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토

領土

1 개요

쉽게 말해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이 밟고 있는 해외여행 가는 중이거나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이 매우 특별한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국가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땅의 범위. 국민, 주권과 함께 국가를 이루는 3대 핵심 요소이기도 하다. 그런데 넓으면 각종 자연재해와 밀도에 관한 문제 같은 것들이 생기기 때문에 사실 인구와 함께 꼭 양이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실제로 지금도 영토와 인구가 크고 아름답다고 반드시 그에 비례하여 강한 것[1]은 아니다. 모든 일이 그렇지만 양이 적어도 문제가 있지만 양이 많아도 문제가 생긴다. 기업들만 봐도 무조건 확장이 좋은 게 아니다.실제로 많은 국가들 중에 인구와 영토가 적당한 국가들이 밸런스도 잡혀있고 강하다.[2]

영토의 크기는 나라마다 달라서, 러시아, 캐나다, 중국, 미국,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등과 같이 크고 아름다운 크기의 영토를 가진 나라가 있는가 하면, 바티칸, 모나코, 나우루, 투발루, 산마리노 등과 같이 일개 보다 더 작은 아담한 크기의 영토를 가진 나라도 있다.

광활한 영토는 역사상에 존재한 대다수의 나라들이 추구하던 이상이었고, 오늘날에도(비록 현실적으로는 불가능에 가깝지만) 많은 사람들이 크고 아름다운 영토를 한번쯤은 동경해 봤을 것이다. 대다수 양판소영지물을 봐도 영토 팽창을 추구하지 않는 것이 드물 정도.

특히 재야사학계 같은 경우 고대 한국 왕조의 영토를 크고 아름답게 만드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증거나 근거도 발전하는 것 같으나 다른 국가들이 인정을 하지 않는 부분이 많으며 타국 사람들의 인식조차 바꾸려고 노력하나 근본적인 면에서 잘못되어 있기 때문에 성과는 적다.최근에는 꽤나 합리적으로 보이는 것들도 있어 선동 당하기 쉬운데, 피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위대한 고대사를 도출하기 위해 낀 이상한 주장들을 찾아보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공동 연구에서 홀로 주장하던 것을 진실로 결론을 내버리고 오랜 기간을 선전한 결과 적어도 한국 내에서는 세계적으로도 받아들일 완벽한 사실흑역사인 붉은 악마 사건과 치우라는 분이 계신다이 되어버린 경우 등 당연히 최종적으로는 국제적으로 무시당하며 국가가 힘이 없어 일본, 중국 등의 역사왜곡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한탄하는 결말로 끝난다.

2 영토의 크기에 따른 국가 분류

일찍이 독일지리학자인 라첼(Friedrich Ratzel)은 국토 크기에 따라 국가를 대국,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이 아니다., 소국으로 구분지었는데, 대국은 면적 500만㎢ 이상, 소국은 면적 20만㎢ 이하, 그리고 중국은 20만㎢~500만㎢ 사이의 국가들이다.[3]

역시 독일의 지리학자인 라인하르트(Rudolf Reinhard)는 100만㎢ 이상의 국가를 대국, 10만 ㎢ 이상~100만㎢ 이하의 국가를 중국, 1만㎢ 이상~10만㎢ 이하의 국가를 소국, 1만㎢ 이하의 국가를 극소국으로 구분지었다.

한편 미국의 지리학자인 발켄버그(Samuel Van Valkenburg)는 200만 평방 마일 이상의 국가를 거대(giant)국, 50만 평방 마일 이상~200만 평방 마일 이하의 국가를 극대(very large)국, 10만 평방 마일 이상~50만 평방 마일 이하의 국가를 대국, 2만5천 평방 마일 이상~10만 평방 마일 이하의 국가를 중국, 1만 평방 마일 이상~2만5천 평방 마일 이하의 국가를 소국, 1천 평방 마일 이상~1만 평방 마일 이하의 국가를 극소(very small)국, 1천 평방 마일 이하의 국가를 미세(miniature)국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영국의 경제사학자, 역사 지리학자인 파운즈(Norman John Greville Pounds)는 600만㎢이상의 국가를 거대국, 250만㎢에서 600만㎢ 사이의 국가를 특대(outsize)국, 125만㎢에서 250만㎢ 사이의 국가를 극대국, 65만㎢에서 125만㎢ 사이의 국가를 대국, 25만㎢에서 65만㎢ 사이의 국가를 중국, 12만 5천㎢에서 25만㎢ 사이의 국가를 소국, 2만 5천㎢에서 12만 5천㎢ 사이의 국가를 극소국, 2만 5천㎢ 이하의 국가를 미세(micro)국으로 분류했다.

