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항목 : 아말라이트 AR-15, M16 소총, CAR-15
이라크 안바르 주의 하바니야 시가지를 M4A1으로 경계 중인 제82공수사단 부대원의 모습
목차
M4 카빈 M4 Carbine | |
종류 | 돌격소총 카빈 |
제조국 | 미국 |
제식 이력 | |
역사 | 1994년~현재 |
제조사 | 콜트(CMC) FN 에르스탈 레밍턴 암즈 |
사용국 | 미국 영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아프가니스탄 |
파생형 | M4A1 Mk.18 CQBR |
제원 | |
전장 | 840mm(개머리판 연장) 756mm(개머리판 수축) |
총열 | 370mm |
중량 | 2.88kg(본체만) 3.40kg(장탄시) |
구경 | 5.56 mm |
탄약 | 5.56×45mm NATO |
급탄 | 20, 30발 STANAG 탄창 |
발사 속도 | 분당 700~950발 |
총구 속도 | 880m/s |
작동 방식 | 자동 / 3점사 / 반자동격발 가스작동식 노리쇠회전식 |
유효 사거리 | 500m |
1 개요
M4 카빈(Carbine)은 현재 미군 대부분이 사용 중인 축소형 돌격소총으로, M16A2의 파생형인 모델 727에서 비롯되었다. 기종 번호의 4는 M1, M2, M3 카빈의 후속임을 나타낸다.
2 상세
2.1 역사
실제로는 1990년대에 등장한 기종이지만 훨씬 이전인 베트남 전쟁을 전후로 개발된 CAR-15 제품군에 뿌리를 두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M16A2 돌격소총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 720이 시초로 간주된다.
미군에 정식으로 도입된 것은 아랍에미리트에 수출된 모델 727의 XM4로, 미 육군병기연구소(ARDEC)에서의 개량을 거쳐 2종의 M4 카빈(점사형), M4A1 카빈(자동발사형)이 1994년에 정식 채택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창설된 미 특수전사령부(USSOCOM)에서는 M4A1 전용의 부가장비 도입계획(SOPMOD)이 따로 진행되어 Mk.18 CQBR이나 Mk.12 SPR과 같은 파생형들을 낳기도 했으며, 2000년 초에 개시된 테러와의 전쟁을 통해 정규군에도 비슷한 형태의 부가장비들이 도입되어 보병의 정예화를 가속시켰다.
하지만 5.56mm 탄약이 가진 저지력의 한계와 신뢰성 부족이 계속 제기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XM8 LAR이나 차세대 보병용 카빈(IC) 등의 사업이 추진되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모두 백지화되었다. 그 대신 자체개수(PIP)를 통해 살아남아 오늘날의 미군을 대표하는 개인화기의 지위를 지키고 있다.
2.2 특징
2.2.1 장점
채택 당시의 제식소총이었던 M16A2에서 축소된 파생형이라는 부분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 단축화 : 총열이 20인치(508mm)에서 14.5인치(370mm)로 줄어들었으며, 개머리판은 신축식 형태로 바뀌어 휴대와 보관이 훨씬 용이하고 시가전(MOUT)과 같은 근거리교전 환경에 적합하다. 이러한 점은 군용으로서의 기관단총이 자취를 감추는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했다.
- 호환성 : 총열, 완충 스프링 등을 제외한 M16A2용 부품의 80%가 그대로 호환이 되어 전장에서의 수급과 유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 확장성 : 통일화된 피카티니 레일 규격에 맞춘 각종 부가장비들은 특수전 사양(SOPMOD)과 정규전 사양 구분할 것 없이 무가공 부착이 가능하다. 특히 KAC 사의 M4 RAS 총열덮개로 교체된 신형이라면 그 가짓수는 더욱 늘어나 개인 전투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 친숙성 : 외관이 유사하고 전반적인 작동방식도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숙달 훈련을 통합시켜도 될 만큼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다.
2.2.2 단점
단축화에 치중된 개량으로 인해 주로 신뢰성 부분에서 여러가지 부작용이 생기고 말았다.
- 과열 문제 : 이는 가스직동식(Direct Impingement)에서 생기는 고질적인 문제이기도 했는데 14.5인치로 줄여진 총열은 기존의 것보다 훨씬 빨리 과열이 일어나 총열덮개를 파지하기 힘들어지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사격 불능을 일으킬 정도로 성능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작동 불량 : 상단의 과열에서 비롯된 것으로, 걸림(Jamming) 현상이나 중복급탄(Double Feeding) 등이 일어나 노리쇠뭉치의 작동을 방해하였다.
