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선/폐역 목록

< 경전선(도림역에서 넘어옴)
주의. 폐지된 구간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이미 폐지되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333;padding:12px;"
{{{+1 주의. 폐지된 역 또는 신호장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역은 폐지되어 열차가 정차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문서를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러두기(여객, 화물취급)
KKTX 필수정차kKTX 선택정차
RSRT 필수정차rSRT 선택정차
IITX-청춘 필수정차iITX-청춘 선택정차
SITX-새마을/새마을호 필수정차sITX-새마을/새마을호 선택정차
M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m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통근열차 정차B바다열차 정차
OO-train 정차VV-train 정차
NS-train 정차DDMZ-train 정차
AA-train 정차GG-train 정차
H화물취급여객/화물 미취급
일러두기(역 등급)
관리역보통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신호소

1 2000년 이전에 폐역된 역

1.1 신음역

경전선운영기관 :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
개업일 : 1923년 12월 1일
폐지일 : 1927년 6월 1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함 안
신 음송정리 방면
군 북

新音驛 Shin'on Station

역이름의 상태가
경전선의 폐역된 철도역.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신음리에 있었다.
운영 당시에는 경남선으로 운영했으며, 4년 남짓 운영하던 역이다. 임시승강장 형태로 개역했다.
역명은 역이 위치하는 신음리에서 따왔다.

1927년 6월 1일 폐역되었다. 신음 1건널목 부근에 위치해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3년 6개월 정도만 운영하고, 폐역된 역이라서, 흔적이 있을 리가 없다.
폐역된 지 무려, 89년이나 지난 역(...)

거리상으로 보면 함안역과 군북역 정중앙에 위치하여 신음리/파수리의 배후 인구를 흡수할 수 있는 포지션이었지만, 인근의 함안역으로 걸어가더라도 1시간 남짓이면 충분했기 때문에 폐역된 것으로 보인다. 원북역과 흡사한 역할. 원북역과의 차이점이라면 원북은 산세가 험준하고 배후 골짜기의 인구가 파수보다 많았다는 정도.

1.2 수덕역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청
개업일 : 1932년 11월 1일
폐지일 : 1974년 12월 6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순 천
수 덕송정리 방면
원 창

水德驛 / Sudeog Station

당시 전라남도 승주군 별량면(현재 순천시 별량면)에 존재한 순천역과 원창역 사이에 있던 무배치간이역이였다. 개업과 폐업, 재개업과 재폐업을 당한 안습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 자리에는 건널목이 생겨서 거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1.3 교원역(북마산역)


구 경남선(경전선)에 있던 역. 마산항제1부두선 문서 참조. 아래 서술된 신마산역, 구마산역과 함께 북마산역까지 세 역을 통합하여 현재의 마산역 위치로 옮긴 사업을 삼역통합이라고 한다. 다만 아래 두 역과 달리 북마산역은 구 경전선이 임항선(마산항제1부두선)으로 바뀐 후에도 교원역이라는 명칭으로 상당 기간 문서상 존속했다. 현재는 광장과 역사가 있던 부분에 이를 기리는 공원시설물이 조성되어 있다.
20131022.01010113000001.05L.jpg

1.4 신마산역

e0077321_54b89925c3d06.jpg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청
개업일 : 1910년 1월
폐지일 : 1977년 12월 15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구마산
신마산마산항 방면
마 산
송정리 방면
북마산

新馬山驛 / Shinmasan Station

자세한 역사는 마산역 문서를 참고.

1977년 마산역-구마산역-북마산역 통합이 있기 이전, 경전선이 Y자로 마산 시내를 헤집고 다니던 시절 상/하행 Y자 분기가 갈라졌던 옛 마산역을 일컫는다. 원래는 1904년 경부선의 지선으로 삼랑진-마산간에 부설된 군용철도 '마산선'의 종착역. 이후 신마산 지역의 일본인 거류지(현 문화동, 두월동 일대)가 진해 신시가지 때문에 침체에 빠지는 바람에, 한동안 군용 및 항만 조차장으로만 기능하다가 1927년부터 영업을 개시했다. 1930년대 이후 마산역에서 함안군 군북역(이후 조선총독부가 매입하여 국유화한 후 진주역까지 연장)간 경남선이 개통되자 북마산역, 구마산역과의 구분을 위해 옛 마산역을 신마산역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었다.

