付驛名 有償販賣 政策
1 개관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역의 주역명 밑에 부기(付記)하는 부역명을 희망하는 다른 기관 혹은 법인에게 등재를 조건으로 일정한 수입을 얻는 정책. 언론사에서 광고를 실어주는 대신 받는 '광고료'와 거의 비슷하다. 실제로 부역명을 돈 주고 사는 업체 입장에선 광고효과가 좋대나 뭐래나.
현재 대한민국에서 이 정책을 시행하는 운영기관은 부산교통공사[1]를 필두로 코레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2], 인천메트로, 대구도시철도공사 등이 있다.
한 번 등재된 부역명이 영원히 유지되진 않으며 일정한 기간을 두고 계약을 하는데, 이 때 계약을 갱신하지 않으면(돈을 더 내지 않으면) 가차없이 짤린다.
왜 이런 정책이 나왔냐면,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알려진 운송원가에 비해 턱없이 낮은 운임을 받으며, 환승할인제와 노약자 무임권 발권 등으로 인한 수입감소로 인해 영업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2호선은? 물론 이 상태가 계속된다면 파산으로 갈 것이 불 보듯 뻔하기에 궁여지책으로 취하는 방법. 철도 동호인이 서울시 디자인 정책은 까도 이 정책을 잘 안 까는 이유가 다 있다. [3]
이 정책의 주요 고객엔 대학교, 병원, 백화점 등이 있으며, 이들의 이름이 들어간 부역명이 대체로 철도 동호인들에게 까이는 편이다.
사실 돈만 주면 누구든 부역명을 살 수 있기에 역에서 가까운 것도 아니고, 접근성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부역명으로 등재되니 안 까일 리 없다. 서울시의 경우에는 역에서부터 500m 이내에 위치한 기관에 우선권을 주고, 입찰에 참여한 곳이 없으면 1km 이내로 완화하여 재입찰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유상 판매된 부역역이 다른 이유로는 부역명을 산 업체나 법인의 이름이 어색하다거나...(ex. 중앙역(그린손해보험[4]) 좌천역(일신기독병원)이라거나 온천장역(우리들병원)).
참고로 병기역명과는 구분해야 하는데, 부역명은 말 그대로 주역명에 부가적으로 붙은 개념이라 표지판엔 나올지언정 주역명에 비해 취급이 안 좋다. 이를 테면 지하철 노선도에 표시가 안 된다든가, 방송에서 누락된다든가, 아니면 외적으로 역 주변의 다른 안내표지판에서 누락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부역명은 영구적인 것이 아닌 매 기간 돈을 내고 구입해야 하는 개념이기 때문.
하지만 병기역명은 처음부터 주역명과 함께 주어진 이름으로, 해당 지역의 공공성과 대표성을 나타내는 이름이 많아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경우 주역명(병기역명)으로 처음부터 지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당연히 병기역명으로 선정된 기관은 구매한 것이 아니므로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고 병기역명은 주역명과 동등하게 취급되므로 표지판, 안내노선도, 안내방송에서 모두 언급되며 이와 별도로 역 근처의 안내표지판 등에도 대부분 등기되는 편이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게, 병기역명도 주역명 못지 않게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상징성을 지니기 때문.
특히 근처 대학교에서 이러한 역명을 유치하기 위해 굉장히 노력을 많이 기울이는 편인데, 광교역과 광교중앙역 문서 참조.
2 이 정책으로 인해 신설된 부역명
기존에 있던 부역명은 여기서 기재하지 않았으나, 상호명 변경으로 인해 부역명이 변경된 경우엔 여기에 수록했다.
- 코레일
- 인천교통공사
- 1호선 : 박촌역(한양자동차운전문학원), 계산역(인천하이병원), 작전역(IS한림병원), 갈산역(인천문예직업전문학교), 부평구청역(부평세림병원), 부평역(가톨릭의과대학 인천성모병원), 인천시청역(21세기병원), 예술회관역(롯데백화점 인천점), 인천터미널역(푸른세상안과), 신연수역(가천대학교/메디컬캠퍼스), 원인재역(인천힘찬병원), 동춘역(스퀘어원), 지식정보단지역(인천가톨릭대), 인천대입구역(송도컨벤시아), 경인교대입구역(상록호텔조리직업전문학교)
- 2호선 : 검단사거리역(착한마디병원), 완정역(검단탑종합병원), 인천가좌역(나은병원), 주안역(인천사랑병원), 석천사거리역(가천대 길병원), 남동구청역(전병원)
- 부산교통공사
- 1호선 : 하단역(부산본병원), 당리역(사하구청), 대티역(동주대), 부전역(부산시민공원, 송상현광장), 장전역(부산가톨릭대), 남산역(부산외국어대)
- 2호선 : 장산역(해운대백병원), 센텀시티역(BEXCO·신세계),[6] 남천역(KBS·수영구청)[7], 경성대·부경대역(동명대), 대연역(고려병원), 못골역(남구청), 부암역(온 종합병원), 감전역(사상구청), 덕천역(부산과기대), 수정역(방송대), 양산역(시청·동원과학기술대학교)[8]
- 3호선 : 망미역(병무청), 거제역(법원, 검찰청), 남산정역(부산폴리텍대학), 숙등역(부민병원), 덕천역(부산과기대)
-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 거의 다 기존에 있던 부역명들이기에 기재하지 않았다.
3 사라진 부역명
이 정책을 시행하고 계약 미갱신으로 탈락한 부역명의 목록. 운영기관이 임의로 붙인 것을 삭제한 것은 여기에 적지 않았다.
- 부산교통공사
- 1호선 : 하단역(동아대앞), 토성역(부산대학병원), 중앙역(그린손해보험), 좌천역(일신기독병원), 양정역(동의과학대학·부산여자대학), 온천장역(우리들병원)
- 2호선 : 금련산역(좋은강안병원), 냉정역(동서대·경남정보대), 덕포역(신라대), 부산대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병원)
- 이동 ↑ 사실은 부산시가 직접 나선다. 원래 부산교통공사는 이 정책을 시행할 의사가 없었다고.
- 이동 ↑ 2016년 8월부터 9개 역부터 시행중이다.
- 이동 ↑ 왜냐하면 회사 자체가 파산 위기이기 때문에 이 정책을 반대했다가는 지하철 운영을 중단하는 등의 엄청난 후폭풍이 불기 때문에..
- 이동 ↑ 오랫동안 중앙역의 부역명으로써 자리매김했지만 결국 회사가 망해 새마을금고에 인수되어 MG손해보험으로 바뀌었고, 부역명 역시 삭제됐다.
- 이동 ↑ 9호선에도 적혀있다.
- 이동 ↑ BEXCO는 원래 있던 부역명이다.
- 이동 ↑ KBS는 원래 있던 부역명이다.
- 이동 ↑ 시청은 원래 있던 부역명이다.
- 이동 ↑ 같은 경희대임에도 분당선 영통역의 부역명이 살아있는것과는 대조적이다
- 이동 ↑ 안내방송에선 아예 삭제당한채로 방송되고 있다. 즉, 부역명이 살아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