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군 | ||
?width=100 | ?width=100 | ?width=100 |
중화민국 육군 | 중화민국 해군 | 중화민국 공군 |
동아시아의 육군 | |||||
대한민국 육군 | 조선인민군 육군 | 인민해방군 육군 | 중화민국군 육군 | 육상자위대 | 몽골군 육군 |
1 개요
"忠誠精實"
중화민국군의 육군으로 1925년에 창설된 국민혁명군의 후신이다. 중일전쟁, 국공내전 등 굵직한 전쟁을 겪었다.
병력은 13만 수준으로 육상자위대의 규모와 비슷하다.
중화민국군 즉 대만군의 지상군 편제는 한때 수백만 명으로 이루어져있으면서 국공내전과 중일전쟁을 치루었고 중국 국민당군으로서 그 시초를 하고 있다. 하지만 제대로 된 중앙군 편제는 규모가 적고 대부분 군벌집합의 군대였기 때문에 상당히 제각각으로 놀았고 심지어는 군수도 엉망진창이었다. 미국이 지원을 하던 시점에서 미국제 장비를 위주로 편성되긴 했다.[1] 결국 국공내전에서 패배하여 타이완으로 오게 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 국공내전 이후
20세기 초반의 중국군은 해군이나 육군 항공대보다는 철저한 육군 중심의 군대였기에 중화민국 육군은 중국군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국부천대 이후에 섬나라가 된 대만의 특성상 대륙을 기반으로 하던 1949년 이전의 육군과는 교리 등에서 차별화가 이뤄졌다.
본토 수복이라는 전략 목표를 기점으로 한국군처럼 대규모 지상군을 운영하고 있었고, 이 목표가 공식적으로 포기되던 1970년대 말까지도 60만 대군을 넘게 보유한 대규모 군대였다. 하지만 전략 목표가 본토수복이 아니라 타이완 방어로 전환되자 규모가 대대적으로 축소 개편되는데 중국 인민해방군과의 개편시기와 상당히 맞물려서 진행되었다. 덕분에 2015년에는 모병제를 앞두고 있는 18만명 규모의 지상군을 보유한 슬림화된 군대가 되었다.
3 조직
육군총사령부가 최고 군정기관이다. 사령[2]은 상장(대장)이 맡으며 참모장, 부사령을 중장, 부참모장은 소장이 맡는다. 육군주임원사에 해당하는 총사관장(總士官長)은 1등사관장이 맡는다.
예전에는 사단이나 여단 등의 명칭을 사용했으나 일부 부대가 2005년 들어 군제 개편으로 지역별 지휘부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지휘부란 표현은 영어로는 command로 한국어론 결국 사령부이다. 명칭은 원어는 항목을 참고하고 본 항목에선 한국인이 이해하기 좋게 쓴다.
항공 및 특수 지휘부 (航空特戰指揮部) : 항공작전사령부+특수전 사령부 통합체
화둥 방위 지휘부 (花東防衛指揮部) : 동부 대만 방어사령부
진먼 방위 지휘부 (金門防衛指揮部) : 도서방위사령부
포병 지휘부
펑후 방위 지휘부 (澎湖防衛指揮部) : 도서방위사령부
마쭈 방위 지휘부 (馬祖防衛指揮部) : 도서 방위사령부
둥인 지구 지휘부 (東引地區指揮部) : 도서 방위사령부
후근지휘부 (後勤指揮部) : 한국의 군수사령부
교육 및 지휘부 개발 지휘부 (教育訓練暨準則發展指揮部) : 한국의 교육사령부
후비지휘부 (後備指揮部) : 예비군
- 제6군단 지휘부
- 제21포병여단
- 관두(關渡)지구지휘부(이전의 제26보병사단)
- 란양(蘭陽)지구지휘부(이전의 제51보병사단)
- 제269기계화보병여단
- 제542기갑여단
- 제584기갑여단
- 제153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제8군단 지휘부
- 제43포병여단
- 제333기계화보병여단
- 제564기갑여단
- 제203보병여단
- 제10군단 지휘부
- 제58포병여단
- 제234기계화보병여단
- 제586기갑여단
- 제303보병여단
- 제104보병여단
- 제257보병여단
- 화둥(花東)방위지휘부
- 화둥지구지휘부
- 펑후(澎湖)방위지휘부
- 진먼(金門)방위지휘부
- 마주(馬祖)방위지휘부
- 둥옌(東引)방위지휘부
- 항공특전지휘부
- 제601항공여단
- 제602항공여단
- 비행훈련지휘부
- 특종작전지휘부
- 공강훈련센터[3]
- 작전훈련센터
2006년까지 미사일 지휘부가 있었으나 공군으로 이관되었다. 기타 조직으로 3개 군단이 상비 지상군 군단으로 존속하고 있다. 가장 큰 편제는 3개 전투여단을 보유한 6군단으로 중화민국군에서도 정예전력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 8군단과 10군단은 각각 2개 전투여단을 예하로 보유하여 기타 전투지원여단 혹은 대대를 보유하고 있다.