해방 이후 진주역-순천역을 잇는 경전선 철도가 순차적으로 개통된 후 상술한 1977년 경전선 마산 시내 선로 이설 사업(삼역 통합)으로 폐지되었다. 현재 신마산역 자리에는 원래부터 역전광장에 있었던 마산합포우체국과 경동메르빌아파트가 자리잡고 있으며, 진주 방향 분기는 임항선(마산항제1부두선) 선로로 쓰이다 현재는 공원화되어 남아있다.

1.5 구마산역

PYH2010121402210005200_P2.jpg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청
개업일 : 1910년 1월
폐지일 : 1977년 12월 15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창 원
구마산송정리 방면
마산항 방면
신마산

舊馬山驛 / Kumasan Station

옛 마산선 선상에 있었던 역. 옛 북마산역과는 도보로 10분 정도밖에 떨어져있지 않다.
말 그대로 신마산역과 대비되는 역할이었다. 신마산은 일제강점기 직전 개발된 일본인 거류지 인근을 가리키는데, 옛 마산역이 여기에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선시대부터의 마산 중심지인 원마산(창동)[1]원래 있던 마산이라 하여 원마산이라고 하기도 하고, 신마산과 대비해서 구마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과 그 배후지인 산호리(산호동), 회원리(회원동)일대에서 이용하기에는 너무 불편한 위치였다.

구마산역은 이들 구마산 권역의 여객 및 물류업무를 담당했다.

1977년 경전선 마산 시내 선로 이설 사업으로 폐지된 후 역 부지는 육호광장 교차로로 쓰이고 있다.

1.6 내동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67년 2월 22일
폐지일 : 1984년 3월 1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진 주
내 동송정리 방면
유 수

nadong.jpg

奈洞驛 Naedong Station

奈는 '나'라고도 읽으므로 흔히 '나동역'이라고 불렸다. 내동면 소재지에 위치해 있었으나 도로교통의 발달 등으로 이용객이 급감하여, 1984년 폐역되었다. 역사는 LPG 충전소와 개인 거주지로 활용되고 있었기에 철거되지 않고 존치되고 있는 상태였으나 이 지역에 대대적인 도로확장과 구역 정리 등이 이루어지면서 2014년 7월경 철거되었다. 현재는 승강장만 남아있다.

이 역 주변에서 경전선 폐선을 개조해 만든 레일바이크를 탑승할 수 있다.

2 광주 도심구간 이설로 인해 2000년에 폐역된 역

2.1 남광주역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청
개업일 : 1930년 12월 25일
폐지일 : 2000년 8월 10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벽 도[2]
남광주송정리 방면
광 주

南光州驛 / Namgwangju Station

img_0302_p03.jpg
1930년 12월 25일 신광주역으로 영업개시. 1938년 4월 1일 남광주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역 부근에 남광주 시장이 있어서 여수, 벌교, 보성등지에서 해물을 팔러 원정오는 할머니 상인들이 주 이용객 이었다. 비둘기호의 필수정차역이었으며 심야 운행편(목포-부산)과 서울-순천(광주경유) 통일호를 제외한 모든 통일호 열차가 정차하기도 했다.

그후 도심구간 철도이설[3]로 인해 2000년 8월 10일 부로 폐역했다. 현재는 서광주역이 역할을 대신하고 있지만 이설된 위치가 정말 끝내주게 안습[4]인지라 사람들은 당연히 남광주역 근처의 시외버스 정류소인 학동정류장을 이용했고... 이외에도 연탄이나 나르던 효천역이 약간 흥하게 되었으나, 너무 외곽이었는지 실이용객은 서광주역이 더 많다.

곽재구가 쓴 시 "사평역에서"와 임철우가 이 시를 바탕으로 쓴 소설 "사평역"에 등장하는 사평역(沙平驛)의 실제 모델이나, 흔히 경전선 남평역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시에 나오는 물건들을 구입한 곳이 남광주시장을 모델로 한 것이다. 실제 80-90년대 남광주시장에서는 이러한 풍경을 흔히 볼 수 있었다.

폐역 이후 광주 도시철도 1호선남광주역이 이 인근에 지어졌다.

3 수요 부족으로 인해 2008년에 폐역된 화순군내 역

원래 코레일은 수요 부족으로 무정차역이 되더라도 그걸 이유로 폐역시키지는 않고 나중에 선로 이설이다 뭐다 해서 자동으로 폐역처분 하는데 이 다섯 역들은 본선구간에서 폐역이 되어서 좀 희소한 케이스이다.

