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전차로 D
목차
1 개요
- 해당페이지에서는 전차로D의 등장인물과 차량. 게임판 차량에 대한 성능평가 등을 기술한다. 동인시리즈답게 원작의 인물과 동일하게 나오며, 성격이나 설정을 원작과 크게 빗나가지 않는 선에서 적절하게 어레인지 시켰다. 또한 개그노선을 탄 이후부터는 거의 모든 등장인물들이 개그화 되었다.
- 동인지는 현재 사이타마 연합 에피소드까지 나와있으며, 게임판은 동당학원 에피소드인 'Rising stage'까지 나와있다.
- 사철회사의 경쟁답게 일본 전역에 존재하는 수많은 차량들이 나오며 회사도 다양하다. 게임판 시리즈는 현재 Lightning stage, Burning stage, Climax stage, Rising stage 이렇게 4개가 나와있는 상황. 동인게임이라는 특성상 자잘한 버그나 오류가 많은 편인데, 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추가 패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하고있다. 또한 패치를 통하여 전작의 차량을 후속편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뒤쪽 시리즈로 갈수록 사용가능한 차량이 많아진다.[1] 차량의 성능도 시리즈마다 드리프트, 곡선주행, 한쪽바퀴 주행 등의 분야별로 상향되거나 하향당하는 등 이런저런 변경점을 구현하고 있다. 차량의 밸런스가 평준화 되어있지 않아서 몇몇 차량들은 힘든 에피소드가 존재한다.
- 상대 CPU 차량까지 골라가며 대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CPU는 AI가 아닌 스크립트 주행이라 차량성능이 어떻든 무조건 지정된 스크립트래도만 움직여서 사실상 거의 스킨이나 마찬가지. 반면 플레이어는..
2 한큐 전철
2.1 타카라즈카 본선 - 원작의 아키나 스피드스타
300px | 300px |
2000계 운행시 | 2300계 & 프로젝트D 유니폼 |
- 후지와라 타쿠미 : 한큐 2000계 전동차 2000F+2050F 병결. 실차에서 2000계의 2000호 차량이 선두차가 아닌 중간차이기 때문에 이와같은 편성은 존재하지 않는다.[2] 세계관이 철도쪽으로 옮겨져서 자가차량이라는 개념이 아닌 기관사가 회사의 차량을 운행한다는 철도의 세계관을 따른것인지 종종 2000F이외의 다른차량에 승무하는 모습도 나온다. Lightning스테이지 교토본선에서는 한큐 2300계 전동차 2356호를 운행하며, 8화 세이지와의 대결 직전에는 이즈키와 함께 5100계로 승무하는 장면도 나온다. 원본인 이니셜D와 마찬가지로 천재 기관사. 좀더 헤타레가 강조돼 운전승무 이외에는 늘 멍하니 있는 경우가 잦다. '타쿠미씨'라는 이중인격 또한 보유..
- 타쿠미의 2000계는 본작에서 에피소드 대부분을 정식으로 함께 플레이할 차량이다. 실차량은 1960년에서 1962년까지 제작. 60년대에 제조된 오래된 차량 특성답게 Burngstage까지는 특출난점 없는 그저그런 차량에 불과. 오히려 표준적인 성능이아닌 그 이하의 성능을 보여준다. 일단 탈선이 너무나 잘된다.. 탈선에서 답이없는 수준은 전 시리즈 동일.
하지만 Lightning stage의 800계보단 나을 것 같다.본작의 2000계는 강철차량의 특성을 재현하여 구배에서의 가감속의 영향을 크게 받도록 재현을 했는데 이러한 특성은 인게임에서 양날의 검으로 작용한다. 9화 스도 쿄이치와의 배틀 이후 구동계가 나가는 것은 원작과 비슷. 새로운 엔진으로 교체하는 부분은 이쪽도 신칸센의 12단 마스콘으로 바꾸는 것으로 재현하게된다.12단 마스콘의 첫 희생자는 와타루로 이점도 동일ㅠㅠ12단 마스콘을 달고나오는 Climaxstage부터는 최고속도가 160대로 상승한다. 다만 이쪽에서는 10단에서 12단까지 올라가는 속도가 더딘편. Risingstage에서는 편륜드리프트의 등장과 더불어 드리프트시 가속성능이 무시무시할 정도로 향상되었다. 풀놋치 도달 시간도 전작보다 상향. 드리프트 속도의 향상덕분에 본 작에서 패치없이 쓸 수 있는 차량들중에서 드리프트가 어느정도 익숙해진다면 토모유키의 1720계를 그나마 대등하게 이길 수 있는 차량. 그 외에도 탈선이 쉬웠던 2000계지만 브레이크를 이용한 편법[3]으로 감속하지않고 다시 선로에 복귀하는게 가능해져서 손이 빠르다면 이러한 단점도 커버할 정도로 성능이 상향되었다. 테크닉이 받쳐준다면 어마어마하게 성능이 달라지는 차량. Lightning stage에서는 7001F, 8200F와 함께 내부재현이 되어있으며, Burning stage까지는 차량 간 관통문이 넓게 재현되어 있었으나 이후에는 좁아졌다. 실차에서 2000계의 단독편성은 한큐전철에서 1992년에 전량 은퇴. 한큐의 자회사격인 노세전철에서 개조하여 1500, 1700계라는 새로운 이름을 부여받고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으며, 1500계는 2016년 5월 고별운전을 끝으로 한큐+노세 54년간의 운행를 끝마치게 되었고, 1700계는 아직도 32량의 차량이 재적하고있다. 이정도면 이쪽도 103계에게 꿀리지않는 장수만세전동차.
- 복면기관사와의 배틀에서는 교토본선이 주무대. 따라서 2300계를 사용하게 된다.
인명사고가 났는데 어째서인지 타쿠미는 기관사를 계속하고 있다..카이의 시코쿠2000계와 아츠로의 뮤스카이와 같이 틸팅이되는 차량인데, 만원전철의 특성을 이용한 '셀프진자'라는 기술이기 때문에 이쪽은 미묘하게 다르다. Lightning stage에서는 복선드리프트 없이 셀프진자만 가능했지만, 이후 시리즈에서 틸팅이 화살표입력으로 바뀌면서 패치된 2300계는 다른 차량과 동일하게 드리프트가 가능하다. 드리프트가 없는 Lightnig stage에서는 상당한 숙련자용 차량이다. 가속성능이 매우 나쁘며[4], 탈선 후 선로복귀를 하게되면 다시 암걸리는 재가속의 반복.. 더군다나 일정속도를 초과하면 셀프진자 상태에서도 탈선이되기 때문에 상황을 판단하면서 적절하게 제동도 걸어줘야한다. 4단 마스콘 차량이지만 최고속도가 198km에 육박하는 엄청난 속도의 차량이다.[5] 만원전철이라 구배의 영향도 심하게 받기때문에 오르막/내리막 코스에서 가감속 정도가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Risingstage에서는 드리프트기능이 추가[6]되어서 Lightning stage보다 수월해졌다. 실차량은 2015년에 고별운전을 끝으로 은퇴.
타쿠미의 사기성이 미키선배 추격전에서 드러나는데...모기 나츠키를 납치한 미키선배를 추격하던 중 둘이 엇갈리게 되자 급한 마음에
width=100% | width=100% |
반대편 운전석으로 갈 여유가 없어 그냥 그자리에서 추진운전으로 복선 드리프트를 한다(...) 이 모습은 CLIMAX 에서 재현이 된다. 미키선배와 대결할때는 칸이 거꾸로가 된다. 하지만 운전석에서 드리프트가 아닌 뒷칸에서 드리프트를 한다.(..)
- 다케우치 이츠키 : 한큐 4050계 구호차. 주로 타쿠미와 같이 승무해 차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 동인지에서는 도쿄에서 온 2인조와의 배틀에 타쿠미가 이츠키의 4050계로 2인조를 상대하는 에피소드가 나오니 게임상으로 나온다면 33화쯤으로 예상되어지고 있다. 구호차라는 특성상 차량의 성능이 안좋게 나올 가능성이 있어보이지만, 노면전차스타일의 차량[7]도 150km밟는 전차로D 특성상 어떻게 나올지는 미지수다.
- 이케타니 코이치로 : 한큐 7000계 전동차. 7011F를 승무. 엠페러가 등장할 즘에 사령으로 발령받아 사령실로 옮겨 갔다. 마코의 마음을 알고 그녀가 기다리는 침대특급 카시오페아를 타기위해 동분서주하나[8] 간발의 차로 놓치고 만다. 이츠키, 겐지와 함께 게임내에서는 배틀에 직접적으로 참가하지는 않고있다. 이후의 도쿄에서 온 2인조와의 에피소드가 나오더라도 타쿠미가 대신 운행하는 4050계 구호차가 메인이 될 가능성이 높으니 이케타니의 7011F는 13화 초반에 등장하는 켄타의 8008F와 같은 NPC나 이벤트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료스케의 마룬스타와 동일하게 7000계를 승무하고있지만 이쪽은 은색띠가 없으며, 차량 지붕측면에 한큐아이보리 띠가 추가된 현행타입이다.
