 공덕동인 상태.
  5. 사실 애당초 1980년 남양주군 출범 당시에는 남양주군 구리읍이었으니 연관이 없지는 않다. 나중에 남양주군과 미금시가 통합될 당시 구리시는 여기서 빠지면서(...) 지금의 상태가 되었다.
  6. 원래 경북 칠곡군 칠곡읍 지역으로 1981년에 대구 북구로 편입되었다. 경북 칠곡군은 오히려 왜관으로 불리는데 과거 칠곡군의 중심지가 왜관읍이었기 때문이다. 칠곡 문서 참조.
  7. 다만 칠곡고등학교는 칠곡군 지천면에 있다.
  8. 설립 당시 충청남도 대덕군에 있어서 이런 명칭이 붙었다. 참고로 대덕군은 1940년, 1963년, 1983년에 순차적으로 일부가 대전시로 편입되다가 1989년에는 대덕군 전체가 출범하는 대전직할시에 흡수되어 사라졌다. 지금의 대덕구는 과거 대덕군 신탄진읍과 회덕면의 영역에 해당하며, 대덕연구단지가 있는 곳은 대덕군 탄동면이었던 곳이다.
  9. 1957년 구(행정구역) 설치 시 같이 만들어졌다. 동구를 부산진구로 바꾸고 부산진구는 서면구로 바꿔야 합니다.
  10. 정확히는 한국전력공사 부지를 두고 삼성과 현대가 경쟁을 했다가 현대가 인수해 간 것이다. 항목 참조.
  11. 원래는 구로세무서와 붙어있다가 이전했다.
  12. 사실 도봉구가 분구되며 강북구가 생긴것이라 도봉세무서가 생길 당시에는 도봉구 관할이 맞았다. 분구되며 세무서가 2개일 필요가 없어 굳이 강북세무서를 만들지 않았다. 이름이라도 바꾸던가
  13. 노원세무서는 1999년 10월 도봉세무서에 합쳐졌다가 2004년 4월에 다시 분리되었다. 창동 전체는 합병 이전이나 재분리 이후나 변함없이 도봉구 소속임에도 도봉세무서가 아닌 노원세무서 관할이다.
  14. 예전에 서울시 도시계획에 속했던 과천시에 서울대공원이 조성된 것처럼 광명시 북부지역도 당시에는 서울시 도시계획 구역에 속했다.
  15. 서울대공원의 운영은 서울시에서 한다. 동물 사육사등의 직원도 서울시의 계약직 공무원이다. 한편 서울랜드는 서울대공원의 부속 시설로서 민간기업에서 임대 운영한다.
  16. 서울대공원의 경우 당시 과천시가 서울시 도시계획 구역에 속해있었기에 서울시가 과천시(당시 시흥군 과천면)으로 이전한 것이다.
  17. 서소문에 있던 중앙법원이 1989년에 서초동으로 내려오면서 꼬이게 되었다. 참고로 서울남부지방법원의 전신은 서울지방법원 영등포지원인데, 당시에는 양천구 신정동 일대가 영등포 관할인데다 처음에 문래동에 영등포지원이 있었다.
  18. 참고로 이전하기 전의 서울구치소와 그 주변은 현재 서대문형무소역사관서대문독립공원으로 탈바꿈하였다.
  19. 요덕 수용소의 별칭이 용평 완전통제구역(...)
  20. 지금은 동인천이라 불리는 지역
  21. 하광교동에 있으며, 광교호수공원과는 관계없는 호수다.
  22. 무관하다고 보기는 약간 애매한게, 호수공원 바로 앞부터가 원천동이다. 그리고 호수공원이 속해있는 하동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는 행정동 원천동 관할이었다.
  23. 2011년 이전까지만 해도, 군청 및 군보건소까지도 목포시에 있었다.
  24. 이 두 장소는 법정동상으론 아현동이다.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공덕동과 아현동이 법정동으로는 마포경찰서를 기준으로 남북으로, 행정동으로는 마포대로를 기준으로 동서로 나뉘어지면서 생긴 현상.