3.1 도림역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공사 광주지사
개업일 : 1936년 3월 1일
폐지일 : 2008년 1월 1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명 봉
도 림송정리 방면
이 양

cp0803b10454_001_460.jpg
사진 출처

경전선의 폐역된 철도역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송정길 20-1 (舊 송정리 407-5)에 위치해 있었다.
1936년 3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개역하였고, 1944년 6월 15일에 폐지됐었다가 1963년 5월 1일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재개역했으나, 1972년 7월 20일에 다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됐었다.
1972년 이후 화물 취급을 했었으나, 1977년 5월 16일에는 수소 화물취급도 중지되었고, 1991년 1월 1일에 다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2006년 11월 1일부터 여객취급도 중지되었으며, 사실상 폐역 상태였다가 2008년 1월 1일에 폐역되었다.

역 터를 알 수 있는 소나무가 있고, 정류장이 있는데 현재는 주변 주민들의 창고로 쓰이고 있다.

3.2 입교역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공사 광주지사
개업일 : 1932년 11월 1일
폐지일 : 2008년 1월 1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이 양
입 교송정리 방면
석정리

笠橋驛 / Ipgyo station

vjsgcvtfuj9flpm9hijm.jpg
download.blog?fhandle=MEFmeXFAZnMy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Ni5qcGcudGh1bWI=&filename=6.jpg

위 사진 출처
아랫 사진 출처

경전선의 폐역된 철도역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차풍로 681(舊 풍암리 57-6)에 있었다.
지붕만 있는 간이역이였고, 사진에 있는 역명판도 어느샌가 없어졌다.
후에는 나무판에 유성매직으로 써서 달아 놓은 게 전부. 간이역치고는 참으로 초라했었다.

광주 방면으로 상하행 1회씩, 목포 방면으로 상하행 1회씩 총 4회만 정차했었다.

이 역 주위에 사는 풍암리 주민들에 대한 기사

1932년 11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개역했다가, 1944년 6월 15일 일시적으로 폐지되었으나,
1956년 9월 19일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재개역, 1959년 7월 15일 을종대매소로 지정되었다.
1967년 9월 1일 다시 을종승차권 대매소로 지정되었다.
1971년 7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지만, 1972년 7월 2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1991년 1월 1일에는 을종승차권대매소 취급도 중지되었다.
2006년 11월 1일 여객취급이 중지 되었으며,2008년 1월 1일 폐역되었다.

3.3 석정리역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공사 광주지사
개업일 : 1932년 11월 1일
폐지일 : 2008년 1월 1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입 교
석정리송정리 방면
능 주

石亭里驛 / Seokjeong-ri Station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에 위치한 폐역. 춘양면의 중심지인 석정리에 위치해 있었긴 하나, 정차장 위치가 시가지와 좀 멀었다.

개통 당시 이름은 '춘양역'이었는데 이후에 개통한 영동선 춘양역이 이름을 뺏어갔다...

3.4 만수역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공사 광주지사
개업일 : 1932년 11월 1일
폐지일 : 2008년 1월 1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능 주
만 수송정리 방면
화 순

9387352980.jpg
萬水驛 / Mansu Station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만수리에 위치한 폐역. 이 사람과는 관련 없다.이 사람 이 '만수'라는 지명은 만년동과 수동마을에서 글자를 따서 붙여진 명칭이라고한다. 1932년에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1944년에 뜬금없이 폐지되었고, 또 1965년에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재개. 1966년에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으나, 저조한 수요로 1969년에 무인화되었고, 2006년부터 열차가 서지 않다가 2008년에 최종 폐역되었다.

3.5 앵남역

경전선운영기관 : 철도공사 광주지사
개업일 : 1932년 11월 1일
폐지일 : 2008년 1월 1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화 순
앵 남송정리 방면
남 평

