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야구용어
목차
1 개요
야구 선수가 공격때는 좌타석에 들어서고, 수비할 땐 오른손으로 공을 던질 경우 그 선수를 가리키는 개념. 반대인 좌투우타도 있다.
2 탄생 배경
일반적으로 야구에서는 좌타석에 들어서는것이 우타석에 들어서는 것보다 유리하다. 일단 좌타석이 우타석보다 1루까지의 거리가 한발짝 가량 가깝고, 스윙후에도 우타자는 몸이 3루쪽으로 쏠리는 반면, 좌타자는 자연스럽게 1루를 향하게 되므로, 실제로는 접전상황에서 한발짝 이상 이익을 본다. 이것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가 왼손잡이보다 훨씬 많기때문에 당연히 야구선수중에서도 오른손잡이, 즉 우투수가 더 많을 수 밖에 없는데, 우타석에 들어설때 보다 좌타석에 들어설 때 우투수가 던지는 공을 조금이라도 더 오래 볼 수 있기때문에 타격시 유리하다.[1] 좌타석에 들어서면 좌투수가 던질때 자기 옆구리쪽에서 공이 흘러나오는 것 같은 효과를 주어 좌타자는 일반적으로 좌투수에게 약하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좌투수의 수는 우투수보다 적다.[2]
이러한 타석에서의 장점에 비해, 수비시에는 왼손잡이가 훨씬 불리하다. 기술적인 측면이 아니라, 야구가 부채꼴의 운동장에서 하는 경기이고 1루 -> 2루 -> 3루 -> 홈이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간다는 종목 자체의 특성때문에 왼손잡이가 2루수, 유격수, 3루수 수비를 수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들은 수비시 90%는 결국 1루 송구로 자신의 수비 동작을 끝내는데, 왼손잡이가 1루 송구를 하려면 몸을 포수쪽으로 완전히 틀어야하는 이중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1루 송구가 0.1초 차이로 아웃/세이프가 갈리는 경우가 많은 야구의 특성상 1루수를 제외한 왼손잡이 내야수는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포수가 왼손잡이일 경우에는 3루로 도루하는 주자를 잡아내기 위해서는 3루 송구할때 등을 투수에게 보일 정도로 몸을 크게 틀어야 송구가 가능하며(물론 1루 송구는 왼손잡이가 더 유리하지만 포수가 1루로 송구해야 하는 일은 별로 없다.) 우타자가 더 많은 현실상 좌투 포수는 송구시 타자에 방해를 받을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야구 현장에서 왼손잡이 포수는 익숙치 않아서 투수들이 기피하는 경향도 무시할 수 없다.[3][4]
따라서 왼손잡이는 야수 중에서는 1루수와 외야수 수비만 가능하다. 반면 오른손잡이는 야구에 존재하는 모든 포지션의 수비가 가능하므로 수비에 있어서는 오른손잡이가 훨씬 유리하다.[5]
3 원래는 오른손잡이인가 왼손잡이인가
우투좌타 선수의 절대 다수는 원래 오른손잡이다. 공 던지는 손 자체를 바꾸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오른손잡이가 좌타석에 들어서는 것은 왼손의 악력이 오른손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지 않는 이상 충분한 훈련을 통해 가능하기 때문이다. 스위치 히터는 양타석 모두 훈련을 해야하기 때문에 우투좌타보다 더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원래 왼손잡이인 선수가 내야수로 활약하기 위해 오른손으로 던지고 타석은 그대로 좌타석에 머무르면서 우투좌타가 되는 경우도 가끔 있다. 한국프로야구에 뛰는 선수 중에서는 손아섭이 있으며 외국인 선수 중에서 브랜든 나이트와 앤서니 르루도 우완투수(좌타자)이지만 태생은 왼손잡이이다.
4 대한민국(KBO 리그)
1980년 이전까지만 해도 우투좌타는 희귀한 케이스였으나 90년대 이후 메이저리그 및 외국인 선수제등 미국/일본의 선진야구가 도입되어 학교에서도 '타석에서 좌타자의 유리함'때문에 좌타자로 전향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본격적인 우투좌타 시대를 연 선수로는 99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한 외국인 선수인 펠릭스 호세가 유명하다.[6]
하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지나치게 많은 학생들이 좌타자로 전향해 오히려 우타 거포가 더 희귀해졌다. 일본에서는 스즈키 이치로의 대성공이 기폭제가 되어 일본야구에서 우투좌타의 비율이 크게 늘어났고, 한국도 비슷한 상황이 되어 이때문에 외인 용병의 우타 선호도가 올라가기도 했다.