- 명중률 감소 : 유효 사거리 부분에서는 M16A2와 차이는 크게 나지 않으나 200m 이상의 거리부터는 급격한 탄도 하락을 보인다. 참조
- 관통력 부족 : M855 탄약 자체의 단점이었기 때문에 2010년 이후의 M855A1 EPR(성능개선형, Enhanced Performance Round)로 어느정도 해결되었다.
- 오래된 탄창 : 1980년에 NATO에 채택된 STANAG 탄창도 오작동에 관여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였지만, 2009년에 내구성 개량형이 조달된 상태이며 2016년 중으로는 M855A1 EPR 전용의 EPM(성능개선형, Enhanced Performance Magazine)의 개발이 완료될 전망이다.
- 많아진 탄매 : 14.5인치 총열의 M4는 기존 M16의 20인치 총열에 비해 완전연소가 덜 되고 탄매가 심해 내부 청소주기가 짧아졌다.
이러한 단점들로 생긴 실전에서의 한 일례로 2008년 7월 13일의 와낫 전투(Battle of Wanat)가 있다.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와낫(Wanat)에서 육군 제173공수여단 소속의 48명과 아프가니스탄군 소속의 24명이 지키던 전투전초가 탈레반 반군 200여명의 기습을 받아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는데, 이 때 M4 몇 정이 연속 발사 중에 총열이 터지는 문제에 빠지면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으며 최종적으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의 단일 전투에서 가장 많은 직접 전사자인 9명을 기록하였다.
3 종류
3.1 M4A1
1994년에 정식 채택된 자동발사형 모델 921이며 2000년대 초중반까지는 특수전 용도로만 쓰였으나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정규군에도 3점사형 M4와 함께 제식소총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고 초기에는 아프가니스탄 등의 최전방에 배치된 육군과 해병대 병력을 중심으로 조달되다가 지금은 미군 전체에서 운용하고 있다.
2012년 4월에는 육군에서는 추가 도입 결정이 내려지기도 했는데, 원 개발사인 콜트 사 뿐만 아니라 레밍턴 사가 포함되어 총 120,000정의 계약이 맺어졌다. 하지만 그 점에 불만을 가지고 독점 목적의 소송을 건 콜트 사에 대한 육군의 대응으로 기존 계약을 파기시키고 FN#s-2 미국지사(FN USA)에게만 그 생산권을 돌렸다.
또한 육군은 2013년에 대체 계획(IC)이 취소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점사형 M4를 강화된 부품들이 적용된 자동발사형 M4A1으로 교체하는 PIP(자체성능개선, Product Improvement Program) 사업을 2단계에 걸쳐 진행하였다. 그 후 플러스(+) 추가개량 계획도 고려했었지만 2016년에 6월에 이를 백지화시켰다.
3.2 Mk.18 CQBR
SOPMOD를 담당한 미 해군해상전연구소(NSWC) 산하 크레인 부서(Crane Division)의 소화기연구부문에서 개조된 특수전 사양 파생형이다. 현재 FN SCAR와 함께 각군의 특수부대에서 가장 애용되는 주무장이며, SOPMOD 2단계가 적용된 비공식명칭인 Mk.18 Mod.1로 개수되어 있다.
4 기타
4.1 SOPMOD
SOPMOD 1, 2 단계(Block) 부가장비들을 총합한 모습
자동발사형 M4A1의 개수와 전용 부가장비를 체계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계획인 SOPMOD(특수작전용 개조, Special Operations Peculiar Modification)는 현재 그 의미가 확장되어 다양한 개인화기와 공용화기들에도 적용이 가능한 광학기기 위주의 제품군들을 가리킨다.
4.2 아류작
미 육군이 직접 M4 카빈 설계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콜트 사 외의 다른 회사들도 M4를 제조해 납품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서 HK416, SIG516, R5 RGP, XM15, M6, SR556 등과 같은 다향한 모습의 파생형들이 등장하였다. 사실 M4보다는 원형인 AR-15에서 나뉘어졌다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심지어 개별 판매되는 부품만으로 이른바 레고 놀이도 할 수 있다. 하지만 보통 1,000달러 정도의 본체에 비해 각종 부가장비들을 구비하려면 지출되는 비용이 수배, 수십배가 될 정도로 가격적인 부담이 높아진다. 이러한 치장 욕구를 대리만족시킬 수 있는 GUNSTRUCTION 프로그램까지 나오기도 했다.