鸚南驛 / Aengnam Station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지강로 646 (앵남리 754-2)에 위치한 폐역. 한때 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였다가 을종대매소를 거쳐 결국 1990년 이후로는 무배치간이역인 상태가 지속되었다. 1999년 이곳 앵남리를 지나 광주시내와 도곡온천을 잇는 칠구재터널이 뚫리며 광주시내로 바로 가는 도로가 뚫리고 2000년 남광주역을 지나 광주역으로 가던 경전선 선로마도 폐선되며 서광주역을 지나 광주송정역으로 바로 빠지게 됨으로 인해 이용객은 계속 줄어갔고, 계속적으로 완행열차만 정차하다가 2004년 인근 호남선에 KTX가 개통되며 통일호는 폐지되었으나, 뒤를 이은 통근열차가 목포-순천 간 1왕복, 목포-여수 간 1왕복 이렇게 총 4회가 정차하였다. 목포-순천-여수 간 열차가 전라남도의 곳곳을 지나며 모든 역에 정차하는 데다가 인근에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다니는 전라남도 출신 대학생들을 위한 향토학사인 전남학숙이 있었기 때문에 주말에는 전남 각지의 고향집에 다니러가는 대학생들이 이용하기도 하여서, 의외로 시골 간이역치고는 이용객의 연령층이 상당히 젊은 역이었다. 하지만 결국은 2006년 11월 열차시간표 개정으로 경전선 통근열차가 폐지되자 이 역의 여객영업도 중지되었다. 지못미. 이후로 한동안 여객영업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2008년 1월 1일 부로 공식 폐지되었다.

폐역 이후에도 플랫폼과 역사가 그대로 잘 보존 중이다만 사실 역사라고 해봐야 커다란 버스정류장 모양의 벽돌 구조물 뿐이다. 어쨌든 버스정류장 형태로라도 역사가 남아 있어서 도로명주소도 부여받았다. 열차가 정차하던 시절에는 역 바로 옆으로 광주와 도곡온천을 잇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철도건널목이 있기 때문에 열차가 정차하는 내내 차단기가 내려진 상태로 있을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앵남역 옆에는 앵남슈퍼 할머니집이라는 슈퍼가 있었는데 금술좋은 노부부의 후덕한 인심 덕분에 유명세를 탔다고 한다. 관련기사도 있다.# 하지만 열차가 없어진 이후 앵남슈퍼도 사라져버렸다.
현재 이 역 인근으로는 광주 버스 진월177번이 약 1시간 간격으로 경유하며 도곡온천으로 가는 화순 군내버스도 경유한다.

4 2012년 10월 23일 마산 ~ 진주 복선화로 인한 폐역 목록

파일:Attachment/kyungjeon-line-close-20121023.jpg

역명여객화물등급분기선소재지
42.1마 산馬 山MSK임항선경남 창원시
48.4중 리中 里M
55.6산 인山 仁경남 함안군
59.6함 안咸 安M
68.4군 북郡 北M
72.0원 북院 北m
77.8평 촌坪 村m경남 진주시
82.4진주수목원晉州樹木園m
84.2반 성班 城M
90.1진 성晉 城m
93.1갈 촌葛 村m
99.1남문산南文山m
104.3개 양開 陽m
109.0진 주晉 州MB

4.1 산인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3년 12월 1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중 리
산 인광주송정 방면
함 안


山仁驛 / Sanin Station

경전선철도역.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산인로 184 (舊 모곡리 496-1번지)에 위치해 있다. 진주 방면 남해고속도로 102번 지선과 10번 본선이 합쳐진 후 문암리 근처에서 터널을 지나는데 그 아래 S자형 계곡이 옛 산인역 부지다.

이미 1969년 8월 1일에 무인화가 된 적이 있었다.

초기에는 3선의 선로가 있었다. 2선은 여객영업용, 1선은 화물영업용이었다. 그러다 1966년 9월 11일에 무배치간이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였다. 1970년 12월 30일에 새로운 역사를 신축했다. 역사 형태는 평촌역이나 갈촌역과 동일한 형태였다고 한다.[5] 이후 1971년 4월 11일에 보통역으로 승격.

역 주변에는 저수지를 낀 입곡군립공원이 있어서 1970년대 무렵는 마산에서 열차를 타고 온 관광객들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피난선도 있었는데, 중리-산인 구간이 25퍼밀의 하구배였기 때문에 설치된 것. 함안역에 보관중인 산인역 운수운전시설카드에 의하면, 처음에는 700m로 시작했는데, 세월의 흐름에 따라 638m로 줄어들더니 나중에는 588m로 길이가 계속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피난선은 무배치간이역이 되면서 뜯겨나갔고 지금은 자갈을 깔아 길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침목을 다 걷지 않아서 자갈 아래로 침목이 드러난 부분을 찾을 수 있다.