3 영토의 크기와 국력

일단 영토의 크기가 큰 나라는 부존 자원의 개발 및 농경지를 개척할 여유가 있어, 작은 나라에 비해 자급자족을 이룰 가능성이 높다. 또한 국경선이 길어 인접국의 침입을 방어하는 데 용이하지 않지만, 광대한 후방 지역을 확보하고 있어, 적의 침입에 반격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으며, 장기전, 소모전으로 흐를 경우 국토 내의 자원을 활용하여 적국을 역관광할 수도 있다.[4] 또한 면적이 큰 나라는 국제 정치적으로 존재감을 무시당할 일이 적다.
그러너 영토는 넓지만 정작 영토의 대부분이 사막, 동토 등 가혹한 환경의 불모지라면 넓은 영토에 따른 이익을 거의 누릴 수 없다.(ex: 오스트레일리아 등) 게다가 영토가 넓어도 그것을 받쳐줄 인구가 적으면 넓은 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고 또한 방어에도 곤란하다.(ex: 몽골 등) 인구가 많다고 쳐도 아직까지는 과학기술의 한계로 쓸 수 있는 자원이 한정이 되어 있으며 비교 우위를 활용하여 다른 나라로부터 자원을 수입해도 이를 커버하기 힘들어진다. 더구나 영토가 또한 넓은 영토를 가진 나라일수록 다양한 인종이 뒤섞여있을 가능성이 높고 또한 다양한 환경 및 그에 따른 문화적 차이로 인해 국민적 단합을 이루기가 곤란한 측면도 있다.

4 영토의 형태

4.1 단괴국

france-map.jpg
대표적인 단괴국 프랑스

국토가 원형, 혹은 정다각형에 가까운 형태인 국가. 국경선이 짧아서 방어에 유리하며, 지리적, 문화적 차이가 비교적 적어 국민 통합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5] 특히 수도가 국토 정중앙에 자리잡으면 더더욱 금상첨화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물 공급이나 물품의 유통, 또는 통일을 주도한 지역 등의 문제로 주요도시가 해안이나 강 하류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국토 중앙에 수도가 있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 국토가 단괴형인 국가들. 정사각형에 매우 가까운 나라의 경우
대한민국[6], 가봉, 과테말라, 나이지리아, 니카라과, 네덜란드, 도미니카 공화국, 독일, 루마니아, 레소토, 르완다, 리비아, 리투아니아, 마케도니아, 모리타니, 몬테네그로, 방글라데시, 베네수엘라, 벨기에, 벨라루스, 보츠와나, 볼리비아, 부룬디, 부탄, 불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수단, 수리남, 시리아, 시에라리온, 세네갈, 스와질랜드, 스위스, 스페인, 아이슬란드, 아제르바이잔, 아프가니스탄[7], 아일랜드, 알제리, 앙골라, 에스토니아, 에콰도르, 에티오피아, 오스트레일리아, 온두라스, 우루과이, 이집트, 짐바브웨, 체코, 카메룬, 캄보디아, 케냐, 코소보, 코트디부아르, 콜롬비아, 콩고 민주 공화국, 쿠웨이트, 탄자니아, 폴란드, 프랑스, 헝가리

4.2 신장국


대표적인 신장국 칠레

국토가 동서, 혹은 남북으로 길쭉하게 늘어난 형태의 국가. 혹은 국토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져 나간 국가.[8] 면적에 비해 국경선이 턱없이 넓어 방어에 곤란하고, [9] 비숫한 면적의 단괴국에 비해 지역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 국토가 신장형인 국가들
감비아, 네팔, 노르웨이, 뉴질랜드, 라오스, 러시아, 말라위, 베냉, 베트남, 소말리아, 슬로바키아, 오만, 에리트레아, 예멘,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일본, 칠레, 쿠바, 크로아티아, 토고, 파나마, 포르투갈, 통일 한국 등등 추가바람.

5 관련 문서

  1. 그에 비례하여 강한 미국 같은 국가가 사기일 뿐. 단, 미국은 지리적으로 천혜의 조건에 있어 영토 관리가 쉽고 질적, 양적으로 거의 모든 자연 조건이 매우 좋으며 인구도 알짜배기 지역들에 밀집이 좋게 되어 있다. 이런 곳은 찾기가 정말 힘들다. 단적으로 토지의 질만 봐도 중국은 양적으로는 인도랑 비슷하지만 질적으로는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 그냥 상대가 되지 않는 수준이며 인도 역시 미국에 비교하면 질적으로 우세하지 않다.
  2. 역사적으로도 많은 인구와 넓은 영토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었다.
  3. 이렇게 따지면 대한민국은 소국이고 통일되면 중국이 된다.
  4. 대표적으로 독소전쟁 당시 소련
  5. 물론 아래 예시된 국가들 중 내전, 내부 갈등으로 몸살을 앓는 국가도 여럿 있다.
  6. 통일이 되면 신장형이 된다.
  7. 월경지를 제외 했을 때
  8. 대표적으로 크로아티아의 경우 국토의 일부는 도나우 강을 따라 동쪽 방향으로, 다른 일부는 아드리아해를 따라 동남쪽 방향으로 뻗어나간다.
  9. 다만 반도의 경우 육지가 한 면 뿐이기에 방어에 오히려 유리한 면도 있다. 근데 한반도는 북한은 그렇다쳐도 통일 후 인접국이 중국과 러시아라는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