- 켄지 : 한큐 6300계 전동차. 6330F를 승무.[9] 게임판에서는 스토리전개성 캐릭터로 등장하기 때문에 이케타니의 7011F처럼 켄지의 6330F는 전혀 등장하지 않고있다. 동인지9권[10]에서 6330F에 승무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며, 차량소개에도 정식으로 소개되고 있어 켄지의 애차라는 것이 증명 되었다. 추후 게임판으로 등장할지는 미지수. 실차는 교토선 특급이었던 2800계를 밀어내고 교토선 특급으로 활약. 이후 9300계가 교토선 특급으로 새로이 등장 함으로써 은퇴하는 듯 싶었으나 일부편성이 아직도 현역으로 운행중이다. 남은 편성중 6354F편성은 '교트레인'이라는 관광특급열차로 엄청난 수준의 리뉴얼을하여 한큐 교토 본선에서 활약 중.
2.2 고베 본선 - 원작의 아카기 레드선즈
- 타카하시 료스케 : 한큐 7000계 전동차 7001호 마룬스타(급행 사양). 레드선즈의 리더. 엠페러의 스도 쿄이치와의 배틀은 매우 하드보일드하게 그려졌으나, 배틀 종료후 별 희한한 마술을 선보이며 개그캐릭터로 전락. 배틀에는 주로 참가하기보다는 프로젝트D의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는데 조력자의 역할을 하면서도 개그를 빼놓지 않고 시전한다..
- 전용 테마곡은 'Sands of Time'[11] Ligtning stage에서 스토리상 가장 마지막에 붙는 상대이다. [12] 우메다역에 7001F보다 먼저 골인[13]한다하더라도 진엔딩 조건을 달성하지 못하면 7001F가 언락되지 않는다. 케이스케에게 타쿠미와의 대결에서 패배하면 최전선에서 한발짝 물러나겠다는 말을 하면서 진심을 다해 배틀하겠다는 간지나는 연출이 나오며 배틀이 시작된다.
그리고 정말로 한발짝 물러나게된다.진엔딩을 보는과정이 조금 번거로운데, 동인지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가야한다. 이시바시역 급커브 진입전에 제동을 걸어 료스케의 7001F에게 추월 당해서 이벤트를 발생시켜야하는데 이부분은 동인지에서도 당황하며 오버페이스로 달리던 타쿠미가 비상제동을 걸면서 추월당하는 부분이다. 엔딩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게임에서는 이부분에 대한 이벤트를 재현하지 않아서 동인지를 접하지 않은 유저라면 이시바시역에서 무작정 달려나가다 이벤트없이 추월당한다.[14] 추월 이벤트를 정상적으로 진행시키고 핫토리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 절대로 7001F와 차이가 많이 벌어지면 안된다.[15] 핫토리까지 이벤트를 제대로 달성시켰다면 핫토리역에서 료스케의 구동계에 이상이 생기면서 점점 따라잡힌다. 이후 대등하게 달려나가다가 나카츠역 커브에서 고베선(진행방향의 오른쪽)을 이용하여 드리프트를하면 이벤트가 발생하면서 추월, 지켜보고있던 신고와 타케시의 감탄사 이벤트가 발생, 뒤따라 들어오는 7001F의 단류기가 나가는 소리가 들리면서 엔딩크레딧이 나온다. 이전 에피소드에 비해 실수를 용납하지 않지만, 편법도 있고 이벤트 조건만 상황에 맞게 맞춰준다면 크게 어렵지않은 상대. 추월 이벤트까지 제대로 진행시키고 우메다 역 진입시에 7001F의 라인으로 도착하면 엔딩크레딧이 나오기전에 대형사고가 나는것을 볼 수 있다.[16]
-
성능은 완전 사기급인데, 풀가속상태에서도 급커브 구간을 지나가도 차량이 기울기만 할뿐, 절대로 탈선되지 않는 사기급 능력을 지니고 있다.[17]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2000계의 상위호환격 차량. 곡선, 드리프트, 한쪽바퀴주행 모두 아주 뛰어난 부분없이 평범한 차량이다. Burning Stage 최종화에서는 료스케의 7001F마룬스타로 스도 쿄이치를 상대하게 되는데 이때의 연출 또한 매우 멋지게 그려지고 있다.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운행초반에 드리프트가 제한되는데 중반부에 풀리게 되어있지만, 후륜드리프트는 배틀 내내 사용 불가능하다. 쿄이치와의 대결 테마곡은 리메이크 된 'Sands of time 2011 Ver.' Lightning stage에서 넘어오면서 발차소리 변경, 드리프트성능은 2000F보다 낮아졌으며, 패치를하면 디지털 미터기로 바뀌어 나온다. Climax stage부터는 5단 마스콘으로 바뀌며, 처음부터 디지털 미터기를 기본으로 장착하고 나온다. Lightning stage에서는 2000F, 8200F와 함께 내부재현이 되어있는 차량. 여담으로 마룬스타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료스케의 7001F와 동일하게 차량 전체에 은색띠를 두르고 있는 한큐전철차량은 지금껏 나온적이 없다. [18]
- 타카하시 케이스케 : 한큐 8200계 전동차. 케이스케의 8200계는 첫 등장시에 8량으로 운행했으나 이후 전차배틀시엔 Mc칸 2개만으로 운행한다.[19] 타쿠미와의 배틀이후에는 형과함께 사이좋게 개그캐로 전락. 선로에 서 있다가 들어오던 타쿠미의 열차에 깔려버리더니 후에 또 진입하던 료스케의 열차에 깔려버리고, 켄타의 대결때 카운트를 하면서 개그를 치더니, 타쿠미와 스도 쿄이치의 2차전 이후 코가시와 카이와 타쿠미와의 배틀에선 쿄이치에게 납치(?) 당해 엠페러의 마스코트가 되기까지 한다. 마스코트의 이름은 케이스케군. 그 이후에도 다시한번 등장하는데 다이키와의 대결때 료스케에의해 또 한번 변모...
- 게임 내에서는 첫작품 Lightning stage의 첫 배틀상대. 테마곡은 'Going My Way'[20]
성능은 2000계와 비슷하긴한데, 직선에서 좀더 빠르다.곡선주행에서 매우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차량. 2000계가 제동없이 주행하면 탈선되는 구간을 8200계는 제동없이 통과하는 경우가 많다. 최고속도도 2000계보다 이쪽어 더 앞서지만, 2000계가 12단 마스콘을 들고 나온 이후로는 평균속도는 동일해졌으나 각종 드리프트 사용시에 나오는 속도는 2000계보다 뒤쳐진다. Climax stage전후로 최고시속이 상향되었으며, 게임 내에서는 2000계 다음으로 에피소드에서 정식으로 많이 운행하는 차량.Climax Stage 에선 테마곡이 'Chaser' 로 바뀌었으며[21] 프로젝트d 출범 이후에는 비중이 더 늘어나 risingstage에서는 아츠로, 스마일리 사카이를 상대로 2번 정식으로 운행하게 된다. Lightning stage에서는 7001F, 2000F와 함께 내부재현이 되어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편성 수 오류 이외에도 자잘한 변경점이 많은 차량인데 Burning stage이후부터는 원작의 FD와 동일하게 덕트 에어로 스커트로 교체하여 나온다. 8250호에도 팬터그래프가 달려있는건 함정[22]
- 나카무라 켄타 : 한큐 8000계 전동차 8008호. 켄타의 8008F편성은 더블암이 주류인 8000계의 유일한 싱글암 차량인데 본작에서도 이를 충실하게 재현하였다. 첫 등장시엔 원작과 별 차이점 없이 수수하게 타쿠미와 이와키 세이지에게 패배했는데, 엠페러전 이후로 료스케의 정보원으로 맹활약. 원작에서 프로젝트D편의 주요 해설역이란걸 묘하게 비틀었다.
- Burning Stage 에서 정식으로 등장. 원작과 동일하게 료스케와 케이스케가 타쿠미에게 패배한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케이스케와 타케시의 배틀이 끝난 직후 타쿠미와 레인배틀을 하겠다고 자처하고 나선다. 전작에 비해서 난이도가 낮아진 Burning stage특성상 어렵지 않게 상대할 수 있다. 다만 이벤트하나를 발생시켜야 하는 조건이 있는데 무로구치오노역 직전 터널에서 후륜드리프트로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으면 따라갈 수 없게 설계를 해놓았다.
성능자체는 케이한 8000과 비슷하다.[23] 료스케의 7001F 하위호환차량. 최고속도 도달까지 가속성능이 애매하다. 여담으로 13화에서 켄타의 8008F가 npc로 초반에 잠깐 나오는데, 배틀 시작 직후에 정지 후 추진운전을 하여 8008F뒤쪽으로 간뒤 다시 추진운전 후 복선드리프트로 8008F를 밀면 케이스케의 8200F, 켄타의 8008F, 와타루의 2800F 3개의 차량이 고베본선을 달리게 된다.
- 여담으로 이부분 한정으로 카운터를 세는건 케이스케가 하는데,[24] 료스케와 케이스케의 개그가 나오면서 카운터가 시작된다.(...) 개그캐의 시작점은 여기서부터 일지도..