1977년 5월 16일 소화물취급을 중지하면서 화물열차를 받지 않았다. 이어 1980년대에는 을종대매소로 격하되었고, 1986년 10월 16일에는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역사와 측선, 피난선 등을 전부 철거, 본선과 여객승강장만 남겨놓았다. 그리고 승강장 위에 버스정류장 형태의 대합실을 새로 지었다. 그러나 함안 갔다가 마산 갈 필요없이 기차만 타면 마산역에 바로 떨궈주기 때문에 산인면 사람들의 수요가 꾸준히 있었다. 그래서 비둘기호와 통일호는 계속 정차했다. 그러다 2007년 6월 1일부로 여객취급도 중지되었고, 2012년 10월 23일 경전선 마산-진주 구간 이설로 인해 폐역되었다. 기존 역 부지는 현재 진상역처럼 식당이 들어서있다.

4.2 원북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5년 6월 15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군 북
원 북광주송정 방면
평 촌

院北驛 / Wonbuk Station

IE001038298_STD.jpg
철거 이전의 원북역 맞이방

IE001038305_STD.jpg
원북역 옆 채미정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사군로 1204-2 (舊 원북리 379-2번지)에 위치해 있다. 약 10여 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했던 역.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

이 역의 경우, 1957년 2월 11일에 무배치간이역으로 부활하면서 화물 취급까지 했던 역이였다고 한다. 원래 역사가 있었는데, 무언의 사정으로 인해, 없어진 듯. 시내버스가 거의 운행하지 않는 교통이 불편한 곳에 위치하여, 주로 마산 방면으로 가는 지역 주민이 이용했던 역이다.

또한, 역사를 원북리 주민들이 세운 역이다.[6] [7] 1984년에 원북리 주민 박계도(朴季道)라는 사람이 역 건물을 기증하여, 세웠다는 표지가 나온다. 역 규모는 맞이방만 달랑 있는 조그마한 형태이며 마산-진주간 선로 이설로 2012년 10월 23일부로 폐역.사실 새 선로가 원북역 바로 옆으로 나란히 지나가는데 역 하나 쯤은 간이형태라도 지어줄 수 있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원북역이 생기고 나서 인근의 명관리(명관저수지 뒤편으로 의외로 커다란 분지형 골짜기가 있다) 사람들은 산 고개를 넘어 원북역으로 기차를 타러 갔는데(그 이전에는 명관저수지의 산기슭을 위험하게 지나서 군북 옛 역까지 기차를 타러 갔는데 길이 지금 기준으로도 꽤 험하다), 이제는 원북 사람들이 명관리를 지나 동촌리의 새 군북역으로 기차를 타러 가게 되었다는 것. 도보로 가기엔 먼 거리지만 새로 포장된 명관 고개를 넘어 자동차로 15분 정도면 군북역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역을 안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한때 승차량 또한 대단했는데, 1966년부터 승차인원이 1만 명을 찍더니 1980년에는 8만 5천명까지 올라갔던 역이였다. 그만큼 교통이 불편했다는 이야기. 군북면 서부지역은 골짜기마다 동네가 제법 있는 편이었고 이들이 군북역까지 나오기엔 불편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위에 써 있는 명관리 지역. 그리고 하림리, 붕듸미골, 모로실 등 구 진양군 접경지역 주민들이 모두 원북역을 이용했다. 덕분에 예전에는 화물 취급도 했었다. 1981년에는 화물 도착량이 2950톤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2년에 화물 취급은 중지되었고, 승차인원 또한 1981년부터 점차 감소세에 들어 1987년에 승차량 5만 명을 찍던 역이 1988년에는 1만 2천명으로 확 줄었다. 1989년에는 2,087명으로 또 줄었다(...) 가장 큰 원인은 군북과 반성을 잇는 1032번 지방도의 확충으로 여겨진다. 이 구간의 아스팔트 포장공사 완료시점이 1987년말이다. 그리고 우성여객이 이 구간에 직행버스(원북/수곡-군북-함안-고속도로직통-마산시외터미널)를 투입, 수요를 흡수해갔다. 이전에는 털털거리는 자갈도로로 마산까지 2시간은 족히 걸렸기 때문에 함안이나 군북장에 갈 일 아니면 버스 탈 일이 없었다. 반면 원북역에서 마산역까지는 비둘기호 각역정차로도 45분이면 충분했다,

이후 군북면의 쇠락과 맞물려 겨우 몇 백 명 남짓 이용하는 간이역이 되었으며, 1998년IMF가 왔을 때에는 승차량이 25명에 불과했었다. 2007년부터 다시 1,000명대를 회복했었고, 2012년에 폐역될 때까지 한 해에 1~2천 명이 이 역을 이용했었다.