  25. 만안구 선거관리위원회가 동안구 비산동에 있는 동안구 선거관리위원회의 건물을 같이 쓰고 있다. 그래놓고 전화번호는 만안구, 동안구 모두 서안양전화국 관할로 쓰고 있다. 서안양전화국은 안양시 만안구 안양5동, 안양전화국은 안양시 동안구 달안동 소재. 안양 소재 중 번호가 4xx로 시작하는 것은 서안양전화국 관할이며 3xx는 안양전화국 관할이다.
  26. 원래 오정구 여월동 여월지구 내 상가 건물에 임시로 있었다가, 이후 상3동에 원미구 선관위 신청사를 지으면서 오정구 선관위도 이 건물에 들였다.
  27. 본래는 계양구와 서구도 북부교육청 관할구역이었으나, 2004년에 서부교육청이 신설되어 오늘날에 이른 것이다.
  28. 이러한 학원들은 주로 교대역 부근에 있다.
  29. 동작구와 관악구를 관할하는 서울동작교육청이 서울남부교육지원청에서 분리되어 나왔다
  30. 참고로 지명에서의 '상하'는 남북의 개념이 아닌, 하천의 상류, 하류를 말한다.
  31. 계룡시라는 이름도 계룡대에서 따온 것이다. 물론 계룡대도 계룡산에서 따온 것이니 그게 그거지만.
  32. 그래서 공주시는 자신들이 이미 쓰고 있는 계룡이라는 이름을 계룡시가 쓸 수 없도록 소송을 걸었다가 패소했다(...).
  33. 참고로 이 일대에는 광양초등학교도 있다.
  34. '제물포'라 불렸던 개항장(현 중구, 동구 지역) 일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 즉 인천 남구, 남동구, 연수구와 경기 시흥시 북부 지역.
  35. 원래 원미구 소사동과 소사구 소사본동은 하나의 소사동이었으나, 1993년 경인선 철도를 기준으로 북부가 원미구, 남부가 소사구로 분구되면서 경인선 이북의 소사동은 원미구 소사동으로 남고, 경인선 이남의 소사동은 소사구 소사'본(本)'동이라는 별도의 법정동으로 신설된 것. '본'자가 들어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오히려 소사본동 쪽이 옛 소사동의 영역을 더 많이 계승하고 있다.
  36. 육군학생군사학교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어서 일반인도 확인 가능하다.
  37. 때문에 고창군 사람과 부안군에 대해 이야기할 경우, 가급적 '군'을 붙여 말해야 혼동의 여지가 없다.
  38. 이 때문에 오늘날 서울광주는 삼국시대에 북한산주(北漢山州), 남한산주(南漢山州)라 불렸다.
  39. 이를 반영한 듯, 서호와 동호 사이를 지나는 송파대로의 다리 이름은 '석촌호수교'가 아닌 '잠실호수교'이다. 드물긴 하지만 실제로 '잠실호수'로 불리기도 한다. 참고로 호수 남쪽을 끼고 있는 석촌호수로가 잠실·석촌동(서호 쪽) 및 신천·송파동(동호 쪽)의 경계선이다.
  40. 사실 수색비행장 자체가 한국항공대학교 시설물이다.
  41. 과거에는 실제로 장안구 장안동이었으나, 2003년 영통구 신설에 따른 각 구간 경계 조정으로 장안동팔달구로 편입된 것. 다만 장안동과 장안구의 명칭 유래가 된 수원화성 장안문은 장안구팔달구의 경계에 걸쳐 있다.
  42. 하지만 일제강점기 이전까지는 진짜 서해안에 있는 섬이었다.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조선 소금 착취 목적으로 인해 바다를 메우게 된 영향으로 육지화가 된 것.
  43. 실제로 신도시가 들어서면 신도시 지역에 속해있지 않은 신규 아파트 단지가 그 신도시 이름 네임밸류를 노리고 그 신도시 이름에서 아파트 이름을 따오는 경우가 많다.