2.3 고베 고속철도, 아리마선, 산다선
- 아키야마 와타루 : 한큐 2800계 전동차 2801F. 첫등장은 원작과 비슷하게 10화 료스케와 쿄이치의 대결에서 2800계 지붕위에 올라가 여동생 카즈미와 함께 대결을 지켜보는 모습으로 짧게 등장. 9권 이후로 개그화된 분위기에 맞춰 이쪽은 중증 시스콘에[25] 이유를 알수 없는 특훈 매니아. 타쿠미와의 배틀시 상하행 교대시객차에 허들을 세워놓고 뛰어넘는등, 혼자 운동회를 하면서 반대편 Mc차[26]까지 간다(...)[27][28] 배틀 이후 도큐로 이적. 그쪽에서는 폐차직전의 8601F[29]를 넘겨받아 2801F와 동일하게 전차량 M차로 개조 후 운행, 케이스케와 배틀을 하게된다. Climax stage에서 처음으로 상대하게 되는데 속도가 빠른 차량을 이용하면 산다역에 도착하기 전에 플레이어의 승리로 배틀이 끝나버릴정도로 안습한 상대.[30] 배틀 테마곡은 'Tenderness -starring Nanako-' 본 작에서 와타루가 두번의 배틀을 한다는 것을 감안한건지 11,12화 클리어 후 언락되지만 13화 케이스케와의 대결에서는 상대로 나오는것이 아닌 와타루의 2800계로 케이스케와 배틀을 하게끔 기본 설정되어있다.
오오 와타루 오오Rising stage에서는 기존의 패치방식과 동일하게 Climax stage CD를 넣은상태에서 Rising stage를 실행시키면 선택 가능하다.
-
성능은 5단 미스콘 이란것 빼곤 2000과 다를바 없다.성능은 원작에서 타쿠미의 86과 와타루의 86의 스타일이 완전히 다르듯이, 게임에서도 그 점을 구현했다. 우선 탈선의 위험도가 큰 2000계보다 곡선에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라이트닝 풀노치의 혜택을 강하게받아 라이트닝 풀노치 시전시 가속도가 매우 빠르게 올라가는 장점이있다. 편륜드리프트의 등장 이후 타쿠미의 2000계가 드리프트시에 최고로 도달하는 속도가 200km가까이 도달하는 반면, 와타루의 2800계는 편륜드리프트로 속도를 최대한으로 끌어내도 많이 나와야 180km정도에 머무르기때문에 risingstage의 토모유키전같은 고속의 상대와 대전시에는 아무리 유저의 테크닉이 뛰어나다 할지라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2000계보다 안정감은 있지만, 드리프트나 속도면에서 밀린다는 것이 총평. 2800계 전동차는 교토선 특급으로 제작된 차량인데 본작에서는 어째서인지 고베전철 노선을 달린다. [31] 실차량은 본작과 동일하게 2비차로 제작되었으나, 이후에 등급격하로 3비차로 개조를 했다. 1995년에는 새로운 교토선 특급 6300계가 주류를 이루던 시절이었고, 본 차량의 3비차 개조로 인한 차체강도 저하 등을 이유로 은퇴.
- 동인지에서는 도쿄에서 온 2인조, 분타 이후에 도큐전철 에피소드에서 다시 재등장. 이번에는 케이스케와 8601F로 대결한다, 게임판에서는 4부작 Rising Stage 다음
출시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5부작에 재등장이 확실해 보인다.[32]
3 킨키 일본 철도 - 원작의 묘오기 나이트키즈
- 나카자토 타케시 : 킨테츠 21000계 전동차(어반 라이너). 이니셜D에서 검은색 GT-R을 타는걸 반영해 본래 흰색인 어반라이너도 검게 칠해서 나왔다. 배틀 이전에 "통근열차는 특급열차를 이길수 없다."라고 말하면서 한큐 2000따윈 한방에 발라주겠다라고 큰소리를 쳤다. 코너의 재가속에서 한신의 제트카와 맞먹는 가속력을 자랑하고 나름 특급열차의 위력을 과시하나, 공전감지장치를 끄고 무리하게 달린 탓에 과부화로 인한 모터 폭발에 의해 리타이어. 그 뒤 킨테츠 오사카선에서 타카하시 케이스케의 한큐 8200계 전동차와 힐클라임 배틀을 벌여 분전하나 마지막 코너에서 뒤쳐져 패배.
- Lightning Stage 에서 등장. 이때 테마곡은 'FullNotch' Lightning Stage 한정으로, 전 차랑중 5단미스콘이 가능하기때문에, Rising 에서나 낼수있던 160km/h의 속도를 여기서 낼수가 있다. 다만, 속도를 너무과시하면 탈선이 너무 쉽게되어버리니, 제때제때 드리프트를 해주어야 한다. 데키3과 대전때, 모터과열 이벤트가 있는데, 여기서 최고 속도는 무려 200km/h!!!! 하지만 너무 과열되버리면 차량이 폭발하여 그상태로 게임이 끝나버리니 주의.여기서 미스콘을 발동시켜버리면 다시 160km/h로 줄어버린다.
- Burning Stage 에서 재등장. 이때 테마곡은 'Burning Blue'[33] 타쿠미가 아닌 케이스케와 붙는다. Lightning 과 달리 대우가 그냥저냥인데, 모터과열 이벤트도 없고 다른열차들도 5단미스콘을 가지고있어서 그냥 좀 빠른 차량이 되었다..
4 케이한 전기철도
4.1 구 케이신선 - 원작의 묘오기 나이트키즈
300px | 300px |
케이한 근무복 & 800계 | 기술연구원복 & 80계 |
- 쇼지 신고 : 케이한 800계 전동차, 혼성팀 나이트 키즈 소속. 이니셜D의 고무테이프 데스매치는 케이한 케이신선 병용궤도[34] 데스매치로 타쿠미와 전차 배틀을 벌인다. 배틀을 위해 교토 시영 지하철과 직결되면서 폐선된 궤도와 역사를 복원시키는 마술을 부리기도...거기다 병용궤도 내에 쓰레기 더비를 뿌려놓는다거나, 지뢰를 심는다거나(!), 여자탈의실을 세워놓는다거나(!!!), 코미케 철야행렬을 대기시켜놓는 등 타쿠미를 방해하기 위해 온갖 호작질을 부려놓으나 탈선한 채로 달리거나(원작 만화), 주차돼 있던 차를 들이 받으면서 병용궤도 구간에서 복선드리프트(게임)를 하는 타쿠미를 보며 공포감에 휩싸인다. 이에 초초해 하며 '등산철도, 노면철도, 지하철도 세개의 기능을 동시 수행해야하는 800계에게 급커브/급구배는 최적의 무대!
하지만 유저가 잡는 800계는 다르다!!!그러니 당장 브레이크를 걸고 안전운행하라고!'하며 절규하나 오오타니 터널[35]에서 타쿠미가 노 브레이크로 통과하고, 뒤이어 주택가 사이를 훑고 지나가는 가미사키에 구간에서 타쿠미가 추월하자 초조한 마음에 이길 수 없다면 비기는게 최선이라며 하마오츠역 직전의 급커브에서 고의 탈선해 충돌하려고 마음먹는다. 그러나 돌진하는 800계를 빠른스피드로 피하고, 신고는 차량과 함께 그대로 비와호에 입수한다. 타쿠미와의 배틀 이후에도 다른 에피소드에서 간간이 출연[36] 원작보다 대우가 좋은듯 하다.
- 테마곡은 'Rail Roader's shooting star'[37] 정식으로 플레이 가능한 작품은 Lightning stage. Burning stage 이후로 패치(Lightning stage CD를 넣은 상태로 800계를 추가하고자 하는 다른 시리즈를 실행)하면 사용가능하다. 케이스케의 8200계, 분타 의 데키3과 더불어 4량 1편성의 짧은열차이며 실제로 800계의 편성과 동일하게 등장을한다. Lightning stage에서는 곡선에서도 고속으로 이리저리 케이신선을 빠져나가는 cpu의 800계와 다르게 실제로 유저가 사용할 때에는 난이도가 좀 있는 차량이다. 곡선주행에서 드리프트나 한쪽바퀴 주행시에 다른 차량에 비해서 상당한 가속력을 얻는데 일정속도 이상을 넘어가면 바로 탈선해버려서 적절한 제동을 필요로 하는 차량. 한큐 교토선을 제외하고 Ligtning stage코스 대부분이 곡선구간이 많은데, 제동없이 달리면 탈선하고, 쉴새없이 나오는 곡선구간에서 제동을 적절히 넣지못하면 다른차량이 드리프트하는 속도보다 못하니.. 이점이 800계의 운용 난이도를 높인셈. 무슨 이유 때문인지 Burning stage이후로 드리프트, 한쪽바퀴주행에서 가속이 감소했지만 곡선주행이나 드리프트 성능이 매우 안정적으로 바뀌어 전작처럼 드리프트하다가 탈선하는 일이 없어졌다.
이런 상태로 케이신선을 달리고싶다ㅠㅠClimax stage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미키선배 추격전에서 800계로 주행할때는 발차전에 800계 특유의 범종경적소리로 바뀌어나온다. Rising stage에서는 거의 모든 차량들이 160km정도로 속도가 상향된 가운데 800계는 여전히 150km대를 유지하고 있어 배틀에서 상당히 불리해졌다. 실차 800계는 병용궤도를 달릴 수 있게끔 제작한 특수한 설계때문에 차량 한칸의 가격이 신칸센과 맞먹을정도로 비싼차량이다.