기차는 더 이상 정차하지 않지만 경치 하나는 괜찮은 곳이다. 특히 벚꽃 풍경이 좋아서 '간이역 여행' 단행본의 표지로 선정되기도 했다. 일단 구글에서 '원북역'으로 이미지 검색을 실시하면 벚꽃풍경 사진이 쏟아진다. 그리고 그 앞의 '채미정'이라고 불리는 솔밭 언덕까지 봄 경치는 정말 좋다. 군북초등학교[8] 학생들은 여기까지 걸어서 소풍온다.

그런데 그렇게 아름답던 역사가 2013년 1월~10월 사이에 철거되었다. 박계도 선생 지못미 하지만 2014년 현재 철로와 맞이방은 없어졌지만 벚꽃과 노반은 그대로 남아 있다.

역 바로 앞에 조선시대 유교 도량인 서산서원이 있는데, 원래 명관리에 있던 서원이 흥선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한 번 없어졌다가 이후 현재 위치로 옮겨 지은 것이다. 그 외에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방어산 마애불이 인근에 있다.

4.3 평촌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3년 12월 1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원 북
평 촌광주송정 방면
진주수목원

坪村驛 / Pyeongchon Station

132962_12123_4224.jpg
파일:Attachment/stamp 12 10.gif
스탬프가 좀 모에한데, 목행역 명예역장 본인의 캐리커쳐다. 배경은 진주수목원이지만 이 역에서 진주수목원은 꽤 멀다. 평촌역을 대표할 만한 게 없기 때문이다. 세트로 목행역 스탬프가 있다. 지금은 반성역에서 날인할 수 있다고 한다.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부평길 15 (舊 평촌리 742-4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 역부터 진주시에 진입하게 된다. 이전인 원북역까지는 함안군 소속. 과천선평촌역과는 전혀 다르다. 그 곳은 과거에 벌말역으로 불렸지만, 지역주민들의 핌피로 결국 동명이역이 되었다.

2011년 1월 기준 하루에 10회의 무궁화호가 이 역에 정차하고 있다. 현재 쓰는 역사는 1970년 2월 20일에 완공한 것. 한때는 보통역이었던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무배치간이역 신세. 2009년 6월 부터 명예역장이 선임된 역이기도 하며 2011년 7월 1일 부터는 3기 명예역장이 새로 선임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10월 23일 마산-진주간 열차운행이 신선로로 이전되면서 폐역.

여담으로 그 강호동이 이 동네 출신이다. 정확히는 이반성면 쪽 산자락에서 태어났다는 듯.

4.4 진주수목원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2007년 10월 19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평 촌
진주수목원광주송정 방면
반 성

晉州樹木園驛 / Jinju-sumogwon Station

경전선의 철도 임시승강장.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개암리에 위치해 있다. 하루에 약 10회의 무궁화호가 운행중이다.

경상남도수목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신설된 임시승강장으로, 임시승강장 치고는 꽤 발달된 형태를 갖췄었다. 화장실, 승강장, 역명판 등이 제대로 갖춰져 있어서 역사만 없는 간이역이라고 봐도 될 정도. 경의선어떤 역하고 심하게 비교된다.

기본적으로 10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했지만, 수목원이 개방할 때 쯤 되면 열차를 증편정차하기도 했다. 그리고 수목원이 대박 터지는 이나 가을쯤에는 경전선에서 입석승객이 발생하는 기적이 벌어졌다! 2012년에 단축크리를 먹은 어떤 근성열차도 군북-반성 사이에서 다른역은 생까도 이 역은 섰다.

다만 경전선 복선전철화 관계로 2012년 10월 23일부로 폐지.

2014년 1월 24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 제6조 임시승강장 항목에는 진주수목원역의 이름이 그대로 등재되어 있다.

4.5 진성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5년 6월 15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반 성
진 성광주송정 방면
갈 촌


jinseong1.jpg

晉城驛 / Jinseong Station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진성로259번길 5-1 (舊 구천리 501-6번지)에 위치해 있다. 하루에 10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1925년에 이 역의 영업을 시작하긴 했지만... 일제 패망 직전인 1944년 한 차례 폐역되었다. 지못미. 그 이후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인 4월 1일 이 역이 새로 개업하게 되었다.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 하지만 2012년 10월 23일부로 최종적으로 폐지크리(...).

