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th=100% |
38식 소총 |
아리사카 계열의 파생형 모음. 위에서 두 번째에 있는 총기가 38식이다. |
38식 소총 三八式小銃 | |
종류 | 볼트액션 소총 |
국가 | 일본 제국 |
사용 역사 | |
사용 년도 | 1908년~1945년 |
사용 국가 | 일본 제국 만주국 러시아 제국 / 핀란드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에스토니아 영국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 북한 베트남 민주 공화국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대전 에스토니아 독립전쟁 적백내전 / 핀란드 내전 만주사변 제2차 세계대전 - 중일전쟁 / 태평양 전쟁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국공내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
생산 및 제조 역사 | |
개발 | 아리사카 나리아키라[1] 남부 키지로[2] |
개발 년도 | 1905년 |
생산 년도 | 1908년~1945년 |
생산 수 | 340,000정 |
파생형 | 38식 기병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
제원 | |
구경 | 6.5mm |
탄약 | 6.5x50mmSR (38년식 실포) |
급탄 | 5발 내부탄창 |
작동 방식 | 볼트액션 |
중량 | 4.19kg |
전장 | 1,275mm |
총열 길이 | 800mm |
탄속 | 762m/s |
유효사거리 | 366~457m |
최대사거리 | 2,377m |
1 개요
아리사카 소총 시리즈 중 가장 보편적인 유형이다. 1905년(메이지 38년)에 채용되어 이듬해 제식 화기로 지정된 후, 제1차,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줄기차게 써먹은 일본군의 주력 볼트액션 소총이다. 이름의 유래는 채용 연도인 메이지 38년이다. 38식 기병총과 구분하기 위해 38식 보병총이라고도 부른다.
육군 포병 공창에 소속되어 있었던 아리사카 나리아키라(有坂成章)가 개발한 30년식 소총을 살짝 개량한 총이다. 변경사항으로는 제식명에서 年이 생략된 것[3] 외에도 부품 간소화와 먼지덮개[4] 추가가 있다.
사용 탄약은 6.5x50mmSR탄인데 30년식 소총에 사용된 탄과는 다소 다르다.[5]
2 파생형
바리에이션으로는 기병용으로 길이를 줄인 38식 기병총과 44식 기병총, 1937년부터 배치된 97식 저격총과 중국 현지에서 생산된 북지 19식 소총[6] 과 북지 19식 기병총 등이 있다.
2.1 38식 기병총
38식 기병총 |
모래주머니에 올려놓고 사격하는 영상.[7]
38식 기병총(三八式騎銃)은 길이를 300mm 정도 줄인 기병용 사양이다. 물론 기병만 사용하지는 않고 포병, 공병, 헌병[8], 치중병과 등의 후방 지원부대에서도 짧고 가벼워서 많이 들고 다녔고, 심지어는 일반 보병 중에서도 일부가 들고 다녔다. 한국군의 K1 소총 같은 감각
2.2 44식 기병총
44식 기병총 |
44식 기병총(四四式騎銃)은 아리사카 소총 중 유일하게 대검이 고정되어 생산되는 소총인데, 약간 짧은 것 빼고는 성능은 일반형과 비슷하다. 일본군 소총으로서는 특이하게 멜빵고리가 앞쪽은 우측, 뒤쪽은 좌측에 걸게 되어 있는데 이는 기마 상태에서의 빠른 총구방향 전환을 위한 것이다. 9만여 정이 생산되었으며 주로 기병을 엘리트로 보는 시선덕분에 인기가 좋았다. 또한 초기형은 장인들 손에 만들어져서 명중률이 좋았다. 전쟁 중에는 기병의 효율성 문제[9]로 주로 공수부대등 단총신 소총을 써야하는 부대들에 많이 지급되었다.
2.3 북지 19식 소총
width=100% | width=100% |
북지 19식 소총 (北支一九式步槍) | 총의 윗부분에는 국화 무늬 대신 벚꽃 무늬가 새겨져 있다. |
중국 내의 일본 점령지 내에서 생산된 바리에이션으로 38식 기병총에서 유래한 북지 19식 소총이 있다. 쇼와 19년(1944년, 즉 전쟁 말)에 북지(북중국)에서 만들어졌다는 의미이다. 성능? 남부 권총의 현지 생산 버전인 북지 19식 권총도 개판이라고 날림으로 만들어서 욕 먹는데 이거라고 뭐 다를까(...). 사실 엄밀히 말하면 이 총은 민간 회사에 의해 제조된 사제 총기이다[10].