  44. 시군법원은 있지만, 이마저 금촌동에 있다.
  45. 1박2일에도 발리특집으로 나왔었다,
  46. 시내버스에도 '신창동'이라 표기되어 있고, 이 일대 상업시설의 점포 명칭도 "신창동점" "신창점" 등이 9할 이상 사용되고 있다.
  47. 위에서 설명한 서울대공원의 혐오시설 버전.
  48. 서울특별시청이 아닌, 서울특별시 산하 지방공기업서울시설공단이 운영한다. 그게 그거지만...
  49. 뉴올리언스(프랑스에 오를레앙이라는 도시가 있고, 이걸 영어식으로 읽으면 올리언스가 된다), 뉴욕(영국에 요크York라는 도시가 있다), 뉴햄프셔(영국에 햄프셔라는 지명이 있다) 등. 심지어 콘월처럼 그냥 대입한 곳도 있다. 뉴질랜드도 같은 맥락에서 만들어진 지명이다(덴마크에 질랜드라는 지명이 있다).
  50. 당초 민중의 정치적 결사체를 의미하는 Commonwealth를 단순히 '연방'으로 번역했기 때문에 벌어진 혼동이므로 오역 사례로 볼 수 있다. 가령 미국의 주 중 Commonwealth를 명칭으로 쓰는 곳이 4개가 되는데 이들을 '연방'으로 번역 그리고 미국은 공화국 연방이 된다 하는 일은 없다.
  51. 일본에서는 그냥 도미니카국(-國, ドミニカ国)이라고 번역한다. 영어로는 Dominica라고 하면 보통 여기를 가리키고(굳이 헷갈림을 방지하려면 풀네임을 써서 Commonwealth of Dominica), 도미니카 공화국은 Dominican Republic이라고 부른다. 중국어에서는 원래 우리처럼 '연방'을 써서 多米尼加聯邦라고 했었지만 지금은 多米尼克國, 약칭은 그냥 多米尼克가 일반적인 듯하다. 참고로 중국어에서 도미니카 공화국은 多明尼加(共和國) 또는 多米尼加(共和国)인데, 도미니카 연방(도미니카"국")의 '도미니카' 부분의 한자 표기가 달라져서 현재는 두 '도미니카'의 중국어 표기가 달라 구분이 되고 있다.
  52. 원래는 스미다강이 아라카와 강이었는데, 홍수를 막기 위하여 20세기 초두에 아라카와 방수로(荒川放水路)가 만들어졌고, 나중에 이 아라카와 방수로가 '아라카와 강'이 되었고 원래의 아라카와 강은 ‘스미다 강’이라고 부르기로 하게 되었다.
  53. 여담으로 파리에는 서울공원이 있고, 서울 목동아파트 인근에 파리공원이 있다. 그러보면 여의도에는 앙카라 공원이 있다. 각주의 사례 경우는 양국 우호증진에 따른 경우.
  54. 사실 '워싱턴'은 전 세계에서 많이 쓰이는 지명이라는 말이 있다.
  55. 이리오모테 야마네코로 유명한 이리오모테지마를 관할하는 지자체이다.
  56. 텍사스 레인저스 홈구장이 있는 그곳
  57. 2014년부터 입주.
  58. 디트로이트 다운타운과 거의 50km 넘게 떨어진 거리의 위성도시인 오번힐에 있다. 구 디트로이트 위성도시이자, 한때 디트로이트 라이온즈의 홈구장인 폰티악 실버돔이 있던 그 폰티악보다도 북쪽.
  59. 아일랜더스란 이름도 뉴요커가 아니라, 뉴욕 동부의 섬인 롱아일랜드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2015년부터 브루클린으로 연고지 이전.
  60. 여담으로 남미 축구에 유사한 사례가 제법 있다. 아르헨티나의 아르세날이나 칠레의 레인저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