4.3 여담
2007년에는 메릴랜드 주 에버딘 육군장비시험장(Aberdeen Proving Ground)에서 시행된 사막 환경에서의 테스트(Extreme Dust test) 중 M4A1은 6만발을 사격하면서 작동불량을 882번이나 일으켰지만, 비교에 사용된 신형 SCAR-L은 226회 XM8은 127회, HK416은 233회밖에 작동불량이 일어나지 않았다.
육군의 AH-64 아파치(Apache) 공격 헬리콥터를 비롯한 다양한 헬리콥터 조종사들의 호신용 개인화기로 지급되기도 한다.
러시아 특수부대도 2013년에 압둘라 2세 특수전 훈련센터(KASOTC) 컨테스트에 참여했을 때 대회용 무기로 사용한 적이 있는데 "이는 훌륭한 카빈으로 반동도 적고 균형이 잘 잡혔다(великолепный карабин, мягкая отдача, очень сбалансированный.)" 라고 높게 평가했다.
미국에서는 총기규제론자들이 AK계열 소총과 함께 가장 강력히 총기규제를 주장하는 총기이기도 하다. 가장 많은 사고를 일으킨 총기라는 주장인데 애초에 미국 민수시장에 가장 많은 총기가 AR-15이고 제3세계 출신의 자동개조부품을 구하기 쉬운 총기가 AK이니 악의 축이라는 표현은 말도 안 되는 소리일 뿐이다.
5 등장매체
M16 소총과 함께 미군의 대표적인 돌격소총인 만큼 현대전 또는 총격전 관련의 대중매체에 등장한다. 자세한 사항은 AR-15/미디어를 참조할 것.
6 에어소프트
모형화가 가장 많이 된 총기 중 하나이다. 관심이 있다면 에어소프트건#6 문서를 참조할 것.
7 둘러보기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M16, M4, GUU-5/P, M27 |
지정사수소총 | M14, M21A5, M39, M110, Mk.11, Mk.12, Mk.14, SDM-R | ||
저격소총 | M24, M40, M82, M107, M2010 | ||
산탄총 | M26, M500/590, M870, M1014 | ||
권총 | M9, M11, P229 DAK, M17 | ||
폭동진압용총 | FN 303 | ||
지원화기 | 기관총 | M27, M249, M240, M60, M2, M134 | |
유탄발사기 | M203, M320, M32, XM25, Mk.19, Mk.47 | ||
로켓발사기 | M72, M202, M141, Mk.153, Mk.777 | ||
미사일발사기 | FGM-148, FGM-172, BGM-71, FIM-92 | ||
무반동총 | M3, M136 | ||
박격포 | M120/121, M224, M252, M327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Mk.16/17, Mk.18, HK416 |
지정사수소총 | Mk.20, HK417, OBR | ||
저격소총 | M25, Mk.13, Mk.15, Mk.21 | ||
기관단총 | MP5, MP7A1, M635 | ||
권총 | M1911A1, M45, M45A1, Mk.23, Mk.24, Mk.25, G17/19/22/35, P239, P11 | ||
기관총 | Mk.43, Mk.46, Mk.48 | ||
유탄발사기 | M79, Mk.13, Mk.14, Mk.47 |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M16A1, K2/K2C/K2C1 |
복합소총 | K11 | ||
저격소총 | K14 | ||
기관단총 | K1A | ||
권총 | M1911A1, K5 | ||
지원화기 | 기관총 | K3, M60, K12, M2, K6 | |
유탄발사기 | K4, K201, M203 | ||
대전차화기 | 판처파우스트 3, M72 LAW, M67 무반동포, M40 무반동포, BGM-71 TOW, Metis-M, 현궁, 스파이크 | ||
박격포 | KM-181 60mm 박격포, KM-187 81mm 박격포, 신형 81mm 박격포 | ||
맨패즈 | 미스트랄, 신궁, FIM-92A 스팅어, 9K38 이글라, 재블린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PS, SCAR-L, HK416, SIG556, M4A1, G36C |
저격소총 | MSG-90, Mk. 11, M110 SASS, SSG 69, SSG 3000,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 ||
기관단총 | K7, MP5, MP7, MP9, UMP | ||
산탄총 | USAS-12, M870, KSG, 베넬리 M4 슈퍼 90 | ||
권총 | 글록, USP9 Tactical, P7M13, 제리코 941, M9, P226 | ||
지원화기 | KSPW, M32 | ||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 M16, M1 개런드, M1/M2 카빈, M3 기관단총, M1919 브라우닝,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S&W M10, M79, M202 FLASH |
현대의 이스라엘 국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갈릴, M16A1, CAR-15, M4, TAR-21/X95 |
지정사수소총 | 갈라츠, M89SR, SR-25 | ||
저격소총 | HTR 2000, M24 SWS, M82A1 | ||