4.6 갈촌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5년 6월 15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진 성
갈 촌광주송정 방면
남문산

111231017635362_thumb_800.jpg
galchon_a.jpg
葛村驛 / Galchon Station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문산로 666 (舊 갈곡리 656-38번지)에 위치해 있다.

하루에 10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했지만, 역세권이 미약해서 이용객은 극히 적었다. 이 동네의 버스교통이 불편하기 때문에 무궁화호를 정차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2009년 6월 이 역에 명예역장이 배치되었다. 하지만 2012년 10월 23일 마산-진주 구간 이설로 인해 폐역되었다.

4.7 남문산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5년 6월 15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갈 촌
남문산광주송정 방면
개 양


nammunsan1.jpg

南文山驛 / Nammunsan Station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동부로 556-5 (舊 삼곡리 1139-1번지)에 위치해 있다.

문산읍에 위치해 있는데도 문산역이 된 이유는, 경의선문산역이 먼저 개업했기 때문. 먼저 먹는 자가 임자다!! 쪽에 있는 문산역이라는 뜻이다. 물론 이 역과 문산역의 문산에 대한 한자는 달랐다. 이 역의 문산은 文山, 문산역의 문산은 汶山. 2014년 6월 20일에 파주시가 문산읍의 한자 표기를 바꾸면서 진주시 문산읍과 파주시 문산읍 모두 文山이라고 쓰게 되었다.

하루에 10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했다. 이 역은 역세권이 발달해서 무궁화호가 정차하지만 역세권에 도로교통이 워낙 발달해서 정작 여객수요는 많지 않았다.

4.8 개양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3년 12월 1일
폐지일 : 2012년 10월 23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남문산
개 양광주송정 방면
진 주
진삼선운영기관 : 철도청
개업일 : 1965년 12월 7일
폐지일 : 1990년 1월 20일
등급 : 폐역
시종착역개 양삼천포 방면
예 하

old_gaeyang1.jpg
구 역사


신축된 역사

開陽驛 / Gaeyang Station

폐역된 경전선진삼선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 100(舊 가좌동 140-12번지)에 위치해 있다. 옛날에는 이 역에서 진삼선이 분기했기 때문에 올드비들에게는 삼천포로 빠진다라는 표현으로 유명한 역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그런 거 알 게 뭐야. 이미 진삼선은 폐선된지 꽤 됐다.[9] 삼랑진역 기점 104.3km. 100km를 넘었다!!

승강장은 진삼선 승강장을 철거하지 않아서인지 2면 3선. 하지만 실제로는 경전선이 정차하는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형태다. 나머지 1면 1선이 바로 옛 진삼선 승강장이었다.

2010년 7월 1일 부로 일근근무가 폐지되면서, 역무원이 철수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역에 명예역장이 선임되었는데, 부임된 지 얼마 안 되어 스스로 그만두었으며, 역사는 공사장 사무실로 쓰였다. 경전선이 복선화되면서 폐지됐으며, 이 역 부근에 진주역이 이전하여 자리잡은 관계로 사실상 진주역과 통합된 것이나 다름없다.

역사가 2003년 12월 31일에 준공되었다. 따라서, 새로 신축한 역사를 10년도 안 쓰고 폐지했다는 점에 대해서,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있다. [10] 폐지된 이후로 사실상 방치 상태였다. 진주역세권 개발계획 부지에 포함되어 공사장 사무실로 쓰이다가, 2016년 7월경 철거되었다.

계양역, 개양이와는 전혀 무관. 그런데 어째서인지 계양역 인근에 있을 때 코레일톡앱의 인접역 표출에 의해 이 역이 표출된다. 비슷한 예로 과천선 평촌역 인근에 있을 때도 경전선 평촌역이 뜬다.(....) 어차피 둘 다 폐역이라 상관없지만...[11]

5 마산항제1부두선

해당 항목 참고.

6 진주 ~ 광양 복선화로 인한 폐역 목록

6.1 유수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67년 2월 22일
폐지일 : 2016년 7월 14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진 주
유 수광주송정 방면
완 사
이 역과 진주역 사이에 내동역이 있었으나 1984년폐역되었다.

柳樹驛 / Yusu Station

550px

경전선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395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 역 다음 역인 완사역부터는 사천시 소속이다.