군단은 각각 북부-중부-남부로 타이완섬을 각각 3 구역으로 나뉘어서 작전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규모가 가장 큰 6군단이 수도 타이베이와 함께 타이완 북부를 담당하며 중부는 10군단 남부는 8군단이 각각 담당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8군단보다는 6군단과 10군단의 투자와 신무기 배치가 빠른 편이다.
나머지 부대의 경우 후비지휘부 (後備指揮部)에 9여단이 최후의 예비부대로 존속하며 대만과 가장 가까운 도서인 펑후 방위 지휘부 (澎湖防衛指揮部)에 1개 여단 규모의 병력이 존속한다.( 1개 기갑대대, 1개 기계화 보병대대, 1개 기갑수색대대, 1개 포병대대를 혼합)
군단보다 가장 큰 규모와 화력을 자랑하는 조직은 항공 및 특수 지휘부 (航空特戰指揮部)로 대만군의 모든 항공기와 특수전전력을 지휘통제를 맡아서 운영하며 예하로 3개 항공여단 1개 정찰대대[4] 2개 특수전교육여단을 두고 있다.
4 전력
현대의 중화민국 국군 기갑차량 | ||
MBT | 1세대 | M48A3H |
2세대 | CM-11/12M, M60A3 TTS | |
경전차 | M41DM, M41 | |
장갑차 | 장륜장갑차 | CM-32, V-150S |
궤도장갑차 | CM-21, M113, LVT-5, AAV7A1 | |
차량 | 오토바이 | 야마하 로얄 스타 밴처 헌병 오토바이, KYMCO KTR125 정찰용 오토바이 |
소형 | M151R, 험비 | |
트럭 | M35, M923, 나비스타 디펜스 MV 4×4*, 오시코시 FMTV · HEMTT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우니모크, MAN HET, 볼보 FH 히노 500 , 미쓰비시 델리카, 대우 차세대트럭 | |
자주포 | M110A2, M109(A2/A5), M107R, M108R | |
자주 대공포 / 대공미사일 | M42 더스터, M1097 어벤저, MIM-72/M48 채퍼럴 · 톈첸-1 | |
다연장로켓 | 쿵 펭-IIIR/IV/VI, 뢰정-2000 | |
기타 | M10 울버린R, M18 헬캣R, M36 잭슨R, M4 셔먼R, M7 프리스트R | |
※ 윗첨자R : 퇴역 차량 ※ 윗첨자M : 개조 차량 * : 나비스타 인터내셔널社의 워크스타 트럭을 개수한 군납 모델. |
중화민국 육군의 전차 | |||
이름 | 종류 | 보유수량 | 기타 |
M60A3 TTS | MBT | 650대 | 2세대 전차 |
CM-11 | MBT | 450 대 | M48의 포탑에 M60 차체를 결합 |
CM-12 | MBT | 100 대 | 1.5세대 전차, M48A3H 추가 개량형 |
M48A3 | MBT | 50 대 | 1세대 전차[5] |
M1A1 AIM | MBT | 미보유 | 3세대 전차, 2020년까지 120대 도입 예정 |
M41D | 경전차 | 50 대 | |
총 보유수 | 1300대 |
중화민국 육군의 장궤/궤도식 장갑차 | ||||||
이름 | 개발 국가 | 종류 | 보유수량 | 비축 | 추가 | 기타 |
CM-32 | 중화민국 | APC/IFV | 652 대 | 368 대 추가 예정 | 차륜형 | |
CM-21 | 중화민국 | APC | 1000+ 대 | 계열화된 기계화 차량 다수 | 궤도형 | |
M113 | 미국 | APC | 675 대 | 궤도형 | ||
V-150S | 미국 | APC | 300 대 | 차륜형 | ||
총 보유수 | 2627 대 |
중화민국 육군의 야포 | |||
이름 | 종류 | 보유수량 | 기타 |
M110A2 | 자주포 | 75여 문 | 203mm |
M109A2 | 자주포 | 197여 문 | 155mm |
M109A5 | 자주포 | 28여 문 | 155mm |
M1 | 요새포 | 30여 문 | 240mm |
M59 롱 톰 | 견인포 | 390 문 | 155mm |
M115 | 견인포 | 90 문 | 203mm |
M101 | 견인포 | 650여 문 | 105mm |
총 보유수 | 1460문 |
중화민국 육군의 다연장로켓 | |||
이름 | 종류 | 보유수량 | 기타 |
쿵 펜(工蜂) IV/VI | 다연장로켓 | 72 문 | 117mm or 126mm |
RT/LT-2000 | 다연장로켓 | 43여 문[6] | 117mm, 180mm, or 227mm |
총 보유수 | 115문 |
중화민국 육군의 헬기 | |||
이름 | 종류 | 보유수량 | 기타 |
AH-64E | 공격기 | 29 대 | 30대 추가도입 예정 |
AH-1W 코브라 | 공격기 | 61대 | |
OH-58D 카이오와 | 기본기 | 38여 대 | |
OH-6A 카유스 | 기본기 | 불명 | |
UH-1H | 수송기 | 40대 도입 | |
UH-60M | 수송기 | 45여대 | |
CH-47SD 치누크 | 수송기 | 8대 | |
Bell 206 | 훈련용 | 12대 | |
총 보유수 | 233+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