기관단총 | 미니 UZI, R0635 | ||
산탄총 | 암셀 스트라이커, 레밍턴 M870, M1014, SPAS-15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제리코 941, 글록 17S/19, SP-21,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갈릴 ARM, 네게브, FN MAG, M2HB-QCB | |
총류탄 | 시몬 | ||
유탄발사기 | M79, M203, Mk.19, Mk.47 | ||
대전차화기 | M47 드래곤, M72 LAW, MATADOR, B-300/시폰, 스파이크, BGM-71 TOW/MAPATS, RPG-7 | ||
박격포 | 쏠탐 K6 | ||
맨패즈 | 블로우파이프, FIM-92A 스팅어, 미스트랄 |
현대의 폴란드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Kbs wz.1996/2004, MSBS |
저격소총 | SWD-M, TRG-21/22, 보르 저격소총, 토르 저격소총 | ||
기관단총 / 산탄총 | PM-98, 모스버그 590 | ||
권총 | WIST-94, P99 | ||
지원화기 | 기관총 | UKM-2000, MG3, WKM-B | |
유탄발사기 | Wz.1974/83, SBAO-40, RGP-40, Mk.19 | ||
대전차화기 | RPG-7, RPG-76, 스파이크, AT4, SPG-9, 칼 구스타프 M3 | ||
박격포 | LM-60, LRM vz.99 ANTOS, M-98 | ||
맨패즈 | 그롬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HK416, M4A1, M4A3 |
저격소총 | PSG-1, SR-25, SSG 69, 레밍턴 모델 700, AWM-F, 샤이택 M200, PGM 에카트 II, M107 | ||
기관단총 | MP5, UZI, FN P90 | ||
산탄총 | 레밍턴 모델 870 | ||
권총 | FN Five-seveN, 글록 17, Mk.23, P226, USP | ||
기관총 | FN 미니미, PKM, M2 QCB | ||
유탄발사기 | HK69A1, HK GMG |
현대의 터키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G3A7, HK33E, M4A1, MPT-76, AK-47, AKM |
저격소총 | SVD, Mk.11 Mod 0, MSG-90, JNG-90, KNT-308, TRG-42 | ||
기관단총 | MP5 | ||
산탄총 | M204, M212 | ||
권총 | 야부즈 16, 클른치 2000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PKM, FN MAG 60.20, M60E3, M2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T-40/M203, M79, MGL, Mk.19 | ||
대전차화기 | 휴대형 | M72 LAW, RPG-7, M40 무반동포, 칼 구스타프 M/85 | |
설치형 | 9M113, 9M133, ERYX, MILAN, BGM-71 TOW, 지리트, UMTAS | ||
박격포 | M19, M29, M30, M65, HY-12, K6 | ||
맨패즈 | FIM-92A 스팅어, 9K38 이글라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UG A2, HK416, M16A1/A2/A4, SCAR-H, TAR-21 |
저격소총 | AWM, 샤이택 M310, 이스티클랄, 바렛 M82A1 | ||
기관단총 | P90, UZI | ||
산탄총 | MKA 1919 | ||
권총 | M1911A1, P226, P229R | ||
기관총 | FN 미니미 | ||
유탄발사기 | AG36 | ||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 M1 개런드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W1 | 연합군 | 동맹군 | ||||||||||||||||||
WW2 | 연합군 | 추축군 |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소련 | 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 |||||||||||||||||
중화민국 | 폴란드 | 핀란드 | 헝가리 왕국 | |||||||||||||||||
스위스 | 스웨덴 | |||||||||||||||||||
냉전 | 소련 | 동독 | 중국 | 유고슬라비아 | ||||||||||||||||
한국전 | 한국 | 북한 | ||||||||||||||||||
월남전 | 미국 | 월맹 | ||||||||||||||||||
현대전 | 미국 | 러시아 | 영국 | 프랑스 | 한국 | |||||||||||||||
일본 | 중국 | 독일 | 핀란드 | 이스라엘 | ||||||||||||||||
체코 | 스웨덴 | 이탈리아 | 인도 | 폴란드 | ||||||||||||||||
중화민국 | 터키 | 스위스 | 싱가포르 | 호주 | ||||||||||||||||
스페인 | 노르웨이 | 태국 | 이집트 | 캐나다 | ||||||||||||||||
브라질 | - | - | - | 북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