1967년 2월 22일보통역으로 개업했다. 승강장은 과거에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고 화물전용 승강장이 있기도 했으나 지금은 다 옛날 얘기. 1986년 10월 16일부터 무배치간이역으로 떨어진 데다가 어느샌가 화물전용 승강장이랑 유수역 선로가 걷히면서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만 남았다. 지못미.

2007년 6월 1일부터 여객영업까지 중단되면서 사실상 폐역상태로 떨어졌고, 2016년 7월 14일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 개통 으로 폐지되었다.

6.2 다솔사역

항목 참조

6.3 양보역

항목 참조

6.4 골약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
개업일 : 1968년 2월 7일
폐지일 : 2016년 6월 14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옥 곡
골 약광주송정 방면
광 양

650px


骨若驛 / Goryak Station


경전선철도역. 전라남도 광양시 옥진로 52(舊 중군동 409-1번지)에 위치해 있다.

1968년에 개업할 때에는 보통역으로 출발했으나 1984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과거에 광양항선과 직결 계획이 세워졌었...지만 여태 계획이 없는 것으로 보아, 백지화된 듯.

2005년 9월 30일에 화물열차가 통과하고 2007년 6월 1일부로 여객열차마저 이 역을 통과하게 되면서 사실상 폐역상태에 처해있다. 지못미.

현재는 폐역되었다.

현재는 시설사무소로 활용되고 있다.

2016년 6월 14일 광양-진상 복선 비전철 신선 개통으로 인해 이젠 열차가 아예 들어오지 않는다.

6.5 옥곡역

경전선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
개업일 : 1968년 2월 8일
폐지일 : 2016년 6월 14일
등급 : 폐역
삼랑진 방면
진 상
옥 곡광주송정 방면
골 약

650px


玉谷驛 / Okgok Station

경전선철도역.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 옥진로 620(舊 신금리 1399번지)에 위치해 있다. 옥곡초등학교 정문 맞은편에 위치한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이 역 부근에 고려시대 당시 옥곡소(玉谷所)가 있던 곳을 조선 시절에 옥곡면으로 만들어 주면서 지명이 되었다. 따라서 옥곡면에 역이 생기니 옥곡역.

무궁화호가 하루 8회 정차했었다. 2011년 현재 쓰는 역사는 1968년 3월 2일 완공한 것.

이 역은 열차운전시행규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어서 역장 혼자서 근무했다.

2016년 6월 14일 00시를 기점으로 광양-진상 복선 비전철 신선이 개통됨에 따라, 이 역으로는 더 이상 열차가 들어오지 않는다.
  1. 용마고등학교 - 육호광장 - 3.15의 거탑을 잇는 삼각형 모양의 구시가지 권역이다.
  2. 1944년 폐지, 이후에는 효천역이 다음역이었다.
  3. 경전선 선로가 도심을 관통하기에 동서로 분단되어 건널목으로 인한 교통체증과 선로주변 민가의 소음 민원이 끊이지 않아 옮기게 됐다. 그리고 철도가 지나가던 부지는 남광주역부터 남구 백운동 로터리를 지나 진월동까지 길다란 보행자 산책로가 조성되었다.
  4. 반대로 이 남광주역은 몹시 위치가 좋은 자리에 있었다.
  5. 역사는 1986년에 이미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산인가든이란 이름의 식당이 들어서 있어서 흔적을 찾기 어려운 상태.
  6. 이전 문서에는 원래 철도청 계획에 없다고 했으나, 현재의 역사를 원북리 주민들이 세웠을 뿐, 엄연히 1925년부터 있었던 역이다.
  7. 비슷한 사례로 영동선하고사리역이 있다.
  8. 과거에는 인근에 수곡국민학교, 하림국민학교, 명관국민학교가 있었지만 모두 폐교된 후 월촌리 일대를 제외한 모든 면 지구를 군북초등이 관할한다.
  9. 1990년에 이미 진삼선 폐선. 단 선로 자체는 사천공항 인근까지 전용선으로 남아 있으며, 현재는 진주역에서 분기한다.
  10. 비슷한 예로 경춘선가평역이 있다. 이 쪽은 1997년에 신축한 역사였으나, 2010년 복선전철화로 신축 이전한 신역사는 위치며 접근성이며 모두 폭망 수준이라, 평판이 나쁘다.
  11. 과천선 평촌역은 전산상으로는 평촌동역으로 등록돼 있다. 도대체 전산연동이 어떤 식이길래...