- ClimaxStage이후에는 패치를하면 신고의 케이한 80형이 추가된다. 이로써 신고는 본 작품에서 타쿠미와 더불어 두 종류의 차량을 선택 가능한 기관사가 된다. [38]
80형이 나중에 추가되었다보니, 다른 차량과 상향먹은 거에 비해 2칸차량 이란 점을 빼면 딱히 특출난점도 없다.케이스케의 8200계와 함께 본 시리즈의 2량편성 차량. 노면전차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보니 차량의 크기는 분타의 데키3, 타쿠미씨의 AE86에 이어 작중에서 3번째로 작다. 신고의 800계보다 평균속도가 2km정도 빠르지만, 드리프트성능은 800계보다 낮다.낮더라도 Llightning stage의 800계의 드리프트보단 나을 것 같다.실차량은 1997년 교토지하철 도자이선 개통과 함께 은퇴. 브라질로 수출계획이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4.2 케이한 본선
- 사토 마코&사유키 : 케이한 8000계 전동차. 마코가 기관사고 사유키는 인간 CTC[39]. 마코와 사유키가 운행하는 차량은 전차 배틀시 전면부 마크에 불이 들어온다. 후지와라 타쿠미가 한큐 2000계 전동차로 타카하시 료스케를 이기는 것을 보고 흥미가 동해 타쿠미와 전차 배틀을 하게 된다. 케이한 본선 교토구간의 지독하게 구불구불한 구간에서 페이스를 잃지 않고 따라오는 타쿠미를 보고 마코가 멘붕하게 되나, 저속구간이 끝나고 복복선구간에 들어설때 사유키와 거하게 말싸움을 벌이고 멘탈을 회복하고 저만치 앞서나가나 사유키가 잠시 잠깐 안심한 사이 쌍섬심 승강장인 모리구치시역에 복선드리프트로 들어서다가 뒤늦게 알아차리고 탈선, 리타이어하고 만다. 여담으로, 원작에서 이케타니는 마코의 지갑에 든 료스케의 사진을 보고 멘붕했는데, 본작에서 마코의 지갑에 들어있던 사진은 복면기관사(...)
- Burning Stage 에서 첫상대[40]이며 테마곡은 2개 로[41] 하나는 'Like Thunder' 하나는 'Dragon Desire' 8000형의 성능은 5단미스콘에 8칸차량 이란것 빼곤 특출난점이 없다. Climax 부턴 4단미스콘도 5단미스콘으로 죄다 상향먹었으니, 이점도 더더욱.. 다만, 발진소리가 다르다. 여담으로 케이한 8000계는 붉은색 도색으로 되어있지만, 여긴 녹색으로 도색되어있다.
- 여담으로 이 맵에 폴리곤이 무진장 많이 생성되어있어서, 웬만한 사양이 아니면 프레임드랍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5 게이큐 전철 - 원작의 엠페러
- 스도 쿄이치 : 케이큐 2100형 전동차 21XX호. 전차로D에 등장하는 인물들 중에서 최초로 등장한 병신같은데 멋있는 캐릭터. 우메다역에 간지나게 팀 멤버들과 일렬 횡대로 진입한 뒤, 왜 케이큐엔 터미널역이 없을까 하면서 한탄하기도 했다.[42] 타쿠미와의 케이큐 본선 배틀은 전국사철 동서대전의 일환으로 치뤄졌으며[43], 패배이후 스룻토쨩에게 패배한것이 분해서 꼭지가 돌아버린 패스모쨩이 운전승무에서 매표원으로 강등시켰다.[44] 저런...
게임에선 Burning Stage 에서부터 쭈욱 등장했는지라, 테마곡도 좀 있는편,.Burning Stage 에선 테마곡이 'Red Line'[45] 그리고 Burning Stage 최종보스 다만, 타쿠미와 붙는게 아닌, 료스케와 붙는다.
이후 Climax Stgae 에서도 재등장. 여기서 테마곡은 'Mass Driver' 와 'Tokyo Nights' 성능은 변경된게 없지만, 드리프트를 잘못하는순간, 바로 추월당한다. 차 성능은 8칸차량에다, 5단미스콘에 무난한편. 이 점은 Rising 에서도 동일 다만, 차량이 좀 길어보인다. 참고로 깨알로 열차 상행 왼쪽에 'EVO4' 라는 글씨가 적혀져 있다...[46]
- 이와키 세이지 : 게이큐 2100형 전동차 2199호. 목각인형이다(...) 원작인 이니셜D에서의 싸닥션은 건재. 아니, 싸닥션을 넘어 아주 박살을 내 놓는다(...). 그 직후 바로 쿄이치가 새로 나무토막을 깎아 제작하면서 부활.[47] 본작에서 케이큐 운전승무원은 대량양산된 세이지 떼거지들이 하는걸로 나와있다.
Burning Stage 에서도 나온다. 테마곡은 'Out of Sight'[48] 근데 정작, 발진시 GTO 삽입 부분은 안나오고 그냥 발진소리만 나온다.. 대신 CLIMAX 부터는 GTO 발차 소리가 삽입 되었다. 나머지는 쿄이치의 21XX와 동일.참고로 깨알로 열차 상행 왼쪽에 'EVO3' 라는 글씨가 적혀져 있다...[49]
6 JR
6.1 JR 니시니혼
- 복면기관사 : 일본국유철도 EF58(현역 시절) / JR 니시니혼 223계 전동차, 소속불명 X200계(은퇴 이후). 일본 국유철도의 에이스로, 철도계에서는 전설적인 기관사로 소문이 자자하다. 한개 편성에 녹색 천을 둘둘 감아놓고는 한큐 교토본선에서 영업운전 중이던 후지와라 타쿠미에게 똥칼라 고물딱지라고 도발, 이에 열받은 한큐 승객들이 나서서 전차 경주를 수락한다. 회전반경이 작은 오야마자키역에서 타쿠미의 2300계가 승객들의 도움[50] 으로 무사히 통과하자 자신의 열차에 쇠게다가 한가득 들어있음을 알리며, '아직은 느리지만 차차로 빨라질거다. 그때가 기대된다'는 무전을 날린다. 근데 이 두사람, 최소 180km/h으로 달렸다.(...) 2300계 차장업무를 보고 있던 이츠키의 말에 의하면 '언제나 쌩 하고 지나가던 신칸센이 무서울 만큼 느리게 움직였다'고. 이후 원작의 분타 임프레자 VS 타쿠미 86전을 재현할때 다시 등장하는데, 이때는 소속불명의 X200계[51]를 몰고나와 타쿠미의 혼을 빼 놓는다. 복면기관사의 정체는 후지와라 분타.[52]
- Lightning stage에서 신쾌속을 타고 등장. 테마곡은 'Power Running' 타쿠미의 2300계와 대결을 하게된다. 해당 에피소드를 클리어하면 정식으로 선택가능.[53]
성능은 그야말로 괴물수준이며 탈선되지 않느 케이스케의 7100호 와 5단미스콘으로 빠른 속도를 낼수있는 타케시의 어반라이너의 장점을 합쳤다.성능은 실차나 가상매체나 신쾌속은 역시 신쾌속. 코너성능이 작중 최강을 자랑하는데 다카라스카 선에서는 코너직전에 놋치를 오프시키면 전 구간 제동없이 통과가 가능하며 구 케이신선도 120km대에서 전구간 주파 가능한 수준. 속도는 2300계, 어반라이너에 이어 작중 3번째로 빠르다. Burning stage에서는 사기적인 코너성능을 너프당했지만, 드리프트성능을 너무 빨라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사기적으로 바꿔버렸다. 모델링 또한 갱신하여 신쾌속 오리지날 색상이 추가되었으며 천막에 가려진 모습을 제대로 구현하였다. 8화 세이지와의 대결에서 신쾌속으로 플레이하면 분타가 운행하는것으로 이벤트가 변경된다. Climax stage에서는 코너성능을 다시 상향, 시코쿠 2000계에 이어 최속이 되어버렸다. Rising stage에서는 전작과 성능차이 없으며 20, 21화에서 테마전환 터널 통과시에 메이테츠1000계가 뮤직혼을 울릴때 이쪽도 같이 울리는 연출이 있다. 이후 32화에서 재등장 할 예정이다. 이때 BGM은 분타의 테마인 'Missin' 2012년 리믹스 버젼이다.
- 스킨이 이분이 제일 특이한데, JR니시시혼 223계 전동차의 스킨이 들어가있다. 다른 전동차의 경우엔 색칠만 바꾼것이지만, 이것은 전동차를 아예 다르게 해놓은 특이한 케이스.
심지어 한큐 에디션도 있다.(...)
6.2 JR 시코쿠
- 코가시와 카이 : JR 시코쿠 2000계 디젤+가스터빈 하이브리드 동차[54]. 원작의 공중에 그리는 라인을 열차로, 것도 전동차보다 배로 무거운 디젤차량으로 해냈다!게임판 영상[55] 엠페러전 이후 개그화된 분위기에 맞게 카운트 도중에 화장실에 갔다오고 이것저것 물건을 빠뜨리고 오는등 덜렁이 성격이 추가. [56]
- 카이의 2000계를 직접 몰아볼 경우 가스터빈 엔진을 끄고 운행을 할 수도 있고 키고 운행할 수도 있는데 한 번 키면 끌 수가 없다. 물론 엔진을 끈 상태로 움직이면 다른 열차에 비해 느리기 때문에 전차 배틀이나 타임 어택을 할 시엔 필수적으로 킬 수밖에 없다. 그리고 실제 JR 시코쿠 2000계는 틸팅열차인데 이점을 재현하여 시리즈에 등장한 모든 열차들중 한큐 2300계, 메이테츠 2000계와 함께 차량을 기울이는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다.[57] RISING STAGE 에서 역시 CLIMAX에서도 가능했던 도산선 스페셜 을 일부구간에서 사용할수있다. Climax Stage 에서의 테마곡은 'Crazy Damn Heart' 와 'Final Blow'
- 여담으로 동인지에선 카와치하나조노역진입 전에 지도로만 노선사정을 파악했던 코가시와가 카와치하나노조역 인근에 임시 가설된 급곡선이 있는것을 모르고 그대로 코너에 진입해 탈선한 충격으로 자폭하나 동인지가 나왔을 때와 게임이 개발될 때 노선 사정이 달라져[58] 배틀 구간이 난바역까지 늘어나고 원작 이니셜D의 장면을 재현하게 된다. 츠루하시에서 오사카선은 고가/나라선은 지하로 들어가는데, 이 두곳의 고저차를 이용해 복선 드리프트->복귀를 통한 급가속으로 시코쿠 2000계를 따라 잡은뒤 난바역 진입 직전 선로분기기로 잘못 착지하면서[59] 탈선한 충격으로 자폭하게된다. 두 작품 모두 자폭이후 2000계의 경유가 누출, 인화되는건 똑같으나 동인지에선 거기에 한술 더 떠 오사카원전이 멜트다운하게된다. 가뜩이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때문에 심란한데 이런 내용을 게임화 할수 있을리가 없다.(....)