2.4 북지 19식 기병총
북지 19식 기병총 (北支一九式马枪) |
중국 내의 일본 점령지 내에서 생산된 38식 소총의 바리에이션으로 쇼와 19년(1944년, 즉 전쟁 말)에 북지(북중국)에서 만들어진
기병총으로 성능은,,,,,,,.
2.5 97식 저격총
97식 저격총 |
97식 저격총(九七式狙擊銃)은 나고야와 고쿠라 조병창에서만 제조했다. 38식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더 가벼워진 스톡 등 차이점이 꽤 있다. 일단은 그럭저럭 평균적인 저격총이긴 한데, 망원조준경이 공장에서 영점이 맞춰진상태로 나오기에 영점수정이 불가능했고 이를 대신해 조준경의 상하좌우 눈금을 이용해서 오조준을 해서 탄착 오차를 수정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거리에 따른 오조준선(이라기보단 거리에따른 탄착점)을 기억해야 하는데다 조준 정밀도가 낮기 때문에 십자선에 맞추기만 하면 되는 다른 조준경들에 비해 실용성이 떨어졌고 그나마도 일본의 광학 기술 부족으로 인하여 사수를 총에 맞추는 이런 불편한 방식은 끝까지 개선되지 못했다. 하지만 (조절되는것이 하나도 없기에)상대적으로 조준경이 충격에 강한 편이였고 200m 부근에선 탄착점이 거의 조준점과 일치했고, 주요 전장이던 정글에선 사거리가 그리 큰 문제가 안되었다. 거기에다 일본군 저격수의 위장능력도 뛰어났던 편인데다가 실패를 치욕으로 알던 일본군 분위기 덕분에 죽을 때까지 총을 놓지 않거나 종종 자살행위임에도 나무 위로 올라가 저격을 하는 등[11] 근성을 보여줬다고한다. 거기에 안그래도 (상대적으로)소구경에 800mm의 긴 총열로 인해 총구화염과 총성이 작은 97식(보병용 38식또한 포함)인대 거기에 11식 기관총에 사용하기위해 만들어진 약장탄을 장전시엔 총구 화염과 총성이 더더욱 줄어들기에 거미굴이라고 불리우는 은폐진지에서 재대로 은폐한 일본군저격수를 더더욱 찾기 힘들어졌고 이 때문에 미군은 상륙 때마다 일본군 저격수 처리에 골치아팠다고한다.
이후 99식 소총이 등장하면서 99식 중 명중률이 좋은 것을 따로 뽑아 저격총으로 이용하였다.
참고로 핀란드에서도 38식 소총을 저격총으로 이용하려고 검토했던 적이 있다.
3 매체에서의 등장
제2차 세계대전,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 일본군들의 제식 소총으로 등장한다.
더 퍼시픽 | 진주만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에서 당연히 일본군들이 사용한다. 보병들은 38식을 기병들은 44식을 사용한다.
2009 로스트 메모리즈에서 안중근이 이노우에의 브라우닝 하이파워에 맞고 곧 일본군들이 쏜 38식 소총[12]에 사망한다.
암살에서는 관동군을 포함한 일본 육군과 헌병들이 38식을 지겹게 들고 나타난다.
첫번째 사진 왼쪽에 모신나강이 보이는건 기분탓이 아니다!!
그 밖에도 1941, 태양의 제국, 진링의 13소녀(2011),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쟁, 윈드토커, 마이웨이, 씬 레드 라인,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의 기적, 폭스라고 불리운 사나이, 난징! 난징!에서도 나왔다.
게임에선 메달 오브 아너: 퍼시픽 어썰트에 등장했다. 38식 소총 급탄부에는 클립까지 같이 들어갈 수 있는 홈이 파여져 있어서 마지막 탄을 발사하고 재장전할때 클립은 알아서 버려지는데, 이를 잘 구현했다.
라이징 스톰에서도 등장한다. 저격 버전인 97식 저격총도 등장한다. 99식 소총이나 99식 저격총과 구분하기가 살짝 힘든 감은 있지만 특징과 한계가 명확해 나름 골라쓰는 맛도 있다. 38식은 기계식 조준기가 시야를 가리지 않아 편한 편이다. 다만 가늠쇠가 너무 작아 요상하게도 다루기가 애매하다. 그리고 저지력도 애매해서 볼트액션임에도 한 발로 안죽는 경우가 종종 있기에 삑사리나면 위험해진다. 정말 운나쁘면 두 발 맞고도 버티니 급소를 노려서 쏘자 99식 소총은 38식보다 총성도 더 커지고 기계식 조준기도 변경된다. 살짝 시야를 가려 불편한 형태이긴 하지만 큰 지장을 주는 정도는 아니고 M1 개런드보다는 시야를 덜 가리는 편이니 그럭저럭 쓸만하다. 저지력도 준수해지면서 꽤나 쓸만해져서 38식 소총처럼 곤란한 상황이 자주 생기지는 않는다.