북미쪽도 선수층 자체가 두터워 한국과 일본보다는 나은 상황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MLB 기준으로 시즌 전체로 봤을때 타석에 한번이라도 나오는 좌타자/우타자 비율은 4대6정도로 우타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우타 거포는 적어지고 있다. 그리고 우투좌타로 만드는 선수들은 대부분 스위치 히팅을 하면서 성장하기 때문에 스위치 히터도 많은 편. 중남미권 선수들의 경우는 메이저리그 스카우트들의 눈에 띄기 위해 억지로 스위치히팅/좌타 전향을 시도하는 경우도 꽤 있다.
다만, 원래부터 만들어놓은 우투좌타가 아닌 우투좌타로 전환한 선수들은 컨택능력 및 타율은 좋을지 몰라도 아무래도 원래 왼손잡이가 아니기 때문에 장타력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 이유를 설명하면, 야구의 절반은 수비라 공을 던지는 과정에서 던지는 팔과 어깨를 더 쓰므로 양팔과 양어깨의 근력 차이가 어느정도 불균형할 수 밖에 없는데, 이 차이를 제대로 교정하지 않고 우투좌타를 만들게 될 경우 좌타석에 섰을때 스윙축은 오른팔과 오른어깨이고 스윙에 힘을 싣는 톱핸드는 왼팔과 왼어깨인데 우투좌타를 하게 되면 24시간 스윙연습만 하는 지명타자가 아닐 다음에야 수비와 송구훈련때문에 오른팔과 어깨만 많이 활용하고 왼팔과 어깨는 사용을 적게 하기 때문에 양팔, 양어깨의 근력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우투좌타를 제대로 하려면 어렸을때부터 확실하게 양팔, 어깨의 근력 균형을 맞춰야한다.
대표적인 우투좌타 타자이자 타격이론의 아버지격인 명예의 전당 타자 테드 윌리엄스가 타격이론에 대해 설명하면서 "최대한의 파워와 효율성을 위해서는 톱핸드(배트 잡을때 위쪽에 올라오는 팔)의 힘이 강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투좌타보다 좌투좌타가 더 유리하다"라고 직접 밝힌 바 있다. '오른손잡이 타자는 우타, 왼손잡이 타자는 좌타에 서는게 제일 좋다' 라고 말한 것은, 그만큼 더 단련된 팔을 톱핸드로 써야 스윙에 힘이 실리고 타구의 질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것.
사실 당연하다면 당연한 말인데 문제는 한국내 학원야구에서 만들어지는 우투좌타는 학원야구 특성상 파워보다는 스몰볼,컨택위주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대부분이 1루에 한발짝 빠른 출루에 유리한 점만 보며 일단 갖다맞추고 보는 타격을 위해 시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대로 스윙자세와 근력 균형을 만들지 않아서 상당수의 우투좌타 선수들이 똑딱이, 슬랩히터화되는 경향이 심한 편이다.[7] 특히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대회에서 수면 위로 드러났는데, 이 때 9명 타자 중 7명이 좌타자였고 대다수가 우투좌타였다는 것. 그리고 똑딱이형 좌타자가 많아서 장타가 필요할 때 나오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 것을 이건열 U대회 감독이 코멘트하기도 했다. 일본전 단 4안타에 그치며 0대 8로 패배, 역시 대학야구에 좋은 투수들이 많다. 이런 교육을 한국보다는 제대로 시키는 편인 해외야구에서는 우투좌타/스위치히팅 슬러거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우투좌타 또는 우투 스위치 히터 선수들 중에서 좌타를 포기하고 도로 우타로 전향하는 선수들도 종종 나온다. 우투좌타였던 내야수 양종민과 스위치 히터 였던 포수 이정식은 모두 우타로 전향했다.[8] 이 외에도 롯데 자이언츠의 우투좌타 외야수인 이우민(개명전 이름 이승화)도 한때 우타로 전향한 적이 있었다.
삼성 라이온즈의 외야수 최형우가 KBO 리그 최초 우투좌타 홈런왕이며, 넥센 히어로즈의 2루수 서건창은 KBO 리그 최초 우투좌타 MVP다.
5 미국(메이저리그)
우투좌타 선수가 상당히 흔하다. 대표적인 우투좌타 선수로는 스즈키 이치로, 체이스 어틀리, 로빈슨 카노, 마쓰이 히데키, 프린스 필더, A.J. 피어진스키, 조 마우어, J.D. 드루, 요기 베라, 카를로스 델가도, 래리 워커, 브라이스 하퍼, 바비 아브레유, 조이 보토, 짐 토미, 커티스 그랜더슨, 제이슨 지암비, 아담 던, 저스틴 모노 등 정상급의 기량을 갖춘 선수들만 따져도 매우 많다.
6 좌투우타
정반대 개념인 좌투우타는 앞서 설명한 유리함을 모두 포기하는 형태여서 굉장히 드물다. 단, 투수의 경우에는 팔 보호를 위해 왼손잡이지만 오른손으로 치는 경우가 많다. 리키 헨더슨, 류현진 등이 있다.