6.3 JR 히가시니혼
- 도쿄에서 온 2인조 : 원작과 차이는 없다. 초절 울트라 레이트 브레이킹은 건재하다. 그나마 차이점이라면 보통열차가 입환용 구호차량한테 탈탈탈 털려서 더 비참해 보인다는 거지만... Rising Stage 에선 나오지는 않았는데, 나중에 추가될것으로 보인다. 테마곡은 'Jump! Jump! Jump!'
7 난카이 전기철도
- 미키 선배 : 난카이 50000계 라피트.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승무를 마치고 내려오는 나츠키를 납치해[60] 타쿠미가 타카라즈카 본선, 교토 본선, 센리선, 사카이스지선, 난카이 본선 ,난카이 공항선을 넘나드는 대 장정을 벌인다. 난카이 선이 협궤인 관계로 타쿠미는 텐가차야역에서 2000계의 궤간 변경을 해야만 했다.
교체가 초스피드로 이루어진 것이 포인트.이쪽도 엄청난 개그 캐릭터가 되었는데 나츠키를 데리고 기차놀이(…)[61]를 한다던가 열차가 오버런하면서 머리에 혹이난 후 츠카모토 떼거지(…)의 환상을 본다던가….
- 게임 3작인 CLIMAX STAGE 에서의 최종 보스 근데 정작 Climax Stage의 최종보스라는 녀석이 다른 녀석들과 비해서 진짜 쉬운데,코너만 잘만 돌고 가속만하면 알아서 라피트가 뒤쳐진다. 무엇보다 알아서 탈선되서 끝나게 되어있다. 보스전이 아닌 가는길이 굉장히 고비라서, Climax Stage 에서의 최종보스로 정해진듯 하다.
사실 마키선배가 아니라 가는길이 최종보스이 초 장거리 로 마키선배한테 가는게 너무 거리가 길어서인가 쥬소역에서 교토선으로의 분기가 안 되는 버그가 있었다. 그리고 미키 선배와 만나기까지 다소 지루할 수 있어서인지 동인지에는 없던 개그씬이 많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원작처럼 눈이 쌓인 배경인데다 눈이 내리고 있어서 안개 효과를 켜놓을 시 앞이 하나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심하게 시야에 방해되기 때문에 초보자라면 안개 효과를 끄고 플레이 하는게 좋다. 테마곡은 1개로 'Super Girl' 이다. 혼자서 달릴때는 테마곡 'Next 2 You' 'Riding on the sky' 가 재생된다.
- 18~19 화를 클리어하면 사용가능. 6량편성. 가속성능이 어중간한데.. 드리프트 가속도 없다. 하지만 패치 이후에는 버프를 받았는데, 가속이 조금 늘었는데, 출발->노치2->노치5가 될정도. 고속영역에선 케이큐 2100 의 빠른가속을 보인다. 드리프트는 와타루 의 2800계 처럼 묘한 성능. 코너링은 나름 준수하다. 이후 Rising Stage 에서 와타루처럼 Climax Stage CD를 넣고 실행하면 사용가능. Rising Stage 에서 성능변화는 없다.
8 나고야 철도 - 원작의 세븐스타 리프
- 스에츠구 토오루 : 메이테츠 1000계 전동차 파노라마 슈퍼. 원작과 크게 차이없이 나온 인물로 원작에서 토오루는 여자친구에게 차 튜닝비를 빌리는 묘사가 나왔었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여자친구에게 개조를 부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기사, 철도 차량을 튜닝하려면 사장의 허락이 있어야 하니까 당연하다면 당연하달까. 타쿠미의 신기술인 편륜 드리프트[62]의 첫번째 제물이 되어 탈선, 전복하여 리타이어한다. Rising Stage 에서의 첫상대 로 나온다. 테마곡은 'Through The Night' 와 'Be Crazy!'
- 20~21화 클리어시 해금가능. 료스케가 '스펙 으론 평범하다.'라고 했지만 실제론 안정된 가속성을 가진 특급차량에 적합하다. 드리프트 성능은 2000계와 비슷하지만, 다루는 난이도는 이쪽이 더 쉬운편. 후륜드리프트는 강한데, 편륜드리프트가 약한게 약점.
- 카와이 아츠로 : 메이테츠 2000계 전동차 뮤 스카이. 토오루가 무리하게 편륜 드리프트를 따라하다 대탈선으로 나고야 본선을 날려먹고(...) 본선에서 배틀을 할수 없자 메이테츠 공항선/토코나메선에서 타카하시 케이스케 의 8200과 전차 배틀을 벌인다. 매일 공항선을 운행해 본 경험이 있는 이점과 2000계의 특징중 하나인 틸팅대차란 점을 이용해 드리프트같은 액션없이[63] 안정적으로 높은 출력을 잘 활용해 앞서 나갔으나 코너링 이후 재가속 타이밍의 미스로 케이스케에게 분패. 그리고 당시 나고야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간사이 마스코트 대전에서 날아온 치킨과 덮밥에 휩쓸려 리타이어. 그후 그전의 일반열차가 JR특급보다 빠른 어느 회사의누군가처럼 매표원으로 강등...(...) 저런...
그리고 케이스케에게 추월당할 때 외치는 처절한 "난다소레?!"가 일품이다.Rising Stage 에서의 테마곡은달랑 1개'Intense'
- 22~23화를 클리어시 해금가능 JR시코쿠 2000계에 이어 나온 진자기능이 탑재된 차량이 특출나다. JR시코쿠와 비교하면, 시작 가속은 이쪽이 빠른데, 풀가속은 JR시코쿠가 더 빠르다. 드리프트 성능은 한신 9000보단 나은수준..
- 여담으로, 버그인건지는 모르겠는데, 진짜 아무것도 안하고있어도 알아서 이벤트가 진행되는 탓에 그냥 클리어가 된다.(...)
9 도부 철도 - 원작의 동당학원
9.1 이세사키선, 도부 닛코선, 키누가와선
- 니노미야 다이키 : 도부 50000계 전동차 51901F 승무. 이니D에서 다이키가 브레이킹 타이밍을 잘 잡는다는 설정을 살려 원핸드 마스콘인 50000계를 투핸드 마스콘으로 개조. 후지와라 타쿠미와 도부 키누가와선/닛코선/이세사키선에서 맞붙게 된다. 처음에는 자신의 상대가 한큐 2000계 전동차라는 사실에 빈정이 상해 일부러 단선구간인 키누가와선에서 출발했으나 타쿠미의 2000계가 보통이 아니란 것[64]깨닫고 본 실력을 발휘. 하지만 다이키를 방심시키려는 료스케의 작전[65]에 걸려 역전패.
- Rising stage에서 등장. 복복선 구간전까지는 탈선이나 고의적으로 감속하지 않는 이상 추월하지않는다. 복복선 구간에서부터 방심한 다이키가 치고나오면서부터 진검승부가 펼쳐지는데 카네가후치 역에서 이벤트를 발생시켜야 진엔딩이 나온다.[66] 차량의성능은 코너가 안정적이며, 드리프트 성능은 료스케의 7001F와 비슷. 10량 1편성으로 본 시리즈 내에서 가장 긴 편성을 가지고 있다. 게임창 크기 설정을 작게하면 1,2호칸 상태가 보이지 않을정도.. 배틀에서의 테마곡은 'APHESIS' 와 'Beyond the limit'. 색상 변경시에 동당학원 전용색상이 아닌 50000계 오리지널 색상과 토죠라이너 색상을 선택 가능하다. Climax stage 13화와 비슷하게 해당 에피소드에서도 3편성을 주행 시킬 수 있는데, 시작 직후 추친운전으로 다시 역행하여 기누가와 온천역으로 가면 8200계가 정차되어있다. 8200계 뒤쪽까지 역행하여 다시 추진운전으로 8200계를 밀어내면 51901F, 8200F, 2000F 3편성의 차량이 함께 달린다..[67] 작중에 등장하는 차량은 전면부 비상탈출구가 없는 1편성 형태. 오류가 있는데 토부철도 50000계의 세번째 자릿수는 편성수를 의미하기 때문에 51901F라면 10량이 아닌 9량 편성이 되어야 맞다.
