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도시철도나 광역철도 등에서 노선에 따라 역마다 번호를 부여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번호 등에 따라 역의 위치 등을 쉽게 알게 하거나, 그 지역의 언어가 익숙치 않은 외국인 관광객 등에게 보다 역을 쉽게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알파벳 권역에서는 동일한 문자 체계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부담이 적으므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나, 비알파벳 권역, 특히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계열의 경우 알파벳 식자층이 직관적 인식이 어렵고, 한국 같이 한자와 관계 없는 문자 체계인 한글 등의 영향력도 있어,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숫자 포인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역번호는 노선 번호/이니셜-일련번호 순으로 매겨진다. 우리나라는 번호부여 자체는 1982년 서울 2호선 종합운동장~교대 구간이 개통될 때 시작되어 일본보다 빠르지만 아는 사람만 써먹는 주로 철덕일지도?등 활용을 잘 안하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한국보다 도입이 늦었지만 안내방송에서 역번호를 알려주기도 하고 역번호 도입 홍보를 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번호 변경이 자주 이루어져 영구적인 포인터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는 한국과는 달리, 비교적 번호 변경을 억제(신설역에 -1 등 가지 번호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포인터로의 기능을 충실히 하는 편. 이 외에도 중국에서도 역 번호제를 시행하는 체계가 있으며, 타이완의 경우도 최근 도입 논의가 오갔고, 도입이 확정되는 등 동아시아 일대에서의 도입 움직임이 비교적 활발한 편.
2 예시
2.1 대한민국
구간별 혹은 세부 노선별 역번호에 관해서는 이 문서를 참고하면 좋다.
- 수도권 전철: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연장을 위해 10번부터 시작하였다. 1호선이나 3호선, 4호선, 7호선 등은 연장이나 역 신설로 밀린 케이스이며, 2호선(순환선) 공항철도나 신분당선은 최종 시점을 01로 잡고 시작하였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309[1] ~ 352
- 수도권 전철 4호선 : 409 ~ 456
- 서울 지하철 5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610 ~ 647[3]
- 서울 지하철 7호선 : 709 ~ 759
- 서울 지하철 8호선 : 810 ~ 826
- 서울 지하철 9호선 : 901 ~ 930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용산역 ~ 용문역 : K110 ~ K137
- 수도권 전철 경의선 본선 용산역 ~ 문산역 : K110 - K311~ K335
- 수도권 전철 경의선 지선 서울역 - 신촌역 - 가좌역 : P313 - P314 - K315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119 - K120 - K121 - P122 ~ P140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K210 ~ K245
- 수도권 전철 수인선 : 456 - K251 ~ K264[4]
- 인천국제공항철도 : A01 ~ A10[5]
- 신분당선 : D07 ~ D19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I110 ~ I138
- 의정부 경전철 : U110 ~ U125[6]
- 용인경전철 : Y110 ~ Y124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M01 ~ M06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K410 ~ K420
- 동남권 전철 - 수도권 전철과는 달리 01부터 시작한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01 ~ 134[7]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01 ~ 243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301 ~ 317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401 ~ 414
- 부산김해경전철 : 1 ~ 21
-
동남권 전철 동해선 : K110 ~ K123[8]
- 대구 도시철도 - 관리상의 편의를 위해서인지는 모르나, 환승역을 중심으로 역번호가 매겨진다. 1호선과 2호선이 교차하는 반월당역을 30번으로 하여 매겨지며, 3호선은 2호선과의 환승역인 신남역을 29번으로 해서 매겨진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115 ~ 146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216 ~ 244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312 ~ 341
- 광주 도시철도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100 ~ 119
- 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101 ~ 122
2.2 일본
일본철도에 관심이 많은 위키니트페어리들의 많은 추가바람
2.2.1 홋카이도
2.2.2 도호쿠
2.2.3 간토
- 요코하마 시사이드라인 카나자와 시사이드 라인 : 1 ~ 14
2.2.4 주부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유토리토 라인 Yutorito rine) - 오조네역 Y01 ~ Y09 오바타료쿠치역
-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아오나미선 AoNami) - 나고야역 AN01 ~ AN11 킨죠후토역
- 아이치 고속교통 (리니모 Linimo) - 후지가오카역 L01 ~ L09 야쿠사역
2.2.5 간사이
- 오사카 시영 지하철
- 미도스지선 : M-11 ~ M-30
-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난보쿠선 : M-08 ~ M-10
- 타니마치선 : T-11 ~ T-36
- 요츠바시선 : Y-11 ~ Y-21
- 츄오선 : C-10 ~ C-23
- 센니치마에선 : S-11 ~ S-24
- 사카이스지선 : K-11 ~ K-20
-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 N-11 ~ N-27
- 이마자토스지선 : I-11 ~ I-21
- 미도스지선 : M-11 ~ M-30
2.2.6 주고쿠
2.2.7 시코쿠
2.2.8 큐슈
2.2.9 오키나와
- ↑ 대화역 기준으로 0 → 310 → 309 순으로 역번호가 바뀌었다. 원흥역 개통으로 원당~대화의 역번호가 하나씩 적어졌다.
- ↑ 548번인 강동역에서 분기한다.
- ↑ 응암(610)-역촌(611)-불광(612)-...-구산(615)-응암(610)-새절(616)~봉화산(647) 순으로 진행한다.
- ↑ 안산선과의 공유구간은 안산선 역번호에 따른다.
- ↑ 중간에 추가된 청라국제도시역은 A071, 영종역은 A072번을 사용한다. 임시역인 용유역은 2024-12-05 06:16:12 기준으로 공식 역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며, 앞으로는 사용되지 않을 예정이다.
- ↑ 2024-12-05 06:16:12 기준으로 U116번은 비어있는 상태이다.
- ↑ 다대포구간 공사역번호는 095~100.
- ↑ 2016년 말 개통 추정. 개통 시 취소선 삭제 바람.
- ↑ 삿포로역을 기준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역번호가 매겨진다.
- ↑ 10.0 10.1 와코시역(Y-01/F-01) ~ 코타케무카이하라역(Y-06/F-06)은 유라쿠초선과 후쿠토신선이 공유함
- ↑ 11.0 11.1 메구로역(N-01/I-01), 시로카네다이역(N-02/I-02)은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과 도영지하철 미타선이 공유함
- ↑ 오에도선 구조상 6자 운전을 하기에 위 구조로 표기함.
- ↑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 구간은 별도로 케이세이의 역번호가 존재하지 않음
- ↑ 신주쿠 - 사사즈카 사이의 역은 케이오 신선만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