7 유머
아내가 아들을 임신한 것을 안 유영태曰 : "사내라면 좌타 우투지"(...) 거기에 깨알같이 "이 느낌, 야구인만 안다"라고 적어놨다.(...) 뒤에서 그게 뭔소리냐는 아내의 질문은 덤 [9]
8 우투좌타 선수 목록
분류:우투좌타 참고.
8.1 KBO
- 강경학
- 강한울
- 고종욱
- 구자욱
- 김광삼
- 김규성
- 김대우
- 김용의
- 김원섭
- 김영민
- 김영환
- 김재유
- 김재환
- 김준태
- 노수광
- 노진혁
- 류승현
- 문우람
- 박계현
- 박민우
- 박용택
- 박정수
- 박준태
- 박해민
- 서건창
- 손아섭
- 신범수
- 신종길
- 양성우
- 오재원
- 오준혁
- 오지환
- 우동균
- 유민상
- 유재웅
- 이성열
- 이우민
- 이인구
- 이창열
- 전현태
- 정수성
- 정진호(1988)
- 정형식
- 주효상
- 진명호
- 차화준(1986)
- 최원준(1990)
- 최원준(1997)
- 최주환
- 최형우
- 추승우
- 에릭 테임즈
- 하주석
- 한동민
- 한상훈
- 한승혁
8.2 NPB
8.3 MLB
- 타이 콥
- 테드 윌리엄스
- 칼 야스트렘스키
- 김현수
- 스즈키 이치로
- 체이스 어틀리
- 로빈슨 카노
- 마이크 무시나
- 마쓰이 히데키
- 프린스 필더
- A.J. 피어진스키
- 조 마우어
- J.D. 드루
- 요기 베라
- 카를로스 델가도
- 래리 워커
- 브라이스 하퍼
- 바비 아브레유
- 조이 보토
- 짐 토미
- 커티스 그랜더슨
- 제이슨 지암비
- 아담 던
- 저스틴 모노
- 디 고든
- 팀 린스컴
- 가와사키 무네노리
- 아오키 노리치카
- 이학주
- 알렉스 고든
- 브라이언 맥캔
- 스캇 해티버그
- ↑ 그게 도대체 뭐 얼마나 차이나나 싶지만, 160km/h의 공도 타이밍만 맞추면 홈런을 뻥뻥 때려내는 프로 야구 선수들의 세계에서는 이런 미세한 차이가 크나큰 결과의 차이를 가져온다.
- ↑ 바꾸어 생각하면 우타자는 좌투수에게 강하고 우투수에게 약할 것 같지만, 앞서 설명한 대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우투수의 공을 공략하지 못하면 애초에 프로레벨에 올라서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일이기때문에 우투수에게 특히 약한 우타자는 없다고 보는 편이 옳다. 우투수의 수가 많다보니 자주 상대하면서 적응되는 측면도 크고. 좌타자가 우투수를 상대하는 것과 똑같은 장점이 우타자가 좌투수를 상대할 때 있기때문에 대부분의 우타자는 좌투수에게 강한편이다.
- ↑ 천하무적 야구단에서도 왼손잡이가 포수를 했다가 결국 오른손잡이로 바꿨다.(왼손잡이 포수가 못 한게 아니라 도중에 부상으로 교체했다가 못 돌아온거지만)
- ↑ J.D 샐린저의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에서 왼손잡이 포수 글러브는 있을 듯 하며, 없어야 할 이유도 없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징한다.
- ↑ 1루수는 왼손잡이가 오른손잡이보다 포구와 송구 모두 유리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을 뿐더러 애초에 수비가 중요시되는 포지션이 아니기 때문에 오른손잡이라고 해서 1루 수비 기용을 기피한다거나 하는 경우는 없다. 물론 다른 내야 포지션에 비해서지 현대 야구에서는 당겨치기를 선호하는 좌타자와 병살을 방지하려고 밀어치기를 선호하는 우타자 빈도가 늘어나 1루쪽 강습타구 처리 상황도 그만큼 늘어나 이제는 1루도 수비 중요도가 높아졌다.
- ↑ 원래는 스위치 히터이며 좌우타석 홈런을 한 경기에서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체로 좌타에서의 기록이 더 좋았다.
- ↑ 꼭 배트가 아니라, 빗자루를 들고 바닥을 쓸어봐도 알 수 있다. 오른손잡이가 오른손에 빗자루를 들고 좌타석 자세로 빗자루질을 해보면 마치 테니스 백핸드 치는거처럼 자연스럽게 오른손으로 빗자루를 밀어내면서 바닥을 쓸게 되어있다. 자연스럽게 밀어치기가 일상화 되고 이러면 장타력을 키우기가 매우 힘들다.
-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에서 롯데 자이언츠는 광주일고의 내야수인 허일, 백왕중, 백세웅을 지명했는데 모두 우투좌타였다.
- ↑ 사야이 다음 첫 연재분부터 한 소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