9.2 이세사키선, 도부 닛코선
- 스마일리 사카이 : 도부 200계 전동차 료모. 도부 100계 스페이시아가 아닌 료모를 타는 이유는 순전히 자기 취향. 원작에서 '스마일리'는 긴장하면 근육이 수축해 웃는 얼굴이 되는것에서 붙은 별명인데, 여기서는 본명이다. 다이키와 타쿠미의 배틀 중에 동당학원생들과 오뎅을 안주로 술판을 벌이고 있었으며[68], 케이스케와 배틀은 원작처럼 각종 페인트 기술로 케이스케의 리듬을 깨트리며 저만치 앞서 나갔으나 최후반 코너에서의 가속력대결[69]에서 밀리며 추월당해 패배한다. Rising Stage 에서의 테마곡은 'Lonely City Lights'[70] 'Deadly Smile'[71]
- 차 성능은 슈퍼 다단 버니어 저항제어 라 그런지 시작 가속은 탁월한데, 고속영역이 좀 약하다. 코너링 성능은 DRC보다 좋은데, 차량이 무거운지 드리프트 동작이 은근 느리다. 또, 드리프트 가속도 그리 높지 않은 편
9.3 토죠 본선
- 타치 토모유키 : 도부 ED5010계, 토부 1720계 DRC改. ED5010에서 내릴때 3단 덤블링,그 직후 다이키의 50000계로 트리플 악셀을 하면서 강렬하게 등장. 토부의 사장인 토도에게 데몬스트레이션 트레인인 1720계를 받고 타쿠미와 리벤지 배틀을 벌인다. 프로 기관사라는 무서운 실력으로 타쿠미를 압박하고, 이에 토모가 시전한 '보이지 않는 라인'을 응용해 블라인드 어택을 가하는것까지는 동일. 원작에서 등장한 산짐승이란 억지전개는 플랫폼에서 열차 진입사진을 찍기위해 무개념하게 터트린 플래쉬란 좀 더 납득 가능한 것으로 바꼈다.
- Rising stage 최종보스. 출시된 4개의 시리즈 중 가장 상대하기 번거롭고 유일하게 편륜드리프트를 구사하는 상대.[72] 더군다나 편륜드리프트시에 가속이 Rising Stage내에서 가장 높은 1720계를 운용. 때문에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클리어가 힘든 차량이 존재[73]하며 토모유키가 중반에 치고나온 이후로는 사소한 실수도 패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배틀 노선인 토죠본선은 Rising stage내에서도 가장 긴 구간이며[74], 섬식, S자형 코스 등등 탈선의 위험이 많은 구간들이 널려있다. 탈선하면 다시 선로에 복귀할 수 있지만[75], 섬식의 역같은 경우에는 드리프트를 구사하다 판단미스로 걸려버리면 자력불가 처리되는 구간이 대부분이다.[76] 뿐만아니라 이렇게 고비가 많은 코스인데 이케부쿠로로 복귀할때는 블라인드 어택 이벤트가 2번 존재. 블라인드 어택 시에는 선로의 형태를 인식하기 어려워져 노선상태를 외우지 않고서야 드리프트를 구사하며 주행하기는 매우 어렵다. 보이지않는 압박감[77] + 탈선하여 실속하면 너무나도 벌어져버리는 차이의 압박감[78]의 조화. 헛점이 존재하긴 하는데, 이전의 배틀상대처럼 편법이 쉽지가 않아 어느정도 본 게임에 익숙한 유저가 아니라면 난이도가 조금 있다. 이케부쿠로로 돌아가는 전환점인 토부 아라시야마 신호소 전까지는 방법이 없어[79] 전력을 다해 싸워야한다. 드리프트나 탈선 시 응급처치 요령이 있는 유저라면 해당 에피소드에서 기본으로 운용하는 2000계로 비슷비슷하게 싸울 수 있다. 배틀할때 나오는 테마곡은 총 3개로 'Move of Soul' 과 'Nightmare Labyrinth' 그리고 'Serious Line'[80]
- 토모유키에게 승리할 경우나 패치를 하면 1720계를 선택가능하다. 동당학원의 데모카 답게 성능은 뛰어난편. 다만 오래된 차량이라는 성격때문인지 2000계와 마찬가지로 탈선이 잘되는 편이고, 드리프트가 무겁다. 1720계의 가장 뛰어난 특징이라면 속도에 있는데, Rising stage 차량중에서 최고속도가 가장 빠르며, 드리프트 가속이 200km넘는 자비없는 속도를 뽑아낼 수 있다. 전차로D 게임의 cpu 차량들은 차량의 성능대로 정직하게 달리는 것이아닌 이벤트에 최적화되어 있어[81] 유저가 기술이나 편법을 이용하여 일정수준 이상 빨리달려도 좀처럼 따라잡히지 않게끔 설계되어있는데, 1720계는 편륜드리프트를 잘만 이용하면 세븐스타리프 에피소드에서 이벤트 발생전에 추월해서 앞서 나가는 것도 가능하다. 실차량은 1960년에 특급형 차량으로 제작되어 DRC, 디럭스로망스카라는 애칭으로 운행하다가 1991년에 은퇴.
10 한신 전기철도
- 츠카모토 선배 : 한신 9000계 전동차. 이니셜D에서 와타루와 케이스케의 배틀중에 가드레일에 충돌사고를 내 배틀을 종료시켰던 사람. 동인지에서도 탈선으로 차량전복으로 동일하게 배틀을 종료시켜버린다. 원작에서의 비중은 공기인데 어째 철덕에 씹덕이란 설정이 추가로 붙었다.
- 게임판은 Climax Stage에서 등장하지만 배틀에 직접 참가하는것이 아닌 13화에서 이벤트로 잠깐 등장. 1.02 패치를 통하여 13화를 클리어하면 언락된다. 성능은 드리프트, 곡선주행, 한쪽바퀴주행 어떤 부분도 성능이 나쁜차량. 일반주행시 최고속도는 160km/h이지만 편륜드리프트를 이용한 가속전이 주류인 Rising stage로 넘어가면 이마저도 하위권을 다투는 속도인데, 더군다나 츠카모토의 9000계는 드리프트를 이용하여 가속할 수 있는 속도의 범위가 좁다. 시작 가속도는 훌륭하지만 중고속 영역 가속이 매우 나쁜편. 최고 속도에 도달할때까지 30초 정도 시간이 걸린다. 단, 이러한 장점도 실속 후 최고속도까지 도달하는데 30초가 걸리는 단점이 상쇄시켜버린다.[82]
11 도쿄 급행전철 - 원작의 사이타마 연합
- 이와세 쿄코 : 도큐 5050계 전동차
- 아키야마 노부히코 : 도큐 구5000계 전동차
- 아키야마 와타루 : 이적 전 한큐 2800계 전동차, 이적 후 도큐 8500계 전동차
- 사카모토 : 도큐 300계 전동차
- 게임판에서는 동당학원 에피소드까지만 나와있어서 아직 출연하지 않고 있다.
12 기타
파일:Attachment/전차로 D/natsuki.jpg
- 후지와라 분타 : 설정은 원작과 거의 동일하나 여기선 두부집이 아닌 모형점을 운영하고 있다. 사용하는 열차는 쵸시덴 데키3改
분키3. 얼마나 개조를 해 놨는지 구동계가 나간 타쿠미의 2000계를 끌고 120Km/h로 달릴수 있다. 그밖에도 팬터그래프가 싱글암으로 바뀌어있다던가, 트윈레버 운전대가 있다던가 등 분타가 이것저것 많이 갖다 붙인듯 하다. 쵸시 전기철도가 협궤를 운용하다 보니 표준궤를 운용하는 한큐 선로에 들이기 위해 구동계를 바꾸면서 철저하게 손을 본 모양. 실차량은 1922년 독일에서 생산된 차량으로 협궤 전기기관차에서는 가장 작은 크기를 자랑한다. 제작 직후에는 우베탄광 전용선에서 활약하다가 1941년 쵸시전기철도로 이적. 1984년에 영업운전에서 물러나 현재는 쵸시전기철도 측에서 동태보존중에 있으며 나카노 마치역에서 입장권을 구입하면 데키3이 있는 나카노 쵸 차고를 견학 가능하다.
- LightningStage에서는 전차교실 에피소드를 클리어하면 모든차량[84]으로 분타의 데키3과 대결해 볼 수 있는데, 분타를 이기면 그 이후부터 데키3이 언락된다. 테마곡은 'Missin'[85][86] 분타모드가 있는 Lightning stage가 데키3의 데뷔작이자 마지막.[87] 성능은 분타의 차량답게 먼치킨.. 최고속도가 드리프트시에 조금 더 올라가는데 분타의 데키3이 먼치킨인 이유는 데키3의 작은 크기때문에 드리프트가 다른 차량들처럼 선로 2개를 잡아먹지 않는 '단선드리프트'라는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88] 때문에 출발직후부터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드리프트 한번 해놓고 결승점까지 달리면 탈선없이, 실속없이 최고속도로 달린다. 초반에 엄청난 스피드로 치고나가는 케이스케와의 대결도 드리프트한채로 달리면 중반부에 케이스케를 추월할 수 있고, 료스케와의 대결도 이벤트 조건을 맞추지않아도 먼저 우메다에 골인할 수 있다. 다만 최고속도는 2300계, 어반라이너, 신쾌속에게는 약간 밀리는 편이기 때문에 복면기관사와의 교토본선대결은 전속력으로 달려도 이길 수 없다.[89]
데키'3' 이라 그런건지 미스콘은 오직 3단까지.마스콘은 4단인데 어째서인지 3단까지만 올라간다. 이는 분타가 전력을 다하지 않고서도 이정도의 실력을 보여준다는 연출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배틀 후반부에는 부스터가 나오는 연출이 나오는데, 이때도 노치는 3단에서 더이상 올라가지 않고, 속도의 변화도 없다. 여담으로 원래 데키3이 처음 모습을 드러낸건 9권으로, Lightning stage의 분타모드는 이니셜D 게임판에 있던 분타 챌린지를 오마주 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Attachment/전차로 D/takumi-san.jpg
- 타쿠미 씨 : AE86(표준궤) 후지와라 모형점 사양, 부록의 전차배틀 교실이라는 개그단편에 등장하는 캐릭터. 본편에선 후지와라 타쿠미의 제 2의 인격 취급을 받는 듯 하다.(…) 라이트닝 스테이지의 전차배틀 교실 인트로는 엘 샤다이 패러디.
