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수원시 버스 목록
수원여대와 천천지구를 잇는 27번 마을버스에 대해서는 수원 마을버스 27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수원 버스 27 시리즈 | ||||||
27 | 27-1 |
1 노선 정보
수원시 일반시내버스 27번 | |||||
기점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수원북부차고지) | 종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수지중) | ||
종점행 | 첫차 | 04:45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40 | 막차 | 23:30 | ||
평일배차 | 출퇴근 15분/평시 20분 | 주말배차 | 30분 | ||
운수사명 | 수원여객 | 인가대수 | 15대 | ||
노선 | 수원북부차고지 - 한일타운 - 수원종합운동장 - 장안문 - 화성행궁 - 팔달문 - 성빈센트병원 - 아주대입구 - 법원사거리 - 삼성삼거리 - 영통입구 - 상미마을 - 용인운전면허시험장 - 구성삼거리 - 보정역 - 죽전역 - 현대그린프라자 → 풍덕천1동사무소 → 수지중 → 수지고 → 현대그린프라자 → 이후 역순 |
2 개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는 버스 노선.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에서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을 잇는다.
3 역사
7번, 37번, 66번과 더불어 옛날부터 수원시와 용인시를 이어 준 역사깊은 간선노선이다. 용인시가 과거 용인군이었던 시절에는 여느 촌동네에서 볼 수 있듯 지선노선이 상당히 많았던 노선이었다.[1]
한때는 아침이면 죽전역이나 보정역에서 분당선으로 환승하려는 사람들이 꽉꽉 들어차던 노선이었으나 2013년 11월에 꿈에 그리던 분당선 보정역 이남 구간이 완공되면서 2015년 현재 수원 북부(장안구청 주변)와 구도심(수원화성 주변)에서 구성-보정을 잇는 유일한 버스 노선 역할을 맡고 있다. 수지구 지역은 이미 720-1번, 720-2번 등의 대체수단이 많아서(...) 이때문에 죽전-구성에서 수원역으로 가는데 큰 불편을 겪었던 이용객들이 분당선으로 몰리면서 승객이 감소하였고, 배차간격도 20분(평일)에서 30분(주말) 가량으로 길어지게 되었다. 옛날로 돌아갔구나. 쩝 그래도 똑같이 분당선 연장 여파로 같이 타격을 입은 이 노선보다는 사정이 그나마 낫다. 분당선이 닿지 않는 중부대로 구간에서 나름 주워먹기를 하고 있다.
2013년 12월 29일에 '수지중 - 동천현대아파트'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한성아파트 → 풍덕천1동 → 우성그린빌 → 수지중 → 한성아파트' 로 회차하게 되었다. 수원여객 공지사항
4 특징
긴 노선이지만 수지지구만 빼곤 굴곡 구간이 적은 노선인지라 구간수요가 후덜덜한 노선이다. 지금이야 분당선이나 각종 마을버스 등으로 대체수단이 많아졌긴 했지만 수지-신갈을 직접 잇는 유일한 노선이었고옛날 문정중, 수지중·고생 학생무리들이 이 구간의 승객 다수를 차지하던 시절도 있었다! 신갈-팔달문-장안문 구간은 이 구간과 같이 달리는 여러 노선들과 함께 많은 승객을 태우기도 했다. 특히 용인시 구간 중 구 구성읍 지역에서 신갈오거리 이전 지역까지의 주민들이 수원으로 나갈 때 유일하게 이용했던 노선으로 가장 중요한 노선이었다. 다만 배차간격이 좀 안 좋았던 건 사실이다.
한일타운~법원사거리 구간은 62-1번, 장안문~상미마을(수원신갈IC) 구간은 빗자루66번, 신갈오거리~죽전역 구간은 용인교통 30번 마을버스, 죽전역~수지 구간은 수많은 마을버스들과 노선이 겹치는데다가 아주대~수지, 한일타운~아주대 등의 구간에는 27번보다 더욱 거리가 짧거나(99번) 배차도 조밀한(730번) 버스들이 운행하기 때문에 사실상 중ㆍ단거리 수요를 보고 운행하고 있는 노선이다. 상기했듯 분당선이 수원의 신시가지인 영통-매탄-인계동을 거쳐가지만, 27번은 중부대로 법원사거리-아주대-성빈센트병원-2001아울렛-팔달문 등 수원의 주요 지역을 지나가기 때문에 이쪽 구간 수요는 여전히 유효하다. 와이파이가 떠서 그점은 66번보다 훨씬 경쟁력 있기도 하고
한편, 이 노선에서 가장 수요가 적은 수지구 쪽 노선이 자주 바뀌는 편이다. 과거에는 수지중학교가 종점이었으나, 2013년에 현대그린프라자-풍덕천1동사무소-초입마을(통칭 삼풍동 단지)-수지중학교-수지고등학교-현대그린프라자로 루프순환 노선으로 선형변경을 했다. 사실 3분요리가 횡행하던 1990년대 말~2000년대 초반에 기사님들이 배차시간을 맞추기 위하 수지지구 구간에서 몇몇 정거장을 생략하고 수지중학교 쪽에서 회차하던 스킬이었는데 그것이 정식 노선으로 굳어진 케이스다.
5 연계 철도역
- ↑ 구성읍 마북리 현대연수원을 종점으로 한 27-1번, 경찰대학·법무연수원을 종점으로 한 27-2번, 기흥읍 보라리 - 고매리 - 중리를 종점으로 한 27-3번, 구성읍 청덕리를 종점으로 한 27-4번(과거 신원여객 30번과 공동배차)이 있었다. 1990년대 말에 들어서면서 27-1번, 27-2번, 27-4번은 27-1번으로 통합되었는데, 현재 27-1번보다는 구 27-1번으로 보는 편이다. 그런데 지선노선인 만큼 배차간격은 하루 3~4회가 고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