코만도스2 일본군 미션에도 등장하는데 type38로 표기된다.
[1] AVA에 정조준 가능한 무기로 있지만 현재 일본서버에만 있다.
대호(영화)에선 시대 배경이 배경인 만큼 조선 주둔 일본군 병사들과 조선인 포수들이 들고 나온다. 토벌대가 주인공인 애꾸눈 아무르 호랑이를 사냥하러 들고 온다. 그 결과는 해당 항목 참고.
4 둘러보기
한국전쟁기의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카라비너 98k |
반자동소총 | SVT-40, SKS | ||
권총 | 나강 M1895, 94식 권총, 남부 권총, TT-33 | ||
기관단총 | 100식 기관단총, PPSh-41/49식 기관단총, PPS-43, KP/-31, 36식 11mm 기관단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PM M1910, Vz.26/30, DP-28, DT/DTM, 92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DShK, SG-43 | |
대전차화기 | PTRD-41, PTRS-41 | ||
화염방사기 | ROKS-2/3 | ||
박격포 | 82-PM-37, 120-PM-43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W1 | 연합군 | 동맹군 | ||||||||||||||||||
WW2 | 연합군 | 추축군 |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소련 | 프랑스 | 이탈리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 | |||||||||||||||||
중화민국 | 폴란드 | 핀란드 | 헝가리 왕국 | |||||||||||||||||
스위스 | 스웨덴 | |||||||||||||||||||
냉전 | 소련 | 동독 | 중국 | 유고슬라비아 | ||||||||||||||||
한국전 | 한국 | 북한 | ||||||||||||||||||
월남전 | 미국 | 월맹 | ||||||||||||||||||
현대전 | 미국 | 러시아 | 영국 | 프랑스 | 한국 | |||||||||||||||
일본 | 중국 | 독일 | 핀란드 | 이스라엘 | ||||||||||||||||
체코 | 스웨덴 | 이탈리아 | 인도 | 폴란드 | ||||||||||||||||
중화민국 | 터키 | 스위스 | 싱가포르 | 호주 | ||||||||||||||||
스페인 | 노르웨이 | 태국 | 이집트 | 캐나다 | ||||||||||||||||
브라질 | - | - | - | 북한 |
- ↑ 38식의 모태인 30년식 소총의 개발자이다.
- ↑ 30식 소총을 개량한 사람이다.
- ↑ 이전의 제식 총기는 개발 연도에서 이름을 땄을 경우 XX년식 소총/기병총이라는 이름이다.
- ↑ 일본군 용어로 유저(遊底)라고 하며, 야전에서 약실로의 이물질 유입 문제가 발생하자 도입된 부품이다. 그러나 이 위의 영상에서도 나오듯이 실제 사격시에는 작동 소음 문제와 탄피 걸림 문제가 발생하여 전선의 고참병들은 떼고 다니기도 했던 모양이다.
짬이 깡패물론 행보관에게 걸리면... - ↑ 30년식 소총에 사용된 30년식 실포는 탄두가 둥글게 생긴 데 반해이 총에 사용되는 38년식 실포는 뾰족하게 생겨서 살상력을 높였다.
- ↑ 이건 38식 기병총의 파생형이다.
3차창작 - ↑ 위의 영상을 보면 발사직후 노리쇠를 제대로 당기지 않아 약실에 탄피가 남아 일일히 손으로 치우는것을 볼수 있다.
시대를 앞서간 SA80 - ↑ 사실 일본군 헌병은 복식 면에서 기병과 많이 호환되는 병과다.
- ↑ 화기가 발달하면서 높은 말 위에 올라탄 기병은 그저 좋은 표적이 될 뿐이었다. 결국 태평양 전쟁 말기에 보병사단 직할 기병연대가 모두 수색연대로 개편된다.
- ↑ 당시 일본의 군납용 소총은 원래 군 소속의 조병창에서 만든다. 99식부터 다소 예외는 있지만...
- ↑ 나무 위에서 저격하면 위치가 발각되어도 도망칠 수가 없다.
- ↑ 연도를 감안하면 30년식 소총일 수도 있지만 불가능하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