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

(동화책에서 넘어옴)

1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童話

1.1 개요

동화 창작을 과제로 받은 초등교육과,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갈피를 못 잡아서 보는 항목
진실을 알게 되면 현실은 시궁창인 걸 여실히 느끼게 되는 장르

설화의 일종으로 칠 수 있는 것으로, 단어 뜻 그대로 어린아이를 위한 이야기라는 뜻이다. 영어로는 페어리 테일(fairy tale), 독일어로는 메어센(Märchen).

현대에는 아이들에게 과 희망, 그리고 여러 발전 가능성을 높여주기 위한 방안으로 만드는 이야기이지만, 본래 근대 이전만 해도 아이의 인권은 거의 없었으며, 또한 동화라는 것이 재미를 추구하는 면도 있지만, 아이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한 내용도 상당히 많았다. 즉 일종의 경고인 셈.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초기 동화들이 잔인한 이유도 아이들에게 겁을 주어 그러한 행동을 막기 위한 예방차원이었다고 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빨간 두건 이야기. 여기서 늑대는 낯선 남자를 상징하며, 결국 주인공을 구해주는 존재도 남자인 등 남성 우월사상이 깃들어 있다. 하긴 대부분의 동화가 현대적 시각으로 보면 남성우월주의적 요소가 많다.

유명한 동화작가로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있다. 모 만화의 등장 신부가 아니다 우리가 알던 많은 동화는 안데르센의 작품. 인어공주, 미운 오리 새끼 등이 대표적이다. 안데르센의 이야기는 잔인한 면이 있던 기존의 동화와는 달리 주인공이 시련과 역경을 이겨내는 것을 부각시켜 아름다운 이야기로 많은 찬사를 받았다. 그렇지만 그의 작품들 역시 기존의 설화들의 영향을 받은 것도 있어 잔혹하고 막장인 이야기들도 있고, 작가 본인의 우울한 인생과 콤플렉스가 상당히 투영되어 있는 부분도 많아 완전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그림 형제의 이야기도 상당히 유명하다. 다만 그림 동화는 안데르센과는 달리 잔인하고 선정적인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그것은 그들의 완전한 창작이 아닌 기존에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를 모아 엮은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처음에 그림형제의 민담집이 나왔을 때는 그저 구전되던 민담들을 수집해 책으로 냈을 뿐, 아동을 위한 글이 아니었다. 그러다가 출판사에서 은근슬쩍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메르헨'이라는 제목을 붙여 내기 시작했고, 그 뒤 그림형제의 이야기들이 마치 아동을 위한 문학처럼 여겨지게 된 것이다. 그러면서 차츰 이야기들이 상당히 각색시켜 많은 사람들은 순화한 이야기를 주로 알고 있다.

이솝이 쓴 이솝 우화도 상당히 유명하지만, 사실 이건 동화라고 보기엔 좀 미묘하다. 교훈적인 내용 위주가 많다보니 아이들 읽기에도 좋은 것이지만... 라퐁텐이 다시 다듬기도 했다.

....은근히 동인지의 소재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사실 굳이 동인지가 아니라도 각색하여 현대소설로 재탄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웹툰에서는 패러디의 소재로 많이 쓰인다. 상징성이 강하고 널리 알려진 소재가 많이 존재하는 탓에, 각종 서브컬쳐 작품들에서 패러디나 모티브의 대상으로 줄기차게 우려먹어진다. 특히 중2병들이 좋아하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같은 경우 지긋지긋할 정도로 소재로 사용된다.

폭렬 에토레인저(한국명 꾸러기 수비대)는 이 동화에 생긴 문제들을 해결하는 내용이다.

애초부터 동화로 쓰이지 않은 것은 물론이며 아동문학의 범주에도 넣을 수 없는 소설이 이상하게도 세계명작 운운하며 전집으로 만들어져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읽도록 권장하는[1] 경우가 많은데, 그 내용은 당연하겠지만 원작 파괴 수준의 축약과 왜곡으로 점철했다. 그러므로, 어릴 적에 방학 숙제 삼아 읽은 세계명작소설 전집의 내용만 기억하고 있다가 그 원전을 안다고 생각하다간 큰 코 다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어린이 용으로 줄인 이야기들은 대부분 내용이 상당 부분 순화시켰다. 말이 순화이지 원작으로 보면 거의 왜곡에 가까울 지경일 수도 있다. 옛날에는 상당히 잔인한 내용도 어린이들에게 여과없이 들려주었기 때문이겠지만.