- 전차교실 에피소드에서 사용하는 차량. 클리어시에는 직접 선택도 가능하다.[90] 분타의 데키3처럼 드리프트가 선로2개를 잡아먹지 않는다. 성능은 사실상 데키3의 하위호환. 속도가 데키3보다 낮으며 안정성이 조금 더 떨어진다. 전차교실 배틀시에 테마곡은 'R90' , Running in the 90s. 데키3과 마찬가지고 이후 시리즈에서 패치를해도 사용할 수 없다.
파일:Attachment/전차로 D/등장인물/kazumi.jpg
- 아키야마 카즈미 : 아키야마 와타루의 동생. 괴력소녀로, 3m짜리 철도레일[91]을 한손으로 휘두를 수 있는 괴력녀. 오빠를 '아니키'라 부르며 잘 따르는 편이지만 설마 자기가 모르는 사이 이렇고 저런일을 벌일줄은 몰랐는 모양이다(...)
- ↑ 데키3, AE86은 Lightning stage에서만 사용가능.
- ↑ 타쿠미의 2000계는 7000F에서 '7' 자만 '2'로 고치고 2000계처럼 보이도록 한 것(...)이기 때문이다..
- ↑ 가속상태에서 브레이크와 비상브레이크를 연타
- ↑ 상대편 차량을 2300계로 설정하면 이쪽은 가속이 빠르다..
- ↑ Rising stage의 편륜 드리프트 버프를 받으면 220km는 우습게 넘긴다.
- ↑ 다만 만원전철이라는 특성때문에 드리프트가 무겁고 느리다.
- ↑ 신고의 케이한 80형
- ↑ 둘의 만남을 위해 '복면기관사와 JR도카이도 신칸센 사령실에서 지원을 해 줬다.
- ↑ 실차 6330F편성은 현재 폐차되었다.
- ↑ 게임 미수록본
- ↑ Rising Stage 20화 배틀시작전에 나오는 만화에서도 료스케가 나올때 이 테마곡이 흐른다. 완벽히 전용 테마곡 확정
- ↑ 복면기관사와 분타와의 배틀, 전차교실은 서비스 에피소드라고 보는게 맞다.
- ↑ 분타의 데키3이나 복면기관사의 신쾌속, 타쿠미씨의 AE86(표준궤)을 제외하면 7001F를 자주불능시키지 않고는 진엔딩루트가 아닌 루트로 먼저 골인 할 수 없다.
- ↑ 급제동을 암시하는 이벤트가 없을뿐더러 해당 구간은 커브구간임에도 불구하고 2000F가 실속없이 지나갈 수 있는 구간이다. 당연히 게임 먼저 접한유저는 이유를 모른채 진엔딩을 보지 못하는것.. 이시바시역 추월 이벤트가 나오지 않으면 어중간한 차량으로는 추후 이벤트없이 7001F만 쫒아가다가 패배 확정이다.
- ↑ 그사이에 한번이라도 탈선한다면 이벤트가 안나올 가능성이 큼. 제동이 자신이 없다면 복선드리프트로 선로를 바꾸고 7001F의 뒤쪽으로 붙어서 드리프트상태로 핫토리까지 따라가면 된다. 단, 섬식 승강장과 교각 등 복선드리프트를 방해하는 요소가 많기에 주의해야 한다.
- ↑ 7001F와 플레이어의 열차가 계속해서 겹치고 또 겹친다..
- ↑ 곡선주행성능은 케이스케의 8200계가 더 안정적이다.
- ↑ 실차 7001F편성은 지붕측면부에 한큐 아이보리색으로 되어있는 현행타입으로 운행중이다.
- ↑ 이는 제작진의 오류로 8200계 편성은 2량 1편성이 맞다. 증결용으로 제작된 차량이기 때문에 8량 편성은 실제로는 불가능하며 Burning stage이후에는 고증에 맞게 2량 편성으로 나온다. 실제로 8200계는 단 2편성만이 존재하는 프로토타입에 가까운 8000계의 파생형 차량.
한놈은 똥차로 특급열차들을 제패하고 다니고, 다른한놈은 증결용차량으로 특급차량들을 제패하고다닌다. 한큐전철의 일본정복 - ↑ 보컬버젼이 있는데, 보컬버젼은 쓰지 않았다. 2화 이후로는 보컬곡을 쓴다. 배틀테마가 보컬이 없는 곡은 케이스케가 유일하다.
- ↑ 13화 와타루와의 배틀때 나오는 테마인데 케이스케 단독 테마로 보기 어려운게 13화에서 정식으로 사용할 차량은 케이스케의 8200계가 아닌 와타루의 2800계다.
- ↑ Climax stage부터는 다시 삭제되어 나온다. 실차에도 8250호에는 팬터그래프가 없다. 제작진의 실수인듯하다.
- ↑ 운용난이도가 초급인 케이한8000계와는 성능자체가 다르다.
- ↑ 물론 4화 vs 료스케 전에서도 한다.
- ↑ 11화에서 대차를 바꾼 후 차가 이상해 졌다면서 배틀을 거부하는 타쿠미의 실력을 보기위해 동승했다가 급격하게 가해지는 횡축G로 정신을 잃었을때, 동생인 카즈미가 스쿨미즈를 입고서 에로동인지를 시츄에이션이 나오는 꿈을 꿨다. 그 외에도 잠자는 모습을 촬영했다거나 빨려고 내놓은 속옷을 몰래 자기가 입어봤다고 잠꼬대도 하고...
- ↑ 와타루의 2800계는 모든 차량이 M차기 때문에 운전칸이 Tc가 아닌Mc다.
Mc칸이면 Tc칸에 비해서 가격이 많이 나갈텐데 원작에서는 돈이없어 86을 모는데 이쪽 에서는 돈이 많은듯 하다.. <s>그돈이면 2800계가 아니라 더 좋은차량을 몰면 되지않나?도큐가서도 8500계를 모는걸 보면 안될거야 아마</s> - ↑ 2800계는 통로 간격이 좁은 크로스시트지만, 타쿠미의 2000계는 롱 시트기 때문에 통로 간격이 넓어서 느긋하게 허들 옆으로 걸어간다(...).
- ↑ 2800계 실차는 후반에 통근으로 격하되면서 3비차로 개조가 되었는데 이때 크로스시트가 롱시트로 교체된다. 케이큐 2000형 전동차와 비슷하다 보면 될 듯.
- ↑ 해당편성은 현재 나가노 전철로 양도되어 8511f라는 새로운 편성으로 부여받아 운행중.
- ↑ 오류가 있어서 배틀 전 안내가 뜨기전에 출발을 할 수가 있다. 정말로 말도 안되게 쉬운상대..영상에서는 곡선 방향에따라 복선/후륜 드리프트를 번갈아 하는데 2선로 드리프트는 방향상관없이 섬식구간이나 벌어지는 구간이 없다면 탈선할 일이 전혀 없기때문에 저렇게 까지 할 필요도 없다. 부정출발 후 복선드리프트만 깔아두면 알아서 뒤쳐지는 셈..
- ↑ 원작에서 와타루와의 대결장소가 쇼마루 고개인데 고배전철 노선은 산악지대를 달리는 노선이라 곡선구간이 많으며, 선로의 상태가 좋지 못하다는 공통점이있다.
- ↑ 이러면 타쿠미,신고 와 함께 2종 차량을 보유한 기관사가 된다!
- ↑ 이 곡은 2014년때 리믹스가 되어있었으나, 사용되지 않았다.
- ↑ 노면전차 에 사용되는 궤도 방식으로, 궤도 구간내에 일반차량이 들어올 수 있는 방식
- ↑ 하마오츠역 방향은 내리막이고, 터널을 나오자 마자 상당히 작은 반경의 급커브가 있다. 여기 지도의 '안전확보라고 들어봤겠지!' 부분서 확인가능
- ↑ 13화 케이스케의 꿈 속에서 연구원 복장을 하고 한큐 8200계 + 한큐 2800계 + 한신 8000계 = 세이부 20000계라는 개드립을 시전한다.
- ↑ 2011 년에 리믹스가 되었으나, 사용되지 않았다.
- ↑ 분타는 조금 애매한 감이 있는데 분타가 변장한 복면기관사는 별개의 인물로 취급받으니..
- ↑ 열차 집중 제어장치. ATS/ATC의 보조장치로, 3km마다 선로 상황을 계측하여 전송하는 신호장치
- ↑ 사토 마코 는 전작 Lightning Stage 전차배틀 교실에서 기자로 나온적이 있긴있다. 사유키는 메뉴 선택창에서 흐르는 컷신만 있다.