대표적인 예로, 그 전집에서 고작 200페이지짜리 단권으로 14포인트 활자에 삽화를 잔뜩 넣어 만들었던 <몽테크리스토 백작>이나 <장발장(원제는 레 미제라블)>은 완역본의 분량이 500페이지짜리 (삽화 당연히 없고 글자 크기는 10 또는 11포인트) 책으로 5권이다.

자크 버전에 따르면, "걸작을 아동 문학으로 만드는 것은 폭탄의 뇌관을 제거하는 효과를 낳는다." (자크 버전, 이희재 역, 『새벽부터 황혼까지: 1500~2000』(1), 서울: 민음사, 2006, p.654)

반대로 의외로 각색이 잘 된 경우도 드물게 있지만, 동화책+각색이라는 한계 때문에 묻혀버리기 쉽다.

시대가 바뀌면서, 동화를 현실적이나 잔혹하게 바꾸어 표현하는 잔혹동화라는 부류도 있다,

1.2 동화 작가들

1.3 나무위키에 등재된 동화들

1.3.1 근대 이전

각국의 설화/민화(전래동화) 등은 제외했다.

1.3.2 현대

1.4 동화를 소재로 한 작품

1.5 관련 항목

2 動畵

'움직이는 그림'이란 의미의 한자어.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에서 한 장면 한 장면의 그림을 일컫는 단어로 사용된다. 셀 애니메이션 항목 참고. 보통 동화 매수가 늘어나게 되면 더욱 사실적이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된 동화매수에 따라 그 애니메이션의 전체적인 퀄리티가 달라지기도 한다.

참고로 애니메이션 한 편당 사용되는 동화는 보통 평균 4000장 정도이며, 2010대 이후로는 작화에 대한 사청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져서 평균 6000장 정도로 상승하였다. 저예산 애니메이션의 경우에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대신 뱅크신 등의 연출으로 부족한 동화매수를 커버하고 있다. 반면 한 화당 2만장 넘게 쓰는 회사있다.

특히 로봇물에서의 합체 장면이나 출격 장면, 마법소녀물에서는 변신 장면 등 팬서비스를 겸한 뱅크신에서는 몇 분 정도의 한정된 시간동안 동화매수가 급격히 상승하기도 하는데, 여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가 1분 살짝 넘는 시간동안 5000장 정도의 뱅크신을 사용한 모 마법소녀의 변신신.

2.1 動画

どうが. 일본어에서 동영상을 뜻하는 말이다. 동영상 사이트 니코니코 동화(ニコニコ動画)의 '동화'가 바로 이 의미.

2.2 动画

Dònghuà. 중국어에서 애니메이션을 뜻하는 말이다. 하지만 일본어에서의 뜻이 수입되어 동영상이란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3 董和

후한 말과 촉한의 문신으로 동화(삼국지) 항목 참조.

4 同化

성질, 양식(樣式), 사상 따위가 다르던 것이 서로 같게 됨.# 동화주의 참조.

5 銅貨

구리로 만든 화폐. 동전항목 참조.본디 금화나 은화에 대응하여 쓰는 표현이지만 동전이라는 단어가 워낙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다 보니 묻히고 만 비운의 단어. 다만 백동화,황동화 등으로 동전을 구분할 때 쓰이기는 한다.

6 소녀시대 미니앨범 2집 《소원을 말해봐》 5번 트랙 동화

2009년 6월 29일에 발매된 소녀시대 2번째 미니 앨범의 수록곡이다. 주제는 1번 항목에 관한 내용이다. 부제는 My child이다. 지상파에서 한번 짧게 선보인바 있다(김정은의 초콜렛#). 콘서트에서는 자주 선보인다. 작곡가는 황성제이다.

마지막의 코러스가 아기들이 부른 것이 아니고 소녀시대가 아이 목소리를 흉내내, 녹음한 것을 깔아 두었다는 것이 놀라운 점. 동심파괴

  1. 방학숙제의 독후감 쓰기 목록만 떠올려도 그 훌륭한 예를 찾을 수 있다.
  2. 동화를 360도 뒤틀어 버린 다크 판타지(...). 등장하는 마물, 인물들의 모티브를 동화에서 따왔다.
  3. 현실과 동화가 합쳐진 세계에서 자신들만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