- ↑ 이후 전차배틀이 길어지면 테마곡이 2개가 붙는다. 최초인셈
- ↑ 근데 케이큐에 터미널 역이 있으면 그건 그거대로 문제다. 케이큐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케이큐는 미친듯한 열차 운행을 하고있고, 바로 그 미칠듯한 다이어 때문에 회차도 UST라는 기술을 사용하면서 하는데 만약 터미널 역을 만든다면... 망했어요. 거기다 터미널 역을 만들만한 곳이 없다. 터미널 역은 보통 종점에 박아넣게 되는데, 본선과 쿠리하마 선의 종점은 각각 우라가 역과 미사키구치 역. 근데 둘 다 수요가 터미널 역으로 만들기엔 시망이다. 그렇다고 시나가와 역에 만들자니 부지가 없다(...) 시나가와~키타시나가와 구간에 갑자기 급곡선인 철교를 하나 지나는데, 바로 밑에 야마노테/케이힌 토호쿠/토카이도/토카이도 신칸센이 지나다니는 선로가 있다. 그리곤 철교 지나자마자 바로 꺾어서 시나가와 역. 시나가와부터는 도영 아사쿠사 선과 직통을 해야하니 터미널 역 만들만한곳이 없을수밖에(...)
- ↑ 한큐 우메다에서 도카이도본선을 타고 요코하마까지 갑종회송되는 타쿠미의 2000계를 보려고 승무원들이 플랫폼에서 기다렸을 정도
- ↑ 정한 방법도 하필 다트로(...)
- ↑ nmk 리믹스 버젼이 있으나, 사용되지 않았다.
- ↑ 원작 이니셜D에서 스도 쿄이치가 타고다니는 차다.
- ↑ 후에 료스케와의 배틀 후 쿄이치가 전기톱으로 세이지의 반을 가른 뒤 130km로 지나가던 JR 니시니혼 열차에 갈아버리고 바니걸로 부활시켰다(...).
- ↑ 실제로 이 음악 극 초반부에 게이큐 2100형 전동차의 GTO 발차 부분이 삽입되었다!
- ↑ 원작 이니셜D에서 세이지 가 타고다니는 차다.
- ↑ 어떻게 말로 표현할 수 없다. 직접 보자.
width=80%
파일:Attachment/전차로 D/등장인물/WTF.jpg
(...)심지어 파일 이름도 WTF이다. - ↑ 헤드라이트의 위치나 전면부 실루엣을 보면 한큐 8200계일 가능성이 크다
- ↑ 해당 Plus 편에서 신쾌속 대결후에 타쿠미와 이츠키 이케타니 가 정체가 누군일까 하면서 얘기했는데, 사실은 다 알고있는 눈치다.(...)
- ↑ 전차교실, 분타모드에서는 사용불가.
- ↑ 실제 운행중인 2000계 동차는 디젤만 쓴다. 애초에 가스터빈 엔진은 효용성이 없어 전 세계 철도업계에서 사장된 방식이다.
- ↑ 기술명은 본인曰 "도산선 스페셜 라인"(…)
- ↑ 그리고 계속 덜렁거리며 허둥대는 동안 지하역인 킨테츠나라역에서 계속 털털거리며 돌아간 디젤엔진 덕분에 다른 사람들은 질식사 직전까지 간다...
영상에서 그 참혹한 현장의 콜록대는 처절한 목소리가 들린다 - ↑ 사실 2300계는 틸팅열차가 아니지만 승부에 불이 붙은 승객의 협력(...)으로 기울이는것
- ↑ 동인지 당시엔 고가화 진행 중, 게임판 개발시엔 고가화 완료
- ↑ 이니셜D에서의 낙엽 역할.
- ↑ 공짜로 태워준댔더니 'JR이 싸고 편리해'라면서 타지 않았다. 근데 정말로 그런것이, 난카이는 난바까지만 운행해서 오사카로 들어오려면 환승때문에 돈과 시간이 더 든다.(일본은 다른 회사간 환승시 무료환승이 안된다.)그럴바엔 그냥 JR타고 직통으로 들어오는게 훨씬 낫다....
- ↑ 이거 말고 파일:기차놀이 칙칙폭폭.png 이거다(...)
- ↑ 복선 드리프트가 선로 두개를 잡아먹는 기술이라면, 편륜 드리프트는 선로를 하나만 사용하는 드리프트. 원작에서 뚜껑없는 도랑에 타쿠미가 바퀴를 띄우고 드리프트 하듯이 선로에 차륜 하나만 걸쳐두는 기술이다.
- ↑ 카와이 아츠로는 이니셜D에서도 화력한 액션 없이 안정적으로 나가는 그립주행을 특기로 한다.
- ↑ 나츠키의 원조교제 사실을 알고 대차를 날려먹은 이후로 미니 신칸센 대차에 신칸센용 12단 마스콘을 달고있다. 그러면서 열차 제어는 저항제어다. 당연히 보통 열차가 아니다(...)
- ↑ 놋치 10단 이상 금지+후방관찰 금지
- ↑ 카네가후치 역까지 대등하게 달려야 이벤트가 발생하며, 그렇지 않은경우네는 아사쿠사역까지 달리게된다.
- ↑ 해당 8200F는 CPU의 51901F가 선로 변경을 할때 동일하게 움직인다. 해당 코스가 섬식역이 많기 때문에 탈선시키는 것도 가능. 역으로 cpu선로변환에 신경쓰다가 유저가 탈선 할 위험이 있으니 주의..
- ↑ 이때 프로젝트D도 은근슬쩍 참여해 같이 마셨다
- ↑ 사카이가 복선 드리프트를 하는 도중 치고나와 차량이 접촉하면서 블로킹 상태
- ↑ 일부 멜로디가 사이교우지 유유코 와 비슷하다.
- ↑ 이름 자체가 스마일리 라서 적절하고 의미가 있는 테마곡
- ↑ 이는 1720계의 드리프트가속성능이 자비가 없기때문.. cpu를 다른차량으로 바꿔주면 할만해진다.
- ↑ 드리프트 가속성능이 낮은차량이면 탈선하지 않아도 시야에서 사라질 것이다.. 해당차량으로 클리어하고 싶다면 cpu차량도 드리프트 성능이 낮은 차량으로 바꾸면 클리어 가능.
- ↑ 복귀까지 포함한 길이이며, 단순히 편도노선이었다면 다이키와의 배틀 노선인 기누가와 온천 ~ 아사쿠사가 더 길다.
- ↑ 복귀한다 하더라도 해당 에피소드는 탈선으로 실속하면 패배 확정일 가능성이 매우크다. 실속으로 인하여 플레이어의 속도를 어느정도 맞춰주는 다른 에피소드와 다르게 토모유키전은 실속하면 시야에서 그냥 사라져버린다..
- ↑ 이 게임에서 자력불가는 곧 게임오버와 같다
- ↑ 타쿠미의 2000F는 블라인드어택을 껐다 켰다 할 수 있어서 다시 밝은상태로 주행 가능.
- ↑ 탈선하면 실속하지않고 다시 선로에 복귀하는 편법이 있긴 하지만, 어느정도 손이 빨라야 가능하다. 조금이라도 늦게 응급처치를 한다면 어느정도 실속한 상태에서 복귀.
- ↑ 토모유키가 치고나올때 재빨리 따라잡아서 1720계의 선두차부분을 복선드리프트로 때리면 1720계가 탈선하면서 실속시키는 방법이 있긴하다. 그러나 플레이어의 차량까지 탈선할 확률이 높고, 타이밍 맞추기가 어려워서 정석대로 편륜드리프트를 이용하여 차이를 벌리지 않는편이 더 낫다.
- ↑ 쿄이치와 똑같이 3개의 테마곡을 지녔다. 쿄이치는 Burning(1개) 과 Climax(2개) 를 걸쳐서 3개고, 토모유키는 한번에 3개의 테마가 있다. 마키선배도 3개의 테마곡을 가지고 있느냐 라고 하는데, 마키선배에게 가는길이 나오는 곡 2개고, 정작 마키선배와 배틀테마는
꼴랑1개뿐이라, 실질적으론 1개의 테마를 가졌다고 보는게 맞다. - ↑ 대표적인 예로 유저가 드리프트를 이용하여 최속으로 달리는데 cpu의 차량은 드리프트 하지않고 제동없이 잘만 달린다. 유저의 차량이었다면 드리프트없이는 탈선해야 정상.
- ↑ 몇몇 에피소드에서 CPU에게 해당 차량을 쥐어주면 빠르게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작중에선 약간 비틀어 ANA가 아닌 DNA
- ↑ AE86, 신쾌속, 데키3은 제외
- ↑ 2012년 리믹스 버전이 존재.
- ↑ 리믹스된것중 가장 괴리감이 크다.
- ↑ 분키3은 후속작에서 패치를해도 나오지 않는다. 이후 시리즈에서 다시 나올 가능성은 있으나 불분명.
- ↑ 상대가 복선드리프트를 사용하지 않는 Lightning stage 특성상 이러한 특성은 경합의 위험성 없이 최속으로 달릴 수 있다는 엄청난 장점이다. 이러한 특징은 비슷한 차량인 AE86도 동일. 다만 cpu의 데키3은 드리프트를 사용하며 달린다.
- ↑ 복면기관사의 대결은 2300계도 탈선해서 실속하면 클리어 할 수가 없다. 그렇다고 신쾌속이 2300계와 대등한 속도가 나오는건 아닌데, 아마도 시작부터 신쾌속이 어느정도 앞서나가게 설계를 한듯 하다.
- ↑ 분타모드에서는 사용불가.
- ↑ 약 50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